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552Y1 -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 Google Patents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552Y1
KR200210552Y1 KR2020000022496U KR20000022496U KR200210552Y1 KR 200210552 Y1 KR200210552 Y1 KR 200210552Y1 KR 2020000022496 U KR2020000022496 U KR 2020000022496U KR 20000022496 U KR20000022496 U KR 20000022496U KR 200210552 Y1 KR200210552 Y1 KR 200210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resistance
mortar
stacking
concrete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22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552Y1/ko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적공사용 쌓기용 자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벽돌 제작에 있어 수평 횡력 저항성을 증대 시키기 위한 전단저항 홈 (Shear Key)을 갖는 콘크리트 벽돌 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돌 쌓기 시공에 의한 조적 벽체의 경우 자중이나 상부하중에 의한 수직하중 내력과 비교하여 수평방향의 횡력에 대한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이 있어 건축물의 구조내력에 관한 설계기준등에서 조적 벽체의 쌓기 높이 및 길이등이 제한되고 있다.
이는 일정규격의 콘크리트 벽돌 단위재를 쌓아 벽체를 형성시키는 조적공사의 시공형태상 각각의 단위재는 시멘트 몰탈등 쌓기용 접착몰탈을 사용하여 단위재가 결합 구성됨으로서 수직방향의 직하중 내력에는 콘크리트 벽돌 단위재와 접착 몰탈이 일체로 유효한 하중내력을 발휘하나, 수평방향의 횡력에 있어서는 각각의 콘크리트 벽돌 단위재를 연결 접착시킨 줄눈 몰탈 부분의 전단 저항 내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벽체의 면내 변형에 의한 전도 위험이 있어 이를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돌의 제작에 있어 쌓기용 접착몰탈과 결합되는 벽돌면에 홈을 두어 제작 하므로서 쌓기 몰탈과 벽돌 경계면에 전단 저항력을 도입시켜 조적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재인 벽돌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벽체의 횡력 저항 내력의 증진을 도모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Lateral load resistance Concrete brick with shear key}
본 고안은 건축 공사중 조적 벽체 시공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콘크리트 벽돌은 그 형태에 있어 기본벽돌, 이형벽돌으로 구분되어 한국산업규격(KS) 에 의한 표준생산 규격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형벽돌은 모양에 있어 기본벽돌을 기준으로 반토막, 반절, 둥근모접기등으로 구분되어 기본적인 마무리 형태는 기본형 벽돌과 동일하게 평활한 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벽돌벽체 조적시공시 사용되는 줄눈 접착용 몰탈을 사용하여 쌓기 시공시 벽돌 단위재와 줄눈몰탈의 경계면에서의 결합력은 시멘트 몰탈의 순수한 부착력만으로 발휘되므로 조적 벽체면에 수직하중에 의한 수직력 작용시는 콘크리트 벽돌 및 줄눈 몰탈의 허용 압축강도 내력에 의한 구조적인 내력 발휘에 큰 문제가 없으나, 수직방향의 벽체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수평력, 풍압, 지진력과 같은 횡하중 ( Lateral Load ) 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벽돌과 줄눈몰탈 부착력 즉 전단저항 만으로 저항하여야 하는점으로 일반적으로 조적벽체의 수평횡력 저항는데 한계가 있어 건축물 구조 내력에 관한 설계기준에서 조적벽체의 쌓기 높이 및 길이를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조적 벽체의 구조적 제한요소인 횡하중에 대한 저항력 증진은 조적벽체의 구조적 안전성의 증진과 연관된다 할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벽체 시공에 있어 사용자재인 콘크리트 벽돌에 쌓기 몰탈과 결합되는 줄눈 부분의 부착력 증진을 통한 전단저항의 발휘를 목적으로 하는 홈 형태의 전단Key를 갖는 모양의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 함으로서 조적식 벽체의 구성 단위재인 각각의 벽돌과 줄눈 몰탈 경계면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켜, 구조 내력상 최대 취약점인 횡하중에 의한 수평방향 저항력을 증진코져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사용 벽돌의 모양은 한국산업규격(KS) 에 의한 표준생산 방식에 의하여 생산되는 기본형 콘크리트 벽돌에 벽돌 길이방향으로 벽돌 쌓기시를 기준으로 벽돌 상.하부에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홈 모양의 전단Key를 형성 시키도록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타 이를 사용한 조적쌓기 시공 방식은 종래의 쌓기방식에 별도의 부가적인 부자재의 사용 또는 시공단계 의 추가 없이 동일하게 적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벽돌 쌓기 공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한 벽돌 쌓기 공법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제작규격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벽돌 2.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3. 전단 Key 4. 쌓기용 시멘트몰탈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돌 성형 제작시 첨부 도 3의 예시와 같은 모양으로 제작하며, 기본형 콘크리트 벽돌에 벽돌 길이 방향으로 벽돌 쌓기시 를 기준으로 줄눈 몰탈이 깔려 벽돌과 결합되는 경계면인 벽돌 상.하부에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홈 모양의 전단Key (3) 홈속까지 쌓기용 줄눈몰탈이 충진되므로서 하부 벽돌과 상부벽돌이 접합되는 줄눈몰탈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시공하는 콘크리트 벽돌 쌓기 시공도를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한 벽돌 쌓기 공법의 사시도로서 , 각각의 사시도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적인 조적 공사 시공법과 차이가 없어 별도의 기능을 요하지 않으며, 단지 본 고안에 의한 전단Key를 갖는 형태의 벽돌을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공사에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한 조적식 벽체의 구조적 내력의 취약점인 수평방향 횡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전단Key를 갖는 본고안의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 함으로서 조적 벽체의 구조적 성능 향상 효과를 도모하며,
부수적 으로 전단Key 홈 부분에 적정 굵기의 철선을 삽입하여 쌓기 시행할시. 추가적인 보강효과를 기대할수 있어 벽체 단면 구조성능의 증진을 통한 벽두께 저감 및 이에 따른 건축물 고정하중 저감등의 간접적인 효과를 통한 경제성있는 조적공사의 설계 및 시공을 기대할수 있다.

