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490B1 -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490B1
KR102529490B1 KR1020220150363A KR20220150363A KR102529490B1 KR 102529490 B1 KR102529490 B1 KR 102529490B1 KR 1020220150363 A KR1020220150363 A KR 1020220150363A KR 20220150363 A KR20220150363 A KR 20220150363A KR 102529490 B1 KR102529490 B1 KR 10252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rtical
crossbar
rod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용
Original Assignee
현대휀스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휀스개발(주) filed Critical 현대휀스개발(주)
Priority to KR102022015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26Devices for erecting or removing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고 상하 가로대 사이에 다수의 세로대를 결합하여 하나의 휀스를 조립하는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로, 일측에 두 개의 가로대 사이에 세로대를 정렬시키되,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양단이 각각 대응 되게 세로대를 정렬시킬 수 있고, 일측 가로대를 이동시켜 세로대의 양단이 두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끼워지게 하며, 일측 가로대가 이동하여 세로대에 힘을 가할 때 세로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으며, 특히 가로대푸싱수단을 구성하는 거리조절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거리조절바를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assembling devices of fence height adjustable of balustrade}
본 발명은 휀스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접을 하지 않고 상하 가로대 사이에 다수의 세로대를 결합하여 하나의 휀스를 조립하는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측에 두 개의 가로대 사이에 세로대를 정렬시키되,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양단이 각각 대응 되게 세로대를 정렬시킬 수 있고, 일측 가로대를 이동시켜 세로대의 양단이 두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끼워지게 하며, 일측 가로대가 이동하여 세로대에 힘을 가할 때 세로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가로대를 밀어주는 가로대푸싱수단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가로대를 밀어주는 거리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난간 또는 휀스(이하, "휀스"라 통칭함)는 소정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경계에 설치되는 울타리로, 널빤지, 철망 및 기둥 등 다양한 재료 및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휀스는 시공을 용이하게 하거나, 내구성 또는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측벽이 안쪽으로 벤딩 성형되어 형성된 홈이 구비된 상부가로대와, 이 상부가로대를 아랫쪽에서 지지해 주는 주 세로관의 상·하 선단에 각각 가로관이 가로방향으로 관통되어 고정되고 이 주세로관의 상부 선단면에는 브라켓이 고정부착되어 이루어진 세로지주대, 상·하측 중간 가로관에 다수개의 중간 세로관이 소정간격을 두면서 나란히 결합되어 이루어진 난간살 조립체로 구성되어, 상부가로대는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브라켓을 통해 세로 지주대와 조립되고, 이 세로지주대는 가로관과 난간살 조립체의 중간 가로관이 연결관의 양쪽 선단에 각각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난간살 조립체와 조립되며, 난간 설치장소의 가로길이에 따라 세로지주대와 난간살 조립체의 갯수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난간 전체의 가로길이가 변경될 수 있게 된 조립식 난간이고,
특허문헌 2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마련되고, 설치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네 면에는 요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기둥 바아; 설치면에 고정 설치되며, 기둥 바아의 하부에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면이 경사진 상태이더라도 기둥 바아가 설치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받침 브래킷; 기둥 바아보다 작은 폭을 갖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마련되고, 기둥 바아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상하 복수 개가 설치되는 가로 바아; 가로 바아의 사이에 구비되어 가로 바아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차단되도록 하는 칸막이; 및 가로 바아와 칸막이의 사이에 구비되어 칸막이가 가로 바아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칸막이 결합부; 를 포함하고, 받침 브래킷은, 하부에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된 평판부와, 평판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기둥 바아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와, 한 쌍의 수직부의 판면으로부터 기둥 바아의 서로 마주보는 요홈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역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 바아의 설치면에 대한 수직이 유지되도록 회동 설치를 안내하는 회동 설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이다.
이러한 휀스는 통상적으로 가로대와 세로대를 용접하여 만들어 일체화되고 있고, 이렇게 용접으로 두 부재를 결합할 경우 용접부분이 용접 과정에서 열변형되어 부식에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다수의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구성한 것이 있고, 휀스를 조립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 특허문헌 3 및 4가 있다.
