KR200403788Y1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788Y1
KR200403788Y1 KR20-2005-0026855U KR20050026855U KR200403788Y1 KR 200403788 Y1 KR200403788 Y1 KR 200403788Y1 KR 20050026855 U KR20050026855 U KR 20050026855U KR 200403788 Y1 KR200403788 Y1 KR 200403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heet
structures
expansion
fixe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다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흰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6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배수로를 형성하는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충격/진동으로부터 구조체를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며 균열/파손부위에도 안정된 시공을 가능하게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신축공간(30)을 덮도록 마련되고 신축공간(30)측으로 하향굴곡되어 배수로(41)를 형성하며 양단부가 각각 제1,2구조체(10)(20)에 고정되며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시트(40)와, 금속시트(40)의 양측 가장자리 상하면을 감싸며 제1,2구조체(10)(2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2고무판(61)(62)과, 제1구조체(10)에 제1고무판(61)과 함께 금속시트(4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71)와, 금속시트(4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단이 제2고무판(62) 및 금속시트(40)의 타단과 함께 제2구조체(20)에 제2고정부재(72)에 의해서 고정되며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는 이동덮개판(5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배수로가 금속시트로 구성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연장되며, 균열 또는 파손되어 표면이 불규칙한 구조체에도 하부지지판을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금속시트의 가장자리 상하면을 감싸는 고무판에 의해서 차량의 통행시 충격/진동을 흡수함으로써 구조체의 균열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교량의 신축이음장치{Expansion equipment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수로를 형성하는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충격/진동으로부터 구조체를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며 균열/파손부위에도 안정된 시공을 가능하게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 강풍 또는 지진등의 자연환경변화에 의해서 안전하도록 복수의 상판슬래브들을 일정정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 연결하여 시공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일정간격 이격된 틈새에 이물질의 진입방지 및 우천시 우수(雨水)의 낙하방지를 위하여 이격된 틈새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채용된다.
이러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 또는 슬래브와 교대 사이에 설치되어서, 슬래브 사이를 상호 연결하면서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슬래브의 신장 또는 수축변형을 흡수하여 교량의 구조를 안전하게 유지시켜 준다.
특히, 철도가 통행하는 교량에는 소음과 하중에 의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선로와 같이 많은 양의 자갈이 깔리게 되고, 그에 따라 교량과 교량사이에 설치되는 슬래브 사이의 이음부분에는 자갈이 진입되어 슬래브의 신축작용을 방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철도 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는 차량의 통행시 충격과 진동에 의해 상호 마찰/충돌되면서 파쇄된 자갈들이 슬래브 사이의 이음부분에 투입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철도 교량용 종래 신축이음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교량사이에 설치되는 슬래브(A)(B) 사이의 이음부분에 덮혀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의 차단시트(110)가 마련되어 있고, 슬래브(B)에는 차단시트(110)의 일단과 함께 스크류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20)가 고정되어 있으며, 슬래브(A)에는 차단시트(110)의 타단과 함께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부가 덮혀지도록 덮개플레이트(130)가 고정되어서 슬래브(A)(B)사이의 이음부분으로 자갈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20)와 덮개플레이트(130) 사이에는 자갈로부터 파손된 파쇄물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판(140)이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장치는 자갈 또는 파쇄된 자갈들이 슬래브 사이의 이음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시트(110)에 의해서 빗물등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슬래브(A)(B) 사이의 이음부 간격변화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이음부와 접하는 각 슬래브(A)(B)의 가장자리부분들에 균열이 발생되어 신축이음장치의 보수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균열진 슬래브(A)(B)에 차단시트(110)가 불규칙하게 접촉되므로 틈새가 발생되어 누수(漏水)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슬래브(A)(B)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이음장치는 균열이 발생된 슬래브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둘째, 차단시트(110)가 고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장기간 적용시 온도변화에 따라 경화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교량으로부터 신축이음부를 통하여 하부로 배수된 우수(雨水)등을 안내하고 이물질등이 교량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슬래브등 상호 마주하여 소정간격 이격설치됨으로써 교량의 신축(伸縮)시 여유틈새를 형성하는 구조체에 균열발생등 표면이 불규칙하더라도 방수(防水)를 가능하게 하면서 안정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시 신축공간을 갖도록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구조체를 상호 연결하고 신축공간에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고 배수를 가능하게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공간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신축공간측으로 하향굴곡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2구조체에 고정되며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의 양측 가장자리 상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1,2구조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2고무판과,
상기 제1구조체에 상기 제1고무판과 함께 상기 금속시트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금속시트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제2고무판 및 상기 금속시트의 타단과 함께 상기 제2구조체에 제2고정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며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는 이동덮개판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제1,2고무판과 제1,2구조체 사이에 각각 하부지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의해서 고정된 이동덮개판의 일측과 상기 제2고무판 사이에 상부지지판이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제1고무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의해서 제1구조체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이동덮개판의 자유단부와 일정폭 겹쳐지도록 된 고정덮개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금속시트의 양단부 상기 제1,2구조체 사이의 틈새에 방수재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신축이음장치는 배수로가 금속시트로 구성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연장되며, 균열 또는 파손되어 표면이 불규칙한 구조체에도 하부지지판을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금속시트의 가장자리 상하면을 감싸는 고무판에 의해서 차량의 통행시 충격/진동을 흡수함으로써 구조체의 균열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신축이음장치는 복수의 상판슬래브 및 이들의 양단부를 받치는 교좌로 이루어지는 다리교량 또는 철도 교량등에 채용된다.
