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124A - 베드장치 - Google Patents

베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124A
KR20210091124A KR1020217010218A KR20217010218A KR20210091124A KR 20210091124 A KR20210091124 A KR 20210091124A KR 1020217010218 A KR1020217010218 A KR 1020217010218A KR 20217010218 A KR20217010218 A KR 20217010218A KR 20210091124 A KR20210091124 A KR 20210091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d
shaft
arm
clim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쿠 테스야
이시바쉬 슈니치
Original Assignee
후란스 벳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란스 벳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란스 벳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35257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00391A1/ja
Publication of KR2021009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베드장치는 베드 프레임, 상판체, 등판 올림 기구, 작동축, 장착부재, 동력전달부재,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상판체는 고정상판부와, 중앙 등부분 및 이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앞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가지고 고정상판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등판부를 구비한다. 등판 올림 기구는 등판부를 기복시킨다. 작동축은 중앙 등부분의 배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장착부재는 작동축의 중도부에 설치된다. 동력전달부재는 장착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이 등판부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했을 때에 장력이 발생하는 부분에 고정되며, 이 장력에 의해 작동축을 회동시킨다. 가압부재는 작동축의 양단부에 각도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축이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동시켜졌을 때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작동위치와,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일 없는 비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결정된다.

Description

베드장치
본 발명은 몸이 불편한 이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등판 올림식 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몸이 불편한 이용자가 사용하는 베드장치로서, 등판 올림식 베드장치가 알려져 있다. 등판 올림식 베드장치에서는 베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판체가 등판부, 허리판부, 다리판부 등의 여러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들 상판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등판부는 이용자의 상반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등판 올림식 기구에 의해 기복시키도록 구동 가능하다.
상술한 등판 올림식 베드장치에 있어서, 체력이 저하된 이용자 등의 경우, 상기 등판부를 기상시켜 상반신이 일으켜 세워졌을 때, 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옆쪽으로 쓰러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반신이 일으켜 세워진 이용자가 옆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베드장치에 있어서, 등판부는 중앙 등부분과, 이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등판부는 발포 수지제로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의 배면에는 각각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돌출부에는, 등판을 올릴 때에 상단이 되는 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등판 올림 상판부를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암에는, 등판 올림 롤러 외에 밀어올림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밀어올림 롤러는, 등판 올림 암을 상승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등판 올림 상판부를 기상시킬 때, 일으켜 세워지는 측부 등부분의 배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경사면으로부터 타고 올라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높이에 따라 측부 등부분은 중앙 등부분의 전면측에 가압된다.
이때,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은 중앙 등부분에 연결된 폭방향의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에 의해 상반신이 일으켜 세워진 이용자의 두부가 옆쪽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특허문헌 1 : 한국 특허 제3910873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측부 등부분을 경사시키는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등판 올림 암에 밀어올림 롤러를 설치하고, 측부 등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즉, 등판부를 허리판부에 대해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기구를 구성하는 등판 올림 암에 측부 등부분을 경사시키는 기구를 구성하는 밀어올림 롤러를 설치하거나, 측부 등부분의 배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게다가, 등판 올림 암, 밀어올림 롤러 및 돌출부를 서로 연관되도록 위치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등판 올림 기구와 측부 등부분을 경사시키는 기구와의 상대적인 조립 정밀도나 제작 정밀도가 요구되게 되기 때문에, 그 제조나 조립 작업에 수고가 든다.
본 발명은 등판 올림 기구와 분리된 기구에 의해, 등판부의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마련된 측부 등부분을 등판 올림시에 앞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베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베드장치는,
베드 프레임과,
상기 베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상판부와, 중앙 등부분 및 이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앞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가지고 상기 고정상판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등판부를 구비한 상판체와,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를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기구와,
축선을 상기 중앙 등부분의 폭방향에 따르게 하여 상기 중앙 등부분의 배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작동축과,
이 작동축의 중도부에 설치된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등판 올림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등판부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했을 때에 장력이 발생하는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축을 소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작동축의 양단부에 작동축의 둘레방향에 대해 각도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작동축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동시켜졌을 때, 한 쌍의 상기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작동위치와,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일 없는 비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결정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등판부를 기상시킨 베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베드장치의 상판체를 도복(倒伏)시킨 사시도.
도 3은 베드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상판체를 기복구동하는 구동기구의 설명도.
도 5는 상판체의 등판부, 제 1, 제 2 허리판부 및 고정상판부의 배면측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등판부의 측부 등부분을 등판 올림 구동에 따라 구동하는 와이어의 팽팽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작동축의 일단부의 평면도, 도 7(b)는 해당 일단부의 측면도.
도 8은 등판부를 기상시켰을 때, 등판부를 전방으로 경사시키지 않는 상태의 헤드 업 기구를 나타낸 상판체의 측면도.
도 9는 등판부를 기상시켰을 때, 등판부를 전방으로 경사시킨 상태의 헤드 업 기구를 나타낸 상판체의 측면도.
도 10(a)는 등판부의 측부 등부분이 중앙 등부분의 전면측으로 경사시켜져 있지 않은 상태의 배면도, 도 10(b)는 측부 등부분을 중앙 등부분의 전면측으로 경사시킨 상태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상판체의 등판부, 제 1, 제 2 허리판부 및 고정상판부의 배면측을 나타낸 도면.
도 12(a)는 도 11에 나타낸 상판체의 측면도, 도 12(b)는 등판부를 헤드 업 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경사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3(a)는 도 12(a)의 등판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13(b)는 도 12(b)의 등판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14(a)는 등판부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업 기구와 헤드 업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b)는 이들 정면도, 도 14(c)는 이들 측면도.
