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02A -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 Google Patents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302A
KR20140001302A KR1020120067933A KR20120067933A KR20140001302A KR 20140001302 A KR20140001302 A KR 20140001302A KR 1020120067933 A KR1020120067933 A KR 1020120067933A KR 20120067933 A KR20120067933 A KR 20120067933A KR 20140001302 A KR20140001302 A KR 2014000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floating concrete
space
concre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상
Original Assignee
(주)나다건설
유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다건설, 유윤상 filed Critical (주)나다건설
Priority to KR102012006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302A/ko
Publication of KR2014000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1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concrete, e.g.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혹은 해상에 설치되며 다수의 블록을 연결하여 하나의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슬래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슬래브 및 상기 하부 슬래브와 이어지는 접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 지원 공간 내에서 외부 공간에 일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합면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록에 포함된 연결부와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블록 사이의 구조적인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Floating concrete block and Floa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with connecter}
본 발명은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수상 혹은 해상에 설치되며 다수의 블록을 연결하여 하나의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구조물은 내부가 비어 있거나 물 보다 가벼운 물질로 채워져 있어 물(水) 위에 떠 있는 구조물이며, 일반적으로 선박, 뗏목, 마리나 시설, 수상(水上) 공원, 부유식 교량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된다.
통상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상부 슬래브(11)와 하부 슬래브(12) 및 외벽(13, 14)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이 비어있거나 물보다 가벼운 물질로 채워져 있어서, 블록 전체의 비중이 물의 비중보다 작아서 물에 뜨는 블록이다. 이때 블록을 구성하는 슬래브와 벽체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일반적이며, 긴장력을 도입한 PC(prestressed concrete)구조인 경우도 있다.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은 육상에서 제작하여 크레인 등의 인양 장비를 이용하여 해상으로 진수되거나 도크(dry dock)에서 제작되어 진수되기 때문에 그 크기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형 부유식 구조물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여러 개 접합하여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물 위에서 접합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개념도로써 두 블록이 접합되는 면을 접합면이라고 한다.
대형 부유식 구조물을 건설할 때 다수의 콘크리트 부유식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때 두 가지 연결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블록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여 블록 사이에 전단력과 모멘트가 전달되도록 하여 전체 블록이 하나의 견고한 구조체로 거동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블록 사이에 전단력과 모멘트는 전달되지 않아 별개의 구조체로 거동하지만 서로 이탈되지는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구조적인 연결은 블록 사이에 전단력과 모멘트와 같은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이고, 비구조적인 연결은 전단력과 모멘트는 전달하지 않고 블록 사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정도의 연결을 의미한다.
블록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블록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구조적으로 연결하여 각 블록 사이에 전단력과 모멘트가 서로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통상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은 RC구조(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PC구조(prestressed concrete 구조)로 구분할 수 있는데, RC구조는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PC구조는 강연선을 이용하여 미리 긴장력을 도입한 구조이다. 목적물의 사용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블록을 RC구조 혹은 PC구조로 제작하더라도 블록 사이의 연결은 별도의 문제로 남아 있게 된다.
