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187A - 난간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난간 조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5187A KR20090085187A KR1020080010953A KR20080010953A KR20090085187A KR 20090085187 A KR20090085187 A KR 20090085187A KR 1020080010953 A KR1020080010953 A KR 1020080010953A KR 20080010953 A KR20080010953 A KR 20080010953A KR 20090085187 A KR20090085187 A KR 200900851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assembly
- plate
- vertical
- plat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막을 형성하기 위한 중앙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에 끼워 결합하면서 그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부 및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간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제1 조립부의 전후 제1 플레이트에 안착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 피스톤 로드와 제2 피스톤 로드를 통해 고정시킨 후 제2 조립부를 작동시켜 1차 조립하고, 1차 조립된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제3 조립부의 전후 제2 플레이트에 난간의 수평부와 함께 안착시킨 후 제3 피스톤 로드를 작동시켜 2차 조립이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시 난간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러 형태로 형성된 난간의 조립이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간 조립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울타리 조립장치, 펜스 조립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간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조립시 난간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러 형태로 형성된 난간의 조립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간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의 발코니 또는 테라스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난간은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외에도 그 형상이나 모양의 미려함을 통해 장식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난간은 각 구성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접에 의존하지 않고 돌기와 홈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난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중앙의 상하 수평간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간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중앙부; 상기 중앙부를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연결하면서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중앙부의 양측 결합단부와 수직부의 상단 결합단부에는 각각 그 직경과 일치 하는 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주직부의 일측 또는 양측 결합단부와 상기 수평부의 하측 결합단부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구성에 대응하여 형성된 돌기와 홈을 결합함으로써 용접시 용융 부분이 외부로 드러나서 미려함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난간의 각 부품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립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는 종래 난간 조립장치를 사용시 난간의 어느 한 부품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부품의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눌린 부분이 쉽게 찌그러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는 종래 난간 조립장치를 사용시 난간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그 부품의 고정 부분을 유연하게 대처하여 조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는 종래 난간 조립장치가 작동 중에 사람의 신체가 끼여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막을 형성하기 위한 중앙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에 끼워 결합하면서 그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부 및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간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안착시키도록 전후에 제1 플레이트를 대향 설치하되, 상기 전후 제1 플레이트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난간의 수직부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브래킷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브래킷을 관통하여 전후 작동하면서 난간의 중앙부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피스톤 로드를 형 성하고, 각 바닥에는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난간의 중앙부 또는 수직부가 밀리지않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2 피스톤 로드가 등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제1 조립부; 상기 제1 조립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립부에 지지되지 않은 다른 수직부 또는 중앙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좌우로 작동하는 제2 플레이트를 설치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안착된 난간의 중앙부 또는 수직부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 브래킷의 단부에는 상기 난간의 수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 또는 중앙부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제2 조립부; 및 상기 제1 조립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조립된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이송하여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난간의 수평부를 안착시키도록 전후 제3 플레이트를 대향 설치하되, 상기 전후 제3 플레이트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조립된 난간의 수직부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브래킷과 상기 안착된 수평부를 밀어 조립된 난간의 수지부 상단에 끼우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3 피스톤 로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3 조립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조립부와 제3 조립부의 전후 제1,3 플레이트는 전후 작동을 통해 난간의 크기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 조립부의 제2 브래킷은 2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전후 이동을 통해 각 수용홈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조립부의 제2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구성하 되, 상기 스위치는 이격된 상태로 동시에 누를 때만 작동이 시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 조립부를 구성하는 각 전후 제1,3 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각 전후 제1,3 플레이트 중 어느 한 방향의 플레이트는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한 방향의 플레이트를 안착시키기 위한 좌우 제1,3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3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3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결합된 플레이트를 전후 이송시키기 위한 제1,3 스크루;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2,3 피스톤 로드 및 제2 플레이트는 유압 또는 기압 실린더를 통해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에 의하면 난간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고 간편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에 의하면 여러 형태의 난간을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에 의하면 이격된 한 쌍의 스위치에 의해 작업자간 안전을 확인하면서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를 도시한 전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를 도시한 전체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난간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난간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 다른 형태의 난간이 조립되는 사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A-A선 단면도, 도 7은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의 지지블럭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난간(10)의 중앙부(12)와 수직부(14)를 제1 조립부(100)의 전후 제1 플레이트(120a, 120b)에 안착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 피스톤 로드(160a, 160b))와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를 통해 고정시킨 후 제2 조립부(200)를 작동시켜 1차 조립하고, 1차 조립된 난간(10)의 중앙부(12)와 수직부(14)를 제3 조립부(300)의 전후 제2 플레이트(320a, 320b)에 수평부(16)와 함께 안착시킨 후 제3 피스톤 로드(360)를 작동시켜 2차 조립이 완성되도록 구성한다.