도 15는 헤드 업 기구의 장착암과 가동암의 연결부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베드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베드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베이스 프레임(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 프레임(1)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그 네 모서리부에는 설치용 다리(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용 다리(2) 대신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의 네 모서리부의 상면에는 상하 구동기구(3)를 구성하는 연결로드(4)(3군데만 도시)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각각 후술하듯이 구성된 직사각형 틀 형태의 베드 프레임(5)의 네 모서리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연결로드(4)는 연동 링크(미도시)를 통해 상하용 구동원(6)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구동된다. 즉, 연결로드(4)는 베이스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수평으로 도복된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낸 기상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에 따라, 베드 프레임(5)은, 도 1에 나타낸 하강 위치로부터, 도 2에 나타낸 상승 위치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드 프레임(5)은 직사각형 틀 형태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부(11)를 갖는다. 본체 프레임부(1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조정 프레임(12)이 홀딩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부(1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에 설치된 한 쌍의 조정 프레임(12)은,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또한 소정의 이동 위치에서 스토퍼 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가능하다.
즉, 베드 프레임(5)의 전체 길이는, 본체 프레임부(11)에 대한 조정 프레임(12)의 장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용자의 신장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한 쌍의 조정 프레임(12)의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부재(14)의 양단에는 각각 암부재(15)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암부재(15)의 타단은 조정 프레임(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재(14)는,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프레임(12)의 측부에 접근하는 위치와,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프레임(12)의 측부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지지부재(14)의 상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지지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공(16)에는, 지지부재(14)를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측면 울타리(미도시)의 한 쌍의 다리부가 삽입된다.
조정 프레임(12)의 단변부(短邊部)에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보드 및 풋 보드가 되는 보드체(17)가 하단부를 연결하여 선 자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부(11)의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부재(14) 사이의 부분에 장식부재(18)가 설치된다. 장식부재(18)는, 지지부재(14)가 조정 프레임(12)의 측변에 접근하는 위치로 위치결정되었을 때, 측면이 조정 프레임(12)의 측면과 거의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재(14)를 사용하지 않을 때, 지지부재(14)와 장식부재(18)가 일체가 되어 베드 프레임(5)의 측면에 단차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을 띠게 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드 프레임(5)의 상면에는 상판체(25)가 설치된다. 상판체(25)는 2개로 분할되어 본체 프레임부(11)의 길이방향의 중도부에 장착된 한 쌍의 고정상판부(26)를 갖는다.
한쪽 고정상판부(26)에는, 제 1 허리판부(27)와 제 2 허리판부(28)가 순차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허리판부(28)의 일측에는 연결부(29)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29)에는 등판부(31)가 연결되어 있다.
등판부(3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29)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중앙 등부분(32)과, 이 중앙 등부분(32)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을 갖는다. 중앙 등부분(32)은 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면 방향(전방)으로 회동가능하며, 측부 등부분(33)은 중앙 등부분(32)에 연결된 한쪽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면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다른 쪽 고정상판부(26)에는 한 쌍의 제 1 다리판부(35)와 제 2 다리판부(36)가 순차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판체(25)의 제 1 허리판부(27)와 제 2 허리판부(28), 및 제 1 허리판부(35)와 제 2 허리판부(36)는 겹쳐진 2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각각 한 쪽 부재에 대해 다른 쪽 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가능한 다른 쪽 부재를 한 쪽 부재에 대해 이동시켰을 때, 소정의 이동 위치에서 다른 쪽 부재를 한 쪽 부재에 대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본체 프레임부(11)에 대해 조정 프레임(12)을 이동시킴으로써 베드 프레임(5)의 길이를 바꿨을 때, 상판체(25)를 베드 프레임(5)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드 프레임(5)에는, 도 4에 나타낸 등판 올림 기구(37)가 설치되어 있다. 상판체(25)는 등판 올림 기구(37)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도복된 상태로부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허리판부(27), 제 2 허리판부(28), 등판부(31), 제 1 허리판부(35) 및 제 2 허리판부(36)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등판 올림 기구(37)는, 구동원(미도시)을 내장한 구동부(38)를 갖는다. 이 구동부(38)에는 제 1 구동축(41)과 제 2 구동축(42)이 축선을 평행하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동축(41, 42)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동된다.
제 1 구동축(41)과 제 2 구동축(42)의 양단부는 베드 프레임(5)의 본체 프레임부(11)의 양측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구동축(41)과 제 2 구동축(42)의 축방향의 일단부에는 각각 링크(43)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링크(43)에는 연결암(44)의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축(41)이 회전구동되면, 그 회전에 제 2 구동축(42)이 연결암(44)을 통해 연동한다.
제 1 구동축(41)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등판 올림 암(45)이 기단부를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등판 올림 암(45)의 선단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한 쌍의 등판 올림 롤러(4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구동축(42)의 양단부에는 장착 링크(47)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장착 링크(47)의 타단에는, 선단에 다리 올림 롤러(4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리용 링크(49)의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리용 링크(49)의 기단에는 연동 링크(51)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연동 링크(51)의 타단은 제 2 구동축(4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구동축(42)이 제 1 구동축(41)에 연동하여 회전하면, 그 회전에 다리 올림 롤러(48), 연동 링크(51), 다리용 링크(49) 및 장착 링크(47)가 연동하여, 다리용 링크(49)의 선단에 설치된 다리 올림 롤러(48)가 하방 위치로부터 상승방향으로 구동된다.
그에 따라, 등판 올림 기구(3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도복된 상태의 상판체(25)를 구동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허리판부(27, 28) 및 등판부(31)를 기상시킨다. 또한, 등판 올림 기구(37)는 제 1 허리판부(35)를 굴곡시키면서 제 2 허리판부(36)를 상승시킨다.
도 5는 상판체(25)의 등판부(31)의 배면(등판부(31)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도복되었을 때의 하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허리판부(28)의 배면에는, 제 2 허리판부(28)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등판 올림 레일(53)이 고정되어 있다.
