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532B1 -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532B1
KR102310532B1 KR1020210088214A KR20210088214A KR102310532B1 KR 102310532 B1 KR102310532 B1 KR 102310532B1 KR 1020210088214 A KR1020210088214 A KR 1020210088214A KR 20210088214 A KR20210088214 A KR 20210088214A KR 102310532 B1 KR102310532 B1 KR 10231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ed
fixing
unit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및 건축용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소구경 상, 하수관 및 전선관을 포함하는 각종 배관의 연결 설치시 수월한 구배를 맞춤과 동시에 보호공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몸통(11) 및 그 몸통(11)의 외경에 비해 적어도 1 내지 2배 큰 외경을 구비하는 타격부(12)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2)의 하단으로 몸통(11)과 일체형으로 쇄기형 고정부(13)가 형성된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몸통(11)에 융착 고정되며, 배관(P)의 수직 방향 내지 측면 방향으로 유동 거리는 것을 잡아주는 아치형 형상의 파지부(20)와,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에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1헹거부(30)와, 상기 파지부(20)의 상단 일측으로 몸통과 파지부에 융착 고정되며, 구배 측정 포인트(41) 및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2헹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Multifunctional fixing unit for connection and installation of upper, sewer and conduit and installation method for connecting upper, sewer and conduit using the fixed unit}
본 발명은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도로 및 건축용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소구경 상, 하수관 및 전선관을 포함하는 각종 배관의 연결 설치시 수월한 구배를 맞춤과 동시에 보호공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심에서는 도로가 아스팔트나 보도블록 같은 불투수성 표면으로 덮이고, 건물의 밀도도 높아 토양이 노출된 지표 영역이 줄어들어 상당량의 빗물은 토양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지표면의 경사면을 따라 흐른다.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은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에 방해를 주기도 하며, 집중호우 시에는 도로를 침식시키거나 저지대를 침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심 대부분 지역에서는 맨홀과 우수관로를 매설하여 주변 하천이나 유수지 등으로 배수 처리되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도심의 가로수가 있는 지역에서는 지름 25mm 내외의 소구경 우수관로를 보편적으로 매립시공하며, 우수관로를 매립 시공할 때는 먹줄 등을 이용하여 구배를 잡은 후 보호공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우수관로의 구배가 틀어져 시공 후에는 원활한 배수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뿐 아니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구배가 틀어지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구배가 틀어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그대로 매립 시공이 종료되는 것이며, 이는 곧 우수의 원활한 배수가 되지 못함은 물론, 호우시에는 역류하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호공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지 않았을 때는 가로수가 성장을 하면서 뿌리가 우수관로를 밀어내어 구배가 흐트러짐으로써 용이한 배수가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원 발명과 관련성이 있는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731957호(발명의 명칭 :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및 특허등록 제10-0726755호(발명의 명칭 :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및 특허등록 제10-1047493호(발명의 명칭 : 수직압 및 측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용 지지대) 및 특허등록 제10-1935787호(발명의 명칭 : 클램프와 스크류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에서의 하수관 지지 및 고정구조)가 있으나 본원 발명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1. 특허등록 제10-0731957호(발명의 명칭 :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2. 특허등록 제10-0726755호(발명의 명칭 :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3. 특허등록 제10-1047493호(발명의 명칭 : 수직압 및 측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용 지지대) 4. 특허등록 제10-1935787호(발명의 명칭 : 클램프와 스크류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에서의 하수관 지지 및 고정구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착안한 것이며, 도로 및 건축용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소구경 상, 하수관 및 전선관을 포함하는 각종 배관의 연결 설치시 수월하고 정확한 구배를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호공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배관라인의 구배 변형을 방지하여 시공 후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S)은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몸통(11) 및 그 몸통(11)의 외경에 비해 적어도 1 내지 2배 큰 외경을 구비하는 타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2)의 하단으로 몸통(11)과 일체형으로 쇄기형 고정부(13)가 형성된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몸통(11)에 융착 고정되며, 배관(P)이 수직 방향 내지 측면 방향으로 유동 거리는 것을 잡아주는 아치형 형상의 파지부(20)와,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에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1헹거부(30)와, 