접합된 두 블록 사이에 모멘트가 전달되도록 하려면 상부 슬래브와 하부 슬래브의 주철근이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전달해야 하는데, 공기 중에 노출된 상부 슬래브와 달리 물속에 잠긴 하부 슬래브의 주철근을 연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방법은 블록 사이의 접합면에 특수하게 제작된 고무 재질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테두리가 압착되도록 한 후에 접합면 사이의 물을 배수하고, 각 블록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서 서로 관통되도록 접합되는 벽체에 미리 구비된 구멍을 통해 볼트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시공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적용 가능한 대상이 제한적이다. 특히 블록의 높이가 낮아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거나, 내부가 비어있지 않고 경량의 물질로 채워진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슬래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슬래브 및 상기 하부 슬래브와 이어지는 접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 지원 공간 내에서 외부 공간에 일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합면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록에 포함된 연결부와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시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블록의 주철근과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영역만큼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2개 이상의 영역에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전단력 전달키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단력 전달키부는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음각 형태를 가지는 전단력 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음각 형태는 상기 상부 슬래브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에 형성된 음각 형태와 접합하여 채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단력 전달키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단력 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전단력 전달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직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형상인 것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평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형상인 것이거나, 상기 전단력 전달키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전단력 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전단력 전달홈은 수평 및 수직 방향의 힘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형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과의 용이한 접합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 지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지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홈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블록의 접합면의 특정 돌기부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의 접합면의 특정 돌기홈과 대응되는 것이며, 상기 특정 돌기부와 상기 특정 돌기홈은 수평 방향에서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돌출 형상의 연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재는 단부에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 지원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결합 지원 단부는 상기 결합 지원 단부를 활용하여 상기 블록 및 상기 블록과 결합하는 타 블록과의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 지원 부재와 결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연결 지원 수단을 구비한 오목 형상의 연결 지원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지원 수단은 상기 연결 지원 공간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인 것이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결합 지원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는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꼭지부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제1 블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 블록; 및 제1 블록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 블록의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 지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슬래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슬래브 및 상기 하부 슬래브와 이어지는 접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 지원 공간에는 외부 공간에 일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합면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록에 포함된 연결부와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전단력 전달키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전단력 전달키부는 서로 접촉하여 기 설정된 형태의 채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채움 공간에는 액상 채움재를 채운 다음, 상기 액상 채움재를 굳히고, 굳혀진 채움재에 의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간에서 전단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제2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의 결합 부분을 보호하는 결합부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상기 제2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부 보호판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기 설정된 보호재료가 채워져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과 제1축 방향으로만 연결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영역만큼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2개 이상의 영역에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과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하부 결합부 중 어느 2개 이상의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영역만큼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2개 이상의 