특허문헌 3은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막을 형성하기 위한 중앙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중앙부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에 끼워 결합하면서 그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부 및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수직부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간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장치에 있어서,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안착시키도록 전후에 제1 플레이트를 대향 설치하되, 전후 제1 플레이트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난간의 수직부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브래킷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 브래킷을 관통하여 전후 작동하면서 난간의 중앙부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피스톤 로드를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난간의 중앙부 또는 수직부가 밀리지않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2 피스톤 로드가 등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제1 조립부; 제1 조립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조립부에 지지되지 않은 다른 수직부 또는 중앙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좌우로 작동하는 제2 플레이트를 설치하되,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안착된 난간의 중앙부 또는 수직부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형성하는 한편, 제2 브래킷의 단부에는 난간의 수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 또는 중앙부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제2 조립부; 및 제1 조립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조립된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이송하여 안착시킴과 동시에 난간의 수평부를 안착시키도록 전후 제3 플레이트를 대향 설치하되, 전후 제3 플레이트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조립된 난간의 수직부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브래킷과 안착된 수평부를 밀어 조립된 난간의 수직부 상단에 끼우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3 피스톤 로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3 조립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난간 조립장치이고,
특허문헌 4는 상하 수평 바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 바가 등 간격으로 결합되고, 상하 수평 바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하 포스트 바가 결합되며, 상부 포스트 바에는 핸들 바가 결합된 난간의 각 구성을 올려놓고 가압하여 조립하기 위한 난간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레일이 설치된 베이스;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위치하면서 그 사이에 난간의 각 구성을 올려놓고 조립하도록 하되, 하부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수직 바를 안착시키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제1 블록과 제1 블록의 외측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수평 바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2 블록과 제2 블록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포스트 바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3 블록이 결합된 좌우 플랫폼; 좌우 플랫폼의 제3 블록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그 사이에 핸들 바를 안착시키도록 하는 한편, 제3 블록을 통해 놓이는 포스트 바 또는 핸들 바를 밀어 가압하도록 로드의 끝단에 제4 블록이 결합된 제1실린더; 및 베이스에 설치되고, 좌우 플랫폼을 각각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에 설치되고, 로드의 끝단이 좌우 플랫폼 중 어느 일측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실린더;를 형성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난간대의 제작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난간 조립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들은 긴 난간대를 조립할 때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일부 세로대가 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개발한 특허 제10-2431956호가 있으며, 이는 상하의 가로대 사이에 다수의 세로대를 설치하여 구성된 휀스를 조립하는 조립장치로, 장치가 설치되는 평평한 판체 형태의 지지테이블; 상기 가로대 중 어느 일측의 가로대를 고정시키는 가로대고정수단; 타측 가로대를 밀어 가로대 사이에 놓은 세로대의 양 단부가 각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끼워지게 하는 가로대푸싱수단; 중간에 다수의 세로대안치홈가 형성되어 다수의 세로대 각각이 단부가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정렬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세로대받침대를 포함하는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푸싱수단은 가로대을 향한 면에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되고 가로대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푸싱로드; 상기 푸싱로드를 세로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로드작동수단; 상기 푸싱로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작동수단은 푸싱로드를 밀어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신축실린더와, 일측 단부는 상기 신축실린더의 신축로드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푸싱로드에 힌지 결합되어, 신축로드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중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에 거리조절바를 더 설치하여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게 한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가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대푸싱수단에 의해 일측 가로대를 밀어 두 가로대 사이에 놓인 세로대의 각 단부가 각각의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끼워지게 한 것으로, 서로 다른 길이의 세로대를 갖는 휀스의 조립을 위해 가로대푸싱수단이 거리조절바를 구비하고 있고, 이 거리조절바는 그 각단이 각각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에 볼트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거리조절바를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에 볼트 고정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252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909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1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60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용접을 하지 않고 상하 가로대 사이에 다수의 세로대를 결합하여 하나의 휀스를 조립하는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두 개의 가로대 사이에 세로대를 정렬시키되,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양단이 각각 대응 되게 세로대를 정렬시킬 수 있고, 일측 가로대를 이동시켜 세로대의 양단이 두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끼워지게 하며, 일측 가로대가 이동하여 세로대에 힘을 가할 때 세로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가로대푸싱수단을 구성하는 거리조절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거리조절바를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는 상하의 가로대 사이에 다수의 세로대를 설치하여 구성된 휀스를 조립하는 조립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설치되는 