먼저, 상기 난간(10)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중앙부(12)와 수직부(14) 및 수평부(1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부(12)는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막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수평간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간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무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14)는 상기 중앙부(12)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돌기(14a)를 통해 상기 중앙부(12)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에 끼워 결합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16)는 수직부(14)의 상단을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하측에 결합돌기(16a)를 통해 상기 수직부(14)의 상단 결합단부에 끼워 결합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난간(10)은 그 크기나 모양이 다양하므로 그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조립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난간 조립장치는 크게 제1 조립부(100)와 제2 조립부(200) 및 제3 조립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조립부(100)는 상기 난간(10)의 중앙부(12)와 수직부(14)를 안착시키도록 전후에 제1 플레이트(120a, 120b)를 대향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조립부(100)를 구성하는 전후 제1 플레이트(120a, 120b)는 후방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을 전후 이동되도록 하여 난간(10)의 크기에 따라 벌어진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데, 그 수단으로서 전방 제1 플레이트(120a) 하부의 좌우 양측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1 가이드레일(600a)을 구성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600a)에 안착된 전방의 제1 플레이트(120a)의 하부에는 제1 모터(640a)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스크루(620a)를 나사식 결합하여 제1 스크루(620a)의 회전을 통해 전후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전후 제1 플레이트(120a, 120b)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안착된 난간(10)의 수직부(14)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브래킷(140a, 140b)을 형성 하는 한편, 상기 제1 브래킷(140a, 140b)을 관통하여 전후 작동하면서 난간(10)의 중앙부(12)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피스톤 로드(160a, 160b)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40a, 160b)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에 의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전후 제1 플레이트(120a, 120b)의 각 바닥에는 난간(10)의 여러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난간(10)의 중앙부(12) 또는 수직부(14)가 밀리지않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를 등 간격으로 배열 형성한다. 즉,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제1 플레이트(120a, 120b)의 바닥에 1열 내지 3열 또는 그 이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제1 피스톤 로드(180a, 180b)가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다른 형태의 난간(10)에 대하여 간편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는 난간의 폭이나 크기에 따라서도 필요한 위치를 돌출시켜 간편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400)를 구성한다. 즉, 상기 각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는 실린더(미도시)의 압력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실린더에는 각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각 밸브(미도시)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각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로 연결되는 실린더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입력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난간(1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조립부(200)는 제1 조립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립 부(100)에 지지되지 않은 다른 수직부(14) 또는 중앙부(12)를 안착시킨 상태로 좌우로 작동하는 제2 플레이트(2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 플레이트(220)는 그 전후 단부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500a, 500b)는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한다. 즉,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를 작동시켜 제2 플레이트(220)가 전진하도록 하기 위한 온 스위치(500a, 500b)를 좌우 이격시켜 두 작업자가 서로 안전을 확인한 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제2 플레이트(220)가 후진하도록 하는 오프 스위치는 둘 중 어느 한 곳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일단에는 안착된 난간(10)의 중앙부(12) 또는 수직부(14)를 지지하는 블록 형태의 제2 브래킷(24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 브래킷(240)의 단부에는 상기 난간(10)의 수직부(14)에 형성된 결합돌기(14a) 또는 중앙부(12)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용홈(26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2 플레이트(220)가 전진시 상기 제2 브래킷(240)이 안착된 난간(10)의 중앙부(12) 또는 수직부(14)의 단부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중앙부(12)와 수직부(14)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단부 또는 결합돌기(14a)가 수용홈(260)에 끼워져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2 브래킷(240)은 2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사용자의 조절을 통해 전후 이동하면서 각 수용홈(26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난간(1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변경되는 결합단부 또는 결합돌기(14a)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 조립부(300)는 상기 제1 조립부(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조립된 난간(10)의 중앙부(12)와 수직부(14)를 이송하여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난간(10)의 수평부(!6)를 안착시키도록 전후 제3 플레이트(320a, 320b)를 대향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3 조립부(300)를 구성하는 전후 제3 플레이트(320a, 320b)는 후방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을 전후 이동되도록 하여 난간(10)의 크기에 따라 벌어진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데, 그 수단으로서 전방 제3 플레이트(320a) 하부의 좌우 양측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3 가이드레일(600b)을 구성하고, 상기 제3 가이드레일(600b)에 안착된 전방의 제3 플레이트(320a)의 하부에는 제3 모터(640b)에 의해 회전하는 제3 스크루(620b)를 나사식 결합하여 제3 스크루(620b)의 회전을 통해 전후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후 제3 플레이트(320a, 320b)의 전단에는 조립된 난간(10)의 수직부(14)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브래킷(340)을 형성하고, 후단에는 상기 안착된 수평부(16)를 밀어 조립된 난간(10)의 수지부(14) 상단에 끼우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3 피스톤 로드(360)를 등 간격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6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에 의해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난간 조립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간편하게 난간(10)을 조립할 수 있다.