Claims (1)

  1. 본 고안은 건축공사의 조적식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벽돌의 제작에 있어 쌓기용 접착몰탈과 결합되는 벽돌면 상.하에 홈형태의 전단Key를 두어 제작 하므로서, 쌓기 몰탈과 벽돌 경계면에 전단 저항력을 이용한 상호 결합력을 발휘 시켜 조적 벽체의 횡력 저항내력 증진을 도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
KR2020000022496U 2000-08-07 2000-08-07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KR200210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96U KR200210552Y1 (ko) 2000-08-07 2000-08-07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96U KR200210552Y1 (ko) 2000-08-07 2000-08-07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552Y1 true KR200210552Y1 (ko) 2001-01-15

Family

ID=7307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496U KR200210552Y1 (ko) 2000-08-07 2000-08-07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56B1 (ko) * 2001-12-28 2005-01-26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CN108457398A (zh) * 2018-04-25 2018-08-28 天津三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分切后老旧英制砖砌筑的夹心保温复合墙体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56B1 (ko) * 2001-12-28 2005-01-26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CN108457398A (zh) * 2018-04-25 2018-08-28 天津三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分切后老旧英制砖砌筑的夹心保温复合墙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4793A (en) Glass block panel construction and device for use in same
US7905070B2 (en) Interlocking mortarless structural concrete block building system
US4959937A (en) Glass block panel construction and device for use in same
US20140223848A1 (en) Building block for use in constructing a building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US20100037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ision Grinding and Self-Leveling Installation of Concrete Masonry Systems
CN101381993A (zh) 具有钢管的桥墩基础及使用该桥墩基础的桥墩的装配结构
KR20160114909A (ko)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US4887403A (en) Internally indexed building block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0210552Y1 (ko)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KR20090032471A (ko) 조적식 벽돌
CN207105290U (zh) 一种用于高精砌体内隔墙拉结筋的镂槽器
CN217439253U (zh) 一种抗剪抗拉的墙体
JP3144615U (ja) レジ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US4541213A (en) Shuttering elements
KR200375015Y1 (ko) 황토 벽돌
CN214117209U (zh) 一种建筑混凝土砌砖结构
KR200215053Y1 (ko) 목재벽돌의 조적구조
KR200182685Y1 (ko) 스틸스터드를 이용한 진동저감형 바닥구조재
KR101075851B1 (ko)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CN210067199U (zh) 一种高抗压蒸压加气砌块
CN218508781U (zh) 一种建筑施工用砌墙砖
KR101154074B1 (ko)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CN206707104U (zh) 一种新型房屋建筑用砖
CN114673294A (zh) 高强度环保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