평평한 판체 형태의 지지테이블; 상기 가로대 중 어느 일측의 가로대를 고정시키는 가로대고정수단; 타측 가로대를 밀어 가로대 사이에 놓은 세로대의 양 단부가 각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끼워지게 하는 가로대푸싱수단; 중간에 다수의 세로대안치홈가 형성되어 다수의 세로대 각각이 단부가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정렬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세로대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푸싱수단은 가로대를 향한 면에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되고 가로대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푸싱로드; 상기 푸싱로드를 세로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로드작동수단; 상기 푸싱로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리조절바의 양단에는 각각 걸림홈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연결판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거리조절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이 상기 연결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져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대안치홈은 세로대받침대에 세로대안치링을 설치하여 세로대안치링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대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로대와 수직을 이루도록 길이조절바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테이블의 세로대 중간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세로대의 중간을 고정시켜 세로대의 중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간지지수단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지지수단은 세로대의 중간을 눌러주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두 개 이상의 고정봉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는 용접을 하지 않고 가로대와 세로대를 결합하여 휀스를 제작함에 따라 용접과정에서 가로대와 세로대의 결합부분이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합부분이 부식에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세로대의 단부가 정렬되게 배치한 후 일측의 가로대를 이동시켜 세로대의 단부가 조립 홀에 끼워져 결합되게 함에 의해 다수의 세로대를 동시에 가로대와 조립할 수 있어 가로대와 세로대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로대푸싱수단을 구성하는 거리조절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거리조절바를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의 일예의 작동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가로대푸싱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중간지지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거리조절바의 서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휀스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고 가로대와 세로대를 결합하여 휀스를 제작함에 따라 용접과정에서 가로대와 세로대의 결합부분이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합부분이 부식에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대푸싱수단을 구성하는 거리조절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거리조절바를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가로대(100) 사이에 다수의 세로대(200)를 설치하여 구성된 휀스를 조립하는 조립장치로, 도 1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가 설치되는 평평한 판체 형태의 지지테이블(10); 상기 가로대 중 어느 일측의 가로대를 고정시키는 가로대고정수단(20); 타측 가로대를 밀어 가로대 사이에 놓은 세로대의 양 단부가 각 세로대에 형성된 조립홀(100h)에 끼워지게 하는 가로대푸싱수단(30); 중간에 다수의 세로대안치홈(40g)이 형성되어 다수의 세로대 각각이 단부가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정렬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세로대받침대(4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가로대푸싱수단(30)을 변형하여 이를 구성하는 거리조절바의 조립구조를 변형함에 의해 거리조절바의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거리조절바의 분해조립의 번거로움을 해소한 것이다.
먼저, 상기 지지테이블(10)은 다수의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적당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작업자의 조건에 맞추어 지지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잇게 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고정수단(20)은 가로대 중 일측의 가로대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고, 작업자와 대향되는 면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모서리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안쪽에는 다수의 지지턱(20d)이 형성되어 가로대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지지되게 하였다.
상기 가로대고정수단의 지지턱 상부에는 이탈방지턱을 더 형성하여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가로대가 위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푸싱수단(30)은 고정된 가로대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가로대를 밀어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가로대의 일측 벽과 대향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상을 이루는 푸싱로드(31)와, 상기 푸싱로드를 세로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로드작동수단(32); 상기 푸싱로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바(3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가로대푸싱수단(30)은 거리조절바(34)를 더 구비하되, 이는 양단에는 각각 걸림홈(34g)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걸림턱(35d)이 형성된 연결판(35)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거리조절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이 상기 연결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져 탈착되게 함에 따라 이를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상기 푸싱로드(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상을 이루고, 안쪽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지지턱(31d)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푸싱로드의 지지턱 상부에도 이탈방지턱을 더 형성하여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가로대가 위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푸싱로드(31)의 양단에는 축공이 형성된 이동체(31m)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축공을 관통하여 가이드바(33)를 설치하여 가이드바를 따라 푸싱로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즉, 지지테이블에 고정된 가이드바(33)를 따라 이동체(31m)가 이동됨에 따라 푸싱로드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드작동수단(32)은 푸싱로드를 밀어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신축실린더(32c)와, 일측 단부는 상기 신축실린더의 신축로드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푸싱로드에 힌지 결합되어, 신축로드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대(32r)와, 상기 회동대의 중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축(32h)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드작동수단(32)은 신축실린더의 신축로드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대가 회동하고, 회동대의 회동에 의해 푸싱로드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가로대를 밀어 이동시킨다.