등판 올림 레일(53)은, 단면이 3개의 판상부를 갖도록 굴곡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제 1 허리판부(27)로부터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의 배면에 걸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등판 올림 레일(53)은, 도 4에 나타낸 등판 올림 롤러(46)가 구름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축(41)이 회전되어 등판 올림 암(45)이 기상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등판 올림 롤러(46)가 등판 올림 레일(53)을 따라 구름운동한다. 이때, 제 2 허리판부(28), 등판부(31) 및 제 2 허리판부(28)에 연동하여 제 1 허리판부(27)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복된 상태로부터, 도 1애 나타낸 바와 같이 일으켜 세워진 기상 상태로 구동된다.
이때, 제 1 구동축(41)에 제 2 구동축(42)을 연동시키면, 제 1 허리판부(35)와 제 2 허리판부(36)를 상승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동축(42)을 제 1 구동축(41)에 대해 연동시키는지 여부는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판체(25)에 있어서, 한 쌍의 등판 올림 레일(53)보다도 폭방향의 내측에는 한 쌍의 헤드 업 레일(55)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헤드 업 레일(55)의 일단은 제 1 허리판부(27)의 하면(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헤드 업 레일(5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을 그 기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쓰러뜨리기 위해 이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의 배면에는, 한 쌍의 등판 올림 레일(53)의 선단보다도 상측에 중공 형태의 작동축(56)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축(56)의 양단부는 홀딩구(5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홀딩되어 있다.
작동축(56)의 축방향의 중도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장착부재로서의 암(58)이 일단을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암(58)의 타단에는 전도부재인 와이어(59)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 와이어(59)는 롤러(60)에 결합되어 중앙 등부분(32)의 배면에 접근하도록 방향전환되고, 타단은 제 2 허리판부(28)의 배면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등판 올림 레일(53)의 제 2 허리판부(28)측에 위치하는 일단부에는, 가로부재(61)가 양단을 고정하여 가설되어 있다. 이 가로부재(61)의 중도부에는 홀딩구(62)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딩구(62)에는 풀리(63a)가 장착된 권취축(6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권취축(63)의 일단부에는 예를 들면 너트 등의 조임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임부재(64)에 의해 권취축(63)을 회전불가능하게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권취축(63)의 풀리(63a)에 의해, 와이어(59)의 일단부가 권취된다. 따라서, 풀리(63a)에 의한 와이어(59)의 권취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와이어(59)의 암(58)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권취축(63)측의 타단까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등판 올림 기구(37)에 의해 등판부(31)가 제 1, 제 2 허리판부(27, 28)를 굴곡시키면서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 와이어(59)는 일단과 타단을 잇는 직선 거리가 작아져서 장력이 생기게 된다.
와이어(59)에 장력이 생기면, 그 긴장이 암(58)을 통해 작동축(56)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작동축(56)은 암(58)의 선단측이 중앙 등부분(32)의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59)의 타단은 홀딩구(62)의 권취축(63)에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감겨 있다. 한편, 상판체(25)의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상판체(25)의 길이를 이용자의 신장 등에 따라 변경했을 때, 그 길이 변경에 따라 와이어(59)의 타단의 권취축(63)에 대한 권취량이 조정되어, 와이어(59)의 전체길이가 달라진다. 그에 따라, 상판체(25)의 길이를 바꾸어도, 등판부(31)를 일정한 장력으로 확실하게 기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59)의 타단이 한 쌍의 등판 올림 레일(53) 사이에 가설된 가로부재(61)에 설치된 홀딩구(62)에 고정된다. 다른 예로서, 와이어(59)의 타단은, 등판 올림 레일(53) 사이에 가설된 가로부재(61) 이외의 부위, 즉 등판부(31)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했을 때에, 와이어(59)에 장력이 발생하는 부분, 예를 들어 제 1 또는 제 2 허리판부(27, 28), 혹은 고정상판부(26) 등에 고정될 수도 있다.
작동축(56)의 양단부에는, 작동축(56)이 와이어(59)에 의해 회전시켜졌을 때, 등판부(31)의 측부 등부분(33)의 배면을 가압하여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롤러로 이루어진 가압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7(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축(56)의 단부에는 지지축(67)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지지축(67)의 타단부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지지축(67)의 선단면에 개방된 장착홈(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68)에는, 측면 형상이 L자형을 이룬 스토퍼 부재(69)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69)의 타단부와 지지축(6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새(71)가 형성되어 있어, 이 틈새(71)에 작동축(56)의 둘레벽의 둘레방향의 일단부가 파고들어가 있다.
스토퍼 부재(69)의 일단부에는 장착축(72)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축(72)의 축선은 지지축(67)의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45도 각도로 경사져 있다. 장착축(72)의 선단부에는 가압부재(6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작동축(56)의 양단부에는, 상하방향의 중도부가 지지축(67)의 외주면의 축방향을 따라 고착된 판 형태의 홀딩부재(73)가 설치되어 있다. 홀딩부재(73)의 상하방향의 양단부는 작동축(56)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홀딩부재(73)는, 스토퍼 부재(69)의 일측면측, 즉 작동축(56)이 중앙 등부분(32)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69)의 전면측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장착축(72)은 지지축(67)을 작동축(56)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축(72)의 축선이 작동축(56)의 축선에 대해 상방을 향해 경사진 상태(비작동위치)와, 이 비작동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하여 장착축(72)의 축선이 하방을 향해 경사진 상태(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스토퍼 부재(69)가 홀딩부재(73)의 높이방향의 하단부 혹은 상단부에 닿아 홀딩된다.
도 7(b)는 장착축(72)이 작동위치에 홀딩된 상태이어서, 스토퍼 부재(69)가 홀딩부재(73)의 상하방향의 하단부(73a)의 전면(前面)측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등판 올림시에, 와이어(59)의 장력으로 작동축(56)이 도 7(b)에 화살표 R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면, 홀딩부재(73) 및 작동축(56)을 통해 장착축(72)이 측부 등부분(33)의 배면측을 향해 회전한다.
