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725B1 - 소파블록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소파블록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725B1
KR101696725B1 KR1020160110325A KR20160110325A KR101696725B1 KR 101696725 B1 KR101696725 B1 KR 101696725B1 KR 1020160110325 A KR1020160110325 A KR 1020160110325A KR 20160110325 A KR20160110325 A KR 20160110325A KR 101696725 B1 KR101696725 B1 KR 101696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parallelepiped
length
leg
protrud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1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1Mould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2007/0047Mould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이루는 수직면 각각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폭이 커지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 각각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다리를 이루는 다리부;가 형성된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다리부들의 하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어 시멘트 몰탈이 수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과 상하 대칭상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다리부들의 상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며,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는 주입커버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을 밀폐된 상태로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파블록용 거푸집{FORMWORK FOR ARMOR UNIT}
본 발명은 소파블록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해부터 해안에 입사하는 파랑으로부터 연안을 보호하는 방파제에 설치되어 입사 파랑의 파고 및 방파제로부터 발생되는 반사파를 저감시키는 고파랑 대응형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소파블록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록은 방파제, 호안 등 항만구조물에 설치되어 해상에서 큰 파랑이 내습시 파랑을 쇄파하여 파의 세력을 감소시키고 또한 설치된 소파블록들 사이의 공극으로 파랑을 투과하여 구조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 및 파의 기어오름을 적게 함으로서 방파제, 호안 등 항만 구조물의 파손 방지와 내해측으로 월파되는 것을 막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통상의 소파블록은 설치된 소파블록들 사이의 공극이 많이 확보되어야 일시에 많은 양의 파랑을 감쇠시키는데 유리하므로 대부분 설치가 편하면서 공극이 많도록 다수의 기둥 또는 발을 가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기둥이나 발을 통해 파랑을 쇄파하면서 다른 소파블록과의 공극속에서 파랑이 다시 방사되지 않도록 약화시킨다.
따라서, 가능한 소파블록 표면에 파랑의 접촉면이 많아야만 파랑이 닿는 면적이 많아지면서 저항을 받아 잘게 부숴지게 되고, 파세를 급격히 약화시켜 반사파 및 파의 기어오름과 월파를 막는 등 소파효과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소파블록은 정사각뿔 형태를 돌출되는 원기둥으로 구성되면서 기둥의 표면이 원형단면을 갖기 때문에 표면에 부딪힌 파랑이 별로 저항을 받지 않고 튀어 오르거나 기둥의 정면에서 조금만 옆으로 비껴 그대로 미끄러져 나가감에 따라 파랑이 원활하게 분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소파블록은 최근의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자주 발생하는 10m 이상의 고파랑에 대응하기 어렵고, 이와 같은 고파랑의 충격에 의해 기둥의 일부분이 부러지거나 구조물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의 소파블록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812호에 제안된 소파블록이 있다.
선행기술의 소파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체(110)와, 복수가 중심체에서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체와 일체를 이루는 제1연결부(120)와, 제1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블록(135)과, 중심체에서 상하, 좌우, 전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체와 일체를 이루는 제2연결부(140)와, 제2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블록(155)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선행기술의 소파블록은 중심체에서 연장된 연결부(120)(140)들 및 블록들(135)(155)이 대략 6면체를 이루기 때문에 또 다른 소파블록과 자연적으로 결속될 수 없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다른 한편,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4463호에 제안된 다각형 소파블록이 있다.