한편, 휀스는 다양한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가로대(100)들 사이에 설치되는 세로대(200)들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가로대와 가로대 사이의 거리 즉, 휀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높이의 휀스를 조립할 수 있기 위해서는 세로대의 길이에 맞추어 푸싱로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푸싱로드가 테이블의 단부에 가깝게 놓여야 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푸싱로드가 테이블의 안쪽에 놓여야 한다.
이렇게 달라지는 푸싱로드에 로드작동수단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의해서는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에 거리조절바(34)를 더 설치하였다.
상기 거리조절바(3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바(34)는 상기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는 각각 걸림홈(34g)가 형성어 있어 그 단부에 걸림턱(34d)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이 걸리도록 상기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연결판을 설치하되, 이 연결판(35)은 걸림홈(35g)의 단부에 각각 걸림턱(35d)이 형성되어 상기 거리조절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이 상기 연결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져 탈착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바(34) 중 길이가 짧은 것의 경우 두 연결판 사이의 좁은 폭에 끼워 넣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34h)를 더 설치하여 이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분해조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세로대받침대(40)는 세로대의 하부를 받쳐 세로대의 양단이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대응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봉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측 가로대가 밀릴 때 세로대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대받침대(40)는 세로대들이 조립홀과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함에 따라 조립홀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세로대안치홈(40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대안치홈(40g)은 받침대를 구성하는 원형봉의 외주면에 직접 형성할 수 있으나, 세로대들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세로대안치링(41)를 원형봉에 설치하여 세로대안치링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이 세로대안치링(41)의 외주면에 세로대안치홈(40g)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로대와 수직을 이루도록 길이조절바(5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바(50)는 일측 단부가 상기 가로대고정수단의 안쪽에 대향되고, 타측 단부는 타측 가로대가 이동하여 세로대의 단부가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끼워진 상태가 될 수 있는 위치까지 푸싱로드가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다.
즉, 상기 길이조절바(50)는 푸싱로드가 이동할 때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푸싱로드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바(50)는 휀스의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져야하고, 이를 지지테이블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이를 위해 지지테이블에 다수의 조절바지지구(51)를 설치하여 길이조절바(50)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바지지구(5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바가 끼우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휀스 조립장치는 상기 지지테이블의 세로대 중간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세로대의 중간을 고정시켜 세로대의 중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간지지수단(60)이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휀스는 다양한 높이로 제작될 수 있고, 높이는 세로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세로대의 길이가 길어지면 가로대푸싱수단으로 가로대를 멀 경우 세로대의 중간이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세로대의 중간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지지수단(60)을 더 설치한 것이다.
상기 중간지지수단(60)은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대의 중간을 눌러주는 고정봉(61)과, 상기 고정봉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두 개 이상의 고정봉지지대(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봉은 긴 봉 형태로 구성되고, 고정봉지지대(62)는 세로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턱(62d)과, 하부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세로대의 상부를 눌러주는 고정봉의 상부가 걸리는 상부걸림턱(62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간지지수단(60)은 하부지지턱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세로대를 가로질러 고정봉을 설치하되, 고정봉이 상부걸림턱에 걸리게 함에 의해 고정봉이 세로대의 상부를 지지하여 세로대의 중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10: 지지테이블
20: 가로대고정수단
20d: 지지턱
30: 가로대푸싱수단
31: 푸싱로드 31d: 지지턱
31m: 이동체
32: 로드작동수단 32c: 신축신린더
32r: 회동대 32h: 회동지지축
33: 가이드바
34: 거리조절바 34h: 손잡이
34g: 걸림홈 34d: 걸림턱
35: 연결판
35g: 걸림홈 35d: 걸림턱
40: 세로대받침대
40g: 세로대안치홈
41: 세로대안치링
50: 길이조절바
51: 조절바지지구
60: 중간지지수단
61: 고정봉
62: 고정봉지지대 62d: 하부지지턱
62t: 상부걸림턱
100: 가로대
100h: 조립홀
200: 세로대

Claims (5)

