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656B1 -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656B1
KR100467656B1 KR10-2001-0087028A KR20010087028A KR100467656B1 KR 100467656 B1 KR100467656 B1 KR 100467656B1 KR 20010087028 A KR20010087028 A KR 20010087028A KR 100467656 B1 KR100467656 B1 KR 10046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ner
natural stone
cured
cem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744A (ko
Inventor
최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1-008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6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9Building elements with a natural stone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에서 블록들을 조적할 때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코너쪽으로 자연석이 돌출하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하여 코너에서 블록들을 견고하게 조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관미도 뛰어나게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후면부로 자연석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블록 본체와; 상기한 블록 본체의 전,후면부에 임의의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코팅부와; 상기한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블록 코너부와; 상기한 블록 코너부의 일측면에 임의의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코너용 코팅부와; 상기한 블록 코너부의 일단면에 블록 코너부의 시멘트 몰탈과 함께 양생되고, 일부분이 코너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코너용 자연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CORNER BLOCKS ASSEMBLY USING NATURAL STONE}
본 발명은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코너에서 블록들을 조적할 때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코너쪽으로 자연석이 돌출하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하여 코너에서 블록들을 견고하게 조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관미도 뛰어나게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담장용 등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에 건물등의 장식을 위하여 자연석을 부착하는 방식이 널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은 대체적으로 습식주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주조틀 하부에 철판을 깔고 그 위에 자연석을 배치한 다음 순모래를 자연석이 묻히지 않을 정도로 채우고, 그 위에 시멘트 몰탈을 부은 후 2차로 자연석을 꽂아 배치하고 양생한 후, 그 위에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으로 1차 방수 도포하고 양생하며, 양생이 완료되면 180도 뒤집어서 바닥부에 깐 철판과 순모래를 제거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으로 2차 방수 도포하여 양생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자연석을 이용한 블록들은 양생된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진 블록 본체와, 상기한 블록 본체의 전면 또는 전후면에 부착되는 자연석과, 상기한 블록 본체의 전,후면에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으로 방수 코팅되어 양생된 코팅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한 블록들은 다단으로 조적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코너에서상기한 블록들을 조적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블록의 일단면을 예컨대, 45도 경사지게 절단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후 두 블록의 경사면을 서로 맞대어 주게 된다.
또한, 상기한 블록 들은 다단으로 조적하게 되면, 상기한 블록의 상단면과 이 블록의 상부에 조적되는 블록의 하단면이 서로 거의 밀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코너용 블록들을 코너에서 조적하기 위하여 코너용 블록의 일단부를 경사면으로 형성한 후 두 블록들의 경사면을 단순하게 서로 맞대어 주게 되어 있으므로 코너에서 블록들을 다단으로 조적하여도 코너용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지 못하게 되어 힘을 전혀 받지 못하기 때문에 코너에서 블록들이 견고하게 조적되지 못하게 됨과 아울러 코너용 블록의 코너쪽으로 자연석이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관미가 떨어지게 마무리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코너용 블록의 상,하단면이 단순하게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 들을 다단으로 조적하게 되면 상기한 블록의 상단면이 이 블록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블록의 하단면 사이에 시멘트 몰탈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조적된 블록 들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너에서 블록들을 조적할 때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코너쪽으로 자연석이 돌출하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하여 코너에서 블록들을 견고하게 조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관미도 뛰어나게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들을 조적할 때 블록의 상단면과 블록의 하단면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용이하게 메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수직 방향으로 조적된 블록 들이 견고하게 접할될 수 있도록 한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과 결합되며, 전,후면부로 자연석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1 블록 본체와; 상기한 제1 블록 본체의 전,후면부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1 코팅부와; 상기한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1 블록 코너부와; 상기한 제1 블록 코너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1 