영역에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블록의 상부 결합부의 결합 지원 공간과 상기 제2 블록의 상부 결합부의 결합 지원 공간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기 설정된 보호재료가 채워져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결합 지원 공간의 위치, 개수 및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연결부의 종류, 형상, 크기, 길이 및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연결부 간의 결합 방식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결합 지원 공간의 결합 부분을 보호하는 결합부 보호판의 존재, 위치, 크기 및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결합부 보호판이 형성하는 공간의 형태 및 상기 결합부 보호판이 형성하는 공간에 채워지는 보호재료가 서로 다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은 접합면에서 전단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전단력 전달키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을 활용하면, 물속에서 두 블록의 하부 슬래브의 주철근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공기 중에 노출된 상부에서 주철근의 연결이 아닌 비구조적인 연결을 통해 블록이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준으로 블록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경우 파도나 상부의 활하중과 같은 외력에 의해 블록이 따로 움직이므로 사용성이 좋지 못하고 연결부가 견고하지 못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어왔다.
셋째, 본 발명은 선박과 같은 이동형 구조물을 제외한 부유식 교량, 수상 공원, 마리나 시설, 뗏목 등과 같이 정해진 위치에서 사용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블록 사이의 구조적인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일반적인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2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이 접합되는 전후의 모습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합되는 두 블록 상부 슬래브의 단면도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슬래브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5는 주철근을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블록을 접근시킬 때 본 발명의 2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슬래브 간의 접촉 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6은 주철근을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블록을 접근할 때 본 발명의 2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슬래브 간의 접촉 되는 경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슬래브 간의 주철근이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및 제2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의 결합 부분을 보호하는 결합부 보호판의 작동 방식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제2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부 보호판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보호재료가 채워져 있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결합 지원 부재의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는 전단력 전달홈의 구조를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접합면에 형성된
도 15는 2개의 블록이 연결되었을 때, 상부 슬래브 간의 연결을 통하여 형성되는 결합 지원 공간 및 하부 슬래브 간의 연결을 통하여 형성되는 결합 지원 공간에 보호재료가 부가되어 있는 블록 구조물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복수 개의 결합 지원 공간이 하부 슬래브의 모서리부를 따라서 복수 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7은 하부 결합부의 결합 지원 공간이 하부 슬래브의 모서리부의 거의 전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8은 하부 결합부의 결합 지원 공간이 하부 슬래브의 다수의 모서리부 중 일부의 모서리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형태의 연결부가 도입되는 본 발명의 2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슬래브가 연결/결합되는 또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본 발명은 RC구조 혹은 PC구조로 제작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서로 연결된 두 블록 사이에 모멘트와 전단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용이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를 개발하였다. 특히, 블록을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슬래브(22)의 주철근(45)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블록 사이의 접합면(23)(두 블록의 서로 맞닿은 면(面))에서 전단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록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시공상의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의 차이를 용이하게 극복하면서 두 블록을 연결할 수 있는 블록의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접합'은 상부 및 하부 슬래브(22)의 주철근(45)이 서로 연결되어 모멘트의 전달이 가능하고, 접합면(23) 사이에서 전단력이 전달되어 접합된 두 블록이 구조적으로 일체화 되는 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복잡한 과정 없이 두 블록의 주철근(45)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3은 접합되는 두 블록의 상부 결합부(31)들의 단면도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블록 상부 끝단 부근의 모서리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지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 지원 공간에는 상기 결합 지원 공간까지 돌출된 상부 슬래브(21)의 주철근(311, 321)이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노출된 두 주철근(311, 321)을 연결 또는 결합하는 데는 겹이음, 커플러, 용접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재를 이용하여 주철근의 길이를 연장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재에 대하여 겹이음, 커플러, 용접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 예시되는 주철근이 결합 지원 공간으로 튀어 나와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4에 제시되는 하부 슬래브(22)와 같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슬래브(21)는 도 4에서와 같이 블록 내에 주철근이 존재하고, 상기 주철근과 연결재가 용접 또는 기타 강력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하부 슬래브(22)도 도 3에서 예시되는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튀어 나와 있는 주철근 부분이 연결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슬래브(22)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슬래브(22)에는 주철근(45)에 연결재가 용접 또는 기타 강력한 결합 방식을 결합되어 있거나,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4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는 상기 블록에서 튀어나와 상기 결합 지원 공간에 그 튀어나온 일부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원 공간(411)은 오목한 홈의 형상을 가지며, 도 4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412)와 만나는 상기 블록의 외주면과 상기 블록의 외부 가상선이 형성하는 공간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블록의 외주면이 사선/사면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외주면은 굳이 사면일 필요는 없고, 직사각형 공간도 무방하다. 