  1. 상하의 가로대(100) 사이에 다수의 세로대(200)를 설치하여 구성된 휀스를 조립하는 조립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설치되는 평평한 판체 형태의 지지테이블(10); 상기 가로대 중 어느 일측의 가로대를 고정시키는 가로대고정수단(20); 타측 가로대를 밀어 가로대 사이에 놓은 세로대의 양 단부가 각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100h)에 끼워지게 하는 가로대푸싱수단(30); 중간에 다수의 세로대안치홈(40g)가 형성되어 다수의 세로대 각각이 단부가 가로대에 형성된 조립홀에 정렬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세로대받침대(40)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푸싱수단(30)은 가로대를 향한 면에 다수의 지지턱(31d)이 형성되고 가로대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푸싱로드(31); 상기 푸싱로드를 세로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로드작동수단(32); 상기 푸싱로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바(33); 및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바(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대안치홈(40g)은 세로대받침대에 세로대안치링(41)을 설치하여 세로대안치링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로대와 수직을 이루도록 길이조절바(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의 세로대 중간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세로대의 중간을 고정시켜 세로대의 중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간지지수단(6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로드작동수단(32)은 푸싱로드를 밀어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신축실린더(32c)와, 일측 단부는 상기 신축실린더의 신축로드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푸싱로드에 힌지 결합되어, 신축로드가 신축됨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대(32r)와, 상기 회동대의 중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축(32h)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리조절바(34)의 양단에는 각각 걸림홈(34g)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대 상단과 푸싱로드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걸림턱(35d)이 형성된 연결판(35)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거리조절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이 상기 연결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져 탈착되게 하되,
    상기 거리조절바(34)에는 손잡이(34h)를 더 설치하여 이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분해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수단(60)은 세로대의 중간을 눌러주는 고정봉(61)과, 상기 고정봉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두 개 이상의 고정봉지지대(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KR1020220150363A 2022-11-11 2022-11-11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KR10252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363A KR102529490B1 (ko) 2022-11-11 2022-11-11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363A KR102529490B1 (ko) 2022-11-11 2022-11-11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490B1 true KR102529490B1 (ko) 2023-05-08

Family

ID=8638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363A KR102529490B1 (ko) 2022-11-11 2022-11-11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4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223A (ko) 1994-02-25 1995-09-15 김중삼 조립식 난간
KR20090085187A (ko) 2008-02-04 2009-08-07 주식회사 승일실업 난간 조립장치
KR20130066046A (ko)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승일실업 난간대의 제작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
KR102339094B1 (ko) 2020-06-26 2021-12-15 (유)원테크 칸막이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KR20220013996A (ko) * 2020-07-28 2022-02-04 송수연 장부 맞춤형 울타리
KR102431956B1 (ko) * 2022-01-10 2022-08-12 현대휀스개발(주)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223A (ko) 1994-02-25 1995-09-15 김중삼 조립식 난간
KR20090085187A (ko) 2008-02-04 2009-08-07 주식회사 승일실업 난간 조립장치
KR20130066046A (ko)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승일실업 난간대의 제작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
KR102339094B1 (ko) 2020-06-26 2021-12-15 (유)원테크 칸막이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KR20220013996A (ko) * 2020-07-28 2022-02-04 송수연 장부 맞춤형 울타리
KR102431956B1 (ko) * 2022-01-10 2022-08-12 현대휀스개발(주)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143B1 (ko)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101968222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2431956B1 (ko)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JP7316728B2 (ja) 日除け
KR102529490B1 (ko)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WO2012014581A9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RU2143534C1 (ru) Зажи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сборк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изготовленных фасонных прутков в подмости
JP2019094713A (ja) 仮設足場用朝顔装置
KR101072752B1 (ko) 건물 외측 설치가 용이한 가설 작업대 및 가설 작업대 설치 구조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US3117350A (en) Portable bleacher
KR101702221B1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US20100089696A1 (en) Barrier Assembly
US201701220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and constructing fences
KR200489141Y1 (ko) 시스템 난간대
JP3903354B2 (ja) 移動観覧席
KR101757279B1 (ko)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설비를 구축하는 시스템
KR20140062232A (ko) 난간지주 설치용 지지장치
JP2020180508A (ja) 手摺支柱支持具
JP7051084B2 (ja) 仮設足場用長さ調整手摺構造
JPH0972096A (ja) 仮設手摺りユニット
EP3006648B1 (en) Guard rail
JP6292449B2 (ja) 壁つなぎ支持部材及び足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