코너용 코팅부와; 상기한 제1 블록 코너부의 일단면에 제1 블록 코너부의 시멘트 몰탈과 함께 양생되고, 일부분이 코너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1 코너용 자연석;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들을 다단으로 조적할 때, 다단중 일단과 인접한 다른 일단에 상기한 제1 블록 본체와 직각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제1 블록 본체 및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과 맞물려 조적되며, 전면부로 자연석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2 블록 본체와; 상기한 제2 블록 본체의 전면부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2 코팅부와; 상기한 제2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2 블록 코너부와; 상기한 제2 블록 코너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2 코너용 코팅부와; 상기한 제2 블록 코너부의 일단면에 제2 블록 코너부의 시멘트 몰탈과 함께 양생되고, 일부분이 코너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2 코너용 자연석을 포함하고,상기한 제1, 제2 블록 본체의 상,하단면에는 제1, 제2 블록 본체들을 다단으로 조적할 때 제1, 제2 블록 본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의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메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제1, 제2 블록 본체의 끝단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들의 조적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의 일단의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의 다른 일단의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의 일단의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의 다른 일단의 조적된 상태를 도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는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100)의 일측면과 결합되며, 전면부로 자연석(3)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1 블록 본체(1)와;
상기한 제1 블록 본체(1)의 전면부에 임의의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1 코팅부(5)와;
상기한 제1 블록 본체(1)의 일측면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1 블록 코너부(7)와;
상기한 제1 블록 코너부(7)의 일측면에 임의의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1 코너용 코팅부(9)와;
상기한 제1 블록 코너부(7)의 일단면에 제1 블록 코너부(7)의 시멘트 몰탈과 함께 양생되고, 일부분이 코너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1 코너용 자연석(11)을 포함한다.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는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들을 다단으로 조적할 때, 다단중 일단과 인접한 다른 일단에 상기한 제1 블록 본체(1)와 직각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제1 블록 본체(1) 및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200)과 맞물려 조적되며, 전면부로 자연석(23)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2 블록 본체(21)와;상기한 제2 블록 본체(21)의 전면부에 임의의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2 코팅부(25)와;상기한 제2 블록 본체(21)의 일측면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2 블록 코너부(27)와;상기한 제2 블록 코너부(27)의 일측면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2 코너용 코팅부(29)와;상기한 제2 블록 코너부(27)의 일단면에 제2 블록 코너부(27)의 시멘트 몰탈과 함께 양생되고, 일부분이 코너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2 코너용 자연석(3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제1, 제2 블록 본체(1, 21)의 상,하단면에는 제1, 제2 블록 본체(1, 21)들을 다단으로 조적할 때 제1, 제2 블록 본체(1, 21)의 상단면과 제1, 제2 블록 본체(1, 21)의 하단면 사이에 시멘트 몰탈(15)을 메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부(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공간부(13)는 제1 블록 본체(1) 또는 제2 블록 본체(21)의 상단면과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200) 및 제2 블록 본체(21) 또는 제1 블록 본체(1)의 하단면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시멘트 몰탈(15)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제2 블록 본체(1, 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임의의 길이로 형성되는데, 상기한 제1, 제2 블록 본체(1, 21) 들의 보다 견고한 결합 및 미려한 외관을 위하여 제1, 제2 블록 본체(1, 21)의 끝단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중간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공간부(13)는 시멘트 몰탈(15)이 용이하게 메워질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원통형상, 다각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을 이용하여 코너에서 블록들을 다단으로 조적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다단중 어느 일단에서는 자연석(3)이 외부로 돌출되게 제1 블록 본체(1)를 배치함과 아울러 제1 코너용 자연석(11)이 코너쪽으로 돌출되게 제1 블록 코너부(7)와 제1 코너용 코팅부(9)를 배치한 후 상기 제1 코너용 자연석(11)의 반대면과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100)의 일단부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서로 맞대게 배치한다.
또한, 상기한 제1 블록 본체(1)의 후면부 끝단부 즉, 상기한 제1 블록 코너부(7)쪽으로부터 제1 블록 본체(1)의 후면부와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100)의 일단부가 서로 맏대게 배치한다.
그리고 다단중 일단과 인접한 다른 일단에서는 제2 블록 본체(21)가 일단에 위치한 제1 블록 본체(1) 및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200)과 맞물려 조적됨과 아울러 상기한 다른 일단의 제2 코너용 자연석(31)이 일단에 위치한 제1 코너용 자연석(11)과 직각을 이루면서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한다.
