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59B1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59B1
KR102021359B1 KR1020180065599A KR20180065599A KR102021359B1 KR 102021359 B1 KR102021359 B1 KR 102021359B1 KR 1020180065599 A KR1020180065599 A KR 1020180065599A KR 20180065599 A KR20180065599 A KR 20180065599A KR 102021359 B1 KR102021359 B1 KR 10202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xtension
main body
connection extens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섭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산업
Priority to KR102018006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고, 상기 제2 본체 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2 연결 연장부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일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구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레일과, 사이드 레일들을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지지모듈(렁)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의 결합방식은 용접, 나사체결, 끼움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을 결합 시공하는 구조는 주로 천정에 설치되는데 이때 케이블을 증설하거나 수리하는 경우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에 올라가서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케이블과 작업자의 중량이 더해지므로 작업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고 강도가 강해야 한다.
케이블 트레이의 구조가 약하면 사이드 레일이 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고 기울어지는 등의 현상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의 연결부분이 취약하여 연결부를 보다 강하게 하도록 요구되어 왔는바, 시공이 용이하고 외관이 우수하며 강도가 우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렁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1371(2016. 12. 30. 공고)호는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체결구(102)를 렁(100)에 체결하기 위해 렁(100)을 가압할 때, 그 가압력에 의해 체결 날개부(24, 25)가 휘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고, 상기 제2 본체 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2 연결 연장부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일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구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에 의하면,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개략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자른 개략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고, 상기 제2 본체 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2 연결 연장부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일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구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 각각은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 각각은 상기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를 구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를 구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본체연장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일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1 변형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타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2 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와 상기 제2 변형부의 가상의 중심선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가상의 중심선과 이격될 수 있다.
또,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와 상기 제2 변형부의 가상의 중심선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가상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2연결연장부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본체연장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일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3 변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본체부는 제3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지지부는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3 관통홀 상으로 삽입되는 제4 변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연결연장부는 높이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 및 사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를 상측에서 바라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를 하측에서 바라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연결부를 상측에서 바라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연결부를 하측에서 바라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개략 확대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하측에서 바라 본 개략 부분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상측에서 바라 본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부분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을 폭 방향으로 자른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체결부재(T)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20)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 상에는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 상에서 낙하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과 상기 사이드 레일(20)간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일례로 볼트(T1)와 너트(T2)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볼트(T1) 및 상기 너트(T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등과 같은 구성일 수도 있고,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T)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20)에 연결되는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 상에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안착될 수 있어 상기 케이블의 하중을 상기 사이드 레일(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의 하중을 상기 연결부(200)로 전달하고 상기 연결부(200)로부터 상기 체결부재(T)를 통해 상기 사이드 레일(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사이드 레일(20)간의 연결을 연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T)를 통해 상기 사이드 레일(20) 각각에 연결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사이드 레일(20)간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 및 상기 연결부(200)는 스틸재질 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등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110), 상기 연결부(2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제2 본체연장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 사이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각각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치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지지부(110),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커버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H1)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220),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H2)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230)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사이드 레일(20)에 형성된 관통홀을 지나 상기 제2 관통홀(H2)에 체결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2 관통홀(H2)을 지나 상기 제1 관통홀(H1)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관통홀(H1) 및 상기 제2 관통홀(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T)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본체부(21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에 가해진 외력을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에 가해지 외력을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를 구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속의 의미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가 상기 가압 변형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배치공간(S)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일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속부(240)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구속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와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본체부(210)는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와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본체부(210)는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와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에 가해진 외력을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에 가해지 외력을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를 구속하기 위해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구속하기 위해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작업자는 상기 연결부(200)를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하기 위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를 상기 배치공간(S)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상기 배치공간(S) 방향으로 돌출 변형될 수 있으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는 상기 폭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가 상기 폭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T)가 상기 제1 관통홀(H1) 및 상기 제2 관통홀(H2)에 체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가 상기 폭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 각각은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구속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는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는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를 구속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를 구속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는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즉,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의 내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의 내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가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연결부(200)가 상기 배치공간(S) 상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일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1 변형부(K1)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타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2 변형부(K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는 상기 배치공간(S)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배치공간(S)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1 변형부(K1) 및 상기 제2 