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870Y1 - 호안용 블록 - Google Patents

호안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870Y1
KR0139870Y1 KR2019950024634U KR19950024634U KR0139870Y1 KR 0139870 Y1 KR0139870 Y1 KR 0139870Y1 KR 2019950024634 U KR2019950024634 U KR 2019950024634U KR 19950024634 U KR19950024634 U KR 19950024634U KR 0139870 Y1 KR0139870 Y1 KR 0139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es
revetment
present
revetment block
m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4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38U (ko
Inventor
양완석
Original Assignee
지연근
킹특수콘크리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연근, 킹특수콘크리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연근
Priority to KR2019950024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870Y1/ko
Publication of KR970013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87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상구조물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호안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호안용 블록을 물손에 투하시켜서 적층시킬 때 호안용 블록들끼리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서 모서리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주기 위해서 3개의 철근구조물(10-1),(10-2),(10-3)을 코어로 하는 각 분지(12)들의 횡단면 형태를 8각형으로 하여서 각 모서리부(14)가 둔각을 이루도록 하고, 각 분지(12)들의 끝면을 서로 둔각으로 만나는 4개의 경사면(16-1),(16-2),(16-3),(16-4)으로 형성한 호안용 블록임.

Description

호안용 블록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의 사시도.
제2도는 철근에 배근 상태를 함께 보인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을 제조하는데 사용도는 형틀의 사시도.
제4도 (a),(b),(c),(d),(e)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의 제조공정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10-3 : 철근구조물 12 : 분지
14 : 분지 16-1,16-2,16-3,16-4 : 경사면
본 고안은 주로 하상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호안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호안용 블록은 입방체인 돌출된 분지들의 횡단면 형태가 각 모서리들이 직각을 이루는 4각형으로 이루어진 까닭에 블록들을 문속에 투하시킬 때 블록들의 모서리부위가 쉽게 파손되었고, 인전하는 블록들간에 공간이 많이 생겨서 하상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바람직하지 못하였었을 뿐 아니라 제조면에 있어서는 형틀을 네개 한벌로 된 것을 사용해야만 했었다.
왜냐하면 입방체인 돌출된 분지들의 횡단면 형태가 각 모서리들이 직각을 이루는 4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이었기 때문에 블록성형후 형틀의 이형작업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는바, 이로 인하여 형틀의 이형 작업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었고, 형틀조립시 높은 조립 정밀도가 요구되는 까닭에 형틀의 조립수단 또한 복잡하고 정교하며 견고한 것을 사용해야만 했었기 때문에 제조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에 미흡한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돌출되는 분지들의 횡단면 형태를 8각형으로 만들어서 각 모서리들이 둔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각 모서리부위에 매우 큰 강도를 부여하고, 상·하형의 2개 한벌로 된 형틀로도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직교하는 X, Y,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지를 가진 것에 있어서, 3개의 철근구조물(10-1),(10-2),(10-3)을 코어로 하는 각 분리(12)들의 횡단면 형태를 8각형으로 하여서 각 모서리부(14)가 둔각을 이루도록 하고, 각 분지(12)들의 끝면을 서로 둔각으로 만나는 4개의 경사면(16-1),(16-2),(16-3),(16-4)으로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은 각 분지(12)들의 뿌리쪽 크기가 단부쪽 크기보다 약간 크게 다시말해서 단부쪽 크기가 뿌리쪽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서 각 분지(12)들의 돌출부위를 이루는 면들이 경사지게 만들어 주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제3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형(20)과 하형(22)의 2개의 한벌로 된 간단한 형틀(24)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에 예시된 형틀(24)은 상형(20)과 하형(22)의 테두리에 형틀분해, 조립용 플랜지(20-1),(22-1)를 갖고 있으며, 이 플랜지(20-1),(22-1)들은 통상의 밴딩수단으로 해체하기 쉽도록 결속된다.
제4도 (a),(b),(c),(d),(e)에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의 제조공정이 예시되어 있는데, 제조공정은 제4도 (a)에 표현된 바와 같은 하형(22)을 놓을 터파기와, 제4도 (b)에 표현된 바와 같은 하형(22)의 안치 및 철근구조물(10-1),(10-2),(10-3)의 투입과, 제4도 (c)에 표현된 바와 같은 하형(22)과 상형(20)의 조립과, 제4도 (d)에 표현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몰탈투입 및 진동으로 이루어지는바, 양생후 형틀(24)을 해체한 다음 제4도 (e)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을 얻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조되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용 블록은 직교하는 X, Y,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 분지(12)들의 횡단면 형태가 둔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14)를 갖는 8각 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분지(12)들의 끝면이 서로 둔각으로 만나는 4개의 경사면(16-1),(16-2),(16-3),(16-4)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호안용 블록들을 물속에 투하시켜서 적층시킬 때 호안용 블록들끼리 부딪히더라도 각 분지(12)들의 모서리부(14)의 내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각 분지(12)들의 끝면도 4개의 경사면(16-1),(16-2),(16-3),(16-4)으로 이루어진 까닭에 내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하므로 상기 모서리부(14)와 각 분지(12)들의 끝면쪽이 파손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파손되는 모서리나 끝면쪽의 균열로 인하여서 내구성이 나쁘고 철근구조물이 쉽게 부식되어서 수명이 길지 못하였다 종래의 호안용 블록에 비하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의 형틀(24)로 짧은 시간에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직교하는 X, Y, Z축 방향으로 철근구조물(10-1),(10-2),(10-3)을 코어로 하여 돌출되는 분지(12)를 가진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각 분지(12)들의 횡단면 형태를 각 모서리부(14)가 둔각을 이루는 8각형으로 형성하고, 각 분지들의 끝면은 서로 둔각으로 만나는 4개의 경사면(16-1),(16-2),(16-3),(16-4)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호안용 블록.
KR2019950024634U 1995-09-13 1995-09-13 호안용 블록 Expired - Lifetime KR0139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634U KR0139870Y1 (ko) 1995-09-13 1995-09-13 호안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634U KR0139870Y1 (ko) 1995-09-13 1995-09-13 호안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38U KR970013838U (ko) 1997-04-28
KR0139870Y1 true KR0139870Y1 (ko) 1999-04-01