또한, 상기한 제2 블록 본체(21)와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200)은 일단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적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다른 일단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200)은 일단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100)과 서로 맞물리게 도 5와 같이 조적되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상기한 블록들을 다단으로 조적하게 되면, 제2 블록 본체(21)의 상단면과 상기 제2 블록 본체(21)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제1 블록 본체(1)의 하단면이 서로 접촉하게 됨과 아울러 제1, 제2 블록 본체(1, 21)의 전,후면으로 자연석(3, 23)의 일부가 돌출되며 또한 제1, 제2코팅부(5, 25)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2 블록 본체(21)의 상단면과 제1 블록 본체(1)의 하단면 사이에 도 3과 같이 임의 크기의 공간부(13)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13)에 시멘트 몰탈(15)로 메워준 후 양생하면 제1 블록 본체(1)와 제2 블록 본체(21)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제1, 제2 블록 본체(1, 21)들은 공간부(13)에 양생된 시멘트 몰탈(15)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제1, 제2 블록 본체(1, 21)들을 수직 방향으로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 블록 본체(1)의 후면부에도 자연석(4)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1 블록 본체(1)의 후면부에도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1 코팅부(5)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1 블록 본체(1)의 후면부에 돌출되는 자연석(4)은 다른 블록들과 조적될 때 방해되지 않도록 제1 블록 코너부(7)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과 조적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100)(200)은 전,후면부에 도 7 및 도 8과 같이 자연석이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코너에서 블록들을 조적할 때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코너쪽으로 자연석이 돌출하는 상태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코너에서 블록들을 견고하게 조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관미도 뛰어나게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들을 조적할 때 블록의 상단면과 블록의 하단면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용이하게 메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으로 조적된 블록 들이 견고하게 접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과 결합되며, 전,후면부로 자연석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1 블록 본체와;
    상기한 제1 블록 본체의 전,후면부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1 코팅부와;
    상기한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1 블록 코너부와;
    상기한 제1 블록 코너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1 코너용 코팅부와;
    상기한 제1 블록 코너부의 일단면에 제1 블록 코너부의 시멘트 몰탈과 함께 양생되고, 일부분이 코너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1 코너용 자연석;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들을 다단으로 조적할 때, 다단중 일단과 인접한 다른 일단에 상기한 제1 블록 본체와 직각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제1 블록 본체 및 일반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과 맞물려 조적되며, 전면부로 자연석의 일부가 돌출하는 상태로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2 블록 본체와;
    상기한 제2 블록 본체의 전면부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2 코팅부와;
    상기한 제2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제2 블록 코너부와;
    상기한 제2 블록 코너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희석된 혼합 시멘트액와 같은 각종 코팅액으로 방수 코팅된 후 양생되는 제2 코너용 코팅부와;
    상기한 제2 블록 코너부의 일단면에 제2 블록 코너부의 시멘트 몰탈과 함께 양생되고, 일부분이 코너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2 코너용 자연석
    을 포함하고,
    상기한 제1, 제2 블록 본체의 상,하단면에는 제1, 제2 블록 본체들을 다단으로 조적할 때 제1, 제2 블록 본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의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메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제1, 제2 블록 본체의 끝단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간부는 시멘트 몰탈이 용이하게 메워질 수 있도록 사각형상, 반원통형상,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블록 본체의 후면부에 돌출되는 자연석은 다른 블록들과 조적될 때 방해되지 않도록 블록 코너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KR10-2001-0087028A 2001-12-28 2001-12-28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KR10046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28A KR100467656B1 (ko) 2001-12-28 2001-12-28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28A KR100467656B1 (ko) 2001-12-28 2001-12-28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744A KR20030056744A (ko) 2003-07-04
KR100467656B1 true KR100467656B1 (ko) 2005-01-26

Family

ID=3221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028A KR100467656B1 (ko) 2001-12-28 2001-12-28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6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730Y1 (ko) * 1987-11-27 1991-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Pal/secam/mesecam 자동절환회로
KR19990024766A (ko) * 1997-09-08 1999-04-06 최승팔 돌이 부착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210552Y1 (ko) * 2000-08-07 2001-01-15 주식회사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730Y1 (ko) * 1987-11-27 1991-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Pal/secam/mesecam 자동절환회로
KR19990024766A (ko) * 1997-09-08 1999-04-06 최승팔 돌이 부착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210552Y1 (ko) * 2000-08-07 2001-01-15 주식회사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744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9994A (en) Building blocks
US20110073747A1 (en) Brick formliner apparatus and system
EP0301026A1 (en) Glass block panel construction and device for use in the same
JP2008527208A (ja) 複合石積み建築用ブロック
CA2708104A1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US4182089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AU2003245129A1 (en) Building block
KR0178708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면 블록의 제조방법
KR10046765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US1553157A (en) Concrete slar
US4541213A (en) Shuttering elements
EP4332318A2 (en) Stone veneered building block
WO1992004513A1 (en) Building component
US20060005500A1 (en) Mortar less brick wall construction
JP2002201757A (ja) 化粧板ブロック及びその構造体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KR200215072Y1 (ko) 조립식 블록
KR102323219B1 (ko) 개량형 위치조절용 블록 옹벽 구조
KR100427089B1 (ko) 전통 시멘트 블록
KR20200001993U (ko) 담장용 블록
JP3515968B2 (ja) 角筒状構築物
KR0139870Y1 (ko) 호안용 블록
JP3099001U (ja) 安定積載が可能なレンガ構造
KR200210972Y1 (ko) 철근 받침대
EP2021564A1 (en) Lightened tile for swimming-pool edg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