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553U -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553U
KR20140000553U KR2020120006244U KR20120006244U KR20140000553U KR 20140000553 U KR20140000553 U KR 20140000553U KR 2020120006244 U KR2020120006244 U KR 2020120006244U KR 20120006244 U KR20120006244 U KR 20120006244U KR 20140000553 U KR20140000553 U KR 201400005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main plate
holder
position adjustm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553U/ko
Publication of KR20140000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가 설치될 선박 바닥면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를 간편하고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고, 또한 용접 등에 의한 사다리 설치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사다리가 외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는 일정 간격 떨어진 거리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봉;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단 하면에 설치되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 철망 사이로 수직이동하여 상기 홀더가 외력에 의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타단에 설치되며, 하단이 선박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선박 바닥면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POSITION CONTROL DEVICE FOR MOUNTING LADDER}
본 고안은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가 설치될 선박 바닥면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를 간편하고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고, 또한 용접 등에 의한 사다리 설치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사다리가 외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선박의 내부에는 사람의 통행을 위한 사다리가 많이 설치된다. 선박에 설치되는 사다리는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철망구조의 다단계 발판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며, 사람이 사다리의 발판을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통상 경사지게 선박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사다리를 선박 내부에 설치하는 작업은 크레인에 의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가 선박 바닥면에 놓여지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를 선박 바닥면에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용접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사다리가 움직여 설치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레인이 사다리를 계속해서 잡고 있거나, 또는 작업자가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를 체인블록 등을 이용해 선박 내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선박 내부에서 진행되는 사다리 설치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사다리 설치를 위한 용접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크레인이 사다리를 계속해서 잡고 있는다 하더라도 바람 등 외력에 의해 크레인 자체의 위치가 조금씩 변하므로 결국, 사다리의 설치위치를 계속해서 확인하여 위치를 재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작업자가 체인 블록 등을 이용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를 선박 내부에 직접 고정시킬 경우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설치위치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비교적 복잡한 체인블록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작업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사다리의 고정을 위한 체인블록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사다리의 설치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정 간격 떨어진 거리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봉;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단 하면에 설치되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 철망 사이로 수직이동하여 상기 홀더가 외력에 의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타단에 설치되며, 하단이 선박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선박 바닥면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메인 플레이트의 일단 하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후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 너트부와, 상기 제1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 볼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메인 플레이트의 타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 너트부와, 상기 제2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 볼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하면 사다리 설치작업시 체인블록 등을 이용해 사다리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사다리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하면 제2 볼트부를 제2 너트부에 조이고 풀어주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사다리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다리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해 사다리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해 사다리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는 메인 플레이트(100), 연결봉(200), 홀더(300), 체결부(400), 그리고 높이 조절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는 평판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메인 플레이트(100)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강도 등을 고려하여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연결봉(200)은 양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각각 연결되어 메인 플레이트(100)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러한 연결봉(200)은 메인 플레이트(100)의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메인 플레이트(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30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일단 하면에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 설치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에 결합되어 사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300)는 내부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 플레이트(100)의 일단 하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후크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작업자가 메인 플레이트(100)를 들어 홀더(300)를 사다리의 상단부 발판(10)에 걸어주면 자연히 홀더(300) 내부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홀더(3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를 잡아줄 수 있는 집게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적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400)는 메인 플레이트(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홀더(300)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가 삽입되면 수직이동하여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 철망(11)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홀더(300)가 외력에 의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체결부(400)는 메인 플레이트(100)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 너트부(410)와, 상기 제1 너트부(410)에 나사결합되는 제1 볼트부(4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볼트부(420)를 회전시켜 조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트부(420)가 제1 너트부(410)에 체결되면서 제1 볼트부(420)가 수직하방으로 이동하여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 철망(11)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홀더(300)가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홀더(300)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100)에 수평방향 외력이 인가되어 메인 플레이트(100)와 함께 홀더(300)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자칫 홀더(300)가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에서 분리될 위험이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400)의 제1 볼트부(420)가 수직이동하여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 철망(11) 사이에 위치하면 홀더(300)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제1 볼트부(420)의 수평이동이 철망(11)에 의해 가로 막히게 되면서 홀더(30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홀더(300)가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사다리 설치작업이 완료되어 홀더(300)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1 볼트부(420)를 회전시켜 수직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메인 플레이트(100)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면 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500)는 하단이 선박 바닥면에 놓여지도록 메인 플레이트(100)의 타단에 설치되며, 메인 플레이트(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선박 바닥면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의 높이를 일치시킴으로써 사다리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높이 조절부(500)는 메인 플레이트(100)의 타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 너트부(510)와, 상기 제2 너트부(510)에 나사결합되는 제2 볼트부(520)로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크레인을 이용해 사다리를 설치위치로 이동시키면 메인 플레이트(100)의 타단은 사다리가 설치될 선박 바닥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연히 높이 조절부(500)의 하단 즉, 제2 볼트부(520)의 하단은 선박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선박 바닥면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2 볼트부(520)를 회전시키면 제2 너트부(510)가 제2 볼트부(52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100)의 타단이 제2 너트부(510)와 함께 이동하면서 메인 플레이트(100)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부(500)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100)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면 자연히 홀더(300)와 함께 홀더(300)에 삽입되어 있는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의 높이가 조절되어지므로 사다리의 상단부 발판(10)이 정확한 설치위치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2는 사다리의 발판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프레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해 사다리 설치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다리를 설치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에 홀더(3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부(400)를 구성하는 제1 볼트부(420)를 회전시켜 제1 볼트부(420)가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 철망(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직이동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홀더(300)가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크레인을 이용해 사다리를 이동시켜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가 선박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하단이 선박 바닥면에 접촉하는 제2 볼트부(520)를 회전시켜 메인 플레이트(1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선박 바닥면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 높이를 일치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가 정확한 설치위치에 놓여지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를 선박 바닥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사다리 설치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제1 볼트부(420)를 수직이동시켜 홀더(300)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10)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를 사다리에서 제거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고안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고안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상단 발판부 11: 상단 발판부 철망
100: 메인 플레이트 200: 연결봉
300: 홀더 400: 체결부
410: 제1 너트부 420: 제1 볼트부
500: 높이 조절부 510: 제2 너트부
520: 제2 볼트부

