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818A -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818A
KR20210132818A KR1020200051171A KR20200051171A KR20210132818A KR 20210132818 A KR20210132818 A KR 20210132818A KR 1020200051171 A KR1020200051171 A KR 1020200051171A KR 20200051171 A KR20200051171 A KR 20200051171A KR 20210132818 A KR20210132818 A KR 2021013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rung
cable tray
side plate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952B1 (ko
Inventor
박인철
전희덕
Original Assignee
박인철
박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박소정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102020005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9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측판과 렁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강도 및 접지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측판; 좌우 양방향 및 하면이 개구되는 형태이되, 하면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갖는 복수의 렁; 상기 렁의 좌우 양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큐브;를 포함하되, 상기 렁의 각 단부를 상기 측판의 내측 하단 코너부에 맞대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큐브의 제1면이 용접되게 하고, 상기 수평부 중 하단 수평부와 상기 플랜지 및 상기 큐브의 제2면이 용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with the assembly structure using cubes}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측판과 렁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강도 및 접지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주택이나 빌딩 뿐 아니라 각종 공장이나 구조물에 전기 공급 등을 위해 케이블 트레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측판과 두 측판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으로 상호 연결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렁으로 이루어진다.
측판은 ㄷ 자 단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렁은 U 자형 단면을 이루거나사각 혹은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렁의 좌우 양단부를 측판의 내측면에 부착시키도록 하는데, 보통 용접을 통해 측판과 렁을 연결하기도 하고, 볼트 너트 방식을 통해 양자를 결합되게 하기도 한다.
용접 방식을 통해 측판과 렁을 결합시키는 경우 렁의 단면 형상상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이므로 용접시 측판과 맞닿는 일부 가장자리를 통해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볼트/너트 방식으로 측판과 렁을 결합하기도 하는데, 볼트/너트 방식 역시 진동 등에 의해 볼트/너트 결합이 헐거워지기도 하고,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대표적인 종래기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6034호의 "케이블 트레이용 렁"이 알려져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케이블 트레이용 렁과 측판간의 결합 상태 단면도를 보여준다.
즉, 종래기술에서의 케이블 트레이용 렁은 케이블 트레이용 렁(10)의 양단부에 너트브레킷(30)을 삽입하되 너트브래킷(3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돌기(32a)(32b)를 결합고리(20a)(20b)에 억지끼워서 결합되고 한 후 사이드레일(4)의 관통홀을 통해 체결나사(6a)(6b)를 너트브래킷의 체결홀(33a)에 체결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기술은 용접 방식이 아닌 볼트를 이용한 조립방식을 갖는 것이나 볼트 결합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6034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되, 측판과 렁의 결합을 용접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결합 강도를 높여서 내구성이 우수한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측판; 좌우 양방향 및 하면이 개구되는 형태이되, 하면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갖는 복수의 렁; 상기 렁의 좌우 양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큐브;를 포함하되, 상기 렁의 각 단부를 상기 측판의 내측 하단 코너부에 맞대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큐브의 제1면이 용접되게 하고, 상기 수평부 중 하단 수평부와 상기 플랜지 및 상기 큐브의 제2면이 용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큐브의 상면이 되는 제3면과 상기 렁의 상면이 용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큐브의 제4면, 제5면, 제6면은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에 너트가 삽입되고, 상기 제1면에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에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와 상기 볼트홀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너트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렁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렁의 상면, 하면, 정면, 배면 중 최소 한곳에 내부로 함몰된 스토퍼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큐브의 삽입 깊이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는 렁의 각 단부에 육면체 형상의 큐브를 삽입하여 측판과 맞대어 큐브과 측판이 면접촉 상태로 용접이 되게 함으로써 결합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큐브의 복수의 면을 통해 다수 개소에서 용접을 함으로써 용접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사시도.
도 2는 케이블 트레이용 렁과 측판간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완전 분해 사시도.
도 6은 렁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 7은 렁과 큐브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 8은 큐브의 변형 실시 사시도.
도 9는 렁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0은 큐브에 너트를 삽입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측판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완전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렁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렁과 큐브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큐브의 변형 실시 사시도이며, 도 9는 렁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큐브에 너트를 삽입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측판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측판(100), 렁(200), 큐브(300)를 포함하게 된다.
