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790B1 - 차량 도색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차량 도색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790B1
KR102631790B1 KR1020230106177A KR20230106177A KR102631790B1 KR 102631790 B1 KR102631790 B1 KR 102631790B1 KR 1020230106177 A KR1020230106177 A KR 1020230106177A KR 20230106177 A KR20230106177 A KR 20230106177A KR 102631790 B1 KR102631790 B1 KR 10263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ar
rod
holder
coupl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형
권영신
최창록
Original Assignee
권익형
권영신
최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익형, 권영신, 최창록 filed Critical 권익형
Priority to KR102023010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85Stands for supporting individual articles to be sprayed, e.g. doors, vehicle bod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9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devices for holding several workpieces to be sprayed in a spaced relationship, e.g. vehicle doors spacers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간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봉; 지주봉의 상단과 중간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 구성되는 결합봉; 결합봉 중 상단결합봉에 구성되어 부품의 상측부 또는 중간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상단거치봉; 결합봉 중 중간단결합봉에 구성되어 부품의 중간부 또는 하측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중간단거치봉; 상단거치봉과 상단결합봉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상단거치봉이 상단결합봉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상단이동각도조절부; 및 중간단거치봉과 중간단결합봉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중간단거치봉이 중간단결합봉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색용 작업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색용 작업대{Paint supporting structuer for car}
본 발명은 차량 도색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패널 등과 같은 부품을 도색하기 위하여 부품을 거치하는 거치봉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도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도색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조 또는 수리 공정 중 도색 공정은 차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외관을 아름답게 해주는 것으로서,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도색 공정은 차체의 전체적인 도색이 아닌 부분적인 도색 예를 들면, 범퍼, 문짝, 본닛 등을 차량 도색용 작업대에 거치하여 도색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차량 도색용 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주봉(10), 지주봉(10)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봉(120) 및 결합봉(120)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차량의 부품(C)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봉(30) 등을 포함하며, 거치봉(30)들 사이에 부품(C)이 거치된 후 분사기를 통해 페인트가 분사되면서 도색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도색용 작업대는, 차량의 부품(C)을 거치시키는 복수개의 거치봉(30)이 결합봉(20)에 대하여 상호간 간격이 조절되도록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결합봉(2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부품(C)의 크기가 다른 경우 해당 부품(C)을 거치봉(30)에 거치할 수 없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10-1315230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10-0653378
(특허문헌 0003) 등록실용 20-0485039
(특허문헌 0004) 등록특허 10-136006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부품을 도색하기 위하여 부품을 거치하는 거치봉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도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도색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간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봉; 지주봉의 상단과 중간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 구성되는 결합봉; 결합봉 중 상단결합봉에 구성되어 부품의 상측부 또는 중간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상단거치봉; 결합봉 중 중간단결합봉에 구성되어 부품의 중간부 또는 하측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중간단거치봉; 상단거치봉과 상단결합봉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상단거치봉이 상단결합봉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상단이동각도조절부; 및 중간단거치봉과 중간단결합봉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중간단거치봉이 중간단결합봉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색용 작업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결합봉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동위치조절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거치봉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거치대; 거치대의 일단에 구성되고 부품의 해당 부위가 고정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고리; 거치대의 타단에 구성되고 상단이동각도조절부를 통해 상단결합봉에 거치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대; 및 결합대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단이동각도조절부를 통해 상단결합봉에 결합된 거치대가 상단결합봉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각도조절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이동각도조절부는, 상단결합봉이 내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거치봉의 결합대가 외주면에 끼워져 상단거치봉이 상단결합봉에 결합되도록 하는 이동결합브라켓과; 이동결합브라켓에 구성되어 이동결합브라켓이 상단결합봉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단거치봉의 결합대가 이동결합브라켓에 대하여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결합브라켓은, 원판 형태의 몸체; 몸체에 관통 형성되고 상단결합봉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결합봉삽입공; 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상단거치봉의 결합대의 내주면이 끼워지고 회동 동작시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가이드홈; 및 가이드홈 중 상단결합봉의 이동위치조절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몸체가 상단결합봉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동위치조절공에 대응되거나 가이드홈을 따라 상단거치봉의 결합대가 회동 동작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동각도조절공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며 고정수단을 통해 해당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각도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수단은, 이동결합브라켓의 몸체 중 이동각도고정공이 형성된 가이드홈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상단거치봉의 결합대가 가이드홈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밴드와; 고정밴드에 구성되고 이동각도고정공, 이동각도조절공 및 이동위치조절공을 향해 탄성적으로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되어 이동결합브라켓의 몸체가 상단결합봉을 따라 슬라이딩 및 고정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이 상단결합봉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거나 이동결합브라켓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단거치봉의 결합대가 회동 및 고정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이 상단결합봉에 대하여 회동되도록 하는 스터드볼트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패널 등과 같은 부품을 도색하기 위하여 부품을 거치하는 거치봉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도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색용 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 도색용 작업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차량 도색용 작업대에 있어서 거치봉의 슬라이딩 이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2의 차량 도색용 작업대에 있어서 거치봉의 회동 각도 조절 구조를 나나탠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작업대는, 상호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봉(110), 지주봉(110)의 상단, 중간단 및 하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 구성되는 결합봉(120), 결합봉(120) 중 상단결합봉(121)에 구성되어 부품(C)의 상측부 또는 중간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상단거치봉(130), 결합봉(120) 중 중간단결합봉(122)에 구성되어 부품(C)의 중간부 또는 하측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중간단거치봉(140), 상단거치봉(130)과 상단결합봉(121)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 및 중간단거치봉(140)과 중간단결합봉(122)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중간단거치봉(140)이 중간단결합봉(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 등을 포함한다.