Family

ID=1942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4634U Expired - Lifetime KR0139870Y1 (ko) 1995-09-13 1995-09-13 호안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8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778B1 (ko) * 2014-03-06 2017-02-23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소파블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38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4440A1 (en) Molding equipment and method to manufacture stackable inter-engaging bricks, blocks, stones and the like with a smooth or embossed face
KR0139870Y1 (ko) 호안용 블록
US5291713A (en) Construction element for limiting the fore part of a formwork
KR101431749B1 (ko)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KR102088083B1 (ko)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KR100689266B1 (ko) 콘크리트 기성제품을 이용한 조립식 방파제
KR102261341B1 (ko) 조립식 블록
KR20080054662A (ko) 다각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KR101698071B1 (ko)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용 거푸집
KR101696725B1 (ko) 소파블록용 거푸집
CN218970848U (zh) 一种转角用围墙立柱结构
JP6945911B1 (ja) 透かしレンガ積み壁材の構築方法
JPH0532538B2 (ko)
KR200415136Y1 (ko)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20070082009A (ko) 건축용 블럭 조립체
JPH04194228A (ja) ケーソンとその製造方法
CN219583142U (zh) 用于成型小箱梁的辅助防护板结构
JP3034921B2 (ja) レンガパネル作製型枠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MY116884A (en) Monobloc cast concrete barrier block and form for making a block of this kind
JPS627805Y2 (ko)
WO1992010611A1 (en) Method and mould for casting pavement slabs
KR1011912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JPS60119846A (ja) 建築用ブロック
KR20070008147A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9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5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