측판(100)은 좌우 한 쌍을 이루게 되는데, 금속성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그 단면 형상이 ㄷ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측판(100)은 하나의 수직부(110)와 수직부(110)의 상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120)를 갖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구분하여 수직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평부를 하단 수평부(120a)라 하고,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부를 상단 수평부(120b)라 부르도록 한다.
측판(100)과 결합될 렁(200)은 절곡 또는 압출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좌우 양방향 및 하면이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고, 하면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210)가 형성된다.
즉, 렁(200)은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하면은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고, 좌우 양방향으로도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렁(200)의 좌우 양단부의 개구부위를 통해 큐브(300)가 삽입되도록 하는데, 큐브(30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렁(200)의 양단부에 삽입되면 렁(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플랜지(210)에 의해 큐브(300)가 지지되므로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렁(200)의 각 단부로 끼워지는 큐브(300)는 큐브(300)의 제1면(310)이 렁(200)의 단부에 일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큐브(300)가 끼워진 렁(200)의 각 단부는 측판(100)의 내측 하단 코너부에 맞대어 수직부(110)와 큐브(300)의 제1면(310)이 용접되도록 한다. 그리고 측판(100)의 수평부(120) 중 하단 수평부(120a)와 렁(200)의 플랜지(210) 및 큐브(300)의 제2면(320)이 용접되도록 한다.
여기서 의미하는 용접은 2개 이상의 대상물을 맞대어 용접하는 스폿용접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상 큐브(300)의 각 면은 도 7에서처럼 명칭을 부여토록 하며, 제1면(310)은 측판(100)의 수직부(110)와 마주보는 면이 되고, 하부면이 제2면(320)이 되고, 상부면이 제3면(330)이 된다.
그리고 나머지 3개의 면이 제4면(340), 제5면(350), 제6면(360)이 되고, 이들 제4면, 제5면, 제6면은 별도의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큐브(300)의 상부면인 제3면(330)은 렁(200)의 상면과 용접되게 하여 큐브(300)가 렁(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전체적으로 측판(100)과 렁(200) 및 큐브(300)의 결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큐브(300)의 제4면(340), 제5면(350), 제6면(360)에는 오목한 홈(3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301)은 큐브(3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제4면(340), 제5면(350), 제6면(360)에 형성되는 홈(301)은 상호 연통되게 하여 불필요한 소재 낭비 및 중량증가를 억제하면서도 전체적인 큐브(300)의 강도에는 문제가 없도록 한다.
또한, 도 10과 같이 큐브(300)에 형성되는 홈(301)에는 너트(N)가 삽입될 수 있고, 볼트(B)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큐브(300)의 제1면(310)에는 볼트홀(311)이 형성되며, 볼트홀(311)은 제1면(310)으로부터 홈(301)에 도달되게 형성되고, 볼트홀(311)에 대응하여 수직부(110)에 체결구(111)가 형성되도록 한다. 소정의 볼트(B)를 체결구(111), 볼트홀(311)을 통해 삽입하여 홈(301)에 끼워지는 너트(N)와 체결되도록 조이게 되면 추가적인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도 9와 같이 렁(200)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렁(200)의 상면, 하면, 정면, 배면 중 최소 한 곳에 내부로 함몰된 스토퍼(220)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스토퍼(220)에 의해 큐브(300)의 삽입 깊이가 자연스럽게 결정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렁(200)에 형성될 스토퍼(220)는 사용될 큐브(30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큐브(300)가 스토퍼(220)에 닿아 더 이상 진입되지 않으면 큐브(300)의 제1면(310)이 렁(200)의 단부와 일치되도록 그 위치를 선정토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는 렁과 측판의 결합만으로는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렁의 각 단부에 육면체 형상의 큐브를 끼워서 측판과 렁의 결합시 큐브의 면을 통해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접이 보다 편리하도록 하고, 용접강도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렁과 측판이 큐브를 통해 면 접촉으로 연결되므로 접지 불량을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는 기존 케이블 트레이를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 측판
110 : 수직부 120 : 수평부
120a: 하단 수평부 120b: 상단 수평부
111 : 체결구
200 : 렁
210 : 플랜지 220 : 스토퍼
300 : 큐브
310 : 제1면 320 : 제2면
330 : 제3면 340 : 제4면
350 : 제5면 360 : 제6면
301 : 홈 311 : 볼트홀
B : 볼트 N :너트

Claims (5)

  1.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측판;
    좌우 양방향 및 하면이 개구되는 형태이되, 하면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갖는 복수의 렁;
    상기 렁의 좌우 양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큐브;를 포함하되,
