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927B1 - 스탠션 바 - Google Patents

스탠션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927B1
KR101012927B1 KR1020080066707A KR20080066707A KR101012927B1 KR 101012927 B1 KR101012927 B1 KR 101012927B1 KR 1020080066707 A KR1020080066707 A KR 1020080066707A KR 20080066707 A KR20080066707 A KR 20080066707A KR 101012927 B1 KR101012927 B1 KR 10101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hole
bas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473A (ko
Inventor
김희중
정재현
Original Assignee
김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중 filed Critical 김희중
Priority to KR102008006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9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를 위해 가설되는 작업대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난간을 이루는 스탠션 바(stanchion bar)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는 작업대에 고정되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탠션 바의 고정각도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볼트나 고정너트와 같은 체결요소의 망실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며, 스탠션 바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스탠션 바의 재사용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는 클램프(10)와, 베이스(20)(20') 및, 지지대(30)로 이루어진다. 클램프(10)는 중앙에 삽입홈(12)을 형성한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작업대(200)의 단부에 고정된다. 베이스(20)(20')는 끝단부가 클램프(10)와 연결되고, 제1고정공(21)과 호형상의 슬라이딩홈(23)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30)는 제1고정공(21)에 대응하는 통공(32)과 제2고정공(22)(22')에 대응하는 장공(34)이 끝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1고정공(21)과 통공(32)를 관통하는 고정핀(40a)의 끝단부에 걸림핀(50a)이 삽입고정되고, 제2고정공(22)(22')과 장공(34)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0b)의 끝단부에 고정너트(50b)가 결합되면서 베이스(20)(20')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고정너트(50b)가 풀린 상태로 결합된 고정볼트(40b)가 슬라이딩홈(23)를 통해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동되어 고정너트(50b)에 의해 조여지면서 지지대(30)가 베이스(20)(2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탠션, 작업대, 난간, 클램프, 베이스, 지지대, 볼트, 너트

Description

스탠션 바{A stanchion bar}
본 발명은 스탠션 바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탠션 바가 작업대에 고정되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탠션 바의 고정각도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볼트나 고정너트와 같은 체결요소의 망실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며, 스탠션 바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스탠션 바의 재사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스탠션 바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와 같이 대형구조물이 건조되는 작업장에서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대형구조물 상의 위치에 맞추어 작업대를 일정높이와 일정간격으로 가설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대에는 스탠션 바(stanchion bar)를 사용하여 난간을 구축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대와 스탠션 바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053호 "대형선박의 블럭내의 도장용 작업대", 등록번호 제20-0284897호 "선박 용 가설난간기둥",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1793호 "작업용 발판", 등록특허공보 제10-0597783호 "난간대용 지주대" 등이 안출되어 있다.
한편, 조선조에서 건조되는 선박는 외부 측벽이 곡면으로 경사져 있음에 따라, 선박의 외부 측벽에 대한 도장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와 같이 작업을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스탠션 바를 작업대에 경사지게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선박은 높이에 따라 외부 측벽의 경사진 각도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작업대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스탠션 바의 고정각도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스탠션 바는 도 1의 (a)와 (b)와 같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탠션 바는 중앙에 삽입홈(12)을 형성한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작업대(200)의 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10)와, 끝단부가 클램프(10)와 연결되고 제1고정공(21)과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베이스(20)(20') 및, 베이스(20)(20')의 제1고정공(21)과 제2고정공(22)(22')에 대응하는 상하측 통공(32)이 형성된 지지대(30)로 구성된다.