선행기술은 연결기둥과, 연결기둥의 양측에 3방향의 하부지지다리가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6각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다리들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파랑을 분쇄하기에 부족함이 있고, 각각의 다리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소파블록은 각각의 다리의 연결부분이 보강될 수 있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다리가 파손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8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44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사다리꼴 구조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각각에 다리부를 방사형태로 연장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이 개선되어 고입사파랑의 대응에 적합함과 아울러, 소파블록 간이나 주변 해안구조물과의 결속력이 향상되면서 결속된 다른 소파블록과의 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소파블록의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용 거푸집은,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이루는 수직면 각각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폭이 커지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 각각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다리를 이루는 다리부;가 형성된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다리부들의 하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어 시멘트 몰탈이 수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과 상하 대칭상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다리부들의 상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며,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는 주입커버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을 밀폐된 상태로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소파블록용 거푸집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본체부;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를 이루는 4개의 수직면 각각에 사다리꼴의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사다리꼴 돌출부;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의 단부 각각에 돌출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다리를 이루는 직육면체 다리부; 및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단부 각각에 돌출형성되어 수평방향의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수평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모따기부;가 형성된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와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 및 상기 모따기부의 하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어 시멘트 몰탈이 수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과 상하 대칭상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와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 및 상기 모따기부의 상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며,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는 주입커버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을 밀폐된 상태로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는, 정사각형의 수평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보다 긴 수직길이를 가지고,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는,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의 수평단면과 동일한 정사각형의 수직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보다 긴 수평길이를 가지며,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의 수직길이의 비율은, 1:2.2 내지 1:2.6이며,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수평길이의 비율은, 1:1.2 내지 1:1.6이고,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의 돌출길이의 비율은, 1:0.7 내지 1:0.9이며,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모따기부의 돌출길이의 비율은, 1:0.2 내지 1: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는,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와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의 수평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면서 45도 미만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용 거푸집은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체결부재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체결되어 성형공간에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므로 간소화된 구성으로도 소파블록이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은 직육면체를 이루는 본체부 각각의 수직면에 사다리꼴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면서 각각의 사다리꼴 돌출부에 직육면체의 다리부가 연장형성됨에 따라 다리부와 본체부의 연결부위가 사다리꼴 돌출부에 의해 보강되므로 강성이 향상되어 고입사 파랑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다리부가 파손될 경우에도 사다리꼴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로 잔존하게 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소파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리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성형공간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용 거푸집은 해안에 입사하는 파랑을 파쇄 및 저감시키는 소파블록(1)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및 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금형(10)은 소파블록(1)이 성형되기 위한 성형공간(15)의 하부절반이 형성되어 시멘트몰탈이 수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부금형(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과 상하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후술되는 체결부재(30)에 의해 결합되어 하부금형(10)과 함께 소파블록(1)의 성형공간(15)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부금형(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복수의 주입커버(25)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부금형(10)과 체결된 상태에서 주입커버(25)를 통해 시멘트몰탈이 주입되어 소파블록(1)이 성형된다.
여기서,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체결되어 밀폐된다.
체결부재(30)는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10)을 밀폐된 상태로 체결하는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를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10)을 밀폐시킨다.
이러한 체결부재(30)는 예컨대,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하부금형(10)의 플랜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10)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1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돌출부(200), 다리부(300) 및 모따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10)의 성형공간(15)에 주입되는 시멘트몰탈에 의해 성형되는 소파블록(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복수의 돌출부(200)들, 복수의 다리부(300)들 및 복수의 모따기부(40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소파블록(1)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면서 다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중량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체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의 기둥, 즉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둘레를 따라 4개의 수직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정육각 기둥으로 형성되어 둘레를 따라 6개의 수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직육면체 본체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수평단면(110)으로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성형공간(15)의 구조를 참조하면, 직육면체 본체부(100)는 수평단면(110)을 이루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L1)보다 수직길이(L8)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비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돌출부(200)는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후술되는 다리부(300)의 연장부위를 제공하면서 본체부(100)와 다리부(300)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돌출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4개의 수직면 각각에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된다.
즉, 돌출부(200)는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수직면에 사다리꼴 단면으로 돌출형성되면서 본체부(100)의 중앙부로 갈수록 돌출폭이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다리꼴 돌출부(200)는 다리부(300)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후술되는 다리부(300)가 파손될 경우에도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상태로 잔여하면서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사다리꼴 돌출부(200)는 직육면체 본체부(100)와 직육면체 다리부(200)의 사이에 경사면(210)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체부(100)의 수평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으로 경사면(210)을 형성하여 본체부(100)와 다리부(300)의 연결부위를 보강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성형공간(15)의 구조를 참조하면, 돌출부(200)의 돌출길이(L9)는 전술한 본체부(100)의 수평단면(1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200)를 이루는 경사면(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도 미만의 각도(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부(200)의 경사면은 평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리부(300)는 전술한 돌출부(200)들의 단부에 각각 연장형성되어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다리를 이루면서 또 다른 소파블록의 다리와 인터락킹되면서 결속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다리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부(100)의 수평단면(110)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정사각형의 수직단면(310)으로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직육면체 형태를 이룬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성형공간(15)의 구조를 참조하면, 직육면체 다리부(300)는 수직단면(310)을 이루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t)보다 수평길이(L5)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부(100)의 수직단면(1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L1)는 다리부(300)의 수평단면(3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t)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리부(300)는 본체부(100)와의 연결부위가 돌출부(200)에 의해 보강된 형태로 연장형성되므로 강성이 보강되어 고입사 파랑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다리부(300)들이 파손될 경우에도 본체부(100) 및 돌출부(200)이 잔여하면서 중량을 제공하므로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돌출부(200)이 돌출된 상태로 잔여함에 따라 다른 소파블록과의 결속력도 유지시킬 수 있다.
