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783B1 - 난간대용 지주대 - Google Patents

난간대용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783B1
KR100597783B1 KR1020050002372A KR20050002372A KR100597783B1 KR 100597783 B1 KR100597783 B1 KR 100597783B1 KR 1020050002372 A KR1020050002372 A KR 1020050002372A KR 20050002372 A KR20050002372 A KR 20050002372A KR 100597783 B1 KR100597783 B1 KR 10059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crew
wedge piece
suppor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조
Original Assignee
김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조 filed Critical 김태조
Priority to KR102005000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0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 B60B33/000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공사장이나 아파트 공사장, 선박 건조 조선조의 작업장등 각 산업 현장에서 공사장의 위험한 입구를 통제할 목적과 함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도록함 그 목적으로 한것으로 빠른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용이하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한 난간대용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대(1) 하단에 일체로한 고정브라켓트(2)에 하부판(3)을 일체로 하며 다소의 거리를 두고 결합한 상부지지판(12)에는 나사공(10)과 겹쳐지게 나사 다이스공(11)을 만들고 나사공(10)에는 상단에 관통공(22)을 뚫은 머리부(23)와 하단에는 눌름판(20)을 연동되게 한 클램프볼트(21)를 체결한 고정클램프(13)를 일체로 고정하며,
지주대(1)의 상단과 일부에는 다소의 간격을 유지시켜 파이프 고정클램프(30)를 지주대(1) 상단과 중간부에 하단 고정클램프(13)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U형 지지브라켓트(31)의 개구부(32)가 위쪽을 향하게 하였으며,
U형 지지브라켓트(31)는 지주대(1)와는 일측으로 편향되게 고정하며 쐐기편(40)은 절곡 선단부(41)로 만들고 이탈방지혹(42)을 형성하여 쐐기편(40)이 U형 지지브라켓트(31) 전방관통공(43)과 후방관통공(44)이 대각을 형성되게 관통시켜 쐐기편(40)이 대각선 방향으로 결착되게 한다.
지주대 고정브라켓트 : 하부판 나사공 나사 다이스공 상부 지지판 고정클램프 눌름판 클램프볼트 관통공 머리부 파이프 고정클램프 U자형 지지브라켓트 개구부 쐐기편 절곡 선단부 이탈방지혹 전방관통공 후방관통공

Description

난간대용 지주대{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 파이프 클램프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 지지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지지판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주대 2: 고정브라켓트 3: 하부판
10,61: 나사공 11,62,63: 나사 다이스공 12: 상부지지판
13: 고정클램프 20: 눌름판 21: 클램프볼트
22: 관통공 23: 머리부 30: 파이프 고정클램프
31: U자형 지지브라켓트 32: 개구부 40: 쐐기편
41: 절곡 선단부 42: 이탈방지혹 43: 전방관통공
44: 후방관통공
본 발명은 지하철 공사장이나 아파트 공사장, 선박 건조 조선조의 작업장등 각 산업 현장에서 공사장의 위험한 입구를 통제할 목적과 함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도록함 그 목적으로 한것으로 빠른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용이하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한 난간대용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각종 산업 현장이나 주변의 공사장에서 작업자나 주변의 일반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공사장에서 많이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난간대는 대부분 바닥판에 직접 지주대를 용접한 후 지주대에 고정파이프와 밴드를 사용하여 볼트와 너트를 조여서 사용하고 있다.
일예로 주변의 지하철 공사장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지하에 시설물을 공사하기 위해서는 지하의 흙을 지상으로 퍼내어 운반하여야 하는데 이때 지하의 흙을 퍼내기 위해서는 지하에 철재 파일을 일정간격으로 박은 상태에서 철재 파일에 복공판을 얹어 고정한 다음 복공판 아래의 흙을 퍼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때 작업장의 안전을 위해 일정한 넓이의 복공판을 제거하고 그 주변에 추락 방지용 난간대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의 경우 대부분 복공판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지주대를 용접하여 가로 난간대를 별도의 철재 밴드를 사용하여 볼트와 너트를 채결하여 공사장의 미관을 위해 난간대에 페인트로 도색하여 깨끗하게 사용한다.
이렇게 사용되는 난간대의 문제점으로는 지주대를 일일이 복공판이나 공사장 바닥판에 용접하거나 별도의 조임기구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는 관계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규격이 일정하지 않는 관계로 미관이 깨끗하지 못하다.