장착축(72)이 회전하면, 그 선단부에 설치된 가압부재(66)가 측부 등부분(33)의 배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에 따라, 측부 등부분(33)은,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등부분(32)의 전면(前面)측으로 경사져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등부분(32)의 전면측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구동된다.
그 결과, 측부 등부분(33)은, 등판부(31)에 상반신이 지지된 이용자의 두부가 가로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가 된다.
측부 등부분(33)은,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중앙 등부분(32)의 전면(前面)측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66)에 의해 전방으로 기상시켜진 측부 등부분(33)을 기상시켜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먼저 측부 등부분(33)을 가압부재(66)에 의해 기상시켜진 상태보다도 더욱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이어, 작동위치에 있는 장착축(72)을, 그 축선이 작동축(56)의 축선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비작동위치로 회전시키고, 그 위치에서 스토퍼 부재(69)를 홀딩부재(73)의 상단부(73b)에 결합시켜 장착축(72)을 홀딩한다.
그에 따라, 가압부재(66)에 의한 측부 등부분(33)의 홀딩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측부 등부분(33)을 경사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장착축(72)을 비작동위치에 홀딩한 상태에서 등판부(31)를 기상시키면, 측부 등부분(33)을 전방으로 경사시키는 일 없이, 등판부(31)를 기상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등판부(31)의 등판 올림시에, 스토퍼 부재(69)를 회전시켜, 가압부재(66)를 작동위치 또는 비작동위치에 위치결정함으로써, 측부 등부분(33)을 기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을 전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기구를 사이드 업 기구(74)라고 부른다.
제 2 허리판부(28)의 연결부(29)에 대해 하단이 앞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중앙 등부분(32)은,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헤드 업 기구(75)에 의해 전방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헤드 업 기구(75)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이 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상하방향이라 한다)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헤드 업 가이드(76)를 갖는다. 한 쌍의 헤드 업 가이드(76)의 상단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사이에는 지지축(77)의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77)의 단부에는, 각각 헤드 업 암 (78)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헤드 업 암(78)의 타단에는, 헤드 업 레일(55)에 결합된 헤드 업 롤러(7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헤드 업 가이드(76)의 측면에는, 원호 형태의 제 1 가이드 홈(81)과, 마찬가지로 원호 형태로, 제 1 가이드홈(81)과 동심적으로, 게다가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제 2 가이드 홈(82)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가이드홈(81)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형태의 위치결정부재(83)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83)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암부재(8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암부재(84)의 타단은 연결로드(85)에 연결되어 있다.
암부재(84)의 중도부에는, 일단을 암부재(84)에 고착하고, 타단측을 제 2 가이드홈(82)으로부터 헤드 업 가이드(76)의 외면측으로 돌출시킨 로드 형태의 조작부재(86)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83)가 제 1 가이드 홈(81)의 일단측에 위치할 때, 일단에 설치된 헤드 업 롤러(79)를 헤드 업 레일(55)에 결합시킨 헤드 업 암(78)은, 위치결정부재(83)에 의해 일측면이 가압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는 일 없는 상태에 있다. 그에 따라, 등판부(31)는, 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도복시키는 일이 없는 상태로 홀딩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86)에 의해 암부재(84)를 연결로드(85)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시켜, 위치결정부재(83)를 제 1 가이드홈(81)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위치결정부재(83)에 의해 헤드 업 암(78)의 중도부가 가압된다.
그에 따라, 헤드 업 암(78)은, 헤드 업 레일(55)에 결합된 헤드 업 롤러(79), 즉 헤드 업 암(78)이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일 타단측이 도 9에 화살표 W로 나타낸 등판부(31)의 전면측을 향해 회동한다.
그 결과, 등판부(31)는 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도복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등판부(31)에 상반신을 위치시킨 이용자의 두부가 전방으로 일으켜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판부(31)는, 이 등판부(31)를 기상시킨 후, 조작부재(86)를 조작하여 위치결정부재(83)를 제 1 가이드홈(8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등판부(31)가 도복된 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86)를 미리 조작하여 위치결정부재(83)를 제 1 가이드홈(8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시킨 후, 등판부(31)를 기상시키면, 그 기상에 따라 헤드 업 레일(55)의 제 2 허리판부(28)와 등판부(31)의 배면에 대향하는 타단부와의 간격이 도 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된다.
그에 따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83)에 의해, 헤드 업 암(78)이 가압되어 헤드 업 롤러(79)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로 홀딩되기 때문에, 등판부(31)가 전면(前面)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등판부(31)는, 이 등판부(31)를 등판 올림 기구(37)에 의해 상승방향으로 구동한 후, 조작부재(86)를 조작함으로써 전방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등판부(31)가 도복된 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86)을 조작하여 위치결정부재(83)를 제 1 가이드홈(8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시켜 두면, 등판부(31)를 기상시킴으로써, 그 기상에 연동하여 등판부(31)를 전방으로 도복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베드장치에 따르면,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을 등판부(31)의 기상에 따라 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축(56), 와이어(59) 및 가압부재(66) 등의 부재는, 등판부(31)를 기복구동하기 위한 등판 올림 기구(37)를 구성하는 부재의 동작이나 배치 등에 관련되는 일 없이, 상판체(25)의 배면측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등판 올림 기구(37)와 분리된 기구에 의해,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의 양측에 설치된 측부 등부분(33)을, 등판 올림시에 앞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등판 올림 기구(37)와의 상대적인 조립 정밀도나 제작 정밀도가 요구되는 일이 없는 기구에 의해 측부 등부분(33)을 등판 올림시에 앞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기구의 제조나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베드장치의 베드 프레임(5)과 상판체(25)는, 이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를 바꿀 수 있다. 베드 프레임(5)과 상판체(25)의 길이를 바꾸면, 등판 올림시에 측부 등부분(33)을 앞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59)의 길이를 조정해야만 한다.