지주봉(11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수단으로서, 작업자가 부품을 거치하고 도색 작업을 하기에 편한 높이를 가지는 공지의 사각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주봉(110)의 하단에는 지주봉(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지지봉(170)이 구성되고 지지봉(170)의 양단에는 캐스터가 설치되어 차량 도색용 작업대의 이동과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주봉(110)은, 공지의 다단 구조를 통하여 작업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합봉(120)은, 지주봉(110)의 상단, 중간단 및 하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 구성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공지의 사각파이프 등으로 구성되고, 상단결합봉(121)과 중간단결합봉(1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결합봉(121)과 중간단결합봉(122)의 후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동위치조절공(125)이 형성되어,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와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를 통하여 상단거치봉(130)과 중간단거치봉(14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단거치봉(130)은, 상단결합봉(121)에 구성되어 부품(C)의 상측부 또는 중간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거치수단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거치대(131), 거치대(131)의 일단에 구성되고 부품(C)의 해당 부위가 고정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고리(132), 거치대(131)의 타단에 구성되고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를 통해 상단결합봉(121)에 거치대(131)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대(133) 및 결합대(133)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를 통해 상단결합봉(121)에 결합된 거치대(133)가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각도조절공(13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대(131)와 거치고리(132)는, 공지의 다단 구조를 통하여 상호간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단거치봉(130)에 의하면, 상단결합봉(121)에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를 통해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때,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를 통하여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호간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조절되어 도색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를 통하여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회동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거치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어 도색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중간단거치봉(140)은, 중간단결합봉(122)에 구성되어 부품(C)의 중간부 또는 하측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거치대(141), 거치대(141)의 일단에 구성되고 부품(C)의 해당 부위가 고정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고리(142), 거치대(141)의 타단에 구성되고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를 통해 중간단결합봉(122)에 거치대(141)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대(143) 및 결합대(143)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를 통해 중간단결합봉(122)에 결합된 거치대(141)가 중간단결합봉(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각도조절공(14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대(141)와 거치고리(142)는, 공지의 다단 구조를 통하여 상호간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간단거치봉(140)에 의하면, 중간단결합봉(122)에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를 통해 구성되고, 이때,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를 통하여 중간단결합봉(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호간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조절되어 도색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를 통하여 중간단결합봉(122)에 대하여 회동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거치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어 도색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는, 상단거치봉(130)과 상단결합봉(121)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각도조절수단으로서, 상단결합봉(121)이 내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외주면에 끼워져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결합되도록 하는 이동결합브라켓(151)과, 이동결합브라켓(151)에 구성되어 이동결합브라켓(151)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이동결합브라켓(151)에 대하여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56) 등을 포함한다.
