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484U -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484U
KR20170002484U KR2020150008676U KR20150008676U KR20170002484U KR 20170002484 U KR20170002484 U KR 20170002484U KR 2020150008676 U KR2020150008676 U KR 2020150008676U KR 20150008676 U KR20150008676 U KR 20150008676U KR 20170002484 U KR20170002484 U KR 201700024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disposed
frame
clamp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039Y1 (ko
Inventor
강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2020150008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3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25H1/0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portable
    • B63B9/00
    • B63B9/06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블록에 배치되는 론지의 상부에 고정되는 작업대로서, 상기 론지의 상부 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 상기 클램프 각각의 후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램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일단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램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연결 프레임; 플레이트 형태로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발판; 을 포함하는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선박 블록 내부의 수평의 주판 또는 측벽에 배치된 론지 상에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박 블록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작업대{Working step}
본 고안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중인 선박 블록 내부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할 때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된 다수의 철판을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여 선박의 기본 형태를 제작하며, 선박의 형태가 갖추어진 뒤에는 초기 단계에서 제작된 선체에 각종 설비를 설치하여 선박을 제작하게 된다.
선박건조물은 철판을 용접하여 제작되는 다수의 대형 블록들이 용접결합에 이루어지고, 선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선체의 선박건조물에 용접작업을 하거나 도색작업을 하는 등 선박을 건조하는데 필요로 하는 각종 작업을 수행한다.
선박의 제조는 선박의 외판이나 기본 구조물을 형성하는 강재를 블록 단위로 용접 결합하고, 이러한 구조물에 각종 의장품들을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여러 작업 단계는 지상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블록의 높은 공간에서 취부, 용접, 사상 작업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다리 또는 높은 공간에서 작업 가능한 안전 작업대를 이용하여 취부, 용접 작업 등을 실시하고 있고,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작업대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작업대의 사용한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주판(1) 상의 론지(3) 사이에 소정 개수의 발판이 설치된 작업대(10)를 배치하여 소정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일정 장소에서 작업을 끝내면 작업자는 작업대(1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 후, 새로운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작업대(10)는 소정의 무게를 갖고 있어, 이동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선박 블록에 따라서는 론지(3) 사이의 폭이 작업대(10)의 폭보다 좁아, 작업대를 배치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론지(3) 상부로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 블록의 측벽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진행할 때 측벽에 형성된 이동용 홀로 작업대가 통과할 수 없어, 작업자가 형강에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작업대를 복수로 준비하였으나 사용할 수 있지만 작업 현장에 복수의 작업대를 준비하는 과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실안 136165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 블록 내부의 수평의 주판 또는 측벽에 배치된 론지 상에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박 블록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선박 블록에 배치되는 론지의 상부에 고정되는 작업대로서, 상기 론지의 상부 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 상기 클램프 각각의 후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램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일단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램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연결 프레임; 플레이트 형태로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발판; 을 포함하는 작업대를 제공한다.
상기 클램프는, 일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론지의 두께보다 큰 이격 거리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암과,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중 어느 하나의 고정암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에 걸리는 고정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선박 블록 내부의 수평의 주판 또는 측벽에 배치된 론지 상에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박 블록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작업대의 사용한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클램프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의 고정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의 고정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0)는 클램프(110), 제1 지지 프레임(120), 제2 지지 프레임(130), 제1 연결 프레임(140A), 제2 연결 프레임(140B), 제3 연결 프레임(140C), 발판(150)을 포함한다.
클램프(110)는 선박블록의 주판 또는 측벽상에 배치되는 론지(3)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4)의 측단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클램프(110)는 상부 플레이트(4)의 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클램프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램프(110)는 한 쌍의 고정암(112)과 고정 볼트(114)를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암(112)은 일단은 연결되고, 타단은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암(112)의 이격 거리는 상부 플레이트(4)의 두께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부 플레이트(4)가 고정암(112)의 이격 공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볼트(114)는 그 단부가 한 쌍의 고정암(112) 중 어느 하나의 고정암(112)을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고정암(112)의 측면에 닿아, 클램프(110)가 상부 플레이트(4)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암(112)의 사이에 상부 플레이트(4)가 배치되었을 때, 고정 볼트(114)를 조작하면, 상부 플레이트(4)에서의 클램프(110)의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20)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클램프(11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지지 프레임(120)은 클램프(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지지 프레임(130)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로드 형태로서, 일단이 제1 지지 프레임(12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지지 프레임(130)의 타단은 클램프(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연결 프레임(140A)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로서, 양단은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제1 지지 프레임(120)을 지지한다.
제2 연결 프레임(140B)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로서, 양단은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제1 지지 프레임(120)을 지지하고, 후술하는 고정 후크(152)가 결속된다.
제3 연결 프레임(140C)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로서, 양단은 제2 지지 프레임(130)의 중간부 또는 단부에 연결되어 제2 지지 프레임(130)을 지지하고, 후술하는 발판(150)을 지지한다.
발판(15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서, 작업자가 작업 중에 설 수 있도록 제1 지지 프레임(120) 또는 제2 지지 프레임(130) 상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발판(150)은 작업자의 작업 중에 작업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발판(150)의 소정의 금속판이나 나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판(150)의 길이는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이격 거리에 대응한다. 발판(150)의 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발판(150)의 길이 방향의 일변의 양단으로는 고정 후크(152)가 배치된다.
고정 후크(152)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고리 형태로서, 발판(150)의 배치 시, 제2 연결 프레임(140B)에 결속되어 발판(15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의 고정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대(100)는 수평으로 배치된 주판(1) 상에 배치되어 있는 론지(3)에 고정되어 있다.
작업자는 소정의 작업 위치로 작업대(10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클램프(110)의 고정암(112) 사이에 상부 플레이트(4)의 측단이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 볼트(114)를 조작하여 클램프(110)가 상부 플레이트(4)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발판(150)을 제2 지지 프레임(130) 상에 배치한다. 이때, 작업 중, 발판(15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후크(152)가 제2 연결 프레임(140B)에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작업자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소정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작업의 진행 후에는 상기한 순서의 역순으로 작업대(100)를 해체하여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의 고정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0)는 선박 블록의 측벽(2)으로 배치된 론지(3) 상에 고정됨을 도시하고 있다.
작업자는 클램프(110)로 측벽(2)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4)의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작업대(100)의 제1 지지 프레임(120)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작업자는 발판(150)을 제1 지지 프레임(120) 상에 배치하고, 고정 후크(152)는 제2 연결 프레임(140B)에 결속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필요로 하는 소정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작업의 진행 후에는 상기한 순서의 역순으로 작업대(100)를 해체하여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박 블록 내부의 수평의 주판 또는 측벽에 배치된 론지 상에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박 블록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작업대