모따기부(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0)의 단부 각각에 쐐기형태로 돌출형성되면서 수평방향의 경사면(410)을 이룬다.
이러한 모따기부(400)는 수평방향의 경사면(410)이 다리부(300)의 수평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리부(300)는 모따기부(400)의 경사면(410)을 통해 또 다른 소파블록과의 공간으로 쉽게 파고들어 인터락킹되면서 결속될 수 있으며, 경사지에 적층되면서 설치될 경우에 수평방향의 경사면(410)이 경사지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성형공간(15)의 구조를 참조하면, 모따기부(400)의 돌출길이(L4)는 다리부(300)의 수직단면(3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t)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따기부(400)의 경사면(410)은 평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성형공간(15)에 의한 소파블록(1)의 각 구성의 비율을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본체부(100)의 수평단면(1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L1)에 대한 본체부(100)의 수직길이(L8)의 비율은, 1(L1):2.2(L8) 내지 1(L1):2.4(L8)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다리부(300)의 수직단면(3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t)에 대한 다리부(300)의 수평길이(L5)의 비율은, 1(t):1.2(L5) 내지 1(t):1.6(L5)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수평단면(1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L1)에 대한 돌출부(200)의 돌출길이(L9)의 비율은, 1(L1):0.7(L9) 내지 1(L1):0.9(L9)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리부(300)의 수직단면(3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t)에 대한 모따기부(400)의 돌출길이(L4)의 비율은, 1(t):0.2(L4) 내지 1(t):0.4(L4) 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한 소파블록(1)의 규격에 따른 체적, 중량 및 각 부위의 길이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작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6084122941-pat00001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소파블록(1)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상부금형(20)을 대칭상태로 적층한 후, 체결부재(30)로 체결하여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을 밀폐상태로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부금형(20)에 형성된 주입커버(25)를 개방하여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면서 성형공간(15)에 시멘트 몰탈을 채운 후 주입커버(25)를 폐쇄한 후 설정된 시간동안 양생시킨다.
작업자는 양생시간이 완료된 후, 체결부재(30)를 분리하여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10)을 탈거함으로써 소파블록(1)의 성형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은 입사 파랑을 쇄파하여 파의 세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방파제나 연안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다리부(300)의 단부에 형성된 모따기부(400)를 통해 또 다른 소파블록의 공간에 파고들어 인터락킹되면서 결속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이루어진 돌출부(200)의 표면이나 다리부(300)의 표면을 통해 입사 파랑과 접촉하여 파랑을 쇄파하고, 다른 소파블록과의 공극을 통해 파랑의 반사파를 쇄파한다.