하지만, 결합 지원 공간(411)을 구성하는 블록의 외주면이 사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 바깥쪽 공간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재(412)를 연결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하부 슬래브(22)의 주철근(45)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주철근이 상기 결합 지원 공간(411)에 노출되어 있다면 노출된 주철근 부분을 연결재로 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내장된 주철근과 결합된 연결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2개의 블록을 연결하는 경우도 상기 연결재를 매개로 하여 주철근이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제1 블록(41)과 제2 블록(42)이 서로 맞닿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제1 블록(41)의 제1 결합 지원 공간(411), 제1 연결재(412)(제1 블록(41)의 연결재) 및 제2 블록(42)의 제2 결합 지원 공간(421), 제2 연결재(422)(제2 블록(42)의 연결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두 블록이 서로 맞닿은 모습으로 상부 슬래브(21)의 주철근(45)을 먼저 연결하거나 상부에서 윈치로 서로 당기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임시로 두 블록을 맞닿게 할 수 있다.
도 7은 결합 지원 부재(43)를 이용하여 제1 연결재(412)와 제2 연결재(422)를 서로 연결한 모습을 보여 준다. 결합 지원 부재(43)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므로 도 7에서는 특정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도 7에 도시된 과정이 끝나면 두 블록의 하부 슬래브(22)의 주철근(45)은 인장력 혹은 인장력과 압축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8과 도 9는 추가적으로 노출된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같이 제1 결합 지원 공간(411)(제1 블록(41)의 결합 지원 공간)과 제2 결합 지원 공간(421)(제2 블록(42)의 결합 지원 공간)에 보호재료(46)를 채울 수 있도록 하부를 막는 결합부 보호판(44)을 도입하고, 상기 결합부 보호판(44)을 두 블록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 도 9와 같이 결합 지원 공간을 시멘트 밀크, 모르타르 등과 같은 다양한 보호재료(46)로 채울 수 있다. 이때 결합부 보호판(44)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52)은 미리 블록에 매입된 너트에 볼트를 잠그거나 앵커 볼트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1은 제1 연결재(412)와 제2 연결재(422)를 연결/결합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제1 연결재(412)와 제2 연결재(422)가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예시되듯이 제1 연결재(412)의 단부에는 제1 결합 지원 단부(51)로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재(422)의 단부에는 제2 결합 지원 단부(52)로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 지원 단부(51)과 상기 제2 결합 지원 단부(52)는 양자를 단단하게 연결하거나, 결합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결합 지원 부재(43)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서 예시되는 결합 지원 부재(43)은 일단은 제2 연결재(422)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타단은 제1 연결재(412)의 수나사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제1 연결재(412)와 제2 연결재(422)의 노출된 단부에 각각 걸림턱이 결합 지원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 지원 단부와 결합하는 2개 이상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결합 지원 부재(571~572)의 예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는 결합 지원 부재(571)의 일단은 제1 연결재(412)의 걸림턱에 걸리고 타단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 지원 부재(572)의 수나사 부분과 나사 결합하고 있으며, 결합 지원 부재(572)의 결합 지원 부재(571)의 반대 방향측의 일단은 제2 연결재(422)의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예시되는 결합 지원 부재(43) 및 결합 지원 단부는 제1 연결재(412)와 제2 연결재(422)를 연결/결합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물의 예시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와 같이 간단한 연결재로 제1 연결재(412)와 제2 연결재(422)를 연결/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더 다양한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제1 연결재(412)와 제2 연결재(422)를 연결/결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도 12는 접합면(23)에 전단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전단력 전달키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제1 블록(41)의 접합면(23)에 블록의 상부 끝단까지 연결된 음각(陰刻)의 전단력 전달홈(611, 612, 613)을 형성하고 제2 블록(42)의 접합면(23)에도 블록의 상부 끝단까지 연결되는 음각(陰刻)의 전단력 전달홈(621, 622, 623)을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단력 전달홈은 전단력 전달키부를 구성한다. 이때 두 접합면(23)의 전단력 전달홈은 서로 맞닿게 면대칭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두 블록이 접합되면 두 접합면(23)의 서로 대응되는 전단력 전달홈이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데, 일례로 (611)과 (621)은 상부가 개방된 'V자'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서로 대응되는 전단력 전달홈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시멘트 밀트, 모르타르 등과 같은 유동성이 있는 액상의 보호재료(46)를 채운 후 굳히면 전단력 전달키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단력 전달키의 형성 방법은 양각(陽刻)에 비해 시공이 용이한 음각(陰刻) 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액상의 채움재는 상기한 시멘트 밀크나 모르타르 이외에도 시간 경화성이 있는 어떠한 재료를 이용해도 무관하다.