암(58)을 통해 일단이 작동축(56)에 연결된 와이어(59)의 타단부는, 권취축(63)에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감겨져 있다. 그 때문에, 베드 프레임(5)과 상판체(25)의 길이를 바꿨을 때, 그 길이 변경에 따라 와이어(59)의 길이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베드 프레임(5)과 상판체(25)의 길이를 바꾼 경우일지라도, 등판 올림시에 등판부(31)의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을, 이용자의 두부를 홀딩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헤드 업 기구(75)는, 등판부(31)를 기상시키고나서 조작부재(86)에 의해 위치결정부재(83)를 제 1 가이드홈(81)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등판부(31)를 전방으로 경사시킨 상태로 홀딩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등판부(31)를 기상시키기 전에, 위치결정부재(83)를 제 1 가이드홈(81)에 따라 미리 이동시켜 두면, 등판부(31)를 등판 올림 기구(37)에 의해 기상시키는 동작에 연동시켜 등판부(31)를 전방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용자의 컨디션 등의 상황에 따라, 등판부(31)를 기상시킬 때에 전방으로도 경사시키거나, 등판부(31)를 기상시킨 후에 이 등판부(31)를 전방으로 경사시키거나, 경사시킨 등판부(31)를 경사져 있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하는 등, 등판부(31)를 경사시키는 상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베드장치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사이드 업 기구(74)는 등판부(31)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작동시킬 수 있으며, 헤드 업 기구(75)는 제 1 가이드홈(81)에 대한 위치결정부재(83)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사이드 업 기구(74)와 헤드 업 기구(75)는 따로따로 작동시키거나,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이용자의 체력 등의 상태에 따라, 사이드 업 기구(74)와 헤드 업 기구(75)를 구분하여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베드장치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상판체(25)에 제 1 및 제 2 허리판부(27, 28)를 설치하고, 이 제 2 허리판부(28)에 등판부(31)를 연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판체(25)에 제 1 및 제 2 허리판부(27, 28)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등판부(31)를 고정상판부(26)에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베드장치는 제 1 및 제 2 허리판부(27, 28)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을 고정상판부(26)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요컨대, 중앙 등부분(32)이 고정상판부(26)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도 6과 마찬가지로, 상판체(25)의 등판부(31), 제 1 및 제 2 허리판부(27, 28) 및 고정상판부(26)의 배면측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헤드 업 기구(75)를 구성하기 위해, 일단이 제 1 허리판부(27)의 하면(배면)에 고정된 헤드 업 레일(55)이나 헤드 업 암(78), 나아가 헤드 업 가이드(76) 등을 설치하도록 하였는데, 제 2 실시예에서는, 헤드 업 레일(55), 헤드 업 암(78) 및 헤드 업 가이드(76) 등을 사용하지 않고 헤드 업 기구(75)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헤드 업 기구를 나타내는 부호를 75A로 한다.
이하, 제 2 실시예의 헤드 업 기구(75A)에 대해 설명한다. 중앙 등부분(32)의 배면 상부에는 작동축(56)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축(56)은 한 쌍의 홀딩구(5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홀딩되어 있다. 작동축(56)의 양단부에는, 도 11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판 형태의 한 쌍의 장착암(101)의 일단부가 작동축(56)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장착암(101)의 타단부에는, 마찬가지로 띠판 형태의 가동암(102)의 일단부가 연결축(10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암(102)의 타단부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형태의 작동부재(104)가 지지축(10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동부재(104)와 지지축(105)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등판부(31)가 전방으로 경사지는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수단은 지지축(105)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작동부재(104)는 등판 올림 레일(53)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105)은, 등판 올림 레일(53)의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06)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등판 올림 레일(53)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장공(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등판 올림 레일(53)은, 상하방향에 대해 위치결정 제한되는 일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공(106)은, 실질적으로는 등판 올림 레일(53)의 등판부(31)측의 단부(상단부)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가동암(102)은, 잠금기구(108)에 의하여 장착암(101)에 대해 직선형이 된 상태에서 회동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기구(108)는, 도 13(a), (b)와 도 14(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장착암(101)의 길이방향의 중도부에 일단이 지지축(1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가동편(111)을 갖는다. 한 쌍의 가동편(111)의 타단에는, 잠금용 로드(112)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도 12(a)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암(102)의 일단부의 폭방향의 일측, 즉 연결축(103)에 의하여 장착암(101)에 연결된 부위보다도 말단측의 일측에는, 오목 형태의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a)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암(102)이 장착암(101)에 대해 굴곡된 상태로부터, 도 12(b)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암(101)에 대해 거의 직선형이 되도록 회동시킨 후, 가동편(111)을 지지한 지지축(110)을 지지점으로 하여 가동편(111)과 함께 잠금용 로드(112)를 회동시켜, 한 쌍의 가동암(102)의 결합부(113)에 탄성적으로 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도 12(b)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암(102)은 장착암(101)에 대해 거의 직선형이 된 상태로 회동불가능하게 홀딩된다.
장착암(101)과 가동암(102)이 굴곡된 상태로부터, 잠금기구(108)에 의해 직선형으로 홀딩되면, 장착암(101)이 장착된 작동축(56)을 통해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이 전방으로 가압된다.
그에 따라, 작동축(56)이 배면측에 설치된 등판부(31)는, 도 12(a) 및 도 13(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2(b)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허리판부(28)의 연결부(29)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틸팅된다.
이때, 가동암(102)의 타단에 설치되어 등판 올림 레일(53)의 장공(106)에 결합시킨 작동부재(104)는, 중앙 등부분(32)의 틸팅에 따라 등판 올림 레일(53)의 도 12(b)에서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작동부재(104)가 설치된 지지축(105)은, 등판 올림 레일(53)의 장공(106)에 결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등판부(31)는 잠금기구(108)에 의해 직선 형태로 홀딩된 장착암(101)과 가동암(102)이 이루는 길이 이상으로, 앞방향으로 도복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작동부재(104)는, 등판부(31), 즉 중앙 등부분(32)이 전방으로 너무 경사지는 일이 없도록 그 경사 각도를 제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헤드 업 기구(75A)는, 후술하는 사이드 업 기구(74)에 사용되는 작동축(56)에 장착암(101)과 가동암(102)을 장착한다.