상기 파지부(20)의 상단 일측으로 몸통과 파지부에 융착 고정되며, 구배 측정 포인트(41) 및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2헹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은 배관(P)의 중심점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S)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은 배관 시공하고자 하는 현장의 터파기를 하는 터파기 단계(S100)와, 상기 터파기 공사 후 배관이 안착 되는 바탕 면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 단계(S200)와,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P)을 연결 시공하는 배관연결 시공단계(S300)와, 상기 배관 연결 시공 후 그 배관(P)의 상측에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몸통(11) 및 그 몸통(11)의 외경에 비해 적어도 1 내지 2배 큰 외경을 구비하는 타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2)의 하단으로 몸통(11)과 일체형으로 쇄기형 고정부(13)가 형성된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몸통(11)에 융착 고정되며, 배관(P)의 수직 방향 내지 측면 방향으로 유동 거리는 것을 잡아주는 아치형 형상의 파지부(20)와,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에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1헹거부(30)와
상기 파지부(20)의 상단 일측으로 몸통과 파지부에 융착 고정되며, 구배 측정 포인트(41) 및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2헹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유닛(S)을 타격하여 지면에 고정 시키되, 제2헹거부(40)의 구배 측정 포인트를 기준으로 구배를 잡으면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고정단계(S400)와, 상기 고정유닛 고정 후 제1, 2헹거부(30, 40)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철근(50)을 고정 시키고, 제1, 2헹거부(30, 40)의 측면에는 합판(60)을 고정 시켜 거푸집을 시공하는 거푸집 시공단계(S500)와, 상기 거푸집 시공 후 보호공 콘크리트(7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600)와, 상기와 같이 타설한 보호공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S700)와, 상기 거푸집 제거 후 주변의 지표면을 마감처리 하는 지표면 마감처리단계(S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S)을 배관의 상단에 매립 고정할 때는 고정지주(10)를 기준으로 배관의 좌, 우측에 지그재그의 형태로 고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은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을 포함하는 각종 배관을 매립함에 있어 종전 배관의 위치를 통해 구배를 잡는 것을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구배를 잡기 때문에 향후 보호공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배관 구배가 흐트러짐 없이 유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고정유닛을 타격 고정상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정 유닛에 철근을 고정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배관 시공과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의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S)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에 타격에 의해 고정되며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융착 고정되어 배관을 감싸듯 파지하는 파지부(20) 및 상기 파지부(20)의 일측으로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시공용 철근(50)이 안착 고정되는 제1, 2헹거부(30, 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주(10)는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몸통(11) 및 그 몸통(11)의 외경에 비해 적어도 1 내지 2배 큰 외경을 구비하는 타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2)의 하단에는 몸통(11)과 일체형으로 쇄기형 고정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타격부(12)는 해머 등을 이용하여 타격이 용이할 수 있도록 몸체의 외경에 비해 1 내지 2배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쐐기형 고정부(13)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으나, 타격 후 역 방형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0)는 고정지주(10)의 몸통(11) 상측에 융착 고정되며, 배관(P)이 수직 방향 내지 측면 방향으로 유동 거리는 것을 잡아줄 수 있도록 아치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은 배관(P)의 중심점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관(P)의 절반을 안정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지지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헹거부(30)는 파지부(20)의 양 끝단에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헹거부(40)는 파지부(20)의 상단 일측에는 몸통과 파지부에 융착 고정되되, 상단 중심에는 구배 측정 포인트(41)가 형성되어 배관(P) 설치 시공시 배관을 기준으로 구배를 잡는 것이 아니라 구배 측정 포인트(41)를 이용하여 배관의 구배를 잡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2헹거부(30, 40)는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3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헹거부(30, 40)의 상단에 철근(50)이 걸쳐지는 형태로 고정되며, 제1, 2헹거부(30, 40)의 측면에는 거푸집용 합판(60)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호용 콘크리트(70)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시공 작업 없이도 고정유닛(S)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S)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P)을 시공하고자 하는 현장에 터파기를 실시하고(S100), 터파기 후에는 배관이 안착 되는 바탕 면을 평탄화시킨다(S200).
바탕 면 평탄화 작업은 모래를 충진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으며, 배관의 안정적인 안착이 되는 조건이면 만족한다.
상기 평탄화 작업이 완료되면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P)을 선택하여 플랜지 이음 등의 공법으로 연결 시공한다(S300).