또 공사장에서 일정기간 공사후에는 다른 위치로 계속 이동하여 공사하는 관계로 이동성이 용이하여야 하나 이 경우 이동성이 전혀 없어 필요에 따라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한번 설치한 시설물을 철거후에는 재활용이 어려워 공사 경비가 많이 소요되며 철거시에도 철거를 위해 난간대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는 밴드를 제거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풀 때 이미 페인트의 경화 작용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붙어있어 그 만큼 분리 작업이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 제2004-38369호 " 난간대용 지주장치" 로 출원한 발명에 있어서는 작업장의 경사부분에 설치가 가능하고 고정클램프를 통해 고정이 용이하고 레일클램프로 난간파이프의 결함을 쉽게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의 고정클램프에는 클램프볼트를 지지하고 있는 상부판의 상,하에 탄성차폐구를 사용함으로 도색용 페인트가 상부판의 나사에 유입되지 않게 사용하고 있으며 경사부분에서 사용을 위해 일측하단에 각도조절기구로 필요에 따라 손쉽게 각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지주본체 상단과 중간부분에는 레일클램프를 일체로 용접한 것으로 이의 레일클램프는 개구부가 측면을 향하게 하여 위쪽에서 쐐기편을 아래로 향하게 관통슬롯에 끼우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의 발명에 있어서의 문제점으로는 지주본체를 경사각이진 곳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도조절기구를 통해 일일이 볼트와 너트를 통해 조절하여야 한다.
이는 각도조절이 필요 없는 평탄한 곳에서 사용할 때도 일일이 볼트와 너트를 풀거나 조여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페인트로 부터 클램프볼트를 보호하기 위해 탄성차폐구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페인트가 액체인 관계로 쉽게 흘러내려 클램프볼트 부분에 타고 흘러 들어가 클램프볼트의 나사산에서 굳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이 경우 지주장치를 사용후 철거하고자 하면 클램프볼트와 상부판의 너트부가 상호간에 붙어 있어 쉽게 회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일 클램프의 경우 개구부 부분이 측면을 향하게 위치하여 쐐기편이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되는 관계로 통상적으로 보관이나 설치를 위해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자연스럽게 개구부가 차단되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볼 때는 아주 좋게 보여지나 실질적으로 지주본체를 고정후 난간대 파이프를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일이 쐐기편을 위로 뽑아 올려야하는 불편함과 레일브라켓트에 난간대용 파이프를 얹게되면 파이프로 쉽게 굴러 레일브라켓트를 이탈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파이프를 이단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더욱 심하여 작업자 혼자서는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뿐 만아니라 레일클램프의 고정 방향이 하부의 고정클램프쪽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여 작업자나 보행자가 실수로 부딪치는 경향이 많아 부상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상기의 설명은 지하철 공사시의 일예로 일반적인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 공사나 선박 건조시에서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지주대 하단에 고정용 고정클램프를 설치하고 고정클램프의 지지판에 나사공과 겹쳐지게 나사 다이스공을 만들고 지주대 상단과 일부에는 고정클램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U형 지지브라켓트 개구부가 위쪽을 향하게 용접하며 쐐기편이 대각선 방향으로 결착되며 일측으로 분리 할 경우 지주대와 평행이 되게 뽑아지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주대(1) 하단에 일체로한 고정브라켓트(2)에 하부판(3)을 일체로 하며 다소의 거리를 두고 결합한 상부지지판(12)에는 나사공(10)과 겹쳐지게 나사 다이스공(11)을 만들고 나사공(10)에는 상단에 관통공(22)을 뚫은 머리부(23)와 하단에는 눌름판(20)을 연동되게 한 클램프볼트(21)를 체결한 고정클램프(13)를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 머리부(23)에 관통공(22)을 만든것은 지주대(1)의 설치작업이나 해체 작업시 쇠파이프나 막대장비를 끼워 적은 힘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상부 지지판(12)에서 나사공(10)과 나사 다이스공(11)을 겹쳐지게 한 것은 페인트 도색 작업시 페인트가 클램프볼트(21)에 묻어 잘 풀리지 않을 경우 나사 산을 다시 만들어주는 기능을 하기 위해 만든것이다.
이의 지주대(1)의 상단에 일부에는 상호 동일한 기능을 가진 파이프 고정클램프(30)를 지주대(1) 상단과 중간부에 하단 고정클램프(13)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U형 지지브라켓트(31)의 개구부(32)가 위쪽을 향하게 결합한다.
U형 지지브라켓트(31)는 지주대(1)와는 일측으로 편향되게 고정하며 쐐기편(40)은 절곡 선단부(41)로 만들고 이탈방지혹(42)을 형성하여 쐐기편(40)이 U형 지지브라켓트(31) 전방관통공(43)과 후방관통공(44)이 대각을 형성되게 관통시켜 쐐기편(40)이 대각선 방향으로 결착되게 한다.