하나의 접합면(23)에 형성되는 전단력 전달키의 조합은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전단력을 전달해야 하므로, 접합면(23)에 형성된 전단력 전달홈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 방향의 힘을 전달해야 하고 적어도 하나는 수평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전단력 전달홈의 실시예는 'V 형', 'U 형', '∧ 형', '< 형', '> 형', '+ 형', '\형', '/ 형', '× 형' 등(等)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이러한 형상의 조합 역시 가능하다.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작 과정에서 설계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무게를 가지기 어렵게 되는데, 겹이음 길이, 커플러의 무게, 거푸집의 변형, 시공 오차 등 아주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부유식 구조물이 아닌 경우에는 이러한 무게의 오차가 중요하지 않지만 부유식 구조물을 접합하는 과정에서는 이러한 무게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가벼운 블록 위에 적당한 하중을 더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블록(41) 및 제2 블록(42)은 상기 제1 블록(41)과 상기 제2 블록(42)의 수평 위치 또는 높이가 용이하게 맞춰지도록 하기 위한 접합 지원부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합 지원부는 돌기부와 돌기홈으로 구성된다. 도 13에서는 접합면(23)에 수평인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블록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양각(陽刻)의 돌기부(711)가 제1 블록(4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블록(41)과 결합하는 면대칭인 제2 블록(42)에는 돌기부(711)와 맞물릴 수 있는 대칭/대응 형상의 돌기홈(721)이 음각(陰刻)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도 13은 1개의 돌기부와 1개의 돌기홈을 예시하는 단일 접합 지원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으나, 복수 개의 돌기부와 복수 개의 돌기홈이 관여하는 복합 접합 지원도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1개의 접합면(23)을 사이에 두고 제1 블록(41)의 접합면(23)과 제2 블록(42)의 접합면(23)이 있을 때, 상기 제1 블록(41)의 접합면(23)에는 2종류/형태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블록(42)의 접합면(23)에는 상기 돌기부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2종류/형태 이상의 돌기부에 대응되는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1개의 접합면(23)을 사이에 두고 제1 블록(41)의 접합면(23)과 제2 블록(42)의 접합면(23)이 있을 때, 상기 제1 블록(41)의 접합면(23)에는 적어도 1형태 이상의 돌기부와 적어도 1형태 이상의 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42)의 접합면(23)에는 1형태 이상의 상기 돌기부와 1형태 이상의 상기 돌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돌기홈과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 지원부가 있으며, 외부의 힘에 의해 두 블록의 사이가 가까워지면 자연스럽게 높이가 맞춰지게 된다. 이러한 것은 도 14에서 잘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슬래브(21)의 주철근(45) 또는 연결재와 하부 슬래브(22)의 주철근(45) 또는 연결재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크지 않은 높이 차이는 자연스럽게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2개의 블록이 연결되었을 때, 상부 슬래브(21) 간의 연결을 통하여 형성되는 결합 지원 공간 및 하부 슬래브(22)간의 연결을 통하여 형성되는 결합 지원 공간에 보호재료(46)가 부가되어 있는 블록 구조물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이어,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상기 하부 슬래브의 하부 결합부(32), 및/또는 상부 슬래브(21)의 상부 결합부(31)에 대해서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결합부(31)의 형태 등은 상기 하부 결합부(32)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 결합부(31)의 형태 등은 상기 하부 결합부(32)의 형태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결합부(31)와 상기 하부 결합부(32)는 상기 결합 지원 공간(33)의 위치, 개수 및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연결부(34)의 종류, 형태, 크기, 길이 및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연결재 간의 결합 방식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결합 지원 공간(33)의 결합 부분을 보호하는 결합부 보호판(44)의 존재, 위치, 크기 및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결합부 보호판(44)이 형성하는 공간의 형태 및 상기 결합부 보호판(44)이 형성하는 공간에 채워지는 보호재료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결합 지원 공간(33)은 개별적으로 각각 하부 결합부(32)가 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구획별로 구분되는 하부 결합부(32)가 될 수도 있다. 1개의 하부 슬래브에는 4개의 모서리가 있는데, 각 하부 슬래브는 4개의 모서리 모두에 하부 결합부(32)가 있는 것(2축 방향의 결합, 좌우-앞뒤 결합에 사용), 마주 보는 2개의 모서리에만 하부 결합부(32)가 있는 것(1축 방향의 결합에 사용, 좌우 결합에 사용), 인접하는 2개의 모서리에만 하부 결합부(32)가 있는 것(2축 방향의 블록 결합 시, 결합된 블록 구조체의 꼭지점에 있는 블록에 사용), 3개의 모서리에만 하부 결합부(32)가 있는 것(2축 방향의 블록 결합 시, 결합된 블록 구조체의 꼭지점이 아닌 가장자리 모서리에 있는 블록에 사용), 1개의 모서리만 하부 결합부(32)가 있는 것(1축 방향 결합 시에 양단에 있는 블록에 사용)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도 16은 복수 개의 결합 지원 공간(33)이 하부 슬래브의 모서리부를 따라서 복수 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하나의 결합 지원 공간(33)에 1개의 하부 결합부(32)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 개의 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17은 하부 결합부(32)의 결합 지원 공간(33)이 하부 슬래브의 모서리부의 거의 전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7에서 예시되는 블록들을 사용하는 경우, 제1 블록(41)과 제2 블록(42)은 제1 축 방향(예를 들면 좌우 방향) 및 제2 축 방향(예를 들면 앞뒤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블록이 상하좌우로 결합하여, 평면형으로 확장하는 방식이 될 것이다.
도 18은 하부 결합부(32)의 결합 지원 공간(33)이 하부 슬래브의 다수의 모서리부 중 일부의 모서리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8에서 예시되는 블록들을 사용하는 경우 2개의 블록이 연결될 때, 제1 블록(41)과 제2 블록(42)은 제1 축 방향(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블록이 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선형으로 확장되는 방식이 될 것이다.