또한, 등판 올림 레일(53)이 장공(106)에 삽입 관통된 지지축(105)을 통해 작동부재(104)를 홀딩하는 동시에, 잠금기구(108)에서는 장착암(10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가동암(102)이 잠금용 로드(112)에 의해 회동불가능하고 또한 직선 형태로 홀딩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의 헤드 업 기구(75A)에 따르면, 부품 점수의 감소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기구(108)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등판부(31)를 경사시키나 경사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도 용이하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의 사이드 업 기구(74)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업 기구(74)는, 등판 올림 기구(37)에 의해 상판체(25)의 등판부(31)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장력을 발생하고, 그 장력에 의해 작동축(56)을 소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로서의 와이어(59)를 갖는다.
와이어(59)는 아우터 튜브(121) 내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와이어(59)의 일단은, 제 1 허리판부(27)의 하면에 설치된 장착구(122)에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59)의 일단부는, 고정상판부(26)의 하면에 설치된 제 1 홀딩구(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롤러(124)에 결합되어 방향전환되어 있다.
아우터 튜브(121)는, 일단이 제 1 홀딩구(123)에 고정되어 있다. 즉, 와이어(59)의 일단부는, 아우터 튜브(121)의 일단과 장착구(122)와의 사이에서 아우터 튜브(121)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아우터 튜브(121)는, 중도부가 크게 처지게 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해당 중도부는 제 2 허리판부(28)의 배면(하면)에 설치된 클립(125)에 의해 홀딩되어 있다. 아우터 튜브(121)의 타단부는, 중앙 등부분(3)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 2 홀딩구(127)에 고정되어 있다.
아우터 튜브(121)의 타단으로부터 도출된 와이어(59)의 타단부는, 제 2 홀딩구(12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롤러(128)에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59)의 말단은, 작동축(56)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장착부재로서의 암(58)에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등판 올림 기구(37)에 의해 등판 올림 암(45)을 기상 방향으로 구동하여, 등판 올림 암(45)에 설치된 등판 올림 롤러(46)에 의해 등판 올림 레일(53)을 기상 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등판부(31)가 등판 올림 레일(53)에 연동하여 기상하기 때문에, 그 기상에 의해 와이어(59)에 장력이 생긴다. 와이어(59)에 장력이 발생하면, 그 장력에 의해 작동축(56)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된다.
작동축(56)의 양단부에는, 도 14(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재(66)가 작동축(56)의 둘레방향에 대해 각도변경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등판부(31)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어 작동축(56)이 와이어(59)에 의해 회동시켜지면, 가압부재(66)가 작동축(56)과 함께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여,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의 배면을 가압한다.
그에 따라,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은, 전방으로 회동하지 않은 비작동위치로부터 가압부재(66)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회동하는 작동위치로 변위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 등부분(33)의 배면의 가압부재(66)가 구름운동하는 배면의 부위에는, 가압부재(66)가 원활하게 구름운동하도록 평탄한 오목부(33a)로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부재로서의 와이어(59)는 아우터 튜브(12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등판 올림시에 와이어(59)에 장력이 발생했을 때, 와이어(59)는 아우터 튜브(121)에 삽입 관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원활하게 동작한다.
아우터 튜브(121)는, 와이어(59)와 함께 중도부를 처지게 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고정상판부(26)로부터 등판부(31)까지의 길이, 예를 들어 등판부(31)의 길이 치수를 이용자의 신장 등에 따라 길게 바꾼 경우일지라도, 처짐에 의해 다른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의 사이드 업 기구(74)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판상체(25)의 길이가 변경된 경우일지라도, 아우터 튜브(121)나 와이어(59)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의 베드장치의 헤드 업 기구(75A)에서, 장착암(101)에 대해 가동암(102)을 직선 형태로 회동시켜, 그 상태에서 가동암(102)을 잠금기구(108)에 의해 회동불가능하게 잠그면, 등판부(31)의 중앙 등부분(32)을 도 12(b)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경사시킨 상태로 홀딩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한 쌍의 측부 등부분(33)도 중앙 등부분(32)과 일체적으로 경사진다.
그에 따라, 경사진 중앙 등부분(32)에 의해 이용자의 두부를 일으킨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용자가 식사를 하기 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작동부재(104)를 지지한 지지축(105)은 등판 올림 레일(53)의 장공(106)에 결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잠금기구(108)에 의하여 장착암(101)에 대해 가동암(102)을 잠근 상태로 등판부(31)를 전방으로 경사시켰을 때, 장착암(101)과 가동암(102)가 이루는 길이 치수 이상으로 등판부(31)가 전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저지된다.
즉, 등판부(31)를 소정의 각도로 전방으로 경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무 경사지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동암(102)의 잠금기구(108)에 의한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중앙 등부분(32)이 도 12(a)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은 상태로 홀딩된다. 이때, 중앙 등부분(32), 즉 등판부(31)는, 외력이 가해지거나 하여도 와이어(59)에 의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덜컹거리는 것이 방지된다.