이의 전방관통공(43)은 구멍의 넓이를 좌,우측으로 쐐기편(40)의 두께보다 다소 넓게 만들고 후방관통공(44)의 구멍 넓이는 쐐기편(40)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만들어 전방관통공(43)은 쐐기편(40)이 쉽게 삽입되고 뽑아지게 하며 후방관통공(44)은 쐐기편(40)의 이탈방지혹(42)이 걸려 항상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50은 복공판 51은 난간대 파이프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공사판에 설치하고자 하면 도 7처럼 지주대(1) 하부의 고정클램프(13)의 클램프볼트(21)를 회전시켜 일정 높이로 올린 다음 눌름판(2)과 하부판(3) 사이를 넓혀 복공판(50)부분에 끼운다.
그 다음 클램프볼트(21)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공판(50)과 밀착한다.
이때 좀더 나은 고정을 위해 클램프볼트(21)의 머리부(23) 관통공(22)에 쇠파이프나 막대공구를 끼우면 적은 힘으로도 많이 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개의 지주대(1)를 고정한 다음 각각의 파이프 고정클램프(30)에 있어 쐐기편(40)을 후방으로 뽑아 전면의 전방관통공(43)에서 뽑아내게 되면 쐐기편(40)이 지주대(1)와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아래로 내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평소 지주대(1)로 보관시에도 동일하게 쐐기편(40)을 아래로 내린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쐐기편(40)이 U형 지지브라켓트(31)에서 일자형태로 아래로 뽑아지는 주된 이유로는 쐐기편(40)의 선단이 일정한 각을 유지한 절곡 선단부(41)로 되어 아래로 일자 형태로 내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지주대(1)와 쐐기편(40)이 일자를 유지함으로 작업을 신속히 한층 빨리처리 할 수 있다.
상기처럼 U형 지지브라켓트(31)의 개구부(32)가 완전 개방 상태에서 난간대 파이프(51)를 얹게 되어도 난간대 파이프가 밖으로 굴러 떨어지거나 이탈 되지 않아 작업자 혼자서도 신속히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난간대 파이프(51)를 U형 지지브라켓트(31)에 안치 한 상태에서 쐐기편(40)을 전면의 전방관통공(43)으로 밀어주면 난간대 파이프(51)가 고정되는 것으로 이때 쐐기편(40)은 U형 지지브라켓트(31)의 전방관통공(43)에서 후방관통공(44)으로 대각을 형성하여 결합되어진다.
위와 같이 쐐기편(40)이 대각이 되게 결합하는 이유로는 지주대(1)에서 편향 된 위치로 조금 빗겨나게 하면서도 결합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설치방법으로 설치후 난간대 파이프(51)에 직접 도색을 한다거나 주변에서 도색 작업으로 인해 하단의 고정클램프(13)의 클램프볼트(21)에 페인트가 묻거나 튕겨서 굳은 상태에서 상부 지지판(12)의 나사공(10)과 붙어 있는 상태가 되어도 해체를 위해서 클램프볼트(21)의 머리부(23)를 회전하게 되면 클램프볼트(21)가 나사공(10)에서 회전함과 동시에 나사공(10)과 겹쳐지게 형상한 나사 다이스공(11)이 클램프볼트(21)의 나사산에 묻어 있던 페인트 부분을 깍아내어 깨끗하게 만들어줌과 동시에 사용중에 클램프볼트(21)가 다소 훼손된 경우에도 다시 깨끗한 나사를 만들어 주어 클램프볼트(21)가 항상 깨끗함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다 사용이 끝났을 경우 결합과는 역순으로 해체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파이프 고정클램프(30)의 U형 지지브라켓트(31)의 쐐기편(40)을 후방으로 뽑아 절곡 선단부(41)가 후방관통공(44) 쪽에 도달하면 절곡 선단부(41)의 단부에 만든 이탈방지혹(42)이 걸려 더 이상 이탈되지 않으며 잡고 있던 쐐기편을 놓게되면 지주대(1)와 수평이되게 아래로 내려지게 된다.