지지대(30)는 고정공(21)(22)(22')과 통공(3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0b)와 결합되는 고정너트(50b)를 조여줌으로써 베이스(20)(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종래의 스탠션 바(100')는 지지대(30)에 고정되는 베이스(20)(20') 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탠션 바(1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지지대(30)가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고정공(22)(22')과 상측 통공(3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0b)에 결합된 고정너트(50b)를 완전히 풀어 고정볼트(40b)로부터 고정너트(50b)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제2고정공(22)(22')과 상측 통공(32)으로부터 고정볼트(40b)를 제거하고,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에서 선택된 제2고정공(22)(22')에 상측 통공(32)을 다시 맞춘 후 고정볼트(40b)와 고정너트(50b)로 지지대(30)를 베이스(20)(20')에 다시 고정시키는 작업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볼트(40b)와 고정너트(50b)와 같은 체결요소들이 분리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체결요소의 망실이 발생하였고,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작업대(200)로부터 체결요소가 낙하하여 체결요소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종래의 스탠션 바(100')는 클램프(10)의 끝단부에 베이스(20)(20')의 상부면이 곧바로 밀착되어 용접결합되는 형태여서 클램프(10)와 베이스(20)(20')의 결합강도가 크지 않아 외력에 의해 클램프(10)와 베이스(20)(20')가 분리되거나, 스탠션 바(100')의 내구성이 낮아져 스탠션 바(100')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스탠션 바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지지대에 체결요소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와 지지대가 서로 결합되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탠션 바의 고정각도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요소의 망실이나 손상이 방지되고, 스탠션 바가 작업대에 고정되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스탠션 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탠션 바를 구성하는 클램프와 베이스가 서로 요철관계로 밀착되고, 서로 용접결합되는 부위의 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클램프와 베이스의 연결부의 강도가 증대되어 스탠션 바의 내구성을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탠션 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를 위해 가설되는 작업대(200)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난간을 이루는 스탠션 바(stanchion bar)에 있어서, 중앙에 삽입홈(12)을 형성한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작업대(200)의 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10);와 끝단부가 상기 클램프(10)와 연결되고, 제1고정공(21)과 호형상의 슬라이딩홈(23)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베이스(20)(20');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대응하는 통공(32)과 상기 제2고정공(22)(22')에 대응하는 장공(34)이 끝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공(21)과 통공(32) 및 상기 제2고정공(22)(22')과 장공(34)을 각각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지지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공(22)(22')과 장공(34)을 관통하는 체결구는 고정너트(50b)에 의해 조여지는 고정볼트(40b)가 사용되어, 상기 고정너트(50b)가 풀린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고정볼트(40b)가 상기 슬라이딩홈(23)를 통해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동된 후 상기 고정너트(50b)에 의해 다시 조여지면서 상기 베이스(20)(2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고정볼트(40b)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단면의 볼트부(A);와 상기 볼트부(A)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타원형 단면의 걸림부(B); 및 상기 걸림부(B)의 상측에 형성되는 머리부(C);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50b)의 조임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40b)의 걸림부(B)가 상기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에 걸림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베이스(20)(2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너트(50b)의 풀림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40b)의 걸림부(B)가 상기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베이스(20)(20')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지지대(30)가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에서 상기 제1고정공(21)과 통공(32)을 관통하는 체결구는 고정핀(40a)이 사용되되, 상기 고정핀(40a)은 끝단부에 형성된 핀홀(42a)에 걸림핀(50a)이 삽입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베이스(20)(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에서 상기 고정볼트(40b)는 끝단부에 핀홀(42)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42)에 스톱퍼용 핀(44)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볼트(40b)에 결합된 고정너트(50b)의 이탈이 상기 스톱퍼용 핀(44)에 의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에서 상기 지지대(30)는 통공(32)과 장공(34)이 형성된 결합단(36)과; 상기 결합단(36)에 볼트결합되는 지지대본체(3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스탠션 바에 의하면, 스탠션 바가 작업대에 고정되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스탠션 바의 고정각도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요소의 망실이나 손상이 방지되는 한편, 스탠션 바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스탠션 바가 반복적으로 해체되거나 재설치되어도 스탠션 바의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손실되지 않아 스탠션 바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스탠션 바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에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이동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에서 고정볼트의 걸림부가 베이스의 제2고정공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의 베이스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고정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가 작업대의 수평면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작업대의 난간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stanchion bar)(100)는 각종 구조물에 대한 작업을 위하여 가설되는 작업대(200)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난간을 이루는 기구이 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시 선박의 외부 측벽을 도장하기 위해 정해진 높이로 가설되는 작업대의 난간을 구축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스탠션 바(100)를 구성하는 베이스(20)(20')와 지지대(30)에 고정핀(40a)이나 고정볼트(40b) 등의 체결구가 걸림핀(50a)이나 고정너트(50b)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20)(20')와 지지대(30)가 서로 결합되는 각도가 변경되어 재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스탠션 바(100)를 구성하는 클램프(10)와 베이스(20)(20')가 서로 요철관계로 밀착되고, 이로써 서로 용접결합되는 부위의 면적이 증대되어 클램프(10)와 베이스(20)(20')의 결합강도가 증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작업대에 고정되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지고, 스탠션 바(100)의 고정각도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핀(40a)/고정볼트(40b)/걸림핀(50a)/고정너트(50b)와 같은 체결요소의 망실이나 손상이 방지되며, 스탠션 바(100)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스탠션 바(100)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는 도 2에서와 같이 클램프(10)와, 베이스(20)(20') 및, 지지대(30)로 이루어진다.