먼저, 작업자는 난간(10)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제1,3 조립부(100, 300)의 제1,3 플레이트(120a, 120b, 320a, 320b)의 간격 및 제2 조립부(200)의 제2 브래 킷(240)의 간격을 조절한다. 물론, 상기 제1,3 플레이트(120a, 120b, 320a, 320b)의 간격 조절은 제어부(4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조립부(200)의 제2 브래킷(240) 간격은 작업자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1 조립부(100)의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에 대하여 돌출되는 위치를 제어부(400)에서 설정한다.
이어, 상기 난간(10)의 수직부(14)를 전후 제1 플레이트(120a, 120b)에 안착시킨 후 제2 피스톤 로드(180a, 180b)를 작동시켜 돌출시킴으로써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 후, 난간(10)의 중앙부(12)를 제2 플레이트(220)의 제2 브래킷(240)에 밀착시킨 상태로 전진시켜 난간(10)의 수직부(14)와 중앙부(12)의 상호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1차 조립과정을 거쳐서 중앙부(12)와 수직부(14)를 2~5차례 연결하여 필요한 길이로 형성한 후, 제3 조립부(300)로 밀어 수평부(16)를 조립하게 된다. 즉, 상기 1차 조립된 난간(10)을 전후 제3 플레이트(320a, 320b)에 안착시킨 후, 안착된 난간(10)의 수직부(14) 하단은 제3 브래킷(340)에 지지되도록 하고, 난간(10)의 수직부(14) 상단측에는 수평부(16)를 위치시킨 상태로 그 상단이 제3 피스톤 로드(36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60)를 작동시킴으로써, 1차 조립된 난간(10)에 수평부(16)를 간편하게 결합 완료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를 도시한 전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를 도시한 전체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난간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난간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 다른 형태의 난간이 조립되는 사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A-A선 단면도.
도 7은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 조립장치의 지지블럭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난간 12: 중앙부
14: 수직부 14a: 결합돌기
16: 수평부 16a: 결합돌기
100: 제1 조립부
120a, 120b: 제1 플레이트 140a, 140b: 제1 브래킷
160a, 160b: 제1 피스톤 로드 180a, 180b: 제2 피스톤 로드
200: 제3 조립부
220: 제2 플레이트 240: 제2 브래킷
260: 수용홈
300: 제3 조립부
320a, 320b: 제3 플레이트 340: 제3 브래킷
360: 제3 피스톤 로드
400: 제어부 500a, 500b: 스위치
600a, 600b: 제1,3 가이드레일 620a, 620b: 제1,3 이송스크루
640a, 640b: 제1,3 모터
Claims (6)
-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막을 형성하기 위한 중앙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에 끼워 결합하면서 그 하단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부 및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로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간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장치에 있어서,상기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안착시키도록 전후에 제1 플레이트를 대향 설치하되, 상기 전후 제1 플레이트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난간의 수직부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브래킷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브래킷을 관통하여 전후 작동하면서 난간의 중앙부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피스톤 로드를 형성하고, 각 바닥에는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난간의 중앙부 또는 수직부가 밀리지않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2 피스톤 로드가 등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제1 조립부;상기 제1 조립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립부에 지지되지 않은 다른 수직부 또는 중앙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좌우로 작동하는 제2 플레이트를 설치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안착된 난간의 중앙부 또는 수직부를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 브래킷의 단부에는 상기 난간의 수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 또는 중앙부의 양측에 돌출된 결합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제2 조립부; 및상기 제1 조립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조립된 난간의 중앙부와 수직부를 이송 하여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난간의 수평부를 안착시키도록 전후 제3 플레이트를 대향 설치하되, 상기 전후 제3 플레이트의 각 전단과 후단에는 조립된 난간의 수직부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브래킷과 상기 안착된 수평부를 밀어 조립된 난간의 수지부 상단에 끼우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3 피스톤 로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3 조립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와 제3 조립부의 전후 제1,3 플레이트는 전후 작동을 통해 난간의 크기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 조립부의 