사이드 업 기구(74)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압부재(66)를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사이드 업 기구(74)는, 등판부(31)를 기상시켰을 때에, 측부 등부분(33)의 배면을 가압하면서 회동하여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상태와, 회동시키지 않고 측부 등부분(33)을 가압하지 않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따라서, 등판부(31)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헤드 업 기구(75A)와 사이드 업 기구(7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헤드 업 기구(75A)와 사이드 업 기구(74)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을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희망에 따른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업 기구(75A)는, 등판 올림 기구(37)를 구동하여 등판부(31)를 기상시킬지 여부에 상관없이, 잠금기구(108)에 의하여 장착암(101)에 가동암(102)을 회동불가능한 잠금상태로 홀딩하면, 중앙 등부분(32)을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제 2 실시예에서는, 등판 올림시에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수단인 동력전달부재로 와이어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동력전달부재로서는 와이어 대신 작동축을 동력전달모터 등의 회전구동원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구동원은 등판부의 등판 올림시에 등판 올림 기구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5 : 베드 프레임 11 : 본체 프레임부
12 : 조정 프레임 25 : 상판체
26 : 고정상판부 27 : 제 1 허리판부
28 : 제 2 허리판부 29 : 연결부
31 : 등판부 32 : 중앙 등부분
33 : 측부 등부분 35 : 제 1 허리판부
36 : 제 2 허리판부 37 : 등판 올림 기구
38 : 구동부 56 : 작동축
58 : 암(장착부재) 59 : 와이어(동력전달부재)
66 : 가압부재 69 : 스토퍼 부재
72 : 장착축 73 : 홀딩부재
74 : 사이드 업 기구 75 : 헤드 업 기구
76 : 헤드 업 가이드 79 : 헤드 업 롤러
81 : 제 1 가이드홈 82 : 제 2 가이드홈
83 : 위치결정부재 84 : 암부재
86 : 조작부재 101 : 장착암
102 : 가동암 104 : 작동부재(규제수단)
110 : 지지축(규제수단) 108 : 잠금기구
112 : 잠금용 로드

Claims (13)

  1. 베드 프레임과,
    상기 베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상판부와, 중앙 등부분 및 상기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앞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가지고 상기 고정상판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등판부를 구비한 상판체와,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를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기구와,
    축선을 상기 중앙 등부분의 폭방향에 따르게 하여 상기 중앙 등부분의 배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중도부에 설치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등판 올림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등판부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했을 때에 장력이 발생하는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축을 소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작동축의 양단부에 작동축의 둘레방향에 대해 각도가 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작동축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시켜졌을 때, 한 쌍의 상기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작동위치와,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일 없는 비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결정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2. 베드 프레임과,
    중앙 등부분, 및 상기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앞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포함하는 등판부를 구비한 상판체와,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를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기구와,
    축선을 상기 중앙 등부분의 폭방향에 따르게 하여 상기 중앙 등부분의 배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양단부에 상기 작동축의 둘레방향에 대해 각도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작동축이 회동시켜졌을 때, 한 쌍의 상기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작동위치와,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일 없는 비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결정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일단이 상기 작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축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암 형태이며, 상기 장착부재의 타단에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작동축에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상기 작동위치와 상기 비작동위치로 위치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작동축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토퍼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축선을 상기 작동축의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켜 설치되며, 선단에 상기 가압부재가 마련된 장착축과,
    상기 작동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해 상기 등판부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했을 때에, 상기 장착부재의 타단에 설치된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작동위치로 위치결정 홀딩하는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길이조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드 프레임은 길이조정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길이는 상기 베드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를 기상 방향으로 구동했을 때 상기 등판부의 상기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구동하는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와, 상기 등판 올림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가 중복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7. 베드 프레임과,
    상기 베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상판부, 상기 고정상판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허리판부, 및 등판부를 구비한 상판체와,
    상기 상판체의 상기 허리판부와 상기 등판부를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기구와,
    상기 등판부의 배면의 상기 허리판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측변에 원호 형태의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된 헤드 업 가이드와,
    일단이 상기 허리판부에 고정되어 상기 등판부와 상기 허리판부의 배면측에 걸쳐 설치된 헤드 업 레일과,
    일단이 상기 헤드 업 가이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헤드 업 레일에 구동운동가능하게 결합된 헤드 업 롤러를 가지며, 상기 헤드 업 롤러를 상기 헤드 업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업 가이드와 함께 상기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상기 등판부를 상기 허리판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헤드 업 암과,
    단부가 상기 제 1 가이드홈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일단에 위치할 때에 상기 헤드 업 암에 의해 상기 등판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지 않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타단에 위치할 때에 상기 헤드 업 암에 의해 상기 등판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 2 위치로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되는 위치결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업 가이드의 측변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홈과 늘어선 원호 형태의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일단이 상기 헤드 업 가이드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단부가 연결된 암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에는, 상기 암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조작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가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해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기 전의 도복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상기 제 2 위치로 위치결정해 둠으로써, 상기 등판부는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한 상기 등판부의 기상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도복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10. 베드 프레임과,
    상기 베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상판부와, 중앙 등부분 및 상기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앞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가지고 상기 중앙 등부분의 하단이 상기 고정상판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등판부를 구비한 상판체와,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를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기구와,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해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사이드 업 기구와,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해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상기 등판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헤드 업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 업 기구와 상기 헤드 업 기구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11. 베드 프레임과,
    상기 베드 프레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허리판부 및 상기 허리판부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등판부를 갖는 상판체와,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타단이 도복된 상태로부터 상승방향으로 회동되는 동시에 타단측에 등판 올림 롤러가 설치된 등판 올림 암과, 상기 허리판부의 하면측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등판 올림 롤러가 구름운동가능하게 결합된 등판 올림 레일을 가지며,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를 기복시키는 등판 올림 기구와,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해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상기 등판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헤드 업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업 기구는,
    축선을 상기 등판부의 폭방향에 따르게 하여 상기 등판부의 배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일단이 회동불가능하게 장착된 장착암과,
    상기 장착암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가동암과,
    상기 가동암을 상기 장착암에 대해 회동불가능하게 홀딩하여 상기 등판부를 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경사시키는 잠금기구와,
    상기 가동암의 타단에 상기 등판 올림 레일의 타단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잠금기구에 의해 상기 등판부가 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홀딩되었을 때, 상기 등판부가 전방으로 경사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중앙 등부분과, 상기 중앙 등부분의 양측에 앞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측부 등부분을 가지며,
    상기 베드장치는,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해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한 쌍의 상기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사이드 업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업 기구는,
    상기 등판 올림 기구에 의해 상기 상판체의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상기 작동축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작동축의 양단부에 상기 작동축의 둘레방향에 대해 각도가 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판부가 기상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작동축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동시켜졌을 때, 한 쌍의 상기 측부 등부분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위치와,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일 없는 비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결정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에 의해 상기 가동암을 상기 장착암에 일체화시키는지 여부의 설정, 및 상기 작동위치와 상기 비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로의 상기 가압부재의 설정에 의해, 상기 등판부의 기상 방향으로의 구동에 따라 상기 헤드 업 기구와 상기 사이드 업 기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장치.