클램프(10)는 중앙에 삽입홈(12)을 형성한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작업대(200)의 단부에 고정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작업대(200)를 이루는 발판의 수평면 끝단부나, 작업대(200)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형강과 같은 바(bar) 형상의 골조프레임이 클램프(10)의 삽입홈(12)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클램프(10)를 작업대(200)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은 측방향으로 클램핑용 볼트(14)가 설치되어 클램핑용 볼트(14)의 조임동작에 따라 클램프(10)가 작업대(200)의 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베이스(20)(20')는 지지대(30)가 정해진 각도로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20)(20')의 일단부가 클램프(10)와 연결되면서 클램프(10), 베이스(20)(20'), 지지대(30)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20')는 클램프(10)와 용접결합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20)(20')는 도 2에서와 같이 집게형상의 클램프(10)에 대응하는 집게형상의 결합홈(24)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베이스(20)(20')의 결합홈(24)으로 클램프(10)가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베이스(20)(20')와 클램프(10)가 요철관계로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20)(20')와 클램프(10)가 용접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20)(20')와 클램프(10)는 베이스(20)(20')의 결합홈(24)에 의해 안정되게 밀착되어 고정되고, 베이스(20)(20')의 결합홈(24)을 따라 확장된 접촉 부위를 따라 용접결합됨에 따라 베이스(20)(20')와 클램프(10)의 결합강도가 증대되고, 더불어 스탠션 바(100)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한편, 베이스(20)(20')는 제1고정공(21)과 호형상의 슬라이딩홈(23)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지지대(30)가 제1고정공(21)과 제2고정공(22)(22')을 통해 베이스(20)(20')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베이스(20)(20')에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형성된 것은 지지대(30)의 고정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20')는 결합홈(24)이 형성된 일단부에 하나의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통공 크기의 제1고정공(2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하나의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통공 크기의 제2고정공(22)(22')이 다수개 배열되어 슬라이딩홈(23)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슬라이딩홈(23)과 연통되어 있는 것은 베이스(20)(20')에 지지대(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요소인 고정핀(40a)/고정볼트(40b)와 걸림핀(50a)/고정너트(50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3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가 도시된 도 7에서와 같이 하측 끝단에 위치되는 제2고정공(22')과 제1고정공(21)이 스탠션 바(100)가 설치되는 면에 수직인 선(A)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스탠션 바(100)의 설치각도가 90°을 포함하여 보다 확장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대(30)는 정해진 길이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대(2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대(30)는 베이스(20)(20')에 형성된 제1고정공(21)과 제2고정공(22)(22')에 대응하는 통공(32)과 장공(34)이 끝단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체결구인 고정핀(40a)/고정볼트(40b)이 걸림핀(50a)/고정너트(50b)에 의해 베이스(20)(20')에 고정되게 된다.
즉, 도 3의 (a)와 같이 지지대(30)는 베이스(20)(20')의 제1고정공(21)과 지지대(30)의 통공(32)을 관통하는 고정핀(40a)의 끝단부에 형성된 핀홀(42a)에 걸림핀(50a)이 삽입고정되어 베이스(20)(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과 지지대(30)의 장공(34)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0b)가 고정너트(50b)에 의해 조여지면서 베이스(20)(2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대(30)는 베이스(20)(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고정됨으로써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에서는 베이스(20)(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호형상의 슬라이딩홈(23)과 연통되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대(30)에는 고정볼트(40b)의 이동이 가능한 장공(34)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볼트(40b)와 고정너트(50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30)가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도 3의 (b)와 같이 고정너트(50b)가 고정볼트(40b)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대(30)가 베이스(20)(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너트(50b)를 풀어 지지대(30)가 베이스(20)(20')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데, 이로써 베이스(20)(20'), 지지대(30), 고정핀(40a), 걸림핀(50a), 고정볼트(40b), 고정너트(50b)는 서로 해제된 상태에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핀(40a)/고정볼트(40b) 및 걸림핀(50a)/고정너트(50b)와 같은 체결요소의 망실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3의 (c)와 같이 고정핀(40a)과 걸림핀(50a)에 의해 베이스(20)(20')에 고정된 지지대(30)의 통공(3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지지대(30)을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켜 지지대(30)의 장공(34)을 새롭게 선택된 제2고정공(22)(22')에 맞추어 준 후, 도 3의 (d)와 같이 고정볼트(40b)와 고정너트(50b)를 다시 조여줌으로써 지지대(30)가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지지대(30)가 통공(32)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할 시 고정볼트(40b)와 고정너트(50b)는 지지대(30)의 장공(34) 상측으로 이동하여 베이스(20)(20')의 슬라이딩홈(23) 상을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30)는 통공(32)과 장공(34)이 형성된 한쌍의 결합단(36)과, 결합단(36)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단(36)과 결합되는 지지대본체(38)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결합단(36)과 지지대본체(38)는 착탈식으로 볼트결합됨에 따라, 지지대(30)의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고정핀(40a)/고정볼트(40b)와 