변형부(K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변형부(K1)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변형부(K2)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변형부(K1) 및 상기 제2 변형부(K2)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가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의 일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3 변형부(K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자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변형부(K3)는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변형부(K3)는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가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도 상기 제1 변형부(K1), 상기 제2 변형부(K2) 및 상기 제3 변형부(K3)와 대응되는 변형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본체부(210)는 제3 관통홀(H3)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3 관통홀(H3) 상으로 삽입되는 제4 변형부(K4)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변형부(K4)는 상기 배치공간(S)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관통홀(H3) 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는 높이 방향으로 단차(D1)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D1)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차(D1)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와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도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같이 단차(D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2 변형부(K2)의 가상의 중심선(L2)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가상의 중심선(L1)과 이격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변형부(K1)의 가상의 중심선과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가상의 중심선(L1)간의 이격거리와, 상기 제2 변형부(K2)의 가상의 중심선과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가상의 중심선(L1)간의 이격거리는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변형부(K2)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 간의 이격거리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2 변형부(K2)의 가상의 중심선(L2)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가상의 중심선(L1)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변형부(K2)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2 변형부(K2)가 형성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2 변형부(K2)가 형성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며, 이 때 상기 제1 연결구속부(240)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250)에 의해 구속되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제1 변형부(K1) 및 상기 제2 변형부(K2)의 형성 위치가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2 변형부(K2)의 가상의 중심선(L2)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의 가상의 중심선(L1)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변형부(K2)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 간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그 결과, 가압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변형부(K1)와 상기 제2 변형부(K2)가 형성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형이 유도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T)가 상기 제2 관통홀(H2)을 지나 상기 제1 관통홀(H1) 상에 체결될 때, 체결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T)가 상기 제1 관통홀(H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23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려는 복원력 및/또는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복원력 및/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T)는 더욱 견고하게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 및 사이드 레일(2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 및 이를 포함하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연결부(200) 간의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나아가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케이블 지지모듈
20: 사이드 레일
100: 본체부
200: 연결부
T: 체결부재

Claims (10)

  1.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고, 상기 제2 본체 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2 연결 연장부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일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구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하기 위해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고,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 각각은,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하며,
    상기 제1 본체연장부는,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1 연결구속부의 내면을 커버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구속부를 구속하고,
    상기 제2 본체연장부는,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2 연결구속부의 내면을 커버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구속부를 구속하며,
    상기 제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에 구속되어,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연장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일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1 변형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타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2 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와 상기 제2 변형부의 가상의 중심선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가상의 중심선과 이격되는,
    케이블 지지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변형부와 상기 제2 변형부의 가상의 중심선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의 가상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연장부 방향으로 이격되는,
    케이블 지지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연장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일측에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는 제3 변형부를 더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부는,
    제3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지지부는,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3 관통홀 상으로 삽입되는 제4 변형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연장부는,
    높이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구속되는,
    케이블 지지모듈.
  10. 제1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 및
    사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180065599A 2018-06-07 2018-06-07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2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99A KR102021359B1 (ko) 2018-06-07 2018-06-07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99A KR102021359B1 (ko) 2018-06-07 2018-06-07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359B1 true KR102021359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599A KR102021359B1 (ko) 2018-06-07 2018-06-07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291A (ko) * 2019-10-07 2021-04-15 류숙중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용 렁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254412B1 (ko) * 2020-07-27 2021-05-21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KR20210132818A (ko) * 2020-04-28 2021-11-05 박인철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445083B1 (ko) * 2021-06-07 2022-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479473B1 (ko) * 2022-01-11 2022-12-20 주식회사 대성전업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684A (ko) * 2008-07-04 2010-01-13 최종혜 케이블 트레이의 렁 조립방법
KR20100109057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와 그 제조방법
KR101657939B1 (ko) * 2016-03-08 2016-09-2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렁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684A (ko) * 2008-07-04 2010-01-13 최종혜 케이블 트레이의 렁 조립방법
KR20100109057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와 그 제조방법
KR101657939B1 (ko) * 2016-03-08 2016-09-2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렁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291A (ko) * 2019-10-07 2021-04-15 류숙중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용 렁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317578B1 (ko) 2019-10-07 2021-10-25 류숙중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용 렁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210132818A (ko) * 2020-04-28 2021-11-05 박인철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479952B1 (ko) 2020-04-28 2022-12-20 박인철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254412B1 (ko) * 2020-07-27 2021-05-21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KR102445083B1 (ko) * 2021-06-07 2022-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479473B1 (ko) * 2022-01-11 2022-12-20 주식회사 대성전업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359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436333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CN108376952B (zh) 用于在航空应用中保持导线束的塑料线缆管理设计
US10047775B2 (en) Attachment element
CN110475935A (zh) 用于连接两个竖直部件的装置
EP2984245B1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KR20190052532A (ko) 케이블 트레이
US20100133389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line
KR102461818B1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140004305U (ko) 에이치빔용 안전패드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102254412B1 (ko) 케이블 지지모듈
KR102459431B1 (ko) 사다리용 추락방지장치 고정부재
JP6930360B2 (ja) 産業車両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US9688521B2 (en) Industrial truck with an overhead guard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KR20230098935A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101459343B1 (ko)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1917646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51493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90000710U (ko)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5570A (ko) 보조 전로용 체결식 행거
KR20170125199A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과 렁의 결합 구조 및 결합구조를 이용한 체결방법
KR102060885B1 (ko) 조립식 핸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