이렇게 U형 지지브라켓트(31) 의 상단 개구부(32)가 개방 상태가 되면 얹혀져 있던 난간대 파이프(51)를 들어 낸 다음 하단의 고정클램프(13)를 풀어 주면 쉽게 해체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처럼 상부 지지판(60)에 만들어지는 나사공(61) 전방 양측에서 나사공(61)과 겹쳐지게 나사 다이스공(62)(63)을 만든것으로 이 또한 상기의 나사 다이스공(1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지니게 되는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난간대 파이프 결합을 위한 파이프 고정클램프부분이 지주대 하단의 고정클램프와는 반대되는 위치에 만들어져 현장 작업자나 일반 보행자들로 부터 접촉되지 않도록하여 안정성이 향상 되었으며 난간대 파이프를 결합시에는 U형 지지브라켓트에 얹혀 만 놓은 상태에서도 굴러내리거나 이탈됨이 없으므로 작업이 안전하며 클램프볼트 또한 일측의 나사 다이스공에 의해 항상 깨끗하게 재 가공하는 기능이 있어 클램프볼트의 불량을 사전에 예방하며 사용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Claims (2)

  1. 지주대(1) 하단에 일체로한 고정브라켓트(2)에 하부판(3)을 일체로 하며 다소의 거리를 두고 결합한 상부지지판(12)에는 나사공(10)과 겹쳐지게 나사 다이스공(11)을 만들고 나사공(10)에는 상단에 관통공(22)을 뚫은 머리부(23)와 하단에는 눌름판(20)을 연동되게 한 클램프볼트(21)를 체결한 고정클램프(13)를 일체로 고정하며,
    지주대(1)의 상단과 일부에는 다소의 간격을 유지시켜 파이프 고정클램프(30)를 지주대(1) 상단과 중간부에 하단 고정클램프(13)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U형 지지브라켓트(31)의 개구부(32)가 위쪽을 향하게 하였으며,
    U형 지지브라켓트(31)는 지주대(1)와는 일측으로 편향되게 고정하며 쐐기편(40)은 절곡 선단부(41)로 만들고 이탈방지혹(42)을 형성하여 쐐기편(40)이 U형 지지브라켓트(31) 전방관통공(43)과 후방관통공(44)이 대각을 형성되게 관통시켜 쐐기편(40)이 대각선 방향으로 결착되게 됨을 특징으로 한 난간대용 지주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판(60)에 만들어지는 나사공(61) 전방 양측에서 나사공(61)과 겹쳐지게 나사 다이스공 (62)(63)을 만들어서 됨을 특징으로 한 난간대용 지주대.
KR1020050002372A 2005-01-06 2005-01-06 난간대용 지주대 KR10059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372A KR100597783B1 (ko) 2005-01-06 2005-01-06 난간대용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372A KR100597783B1 (ko) 2005-01-06 2005-01-06 난간대용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7783B1 true KR100597783B1 (ko) 2006-07-10

Family

ID=3718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372A KR100597783B1 (ko) 2005-01-06 2005-01-06 난간대용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7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14Y1 (ko) * 2012-11-29 2014-04-10 주식회사 태창테크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KR200473329Y1 (ko) * 2012-05-09 2014-06-27 이광호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101535654B1 (ko) * 2014-01-24 2015-07-13 (주)신산 조립식 난간
KR102310532B1 (ko) * 2021-07-06 2021-10-08 유지씨 주식회사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29Y1 (ko) * 2012-05-09 2014-06-27 이광호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200472214Y1 (ko) * 2012-11-29 2014-04-10 주식회사 태창테크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KR101535654B1 (ko) * 2014-01-24 2015-07-13 (주)신산 조립식 난간
KR102310532B1 (ko) * 2021-07-06 2021-10-08 유지씨 주식회사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773B2 (en)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US11851900B2 (en) Temporary safety railing system and method
US5118147A (en) Grating fastener
KR100597783B1 (ko) 난간대용 지주대
KR20130068880A (ko) 건축용 비계 작업발판
KR200429997Y1 (ko)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KR101435948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JP3189564U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転落防止柵
DE4412072B4 (de) Einrichtung zur Befestigung von Geländern an Rändern von begehbaren Lauf- und Arbeitsflächen-Elementen
KR200314568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KR200256137Y1 (ko) 낙석 방지책
JP3537173B2 (ja) 鉄骨建て方における梯子取付け装置、及び鉄骨建て方における梯子の架装方法
KR20090034709A (ko) 추락방지대 설치용 브래킷
KR102610538B1 (ko)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KR20060055283A (ko) 건축물 시공용 추락 및 낙하 방지장치
KR200284897Y1 (ko) 선박용 가설난간기둥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102674749B1 (ko) 슬라브 판넬 거치 슬라이더
KR20100005314U (ko) 거푸집 작업대의 난간파이프 조립구조
KR20020028984A (ko) 안전작업대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13899Y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의 지주대
KR200464842Y1 (ko) 안전 난간장치
JP2010071042A (ja) 仮設手摺
JP2017206878A (ja) クランプ撤去装置およびクランプ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