상기 배관 연결 시공 후 그 배관(P)의 상측에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몸통(11) 및 그 몸통(11)의 외경에 비해 적어도 1 내지 2배 큰 외경을 구비하는 타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2)의 하단으로 몸통(11)과 일체형으로 쇄기형 고정부(13)가 형성된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몸통(11)에 융착 고정되며, 배관(P)의 수직 방향 내지 측면 방향으로 유동 거리는 것을 잡아주는 아치형 형상의 파지부(20)와,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에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1헹거부(30)와, 상기 파지부(20)의 상단 일측으로 몸통과 파지부에 융착 고정되며, 구배 측정 포인트(41) 및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2헹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유닛(S)을 타격하여 지면에 고정 시키되, 제2헹거부(40)의 구배 측정 포인트를 기준으로 구배를 잡으면서 고정 시킨다(S400).
기존에는 배관라인을 포인트로 구배를 잡음에 따라 보호공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순간 또는 가로수 등의 나무뿌리에 의해 배관라인이 흐트러지면서 호우시에는 원활한 배수가 되지 못했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구배 측정 포인트(41)로 구배를 잡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배관이 파지부(20)를 벗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고, 고정 유닛(S)이 움직이지 않아 견고한 고정상태의 제공과 더불어 정확한 구배를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유닛(S)을 고정한 후 제1, 2헹거부(30, 40)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철근(50)을 고정 시키고, 제1, 2헹거부(30, 40)의 측면에는 합판(60)을 고정 시켜 거푸집을 시공한다(S500).
일반적으로 배관 라인 시공시 보호공 콘크리트(70) 타설을 위해 별도의 거푸집 시공을 하게 되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고정유닛(S)을 활용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 시공 후에는 보호공 콘크리트(70)를 타설하고(S600), 보호공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한다(S700).
상기 거푸집 제거 후 주변의 지표면을 마감처리 하는 지표면 마감처리(S800) 함으로써 배관라인의 시공은 완성되며, 지표면을 마감처리는 가로수를 심거나, 잔디를 깔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S)을 배관의 상단에 매립 고정할 때는 고정지주(10)를 기준으로 배관의 좌, 우측에 지그재그의 형태로 고정 시킴으로써 측면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유닛
10: 고정 지주 11: 몸통
12: 타격부 13: 쇄기형 고정부
20: 파지부 30: 제1헹거부
40: 제2헹거부 41: 구배 측정 포인트
50: 철근 60: 합판
70: 보호공 콘크리트
S100: 터파기 단계
S200: 평탄화 단계
S300: 배관연결 시공단계
S400: 고정유닛 고정 단계
S500: 거푸집 시공단계
S600: 보호공 콘크리트 타설 단계
S700: 거푸집 제거단계
S800: 지표면 마감처리 단계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몸통(11) 및 그 몸통(11)의 외경에 비해 적어도 1 내지 2배 큰 외경을 구비하는 타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2)의 하단으로 몸통(11)과 일체형으로 쇄기형 고정부(13)가 형성된 고정지주(10); 와,
    상기 고정지주(10)의 몸통(11)에 융착 고정되며, 배관(P)이 수직 방향 내지 측면 방향으로 유동 거리는 것을 잡아주는 아치형 형상의 파지부(20); 와,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에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1헹거부(30); 와,
    상기 파지부(20)의 상단 일측으로 몸통과 파지부에 융착 고정되며, 구배 측정 포인트(41) 및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2헹거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은 배관(P)의 중심점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3. 배관 시공하고자 하는 현장의 터파기를 하는 터파기 단계(S100); 와,
    상기 터파기 공사 후 배관이 안착 되는 바탕 면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 단계(S200); 와,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P)을 연결 시공하는 배관연결 시공단계(S300); 와,
    상기 배관 연결 시공 후 그 배관(P)의 상측에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몸통(11) 및 그 몸통(11)의 외경에 비해 적어도 1 내지 2배 큰 외경을 구비하는 타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2)의 하단으로 몸통(11)과 일체형으로 쇄기형 고정부(13)가 형성된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몸통(11)에 융착 고정되며, 배관(P)의 수직 방향 내지 측면 방향으로 유동 거리는 것을 잡아주는 아치형 형상의 파지부(20)와, 상기 파지부(20)의 양 끝단에 융착 고정되어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1헹거부(30)와, 상기 파지부(20)의 상단 일측으로 몸통과 파지부에 융착 고정되며, 구배 측정 포인트(41) 및 거푸집 공사시 철근 및 합판을 지지 고정해주는 제2헹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유닛(S)을 타격하여 지면에 고정 시키되, 제2헹거부(40)의 구배 측정 포인트를 기준으로 구배를 잡으면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고정단계(S400); 와,
    상기 고정유닛 고정 후 제1, 2헹거부(30, 40)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철근(50)을 고정 시키고, 제1, 2헹거부(30, 40)의 측면에는 합판(60)을 고정 시켜 거푸집을 시공하는 거푸집 시공단계(S500); 와,