Claims (3)

  1. 선박 블록의 주판 상에 배치되는 론지의 상부에 고정되는 작업대로서,
    상기 론지의 상부 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
    상기 클램프 각각의 후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램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일단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램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
    로드 형태로서, 양단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연결 프레임;
    플레이트 형태로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발판;
    을 포함하는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일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론지의 두께보다 큰 이격 거리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암과,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중 어느 하나의 고정암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에 걸리는 고정 후크를 더 포함하는 작업대.
KR2020150008676U 2015-12-31 2015-12-31 작업대 KR200485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76U KR200485039Y1 (ko) 2015-12-31 2015-12-31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76U KR200485039Y1 (ko) 2015-12-31 2015-12-31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84U true KR20170002484U (ko) 2017-07-10
KR200485039Y1 KR200485039Y1 (ko) 2017-11-21

Family

ID=5931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676U KR200485039Y1 (ko) 2015-12-31 2015-12-31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036A (zh) * 2020-03-13 2020-06-1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踏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790B1 (ko) 2023-08-14 2024-01-31 권익형 차량 도색용 작업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522U (ko) * 2012-05-03 2013-11-13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수직사다리 작업발판
KR20140000553U (ko) * 2012-07-16 2014-0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KR20150000799U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이동용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522U (ko) * 2012-05-03 2013-11-13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수직사다리 작업발판
KR20140000553U (ko) * 2012-07-16 2014-0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KR20150000799U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이동용 안전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036A (zh) * 2020-03-13 2020-06-1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踏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39Y1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685B2 (en) Shelf apparatus for use with a ladder and scaffold
KR20070116222A (ko) 건설장치용 클램프
KR200485039Y1 (ko) 작업대
KR101012927B1 (ko) 스탠션 바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US20080302604A1 (en) Saw through saw horse
KR200484259Y1 (ko) 해양구조물용 사다리
KR20160110236A (ko) 사다리난간의 연장이 가능한 조립식 틀비계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0486118Y1 (ko) 비계 장치의 코너 구조물
KR102027845B1 (ko) 접철식 족장 프레임
KR20150000799U (ko) 선박의 블록 이동용 안전발판
KR101859114B1 (ko) 다단 적치가 가능한 선박용 작업대 설치 방법
JP6388834B2 (ja) 斜壁用簡易梯子
JP5970522B2 (ja) 可搬式作業台
US20110272212A1 (en) Scaffolding stage support extension
KR20130000306U (ko) 이동식 작업대
JP5665944B2 (ja) 可搬式作業台
US5727647A (en) App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reased deflection resistance to a plank
KR101078491B1 (ko) 고소작업대의 발판설치구조
JP6986106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り上げ装置
JP4052972B2 (ja) 外壁登攀装置
JP5436236B2 (ja) 可搬式作業台
JP2655819B2 (ja) 仮設足場体用跳ね出し足場装置
KR20230155017A (ko) 비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