걸림핀(50a)/고정너트(50b)와 같은 체결요소가 베이스(20)(20') 및 지지대(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30)가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체결요소의 망실이나 손상이 방지되고, 지지대(30)가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100)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볼트(40b)의 끝단부에 핀홀(42)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볼트(40b)에 고정너트(50b)가 결합된 후 핀홀(42)로 스톱퍼용 핀(44)이 삽입되도록 하는데,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볼트(40b)에 결합된 고정너트(50b)의 이탈이 스톱퍼용 핀(44)에 의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100)에서 지지대(30)를 베이스(20)(2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볼트(40b)는 도 5에서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단면의 볼트부(A)와, 볼트부(A)의 상측에 형성되고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타원형 단면의 걸림부(B) 및, 걸림부(B)의 상측에 형성되는 머리부(C)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고정볼트(40b)는 고정너트(50b)의 조임동작에 의해 고정볼트(40b)의 걸림부(B)가 지지대(30)의 장공(34) 외측에서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으로 이동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걸림고정되는데, 이에 따라 외부물체가 스탠션 바(100)에 충돌하는 경우와 같이 스탠션 바(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정볼트(40b)의 고정상태가 유지되어 베이스(20)(20')로부터 지지대(30)가 해제되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고정볼트(40b)는 고정너트(50b)의 풀림동작에 의해 고정볼트(40b)의 걸림부(B)가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지지대(30)가 베이스(20)(20')로부터 해제되어 지지대(30)가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a)와 (b)는 종래 스탠션 바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의 분리 사시도;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에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이동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에서 고정볼트의 걸림부가 베이스의 제2고정공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의 베이스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고정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바가 작업대의 수평면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작업대의 난간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램프 12 : 삽입홈
14 : 클램핑용 볼트 20, 20' : 베이스
21 : 제1고정공 22, 22' : 제2고정공
23 : 슬라이딩홈 24 : 결합홈
30 : 지지대 32 : 통공
34 : 장공 36 : 결합단
38 : 지지대본체 40a : 고정핀
40b : 고정볼트 42a, 42b : 핀홀
44 : 스톱퍼용 핀 50a : 제1고정너트
50b : 제고정너트 52 : 와셔
100, 100' : 스탠션 바 200 : 작업대
A : 볼트부 B : 걸림부
C : 머리부

Claims (6)

  1.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를 위해 가설되는 작업대(200)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난간을 이루는 스탠션 바(stanchion bar)에 있어서,
    중앙에 삽입홈(12)을 형성한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작업대(200)의 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10);와
    끝단부가 상기 클램프(10)와 연결되고, 제1고정공(21)과 호형상의 슬라이딩홈(23)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베이스(20)(20');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대응하는 통공(32)과 상기 제2고정공(22)(22')에 대응하는 장공(34)이 끝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공(21)과 통공(32) 및 상기 제2고정공(22)(22')과 장공(34)을 각각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20)(20')에 고정되는 지지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공(22)(22')과 장공(34)을 관통하는 체결구는 고정너트(50b)에 의해 조여지는 고정볼트(40b)가 사용되어, 상기 고정너트(50b)가 풀린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고정볼트(40b)가 상기 슬라이딩홈(23)를 통해 다수개의 제2고정공(22)(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동된 후 상기 고정너트(50b)에 의해 다시 조여지면서 상기 베이스(20)(2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고정볼트(40b)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단면의 볼트부(A);와
    상기 볼트부(A)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타원형 단면의 걸림부(B); 및
    상기 걸림부(B)의 상측에 형성되는 머리부(C);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50b)의 조임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40b)의 걸림부(B)가 상기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에 걸림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베이스(20)(2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너트(50b)의 풀림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40b)의 걸림부(B)가 상기 베이스(20)(20')의 제2고정공(22)(22')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베이스(20)(20')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지지대(30)가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션 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공(21)과 통공(32)을 관통하는 체결구는 고정핀(40a)이 사용되되, 상기 고정핀(40a)은 끝단부에 형성된 핀홀(42a)에 걸림핀(50a)이 삽입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베이스(20)(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션 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0b)는 끝단부에 핀홀(42)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42)에 스톱퍼용 핀(44)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볼트(40b)에 결합된 고정너트(50b)의 이탈이 상기 스톱퍼용 핀(44)에 의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션 바.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통공(32)과 장공(34)이 형성된 결합단(36)과;
    상기 결합단(36)에 볼트결합되는 지지대본체(3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션 바.