    상기 거푸집 시공 후 보호공 콘크리트(7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600); 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 타설한 보호공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S700); 와,
    상기 거푸집 제거 후 주변의 지표면을 마감처리 하는 지표면 마감처리단계(S8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S)을 배관의 상단에 매립 고정할 때는 고정지주(10)를 기준으로 배관의 좌, 우측에 지그재그의 형태로 고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KR1020210088214A 2021-07-06 2021-07-06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KR10231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14A KR102310532B1 (ko) 2021-07-06 2021-07-06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14A KR102310532B1 (ko) 2021-07-06 2021-07-06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532B1 true KR102310532B1 (ko) 2021-10-08

Family

ID=7811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14A KR102310532B1 (ko) 2021-07-06 2021-07-06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5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783B1 (ko) * 2005-01-06 2006-07-10 김태조 난간대용 지주대
KR200433183Y1 (ko) * 2006-09-30 2006-12-11 (주)타포 지주펙
KR100726755B1 (ko) 2007-02-22 2007-06-11 주식회사 우진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KR100731957B1 (ko) 2006-01-11 2007-07-03 하용수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KR20100037305A (ko) * 2008-10-01 2010-04-09 오영재 배관의 매설방법
KR101047493B1 (ko) 2011-05-26 2011-07-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수직압 및 측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용 지지대
KR101935787B1 (ko) 2018-11-08 2019-01-07 주식회사 누리 클램프와 스크류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에서의 하수관 지지 및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783B1 (ko) * 2005-01-06 2006-07-10 김태조 난간대용 지주대
KR100731957B1 (ko) 2006-01-11 2007-07-03 하용수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KR200433183Y1 (ko) * 2006-09-30 2006-12-11 (주)타포 지주펙
KR100726755B1 (ko) 2007-02-22 2007-06-11 주식회사 우진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KR20100037305A (ko) * 2008-10-01 2010-04-09 오영재 배관의 매설방법
KR101047493B1 (ko) 2011-05-26 2011-07-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수직압 및 측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용 지지대
KR101935787B1 (ko) 2018-11-08 2019-01-07 주식회사 누리 클램프와 스크류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에서의 하수관 지지 및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4517A1 (en) Reinforced pervious concrete
CN101424063B (zh) 临时与永久道路一次性施工方法
CN109695247B (zh) 深基坑临边临时管线综合排布系统及施工方法
CN101597888B (zh) 市政排水涵洞沉槽施工方法
CN110424455A (zh) 地下有限空间无肥槽结构侧墙大钢模板体系及施工方法
KR100902308B1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10532B1 (ko)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용 다기능 고정 유닛 및 그 고정 유닛을 이용한 상, 하수도관 및 전선관 연결 설치방법
CN107794945A (zh) 一种可移动装配式模板安拆操作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344439B (zh) 一种后置式挡土墙泄水孔的施工方法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KR20210078779A (ko) 강제지중연속벽으로 시공완료 후 상부슬래브 상단과 노면 사이의 상부연속벽체구조물을 제거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 방법
CN113279299B (zh) 透水市政道路及其施工工艺
CN107386320B (zh) 穿越地下混凝土水管道的地下管廊的施工方法
CN105951844B (zh) 一种盖挖法顶板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41278B1 (ko) 사각 개비온을 이용한 무굴착건식난간형 등산로 정비공법
KR200413256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CN106545018A (zh) 基坑边坡开挖施工工艺以及基坑边坡
JP2002233019A (ja) 電線類管路
KR100274747B1 (ko) 전주의 설치공법 및 그 지지구
CN111779487B (zh) 自动步道的端头井施工方法
TW200821437A (en) Construction process of integral cover used on sewage pipe or trench by road side
KR100488130B1 (ko) 조립식 옹벽
YADAV DRAINAGE SYSTEM
CN115748746A (zh) 陡峭地形鱼鳞坑复绿体系及施工方法
CN111663628A (zh) 一种卵型排水沟总成、市政雨水系统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