    상기 렁의 각 단부를 상기 측판의 내측 하단 코너부에 맞대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큐브의 제1면이 용접되게 하고, 상기 수평부 중 하단 수평부와 상기 플랜지 및 상기 큐브의 제2면이 용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의 상면이 되는 제3면과 상기 렁의 상면이 용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의 제4면, 제5면, 제6면은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너트가 삽입되고, 상기 제1면에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에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와 상기 볼트홀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너트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렁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렁의 상면, 하면, 정면, 배면 중 최소 한곳에 내부로 함몰된 스토퍼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큐브의 삽입 깊이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200051171A 2020-04-28 2020-04-28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479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71A KR102479952B1 (ko) 2020-04-28 2020-04-28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71A KR102479952B1 (ko) 2020-04-28 2020-04-28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818A true KR20210132818A (ko) 2021-11-05
KR102479952B1 KR102479952B1 (ko) 2022-12-20

Family

ID=7850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171A KR102479952B1 (ko) 2020-04-28 2020-04-28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95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586B1 (ko) * 2012-12-14 2014-03-31 신희순 케이블 트레이의 제조방법
KR20140003753U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KR101414792B1 (ko) * 2014-01-07 2014-07-03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착탈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753B1 (ko) * 2016-12-12 2017-06-13 누리씨앤티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20180085963A (ko) * 2017-01-20 2018-07-30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 트레이에서 렁의 구조를 이용한 4단 체결구조
KR20180085962A (ko) * 2017-01-20 2018-07-30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 트레이에서 레일 구조를 이용한 3단 체결구조
KR101946034B1 (ko) 2018-03-08 2019-02-08 주원철 케이블 트레이용 렁
KR102021359B1 (ko) * 2018-06-07 2019-09-16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753U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KR101379586B1 (ko) * 2012-12-14 2014-03-31 신희순 케이블 트레이의 제조방법
KR101414792B1 (ko) * 2014-01-07 2014-07-03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착탈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691371B1 (ko)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753B1 (ko) * 2016-12-12 2017-06-13 누리씨앤티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20180085963A (ko) * 2017-01-20 2018-07-30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 트레이에서 렁의 구조를 이용한 4단 체결구조
KR20180085962A (ko) * 2017-01-20 2018-07-30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 트레이에서 레일 구조를 이용한 3단 체결구조
KR101946034B1 (ko) 2018-03-08 2019-02-08 주원철 케이블 트레이용 렁
KR102021359B1 (ko) * 2018-06-07 2019-09-16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952B1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0633C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устан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фиксации стойки
KR200303366Y1 (ko) 케이블트레이 연결구조
KR20210132818A (ko)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87383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2445083B1 (ko)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20210132820A (ko) 2면삽입마개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20210132819A (ko) 3면삽입마개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20190048277A (ko) 방음벽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70105547A (ko) 변속기 레버유닛의 노브 조립체
JP6484751B1 (ja) 接合金物及び建築用パネル
JP2807524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KR200147399Y1 (ko) 문틀의 결합장치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20170091909A (ko)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JP4119168B2 (ja) 簡易組み立て式キャビネット
KR102659430B1 (ko) 철재 선반
JP7417098B2 (ja) 天板の連結構造、及び、テーブル
CA2251419A1 (en) Corner connection for l-shaped frame profiles
JP7233818B2 (ja) 吊り天井における梁材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
JP2024002018A (ja) 枠体、パネル体、及びパネル体の製造方法
JP3308214B2 (ja) 戸 体
KR200374442Y1 (ko) 가구용 장식부재의 코너 연결구
JP2024048545A (ja) 間仕切りパネルの連結構造
KR100780421B1 (ko) 녹다운형 금속캐비닛의 상부 전방 코너 보강구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