KR1020217010218A 2018-11-15 2019-09-06 베드장치 KR202100911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4555 2018-11-15
JP2018214555 2018-11-15
JP2019012972A JP6818059B2 (ja) 2018-11-15 2019-01-29 ベッド装置
JPJP-P-2019-012972 2019-01-29
PCT/JP2019/035257 WO2020100391A1 (ja) 2018-11-15 2019-09-06 ベッ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124A true KR20210091124A (ko) 2021-07-21

Family

ID=7090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218A KR20210091124A (ko) 2018-11-15 2019-09-06 베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818059B2 (ko)
KR (1) KR20210091124A (ko)
CN (1) CN112912048B (ko)
DE (1) DE112019004757T5 (ko)
SG (1) SG11202103752QA (ko)
TW (1) TWI8114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1120B (zh) * 2021-03-09 2022-08-26 淄博市妇幼保健院(淄博市第三人民医院、淄博市妇女儿童医院) 一种多功能的医疗检测床
CN115153247B (zh) * 2022-06-30 2023-11-10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升降稳定性的电动床传动结构以及一种电动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873A (en) 1974-05-30 1975-10-07 Westvaco Corp Production of water-soluble polycarboxylic lignin by an oxygen-alkali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9086A1 (de) * 1986-11-14 1988-05-26 Horst Schuetten Umbaubare polsteranordnung
JPH0611281B2 (ja) * 1992-03-26 1994-02-16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背上げ連動型背ボトムを有するベッド
JP2595474B2 (ja) * 1994-11-17 1997-04-02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床部装着型側柵を備えたベッド
US5732423A (en) * 1995-08-04 1998-03-31 Hill-Rom, Inc. Bed side rails
CN2248553Y (zh) * 1995-11-21 1997-03-05 陈杰 卧坐多用床
WO2000006000A1 (fr) * 1998-07-31 2000-02-10 France Bed Co., Ltd. Matelas et lit
JP2001198164A (ja) * 2000-01-18 2001-07-24 Nippon Conveyor Co Ltd 介護ベッド
JP4588854B2 (ja) * 2000-09-13 2010-12-01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起床式ベッド装置
JP3910873B2 (ja) * 2002-03-29 2007-04-25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背上げ式ベッド装置
US9375374B2 (en) * 2010-04-09 2016-06-28 Hill-Rom Services, Inc. Siderail power communication interface
JP5555738B2 (ja) * 2012-04-11 2014-07-23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マットレス装置
JP6337371B2 (ja) * 2014-04-16 2018-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ベッド
CN104434434A (zh) * 2014-12-24 2015-03-25 广西大学 一种可滚动支撑杆式可控升降病床
CN104739596A (zh) * 2015-04-20 2015-07-01 南通亨特电器有限公司 一种自动翻转式电动护理床
CN204797269U (zh) * 2015-06-06 2015-11-25 王芳 多功能组合床
CN205698305U (zh) * 2016-03-22 2016-11-23 南通市亿控自动化系统有限公司 多功能疗养床
TWM546809U (zh) * 2017-03-09 2017-08-11 Tung Keng Enterprise Co Ltd 拱背式電動床
CN107137186A (zh) * 2017-06-03 2017-09-08 黄春明 一种安全型姿势调整护理床
CN107174432B (zh) * 2017-06-12 2020-02-14 中山天愈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护理床
CN108578116A (zh) * 2018-07-12 2018-09-28 天津芝铭科技有限公司 一种残疾人自助排便床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873A (en) 1974-05-30 1975-10-07 Westvaco Corp Production of water-soluble polycarboxylic lignin by an oxygen-alkali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12048B (zh) 2022-08-02
JP6818059B2 (ja) 2021-01-20
CN112912048A (zh) 2021-06-04
JP2020081832A (ja) 2020-06-04
TWI811449B (zh) 2023-08-11
SG11202103752QA (en) 2021-05-28
TW202019365A (zh) 2020-06-01
DE112019004757T5 (de)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125B2 (en) Adjustable bed having movable frame
US7698761B2 (en) Adjustable bed having four linear actuators
KR20210091124A (ko) 베드장치
TR201807555T4 (tr) Termoterapi̇ ci̇hazina yöneli̇k di̇key hareket ayarlayici.
KR20040027246A (ko) 모니터장치
KR20020005134A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200475740Y1 (ko) 침대 등받이판의 각도조절장치
JP3910873B2 (ja) 背上げ式ベッド装置
WO2020100391A1 (ja) ベッド装置
JP2003339785A (ja) 起床式ベッド装置
JP6921881B2 (ja) ベッド装置
KR200481575Y1 (ko) 전동수동겸용 병원침대 전동전환장치
KR10078630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101312082B1 (ko) 와이어를 이용한 리프팅 장치 및 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침대
KR102607198B1 (ko) 확장형 레그레스트
JP2002320651A (ja) 什器における昇降式脚部
KR100523297B1 (ko) 차량용 전동 회전좌석
CN220607893U (zh) 一种电动床用腰托结构
KR200301909Y1 (ko) 매트리스 받침대
JP4212335B2 (ja) ベッド
CN220655589U (zh) 一种动物ct病床
JP2002035051A (ja) 起床式ベッド装置
JP4594058B2 (ja) ベッド装置
JPH08141020A (ja) 床部装着型側柵を備えたベッド
KR200204485Y1 (ko) 팔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