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290Y1 -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 Google Patents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290Y1
KR200373290Y1 KR20-2004-0026573U KR20040026573U KR200373290Y1 KR 200373290 Y1 KR200373290 Y1 KR 200373290Y1 KR 20040026573 U KR20040026573 U KR 20040026573U KR 200373290 Y1 KR200373290 Y1 KR 200373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ment
double wall
wall
y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호 filed Critical 최창호
Priority to KR20-2004-0026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은 단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함입된 요(凹)부; 또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출된 철(凸)부를 포함하되, 상기 요(凹)부들의 함입된 깊이 또는 상기 철(凸)부들의 돌출된 높이는 일정하며, 상기 요(凹)부는 상기 패널을 지하실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정도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외벽의 적절한 위치에 가로부재를 고정하고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요(凹)부와 가로부재가 접하는 부위에 고정수단을 긴결하여 상기 패널을 고정시킨 후 요(凹)부에 마감판을 설치함으로써 이중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지하실벽면의 평활도에 좌우되지 않고 정밀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간편하게 지하실 이중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Panel for double wall of basement}
본 고안은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실은 벽면의 균열로 인한 지하수 침투, 벽면과 실내공기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발생 등으로 항상 습기 및 배수처리가 문제되는 공간이다. 이와 같은 지하실의 습기는 곰팡이, 부식 등의 원인이 되어 지하실의 비위생, 불결, 불쾌감 등의 문제를 야기시켜 왔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하실 외벽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내벽을 시공하는 이중벽 공법이 적용되어 왔다. 이중벽 공법은 지하실 외벽에 발생하는 침투수 또는 결로수를 이중벽 내에 형성된 배수로를 통해 배수시킴으로써 지하실 내부 공간을 습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는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내벽은 시멘트 블록 쌓기로 시공되는 실정이다.
지하실 이중벽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U.S. Patent No. 6,477,811("Damp-proof bas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을 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습기를 발생시키는 요소를 제거하여 지하공간을 쾌적하고 습기가 없도록 유지하기 위한 지하실 방수시공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시공되는 투수성 팔레트(palette)층, 벤트(vent)층 및 콘크리트 슬랩과 외벽과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되는 내벽 및 배수를 위한 트렌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건물의 구조체에 대한 시공 후 내부에서 다시 바닥 및 벽을 시공해야 하므로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지하실은 일반적으로 층고가 높은 경우가 많으며, 주로 지하에 배치되는 기계실이나 전기실 등은 지상보다 2배 이상의 층고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층고가 높은 지하공간에는 시멘트 블록을 쌓을 수 있는 높이의 한계로 인해 종래의 이중벽 공법은 적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통상의 층고에 비해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중벽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벽용 패널을 미리 제작하여 지하실 외벽에 설치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이중벽용 패널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09510호("지하층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처리용 패널 및 시공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사각판체의 패널에 다수의 원통형 버팀교각을 형성하고 상기 버팀교각의 내측에서 고정못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을 지하실 외벽체에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하고 저렴한 시공으로 지하실 이중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버팀교각이 형성된 위치에서 패널을 외벽에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버팀교각과 외벽면이 접촉하는 지점들이 동일평면상에 있지 않으면 패널을 외벽면과 평행하게 설치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외벽의 평활도에 따라 별도의 버팀교각 연장링을 사용해야 하는 등 고정과정에서 정밀도가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통형 버팀교각이 형성된 패널은 금형을 제작하여 압착(?)함으로써 제조되므로 제조비가 상승하며 층고가 높은 지하실의 경우 높이방향으로 사각판체의 패널을 연결시켜 시공하므로 벽면의 넓이에 비례하여 설치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외벽의 평활도에 좌우되지 않고 정밀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지하의 기계실과 같이 층고가 높은 공간에도 신속하게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으로 형성된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으로 형성된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요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나타낸 단면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요부에 마감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
12 : 요(凹)부
14 : 철(凸)부
16 : 돌기부
18 : 마감판
20 : 고정수단
30 : 가로부재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은 단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함입된 요(凹)부; 또는 곡선 또는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출된 철(凸)부를 포함하되, 상기 요(凹)부들의 함입된 깊이 또는 상기 철(凸)부들의 돌출된 높이는 일정하며, 상기 요(凹)부는 상기 패널을 지하실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정도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凹)부는 바닥면과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지하실벽을 바라보는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며 상기 요(凹)부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진 마감판을 더 포함하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제공된다. 상기 마감판은 내측에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요(凹)부는 상기 마감판의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에 대응하여 삽입홈 또는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하실에 설치하는 이중벽에 있어서, 지하실의 벽면에 가로로 고정되는 복수의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에 고정되며,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요(凹)부 또는 철(凸)부를 포함하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으로 형성된 패널부재와; 상기 요(凹)부와 상기 가로부재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요(凹)부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며,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凹)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마감판을 포함하는 지하실 이중벽이 제공된다.