이하 설명되는 제1,2구조체는 상기 상판슬래브 또는 교좌일 수 있다.
본 고안 신축이음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2구조체(10)(20)는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伸縮)될때 상호 간섭없이 신축이 자유롭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신축공간(30)을 형성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신축이음장치는 신축공간(30)에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고 배수를 가능하도록 신축공간(30)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신축공간(30)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신축공간(30)측으로 하향굴곡되어 배수로(41)를 형성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2구조체(10)(20)에 고정되며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시트(40)와, 상기 금속시트(40)의 양측 가장자리 상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1,2구조체(10)(2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2고무판(61)(62)과, 상기 제1구조체(10)에 상기 제1고무판(61)과 함께 상기 금속시트(4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71)와, 상기 금속시트(4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제2고무판(62) 및 상기 금속시트(40)의 타단과 함께 상기 제2구조체(20)에 제2고정부재(72)에 의해서 고정되며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는 이동덮개판(5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금속시트(40)의 양단부와 상기 제1,2구조체(10)(20) 사이의 틈새에 방수재(81)(82)가 충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장치는 제1,2구조체(10)(20)가 온도변화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될때 금속시트(40)가 탄성변형되고 이동덮개판(50)이 제1,2구조체(10)(20)의 신축변위만큼 이동되게 된다. 이때 이동덮개판(50)은 일단부가 자유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제1,2구조체(10)(20)가 신축되더라도 변형되지 아니한다.
우천시 이동덮개판(50)과 제1고무판(61) 사이로 유입된 빗물은 배수로(41)를 통하여 교량의 가장자리로 안내되어 배수된다.
또한, 이동덮개판(50)의 자유단부가 고무판(61)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량의 통행시 진동/충격등으로 파쇄된 자갈등이 신축공간(30)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고무판(61)(62)에 의해서 차량의 통행시 충격을 흡수하여 제1,2구조체(10)(20)의 균열/파손을 줄이고, 제1,2구조체(10)(20)와의 밀착에 의해서 신축공간(30)으로의 누수(漏水)를 방지한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와 제1,2구조체(10)(20) 사이의 경계부분에 에폭시와 같은 방수재(81)(82)가 충진됨으로써 금속시트(40) 하부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이로써 교량 하부로 빗물등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고 제1,2구조체(10)(20)의 수명을 연장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는 상기 제1,2고무판(61)(62)과 제1,2구조체(10)(20) 사이에 각각 하부지지판(93)(91)이 마련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72)에 의해서 고정된 이동덮개판(50)의 일측과 상기 제2고무판(62) 사이에 상부지지판(92)이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제1고무판(6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71)에 의해서 제1구조체(10)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이동덮개판(50)의 자유단부와 일정폭 겹쳐지도록 된 고정덮개판(55)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금속시트(40)의 양단부 상기 제1,2구조체(10)(20) 사이의 틈새에 방수재(81)(82)가 충진된 구조를 가진다.