이때, 다리부(200)는 본체부(100)와의 연결부위가 돌출부(200)에 의해 보강됨에 따라 파랑에 의해 파손됨이 없이 결속력을 유지하면서 파랑을 쇄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용 거푸집은,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10)이 체결부재(30)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체결되어 성형공간(15)에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므로 간소화된 구성으로도 소파블록(1)이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1)은 직육면체를 이루는 본체부(100) 각각의 수직면에 사다리꼴 돌출부(200)가 돌출형성되면서 각각의 사다리꼴 돌출부(200)에 직육면체의 다리부(300)가 연장형성됨에 따라 다리부(300)와 본체부(100)의 연결부위가 사다리꼴 돌출부(200)에 의해 보강되므로 강성이 향상되어 고입사 파랑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다리부(300)가 파손될 경우에도 사다리꼴 돌출부(200)가 돌출된 상태로 잔존하게 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소파블록
10 : 하부금형
15 : 성형공간
20 : 상부금형
25 : 주입커버
100 : 본체부
110 : 수평단면
200 : 돌출부
210 : 돌출부 경사면
300 : 다리부
310 : 수직단면
400 : 모따기부
410 : 모따기부 경사면

Claims (3)

  1. 삭제
  2.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본체부;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를 이루는 4개의 수직면 각각에 사다리꼴의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사다리꼴 돌출부;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의 단부 각각에 돌출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다리를 이루는 직육면체 다리부; 및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단부 각각에 돌출형성되어 수평방향의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수평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모따기부;가 형성된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와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 및 상기 모따기부의 하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어 시멘트 몰탈이 수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과 상하 대칭상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와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 및 상기 모따기부의 상부절반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구비되며,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는 주입커버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을 밀폐된 상태로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는, 정사각형의 수평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보다 긴 수직길이를 가지고,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는,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의 수평단면과 동일한 정사각형의 수직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보다 긴 수평길이를 가지며,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의 수직길이의 비율은, 1:2.2 내지 1:2.6이며,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수평길이의 비율은, 1:1.2 내지 1:1.6이고,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의 돌출길이의 비율은, 1:0.7 내지 1:0.9이며,
    상기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상기 모따기부의 돌출길이의 비율은, 1:0.2 내지 1: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용 거푸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 돌출부는,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와 상기 직육면체 다리부의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직육면체 본체부의 수평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면서 45도 미만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용 거푸집.
KR1020160110325A 2016-08-29 2016-08-29 소파블록용 거푸집 KR101696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25A KR101696725B1 (ko) 2016-08-29 2016-08-29 소파블록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25A KR101696725B1 (ko) 2016-08-29 2016-08-29 소파블록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725B1 true KR101696725B1 (ko) 2017-01-16

Family

ID=5799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325A KR101696725B1 (ko) 2016-08-29 2016-08-29 소파블록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020B1 (ko) * 2022-01-21 2022-08-29 주식회사 양지 파랑유도가 가능한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459A (ko) * 2002-07-24 2005-04-06 에이치비쥐 시비엘 비.브이. 방파제용 보호 부재 또는 파도 감속 구조물
KR101214463B1 (ko) 2011-12-14 2012-12-21 이승현 다각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1399812B1 (ko) 2013-11-19 2014-05-27 김석문 방파제용 소파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459A (ko) * 2002-07-24 2005-04-06 에이치비쥐 시비엘 비.브이. 방파제용 보호 부재 또는 파도 감속 구조물
KR101214463B1 (ko) 2011-12-14 2012-12-21 이승현 다각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1399812B1 (ko) 2013-11-19 2014-05-27 김석문 방파제용 소파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020B1 (ko) * 2022-01-21 2022-08-29 주식회사 양지 파랑유도가 가능한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WO2023140498A1 (ko) * 2022-01-21 2023-07-27 주식회사 양지 파랑유도가 가능한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690B1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1545649B1 (ko) 철근간섭을 방지한 코핑 시공방법
KR101565313B1 (ko) 상하 6개의 지지다리가 형성되어 세워 거치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이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소파블록
KR101731067B1 (ko) 폼타이를 이용한 유류저장탱크 시공 방법
KR101696725B1 (ko) 소파블록용 거푸집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20150005301A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1698071B1 (ko)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용 거푸집
KR101256726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101657278B1 (ko)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
KR101698061B1 (ko)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
KR20140001302A (ko)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JP5394554B1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及び建物の基礎構造
JP6100818B2 (ja) 擁壁
KR100689266B1 (ko) 콘크리트 기성제품을 이용한 조립식 방파제
KR20180126875A (ko) 용이하게 재사용되는 방음벽
KR100730698B1 (ko) 사각 고리를 이용한 조립식 상자
CN210947297U (zh) L型剪力墙模块及剪力墙
CN211598036U (zh) 拼接浇筑式围墙立柱
KR102148694B1 (ko) 경량 보온 블록
KR101909351B1 (ko) 중공슬래브용 조립식 중공체
KR100333189B1 (ko) 울타리 시공방법
KR102658309B1 (ko)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KR20130009382A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1698065B1 (ko) 소파블록의 적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