상기 요(凹)부는 바닥면과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지하실벽을 바라보는 표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은 내측에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요(凹)부는 상기 마감판의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에 대응하여 삽입홈 또는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으로 형성된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으로 형성된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요(凹)부(12, 12a), 철(凸)부(14, 14a)가 나타나 있다.
본 고안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은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의 단면을 가진 판으로써 세로방향으로는 길이가 정해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형상은 세로방향으로 구조적인 이점이 있으며, 제조과정에서도 압출에 의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기계실과 같이 층고가 높은 공간에도 적용할 벽면의 높이에 해당하는 패널을 제작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높이에 비례하여 시공노력이 소요되는 종래의 패널식 이중벽 공사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공사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지하실의 방수, 방습 및 배수를 위한 이중벽용 패널이므로 습기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는 금속재질 보다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 중에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고정수단(20)을 설치할 때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자유롭게 착색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요(凹)부(12)와 철(凸)부(14)는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규칙적으로 반복될 필요도 없다. 다만, 요(凹)부(12)는 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0)을 설치하는 부분이므로 작업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정도의 폭과 깊이로, 너무 좁거나 너무 깊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패널은 요(凹)부(12)에 고정수단(20)을 긴결함으로써 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게 되므로 패널의 자체 중량과 고정수단(20) 1개의 고정력을 고려하여 패널의 자체 중량을 견디기에 충분한 수의 고정수단(20)이 긴결될 수 있도록 적절한 수의 요(凹)부(12)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하실벽(1), 패널(10), 요(凹)부(12), 철(凸)부(14), 고정수단(20), 가로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은 단면의 형상이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이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종래기술과 같이 특정 지점을 지하실벽(1)에 고정해야 할 필요가 없다. 즉, 요(凹)부(12)의 임의의 지점에 고정수단(20)을 설치하여 상기 패널(10)을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통상적으로 구조체의 벽면이 충분히 평평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패널을 벽면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먼저 가로부재(30)를 지하실벽(1)에 고정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패널과 같이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패널을 고정시키는데에 있어서 가로부재(30)를 사용하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요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나타낸 단면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요(凹)부(12), 철(凸)부(14), 돌기부(16), 고정수단(20), 가로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의 요(凹)부(12)는 설치시 지하실벽(1) 또는 가로부재(30)와 접촉하는 바닥면과 이에 연결되어 철(凸)부(14)로 이어지는 측면으로 구성된다. 이중벽을 시공할 경우 지하실벽면에 발생하는 침투수(浸透水) 또는 결로수는 벽면이나 패널의 배면을 따라, 특히 상기 요(凹)부(12)의 바닥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면에는 지하실벽(1) 또는 가로부재(30)와 접촉하는 부분이 있게 되므로 이를 평평하게 형성할 경우 흘러내리는 물의 경로가 막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물이 정체되어 부식, 손상 등의 문제를 야기하거나 다른 부위로 흐르도록 하여 누수의 가능성이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凹)부(12)의 바닥면의 지하실벽을 바라보는 쪽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부(1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부(16)는 고정수단(20)이 긴결되는 부분에만 형성해도 되나, 본 고안 패널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해야 압출과 같은 방법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돌기부(16)도 패널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요(凹)부(12)의 바닥면과 가로부재(30) 또는 지하실벽(1)이 접촉하는 부위에 돌기부(1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기부(16)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으로 침투수 또는 결로수가 흘러내릴 수 있게 되며, 상술한 부식, 손상, 누수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하실벽(1), 패널(10), 요(凹)부(12), 철(凸)부(14), 고정수단(20), 가로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이중벽은 지하실벽(1)에 먼저 가로부재(30)를 고정시킨 후, 패널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패널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상기 가로부재(3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패널의 자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고정수단(20)이 설치되도록 가로부재(30)를 적절히 배치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낮은 정도의 정밀도만으로 본 고안 이중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가로부재(30)는 기존의 각목, 철재각관, 합성수지재 각파이프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기나 습기로 인한 부식, 부패 등을 방지하고 비용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 각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공지의 가로부재(30)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20)은 못, 스크류, 핀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로부재(30)의 재질에 따라 작업의 용이성, 비용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한 적절한 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요부에 마감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요(凹)부(12), 철(凸)부(14), 마감판(18), 삽입홈(122), 삽입돌기(182)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이중벽용 패널을 설치한 후 벽면을 평평하게 마감하기 위해 요(凹)부(12)에는 마감판(18)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감판(18)은 요(凹)부(12)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요(凹)부(12)의 폭이 다양한 경우 각각의 폭에 상응하는 폭의 마감판(18)을 설치해야 하나, 비용절감의 측면에서는 1가지 종류의 마감판(18)으로 마감이 가능하도록 패널의 요(凹)부(12)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패널의 양쪽 끝은 요(凹)부(12)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2개의 패널을 밀착하여 설치했을 때, 패널의 연결부위에 동일한 폭의 요(凹)부(12)가 만들어지도록 해야 1가지 종류의 마감판(18)으로써 패널의 가로방향의 연결부도 처리할 수 있다.