이 실시예의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더하여 하부지지판(91)(93)을 채용함으로써, 장치가 설치되는 제1,2구조체(10)(20)의 가장자리부분이 균열/파손등으로 표면이 불규칙하더라도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배수로(41)가 금속시트(40)로 구성됨으로써 종래 고무재로 형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연장된다.
둘째, 균열 또는 파손되어 표면이 불규칙한 구조체(10)(20)에도 하부지지판(91)(93)을 채용함으로써 장치의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세째, 금속시트(40)의 가장자리 상하면을 감싸는 고무판(61)(62)에 의해서 차량의 통행시 충격/진동을 흡수함으로써 구조체(10)(20)의 균열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네째, 제1,2구조체(10)(20)와 시공된 장치의 경계부분의 틈새를 방수재(81)(82)로 마감함으로써, 금속시트(40) 하부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이로써 교량 하부로 빗물등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고 제1,2구조체(10)(20)의 수명을 연장한다.
도 1은 종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신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신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제1,2구조체 30...신축공간
40...금속시트 41...배수로
50...이동덮개판 55...고정덮개판
61,62...고무판 71,72...제1,2고정부재
81,82...방수재 91,93...하부지지판
92...상부지지판

Claims (3)

  1.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시 신축공간을 갖도록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구조체를 상호 연결하고 신축공간에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고 배수를 가능하게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공간(30)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신축공간(30)측으로 하향굴곡되어 배수로(41)를 형성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2구조체(10)(20)에 고정되며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시트(40)와,
    상기 금속시트(40)의 양측 가장자리 상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1,2구조체(10)(2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2고무판(61)(62)과,
    상기 제1구조체(10)에 상기 제1고무판(61)과 함께 상기 금속시트(4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71)와,
    상기 금속시트(4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제2고무판(62) 및 상기 금속시트(40)의 타단과 함께 상기 제2구조체(20)에 제2고정부재(72)에 의해서 고정되며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는 이동덮개판(5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무판(61)(62)과 제1,2구조체(10)(20) 사이에 각각 하부지지판(93)(91)이 마련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72)에 의해서 고정된 이동덮개판(50)의 일측과 상기 제2고무판(62) 사이에 상부지지판(92)이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제1고무판(6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71)에 의해서 제1구조체(10)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이동덮개판(50)의 자유단부와 일정폭 겹쳐지도록 된 고정덮개판(55)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40)의 양단부 상기 제1,2구조체(10)(20) 사이의 틈새에 방수재(81)(82)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2005-0026855U 2005-09-16 2005-09-16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403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855U KR200403788Y1 (ko) 2005-09-16 2005-09-16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855U KR200403788Y1 (ko) 2005-09-16 2005-09-16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054A Division KR100644143B1 (ko) 2005-09-16 2005-09-16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788Y1 true KR200403788Y1 (ko) 2005-12-14

Family

ID=4370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855U KR200403788Y1 (ko) 2005-09-16 2005-09-16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7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725B1 (ko) 2008-04-02 2008-07-23 (주)삼우아이엠씨 도로의 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728861B1 (ko) * 2016-12-12 2017-04-20 (주)삼광건설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39247B1 (ko) * 2017-02-22 2017-05-29 (주)삼광건설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의 시공 방법
CN107165044A (zh) * 2017-06-12 2017-09-15 四川双建路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大位移人行道伸缩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725B1 (ko) 2008-04-02 2008-07-23 (주)삼우아이엠씨 도로의 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728861B1 (ko) * 2016-12-12 2017-04-20 (주)삼광건설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39247B1 (ko) * 2017-02-22 2017-05-29 (주)삼광건설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의 시공 방법
CN107165044A (zh) * 2017-06-12 2017-09-15 四川双建路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大位移人行道伸缩装置
CN107165044B (zh) * 2017-06-12 2023-05-05 四川双建路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大位移人行道伸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143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0921415B1 (ko)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0743044B1 (ko) 내진용 신축이음장치
KR102202700B1 (ko)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0988598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33984B1 (ko)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200403788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062223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389996B1 (ko)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10163063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68787B1 (ko) 지진감쇄기능을 가진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5164234B2 (ja) 橋梁用伸縮ジョイント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700947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184750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190012428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KR102104673B1 (ko) 신축이음장치
KR2010011225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868930B1 (ko) 수로교의 신축 이음 장치
KR200334262Y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