이동결합브라켓(151)은,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원판 형상의 몸체(152), 몸체(152)의 정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관통 형성되고 상단결합봉(121)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결합봉삽입공(153), 몸체(152)의 측면 외주연을 따라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의 내주면이 끼워지고 회동 동작시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가이드홈(154) 및 가이드홈(154) 중 상단결합봉(121)의 이동위치조절공(125)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몸체(152)가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동위치조절공(125)에 대응되거나 가이드홈(154)을 따라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회동 동작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동각도조절공(134)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며 고정수단(156)을 통해 해당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각도고정공(155) 등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56)은, 이동결합브라켓(151)을 통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이동결합브라켓(151)의 몸체(152) 중 이동각도고정공(155)이 형성된 가이드홈(154)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가이드홈(154)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밴드(157)와, 고정밴드(157)에 구성되고 이동각도고정공(155), 이동각도조절공(134) 및 이동위치조절공(125)을 향해 탄성적으로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되어 이동결합브라켓(151)의 몸체(152)가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슬라이딩 및 고정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거나 이동결합브라켓(151)의 가이드홈(154)을 따라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회동 및 고정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회동되도록 하는 스터드볼트(158)와 스프링(159)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에 의하면, 스터드볼트(158)가 고정밴드(157)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스터드볼트(158)가 이동각도고정공(155), 이동각도조절공(134) 및 이동위치조절공(125)에 대하여 관통 해제된 상태를 가지게 되어 이동결합브라켓(151)의 몸체(152)가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이동되거나 이동결합브라켓(151)의 가이드홈(154)을 따라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회동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회동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스터드볼트(158)가 고정밴드(157)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스터드볼트(158)가 이동각도고정공(155), 이동각도조절공(134) 및 이동위치조절공(125)을 일체로 관통된 상태를 가지게 되어 상단거치봉(130)의 슬라이딩 이동 위치와 회동 각도가 고정된다.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는, 중간단거치봉(140)과 중간단결합봉(122)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중간단거치봉(140)이 중간단결합봉(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각도조절수단으로서, 중간단결합봉(122)이 내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간단거치봉(140)의 결합대(143)가 외주면에 끼워져 중간단거치봉(140)이 중간단결합봉(122)에 결합되도록 하는 이동결합브라켓(161)과, 이동결합브라켓(161)에 구성되어 이동결합브라켓(161)이 중간단결합봉(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거나 중간단거치봉(140)의 결합대(143)가 이동결합브라켓(161)에 대하여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6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의 이동결합브라켓(161)과 고정수단(166)은, 중간단거치봉(140)과 중간단결합봉(122)에 설치되는 것만 다를 뿐,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의 이동결합브라켓(151)과 고정수단(156)과 동일 유사한 구조와 작용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작업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상단거치봉(13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단거치봉(13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은, 스터드볼트(158)가 고정밴드(157)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스터드볼트(158)에 의해 일체로 관통 고정된 이동각도고정공(155), 이동각도조절공(134) 및 이동위치조절공(125)에 대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단계와, 이 상태에서 이동결합브라켓(151)의 몸체(152)가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이동되는 단계와, 이 상태에서 이동결합브라켓(151)의 가이드홈(154)을 따라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회동되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회동되는 단계와, 이 상태에서 스터드볼트(158)가 고정밴드(157)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스터드볼트(158)가 이동각도고정공(155), 이동각도조절공(134) 및 이동위치조절공(125)을 일체로 관통되어 상단거치봉(130)의 슬라이딩 이동 위치와 회동 각도가 고정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이후, 중간단거치봉(14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중간단거치봉(14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은, 상단거치봉(13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과 상호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한 쌍의 상단거치봉(130)과 중간단거치봉(140)에 부품(C)의 상측부나 중간부 또는 부품(C)의 중간부나 하측부가 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부품(C)을 도색하기 위하여 부품(C)을 거치하는 상단거치봉(130)과 중간단거치봉(14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C)의 크기에 관계없이 부품(C)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여 도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상호간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봉(110); 지주봉(110)의 상단과 중간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 구성되는 결합봉(120); 결합봉(120) 중 상단결합봉(121)에 구성되어 부품(C)의 상측부 또는 중간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상단거치봉(130); 결합봉(120) 중 중간단결합봉(122)에 구성되어 부품(C)의 중간부 또는 하측부가 거치되도록 하는 중간단거치봉(140); 상단거치봉(130)과 상단결합봉(121)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 및 중간단거치봉(140)과 중간단결합봉(122)의 결합부위에 구성되어 중간단거치봉(140)이 중간단결합봉(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중간단이동각도조절부(160)를 포함하며,
    결합봉(120)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동위치조절공(125)이 형성되고,
    상단거치봉(1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거치대(131); 거치대(131)의 일단에 구성되고 부품(C)의 해당 부위가 고정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고리(132); 거치대(131)의 타단에 구성되고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를 통해 상단결합봉(121)에 거치대(131)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대(133); 및 결합대(133)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를 통해 상단결합봉(121)에 결합된 거치대(133)가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각도조절공(134)을 포함하며,
    상단이동각도조절부(150)는,
    상단결합봉(121)이 내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외주면에 끼워져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결합되도록 하는 이동결합브라켓(151)과; 이동결합브라켓(151)에 구성되어 이동결합브라켓(151)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이동결합브라켓(151)에 대하여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이동결합브라켓(151)은,
    원판 형태의 몸체(152);
    몸체(152)에 관통 형성되고 상단결합봉(121)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결합봉삽입공(153);
    몸체(152)의 외주연을 따라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의 내주면이 끼워지고 회동 동작시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가이드홈(154); 및
    가이드홈(154) 중 상단결합봉(121)의 이동위치조절공(125)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몸체(152)가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동위치조절공(125)에 대응되거나 가이드홈(154)을 따라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회동 동작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동각도조절공(134)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며 고정수단(156)을 통해 해당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각도고정공(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수단(156)은,
    이동결합브라켓(151)의 몸체(152) 중 이동각도고정공(155)이 형성된 가이드홈(154)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가이드홈(154)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밴드(157)와;
    고정밴드(157)에 구성되고 이동각도고정공(155), 이동각도조절공(134) 및 이동위치조절공(125)을 향해 탄성적으로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되어 이동결합브라켓(151)의 몸체(152)가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슬라이딩 및 고정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거나 이동결합브라켓(151)의 가이드홈(154)을 따라 상단거치봉(130)의 결합대(133)가 회동 및 고정되는 것을 통해 상단거치봉(130)이 상단결합봉(121)에 대하여 회동되도록 하는 스터드볼트(158)와 스프링(1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작업대.