마감판은 평면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 패널이 도 1b와 같이 곡면인 경우에는 마감판(18a)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시공 후 도 6b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에서는 마감판이 안쪽으로 들어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깥쪽으로 돌출된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본 고안 패널이 도 1a와 같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마감판은 곡면으로 형성하여 시공 후 전체적으로 이중벽면의 디자인적인 측면을 부각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마감판(18)을 요(凹)부(12)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마감판(18)의 측면의 안쪽으로 삽입돌기(182)를 형성하고, 요(凹)부(12)에 상기 삽입돌기(182)에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삽입홈(1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마감판(18)에 삽입홈(122)을 형성하고 요(凹)부(12)의 일부에 이에 대응되는 삽입돌기(18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마감판(18)의 고정방법으로 상기 삽입돌기(182)와 삽입홈(12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고정방법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마감판(18)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단부에서 슬라이드이동을 통해 설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보다는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돌기와 홈을 이용하여 가압에 의해 끼워 넣을 수 있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지하실벽(1), 패널(10, 10a), 요(凹)부(12, 12a), 철(凸)부(14, 14a), 마감판(18, 18a), 가로부재(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이중벽용 패널을 사용한 이중벽의 시공이 완료되면 벽면과 같이 평평한 벽면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마감판(18)은 패널과 다른 색으로 착색할 수 있으므로 패널과 마감판(18)의 색을 적절히 배합하여 디자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마감판(18)은 반드시 패널과 같은 길이로 제작할 필요는 없으며 일정 길이로 제작하여 세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인 건물의 층고 또는 천정고의 높이를 고려하여 MC(modular coordination)를 적용한 모듈화된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외벽의 적절한 위치에 가로부재를 고정하고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의 요(凹)부와 가로부재가 접하는 부위에 고정수단을 긴결하여 상기 패널을 고정시킨 후 요(凹)부에 마감판을 설치함으로써 이중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지하실벽면의 평활도에 좌우되지 않고 정밀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간편하게 지하실 이중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패널이므로 압출과 같은 방식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중벽이 설치되는 벽면의 높이에 맞게 패널을 제작하여 설치하면 되므로 지하의 기계실과 같이 층고가 높은 공간에도 신속하게 간단하게 지하실 이중벽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이중벽용 패널은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하실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저렴하게 방수 및 배수 공사를 할 수 있다.

Claims (9)

  1. 단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함입된 요(凹)부;
    또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출된 철(凸)부를 포함하되,
    상기 요(凹)부들의 함입된 깊이 또는 상기 철(凸)부들의 돌출된 높이는 일정하며,
    상기 요(凹)부는 상기 패널을 지하실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정도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는 바닥면과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지하실벽을 바라보는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단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며 상기 요(凹)부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진 마감판을 더 포함하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내측에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요(凹)부는 상기 마감판의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에 대응하여 삽입홈 또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7. 지하실에 설치하는 이중벽에 있어서,
    지하실의 벽면에 가로로 고정되는 복수의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에 고정되며,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요(凹)부 또는 철(凸)부를 포함하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파형으로 형성된 패널부재와;
    상기 요(凹)부와 상기 가로부재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요(凹)부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며,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凹)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마감판을 포함하는 지하실 이중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는 바닥면과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지하실벽을 바라보는 표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 이중벽.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내측에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요(凹)부는 상기 마감판의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에 대응하여 삽입홈 또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 이중벽.
KR20-2004-0026573U 2004-09-16 2004-09-16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KR200373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73U KR200373290Y1 (ko) 2004-09-16 2004-09-16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73U KR200373290Y1 (ko) 2004-09-16 2004-09-16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290Y1 true KR200373290Y1 (ko) 2005-01-14

Family

ID=4944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573U KR200373290Y1 (ko) 2004-09-16 2004-09-16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2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54B1 (ko) * 2005-04-26 2009-10-07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유동층 반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54B1 (ko) * 2005-04-26 2009-10-07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유동층 반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83460A (en) L-shaped means for dampproofing basements forming passageways between foundation floor and wall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29839B1 (ko)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EP2405062A1 (en) Showerdrain with insert
KR101090674B1 (ko)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
KR20110124476A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RU2157442C2 (ru) Блок строительный
KR200373290Y1 (ko)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1043454B1 (ko)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KR102263174B1 (ko)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CN108086489B (zh) 具有可调整高度的止水墩的止水结构及其施作方法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2376499B1 (ko) 육가 연결부속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 방법
KR102516115B1 (ko) 경사면 밴드로 문양을 형성하는 스테인리스 패널 및 이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방법
KR101252808B1 (ko) 방수 시스템
KR102149289B1 (ko)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200389143Y1 (ko)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