도 19는 다른 형태의 연결부가 도입되는 본 발명의 2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슬래브가 연결/결합되는 또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물론, 도 19의 발명 사상은 상부 슬래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제1 연결재(412)나 제2 연결재(422)와 같은 돌출형의 연결재를 사용하는 연결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연결을 지원하는 연결부(34)는 상기와 같은 연결재 뿐만아니라, 기 설정된 연결 지원 수단(36)을 구비한 오목한 형상의 연결 지원 공간(35)일 수도 있다. 도 19에서 도시되듯이, 상기 연결 지원 공간(35)은 상기 주철근(45)에 용접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거나, 상기 제1 블록(41)이나 제2 블록(42)를 구성하는 콘트리트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지원 공간(35)에는 암나사부 등과 같은 연결 지원 수단(36)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 지원 부재(43)와는 나사 결합 또는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 지원 부재(43)의 양 말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연결 지원 수단(36)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결합 지원 부재(43)의 양 말단에는 수나사부는 나사 결합의 특성상 상기 연결 지원 수단(36)의 암나사부와 100% 맞물릴 필요가 없으며(도 19에서 제1 블록(41)측에서는 반쯤 맞물려 있고, 제2 블륵(42)측에는 대부분이 물려 있음을 볼 수 있다.),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산의 방향은 수나사부의 전진에 따라, 상기 제1 블록(41)과 상기 제2 블록(42)가 맞닿는 방향을 향하도록 부설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도 19에서와 같이 제1 블록(41)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와 제2 블록(42)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간에는 도시되는 바와 같은 끼움 결합 등이 결합 수단으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블록(41)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와 제2 블록(42)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는 다른 형태를 가지며, 제1 블록(41)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의 일측에는 결합 지원 돌출 단부(4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지원 돌출 단부(431)는 제2 블록(42)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지원 수용 단부(432)에 수용된다. 상기 결합 지원 돌출 단부(431)은 상기 결합 지원 수용 단부(432) 내에서 제1 블록(41)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지원 수용 단부(432)은 상기 결합 지원 돌출 단부(431)을 수용한 채 제2 블록(42)과 연결되는 결합 지원 부재(4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하부 결합부(32)의 구조와 기능, 작동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하부 결합부(32)뿐만 아니라 상부 결합부(31)에서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 관련 산업, 부유식 구조물 관련 산업, 수상 플랜트/시설물 관련 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11 : 종래의 상부 슬래브 12 : 종래의 하부 슬래브
13 : 종래의 외벽 14 : 종래의 외벽
15 : 종래의 주철근 6 : 종래의 주철근
21 : 상부 슬래브 22 : 하부 슬래브
23 : 접합면
31 : 상부 결합부 32 : 하부 결합부
33 : 결합 지원 공간 34 : 연결부
35 : 연결 지원 공간 36 : 연결 지원 수단
311 : 노출된 주철근 321 : 노출된 주철근
41 : 제1 블록 411 : 제1결합 지원 공간
412 : 제1연결재
42 : 제2 블록 421 : 제2결합 지원 공간
422 : 제2연결재
43 : 결합 지원 부재 431 : 결합 지원 돌출 단부
432 : 결합 지원 수용 단부
44 : 결합부 보호판 45 : 주철근
451, 452 : 고정수단 46 : 보호재료
51 : 제1 결합 지원 단부 52 : 제2 결합 지원 단부
611, 612, 613, 621, 622, 623 : 전단력 전달홈
711 : 양각의 돌기부 721 : 음각의 돌기홈

Claims (23)

  1.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슬래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슬래브 및 상기 하부 슬래브와 이어지는 접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 지원 공간 내에서 외부 공간에 일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합면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록에 포함된 연결부와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블록의 주철근과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영역만큼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2개 이상의 영역에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전단력 전달키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력 전달키부는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음각 형태를 가지는 전단력 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음각 형태는 상기 상부 슬래브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에 형성된 음각 형태와 접합하여 채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력 전달키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단력 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전단력 전달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직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형상인 것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평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형상인 것이거나,
    상기 전단력 전달키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전단력 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전단력 전달홈은 수평 및 수직 방향의 힘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형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과의 용이한 접합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 지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지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홈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블록의 접합면의 특정 돌기부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의 접합면의 특정 돌기홈과 대응되는 것이며, 상기 특정 돌기부와 상기 특정 돌기홈은 수평 방향에서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돌출 형상의 연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단부에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 지원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결합 지원 단부는 상기 결합 지원 단부를 활용하여 상기 블록 및 상기 블록과 결합하는 타 블록과의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 지원 부재와 결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 지원 수단을 구비한 오목 형상의 연결 지원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원 수단은 상기 연결 지원 공간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인 것이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결합 지원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는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꼭지부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16. 복수 개의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제1 블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 블록; 및