  6. 삭제
KR1020080066707A 2008-07-09 2008-07-09 스탠션 바 KR10101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07A KR101012927B1 (ko) 2008-07-09 2008-07-09 스탠션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07A KR101012927B1 (ko) 2008-07-09 2008-07-09 스탠션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73A KR20100006473A (ko) 2010-01-19
KR101012927B1 true KR101012927B1 (ko) 2011-02-08

Family

ID=4181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707A KR101012927B1 (ko) 2008-07-09 2008-07-09 스탠션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9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10Y1 (ko) 2011-01-11 2013-03-18 김미량 폴딩 변각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KR101302713B1 (ko) 2012-09-13 2013-09-03 (주) 팍스 건물 외장패널 설치용 프레임 연결구
KR101435948B1 (ko) * 2013-06-30 2014-11-03 김경필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51B1 (ko) * 2015-03-27 2015-07-22 현빈개발 주식회사 수평과 다양한 각도의 시공이 용이한 동물 유도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CN110303466A (zh) * 2019-08-07 2019-10-08 芜湖佩霆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涂胶机器人维修平台及其使用方法
KR102490413B1 (ko) * 2022-01-28 2023-01-19 조기환 건축물 외장용 파이프 연결 브래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8608U (ko) 1978-07-20 1980-02-06
JPS58148141U (ja) 1982-03-30 1983-10-05 日立造船株式会社 角度調節式スタンシヨン
KR100592714B1 (ko) * 2004-05-28 2006-06-26 김태조 난간대용 지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8608U (ko) 1978-07-20 1980-02-06
JPS58148141U (ja) 1982-03-30 1983-10-05 日立造船株式会社 角度調節式スタンシヨン
KR100592714B1 (ko) * 2004-05-28 2006-06-26 김태조 난간대용 지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10Y1 (ko) 2011-01-11 2013-03-18 김미량 폴딩 변각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KR101302713B1 (ko) 2012-09-13 2013-09-03 (주) 팍스 건물 외장패널 설치용 프레임 연결구
KR101435948B1 (ko) * 2013-06-30 2014-11-03 김경필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73A (ko)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927B1 (ko) 스탠션 바
US9427849B2 (en) Adjustable workpiece repair and buildup stand
US3938619A (en) Stanchion
US5020757A (en) Ladder jack clamping devices
KR20100005054U (ko) 블록 지지용 핀지그
KR101059506B1 (ko) 선박의 블록 탑재용 스크류 잭
US8448747B2 (en) Temporary scaffolding system
EP0338142B1 (en) Stanchion or post
KR20150116742A (ko) 안전 난간대 장착장치
KR102050843B1 (ko) 이동식 족장 프레임
KR20100010683U (ko) 부재 취부용 유압잭
JP2011140802A (ja) 建設機械
KR200484259Y1 (ko) 해양구조물용 사다리
KR200467776Y1 (ko) 선박 블록의 전도 방지용 고정 지그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0485039Y1 (ko) 작업대
JP2019085720A (ja) 脚立用手すり棒支持具
JP2003160913A (ja) 橋梁点検用吊り足場
KR102027845B1 (ko) 접철식 족장 프레임
US6003823A (en) Platform apparatus for support stands
FI125423B (fi) Ajoneuvon oikaisupenkki
KR100994276B1 (ko) 선체 블럭의 역경사부 작업용 작업대
WO1999050137A1 (en) Scaffold support bracket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JP6388834B2 (ja) 斜壁用簡易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