Claims (5)

  1. 일정 간격 떨어진 거리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봉;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단 하면에 설치되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 철망 사이로 수직이동하여 상기 홀더가 외력에 의해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타단에 설치되며, 하단이 선박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선박 바닥면과 사다리의 상단 발판부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메인 플레이트의 일단 하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후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 너트부와, 상기 제1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 볼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메인 플레이트의 타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 너트부와, 상기 제2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 볼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KR2020120006244U 2012-07-16 2012-07-16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KR201400005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244U KR20140000553U (ko) 2012-07-16 2012-07-16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244U KR20140000553U (ko) 2012-07-16 2012-07-16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53U true KR20140000553U (ko) 2014-01-27

Family

ID=5244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244U KR20140000553U (ko) 2012-07-16 2012-07-16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5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84U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작업대
CN110802355A (zh) * 2019-10-22 2020-02-18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直梯装焊工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84U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작업대
CN110802355A (zh) * 2019-10-22 2020-02-18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直梯装焊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606B1 (en) Scaffold support platform
KR102261511B1 (ko) 교량용 점검대
KR101553966B1 (ko)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KR20120140340A (ko) 비계장치
JP2012132157A (ja) 先行手摺り
KR20140000553U (ko)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JP4942074B2 (ja) 手摺の取付装置
JP2015229852A (ja)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立設工法及び装置
CN101326119A (zh) 电梯的重物暂时放置装置和重物的安设方法
US20190010718A1 (en) Diagonal reinforcement for support structures for floor formwork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JP2008208556A (ja) 登攀式足場装置
JP6033169B2 (ja) 仮設建物における布材
JP3204411U (ja) 足場用幅木および幅木固定構造
JP6624812B2 (ja) パネルユニット取付け方法
KR101103293B1 (ko) 갱폼의 낙하물 방지장치
JP2003147954A (ja) 枠組足場の先行手摺
JP7274378B2 (ja) 鉄塔の作業用足場
JP2018017106A (ja) ネットを張る為の装置及び方法
JP5280910B2 (ja) 高所仮設ステージにおける妻側幅木の取付装置
KR101078491B1 (ko) 고소작업대의 발판설치구조
JP6914822B2 (ja) 型枠工法および吊上げ用型枠ユニット
KR20120007485U (ko) 케이블 트레이 취부용 지그
JP200906749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支持装置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KR200334129Y1 (ko) 원자력 발전소용 증기발생기 셀 용접 작업을 위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