제2 브래킷은 2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전후 이동을 통해 각 수용홈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부의 제2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구성하되, 상기 스위치는 이격된 상태로 동시에 누를 때만 작동이 시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조립부를 구성하는 각 전후 제1,3 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각 전후 제1,3 플레이트 중 어느 한 방향의 플레이트는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한 방향의 플레이트를 안착시키기 위한 좌우 제1,3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3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3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결합된 플레이트를 전후 이송시키기 위한 제1,3 스크루;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피스톤 로드 및 제2 플레이트는 유압 또는 기압 실린더를 통해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0953A KR101298673B1 (ko) | 2008-02-04 | 2008-02-04 | 난간 조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0953A KR101298673B1 (ko) | 2008-02-04 | 2008-02-04 | 난간 조립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5187A true KR20090085187A (ko) | 2009-08-07 |
KR101298673B1 KR101298673B1 (ko) | 2013-08-21 |
Family
ID=4120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0953A KR101298673B1 (ko) | 2008-02-04 | 2008-02-04 | 난간 조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867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673B1 (ko) * | 2011-12-12 | 2013-10-14 | 주식회사 승일실업 | 난간대의 제작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 |
KR102431956B1 (ko) | 2022-01-10 | 2022-08-12 | 현대휀스개발(주) |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
KR102529490B1 (ko) | 2022-11-11 | 2023-05-08 | 현대휀스개발(주) |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4296Y1 (ko) | 1996-11-22 | 1999-06-15 | 이범재 | 울타리 조립장치 |
KR200144297Y1 (ko) | 1996-11-28 | 1999-06-15 | 이범재 | 울타리 조립장치 |
KR100219372B1 (ko) | 1996-12-30 | 1999-09-01 | 이범재 | 울타리 조립장치 |
KR200216658Y1 (ko) | 2000-09-08 | 2001-03-15 | 권영만 | 울타리 조립장치 |
-
2008
- 2008-02-04 KR KR1020080010953A patent/KR10129867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673B1 (ko) * | 2011-12-12 | 2013-10-14 | 주식회사 승일실업 | 난간대의 제작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 |
KR102431956B1 (ko) | 2022-01-10 | 2022-08-12 | 현대휀스개발(주) |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
KR102529490B1 (ko) | 2022-11-11 | 2023-05-08 | 현대휀스개발(주) |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8673B1 (ko) | 2013-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0780B1 (ko) | 프로파일 레일 시스템 | |
US20170202717A1 (en) | Bed, preferably hospital or care bed | |
KR20090085187A (ko) | 난간 조립장치 | |
AU2002340679A1 (en) | Parity mirroring between controllers in an active-active controller pair | |
GB0121732D0 (en) | Tilt adjustment assembly for reclining chair | |
DE60327092D1 (de) | Ismus zum drehen und strecken | |
CA2643365A1 (en) | Segregator barriers | |
CN109476454A (zh) | 用于克服高度差的移动辅助设备 | |
US20180177300A1 (en) | Rocker style chairs, modular components for use within rocker style chairs and parts for use within the modular components | |
KR101099043B1 (ko) | 전동 이젤 | |
KR101955591B1 (ko) | 실내용 가변형 흡음장치 | |
CN113027076A (zh) | 一种防火门安装施工方法 | |
KR20140067479A (ko) | 관람용 의자 조립체 | |
KR102190606B1 (ko) | 원터치 타입 스프링 쿨러용 밸브 커넥터 승하강 조절장치 | |
KR100945187B1 (ko) | 조립식 계단 | |
KR20210091124A (ko) | 베드장치 | |
KR101314673B1 (ko) | 난간대의 제작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 | |
KR100457236B1 (ko) | 고층에 위치한 미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 장치 | |
KR200481575Y1 (ko) | 전동수동겸용 병원침대 전동전환장치 | |
GB2405085B (en) | Child safety chair with a position-adjusting mechanism | |
KR200454208Y1 (ko) | 실외기 설치 장치 | |
KR102529490B1 (ko) |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 |
CN219298949U (zh) | 一种建筑用警示栏 | |
CN214828289U (zh) | 一种轨道交通扶梯用毛刷 | |
CN215482576U (zh) | 一种可倚靠式护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