KR1020230106177A 2023-08-14 2023-08-14 차량 도색용 작업대 KR10263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177A KR102631790B1 (ko) 2023-08-14 2023-08-14 차량 도색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177A KR102631790B1 (ko) 2023-08-14 2023-08-14 차량 도색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790B1 true KR102631790B1 (ko) 2024-01-31

Family

ID=8971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177A KR102631790B1 (ko) 2023-08-14 2023-08-14 차량 도색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79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799A (ja) * 2001-02-07 2002-08-20 Ryoichiro Sawa 塗装台
KR100653378B1 (ko) 2005-10-28 2006-12-04 반하선 조립식 작업대
US7448606B1 (en) * 2003-12-04 2008-11-11 Innovative Tools & Technologies, Inc. Large automotive panel paint rack
KR101315230B1 (ko) 2012-01-17 2013-10-07 (주)록키 차량용 범퍼나 바디 도색시 거치하는 거치대 구조
KR101360066B1 (ko) 2012-12-12 2014-02-1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US9016664B1 (en) * 2011-06-14 2015-04-28 William J. Powers Spin stand device
US20170217741A1 (en) * 2014-03-07 2017-08-03 Douglas GRODAES Motorcycle engine hoist
KR200485039Y1 (ko) 2015-12-31 2017-11-2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작업대
KR20220012367A (ko) * 2020-07-22 2022-02-03 강형석 도장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799A (ja) * 2001-02-07 2002-08-20 Ryoichiro Sawa 塗装台
US7448606B1 (en) * 2003-12-04 2008-11-11 Innovative Tools & Technologies, Inc. Large automotive panel paint rack
KR100653378B1 (ko) 2005-10-28 2006-12-04 반하선 조립식 작업대
US9016664B1 (en) * 2011-06-14 2015-04-28 William J. Powers Spin stand device
KR101315230B1 (ko) 2012-01-17 2013-10-07 (주)록키 차량용 범퍼나 바디 도색시 거치하는 거치대 구조
KR101360066B1 (ko) 2012-12-12 2014-02-1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US20170217741A1 (en) * 2014-03-07 2017-08-03 Douglas GRODAES Motorcycle engine hoist
KR200485039Y1 (ko) 2015-12-31 2017-11-2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작업대
KR20220012367A (ko) * 2020-07-22 2022-02-03 강형석 도장용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813A (en) Method for positioning a pair of hinges on a vehicle body
US6173947B1 (en) Automotive bumper stand
US6837934B1 (en) Racking system
KR101022844B1 (ko) 클램핑 장치
US9469016B2 (en) Vertically-oriented fixture for selectably holding dissimilar workpieces
US9700976B2 (en) Reconfigurable interface assembly, adaptable assembly line work-piece processor, and method
FR2541616A1 (fr) Etabli de reparation de carrosseries d'automobiles
US20110260384A1 (en) Fix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door panels during painting and finishing
KR102631790B1 (ko) 차량 도색용 작업대
GB2223460A (en) Trolley
US5681033A (en) Workpiece pick-up jig and positioning tool
US6431535B1 (en) Motor test mount with CG position adjustment
CN103990965B (zh) 可重构接口组件、可调节装配线工件处理器和方法
KR100282474B1 (ko) 차량의 휀더 장착 지그
US20060228205A1 (en) Adapter assembly including telescoping links
US20140333019A1 (en) Panel jig device for vehicle
US20210107118A1 (en) Bumper apparatus
US11794565B2 (en) Engine support system and method
US6073330A (en) Precision indexing of a turntable used in a hinge-positioner fixture
US6036779A (en) Brackets to hold spoilers for painting
US20080067311A1 (en) Multi-position work stand
EP1127662A1 (en) Workpiece support device and system
KR100680361B1 (ko) 차량 도어힌지 장착 지그
US4564181A (en) Bench
JP6751172B2 (ja) 作業台の取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