    제1 블록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 블록의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 지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슬래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슬래브 및 상기 하부 슬래브와 이어지는 접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 지원 공간에는 외부 공간에 일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합면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록에 포함된 연결부와 기 설정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접합되는 타 블록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전단력 전달키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전단력 전달키부는 서로 접촉하여 기 설정된 형태의 채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채움 공간에는 액상 채움재를 채운 다음, 상기 액상 채움재를 굳히고, 굳혀진 채움재에 의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간에서 전단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18. 제 16항에 있어서,
    제1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제2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의 결합 부분을 보호하는 결합부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제1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상기 제2 블록의 결합 지원 공간 및 상기 결합부 보호판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기 설정된 보호재료가 채워져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과 제1축 방향으로만 연결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영역만큼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2개 이상의 영역에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과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하부 결합부 중 어느 2개 이상의 하부 결합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영역만큼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하부 슬래브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선택되는 모서리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부의 기 설정된 2개 이상의 영역에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의 상부 결합부의 결합 지원 공간과 상기 제2 블록의 상부 결합부의 결합 지원 공간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기 설정된 보호재료가 채워져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결합 지원 공간의 위치, 개수 및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연결부의 종류, 형상, 크기, 길이 및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연결부 간의 결합 방식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결합 지원 공간의 결합 부분을 보호하는 결합부 보호판의 존재, 위치, 크기 및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결합부 보호판이 형성하는 공간의 형태 및 상기 결합부 보호판이 형성하는 공간에 채워지는 보호재료가 서로 다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20120067933A 2012-06-25 2012-06-25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20140001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33A KR20140001302A (ko) 2012-06-25 2012-06-25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33A KR20140001302A (ko) 2012-06-25 2012-06-25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989A Division KR20140034886A (ko) 2014-02-27 2014-02-27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02A true KR20140001302A (ko) 2014-01-07

Family

ID=5013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933A KR20140001302A (ko) 2012-06-25 2012-06-25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3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386A (ko) * 2014-08-13 2016-02-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덮개를 가지는 부잔교 함체의 수상 연결에 의한 부잔교 시공방법
USD784202S1 (en) 2015-10-16 2017-04-18 Hanwha Techwin Co., Ltd. Unmanned aerial vehicle
CN106741690A (zh) * 2016-12-07 2017-05-31 天津格林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钢与钢筋水泥多层海洋浮式平台基础
USD896731S1 (en) 2017-02-24 2020-09-22 SZ DJI Technology Co., Ltd. Aerial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386A (ko) * 2014-08-13 2016-02-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덮개를 가지는 부잔교 함체의 수상 연결에 의한 부잔교 시공방법
USD784202S1 (en) 2015-10-16 2017-04-18 Hanwha Techwin Co., Ltd. Unmanned aerial vehicle
CN106741690A (zh) * 2016-12-07 2017-05-31 天津格林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钢与钢筋水泥多层海洋浮式平台基础
USD896731S1 (en) 2017-02-24 2020-09-22 SZ DJI Technology Co., Ltd. Aerial vehicle
USD934151S1 (en) 2017-02-24 2021-10-26 SZ DJI Technology Co., Ltd. Aeria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7435C (en) Wind power plant and wind power plant tower segment
KR101230769B1 (ko) 2분절 아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136111A (ko) 건축용 pc벽체구조물
KR20140001302A (ko)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20060055289A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8729564A (zh) 装配式建筑体系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JP2009052283A (ja) 鋼部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及び装置
KR101050718B1 (ko) 아치 구조물
KR20140001303A (ko) 블럭간의 강도 높은 구조적 연결을 용이하게 지원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1202372B1 (ko) 파형강판용 수밀결합구
KR20140034886A (ko)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H0328119Y2 (ko)
KR101625995B1 (ko) 프리캐스트 데크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용 슬래브
CN111456307A (zh) 预应力预制钢筋混凝土空心板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8144459A (ja) スラブ型枠、および合成床版の構築方法
JP202014798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連結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連結体の構築方法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JP2008018933A (ja) ポンツーンの建造方法
KR101460752B1 (ko) 헤디드 바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CN210288159U (zh) 分割式预制混凝土涵洞的拼接构造
KR20060088308A (ko) 부분합성된 멀티 h형강 거더
JP2009197448A (ja) 床スラブ
JP620901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