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057A -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057A
KR20100109057A KR1020090027445A KR20090027445A KR20100109057A KR 20100109057 A KR20100109057 A KR 20100109057A KR 1020090027445 A KR1020090027445 A KR 1020090027445A KR 20090027445 A KR20090027445 A KR 20090027445A KR 20100109057 A KR20100109057 A KR 2010010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able tray
rung
manufactu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466B1 (ko
Inventor
김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김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김병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09002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4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5Joining superposed plates by sli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렁의 양단에 결합되는 인서트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인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서트(1)는 직사각형상으로 대향 양측에 위치하고, 사각공(13)을 형성한 제1,제2측면부(11)와, 이 제1,제2측면(11) 내측으로 양측에서 길게 연장된 제3,제4측면부(12)와, 상기 제1,제2측면부(11) 및 제3,제4측면부(12)사이에 형성되고, 체결공(14)를 형성한 바닥면부(15)와,이 바닥면부(15)의 대향 위치하는 개구부(16)를 형성하여서 되며, 그 제조공정은,
판형의 금속판체내에 1차 체결공 및 사각공을 천공(piercing)하는 제1공정과,제1,제2측면용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제2공정과,연속 가공되는 인서트와 인서트 사이를 부분 노칭(notching)하는 제3공정과, 체결공 내부를 버링(burring)하고, 탭핑(tapping)하는 제4공정과, 제1,제2측면을 벤딩하는 제5공정과, 제3,제4측면을 일부 절단함과 아울러 벤딩하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트레이,렁,인서트.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와 그 제조방법{Insert for fitting rung of cable t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의 렁(rung,가로대, 이하 렁이라 함)의 양단에 간단히 결합되고,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 레일에 렁을 용이하게 체결시키는 인서트(insert)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인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빌딩, 공장 등의 건축시 건물에 소요되는 각종 전선은 통상 천정이나 바닥 내부 또는 그 이면에 설치, 배선되는데 다양한 전선들을 서로 구별이 용이하고, 또한 기능상, 외관상 보기 좋게 정렬하기 위하여 케이블트레이를 사용한다. 그런데, 일단 시공된 이후에는 전기 배선 설비는 그 하자 보수가 번거롭기 때문에 그 시공초기단계부터 완벽을 기해야 하며, 특히 전선이 통과하는 케이블트레이 등은 부식에 강하고 충분한 강도를 지녀야 하며, 그렇지 못하여 부식되거나 케이블트레이가 파손되는 경우 트레이가 바닥으로 낙하되거나 전선이 밑으로 쳐져 단선이나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케이블트레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케이블트레이 본체)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가로대(렁, 이하 렁이라 함)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드 프레임과 가로대의 결합방식은 용접방식, 나사방식, 끼움방식 등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다. 용접방식의 경우에는 그 재질이 금속이므로 그 자체의 무게도 무겁고 그들의 부식성 등을 고려하여 용융아연 도금을 시행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며 균일한 용접이 힘들어 강도의 균일성 확보가 쉽지 않으며, 용접등을 하였기 때문에 분리 및 조립이 힘들고,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금속재질의 경우 나사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결합의 안정성 및 부식성의 문제는 여전히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5865호 '케이블트레이'에서는 좀 더 개선한 형태의 볼트방식을 개시하고 있는데 단순한 볼트체결방식의 편리함을 강조하거나 볼트의 수용부를 다양화하였을 뿐이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2715호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에서는 끼움방식을 개시하고 있는데 기계적 강도의 문제점과 조립이 간편한 만큼 이탈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방식의 경우 금속형의 렁의 결합시 용접방식을 벗어났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내식성등의 문제를 가지게 되며, 단순한 나사방식 또는 끼움방식 등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갖기 힘들기 때문에, 내식성과 강도등을 고려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는 큰 장력강도와 내충격성과 내부식성을 가지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의 환경에 적합하다.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에 관련한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번호 10-0740900도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양 측면프레임의 내측면에 슬롯부와 결합공을 형성하고 양 측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렁의 양단에는 상기 슬롯부와 결합공에 결합되는 절곡편과 돌출결합부를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인 바, 사이드 프레임과 렁을 결합함에 있어 별도의 볼트.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있다. 즉, 케이블 트레이는 주로 건물골조의 천정에 매달아 설치되며 케이블을 설치할 때나 케이블을 증설 또는 수리할 때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 위에 올라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상당한 자체중량을 지닌 케이블에 사람의 몸무게가 더해져서 큰 중량이 케이블 트레이에 실리게 되며 이러한 때에 케이블 트레이의 구조가 약하면 측면 프레임이 뒤틀릴 수가 있고 또 측면프레임의 상부가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현상은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이 되어 왔는 바, 상기 종래기술은 측면상부가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종래기술은 행거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편의 절곡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큰 하중을 받으면 상기 직각 절곡부가 둔각으로 변형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렁의 양단부와 사이드 레일사이의 연결부를 보다 강하게 함이 요구되어 왔다. 아울러 이러한 필요성에 더하여 현장시공시 용접을 통하여 보다 신속성을 기하고 할 경우 발생되는 용접자국등의 문제점없이 미려하게 외관이 보장되는 케이블 트레이도 필요로 되어 왔다.
한편, 이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인서트로는 냉간단조 혹은 열간단조등으로 금속체를 직사각형으로 가공한 뒤 여기에 필요한 체결공,사각공등을 수작업으로 가 공하는 렁 결합용 인서트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첫째, 가공품이 일종의 직사각형 몸체를 통하여 가공하므로서 인서트 자체가 무거운 중량감을 갖고 있으며, 둘째, 이러한 선출원 인서트의 경우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가공 해야하므로 대량생산시의 자동화가 필요로 되었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렁(rung)을 사이드 레일(side rail)에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제작을 빠르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인서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서트를 이용하여 렁과 사이드레일과의 체결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렁에 먼저 체결부재없이 인서트가 간단히 결합되고,렁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 레일에 체결되므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면서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용접작업으로 렁을 연결할때에 비하여 렁 또는 사이드 레일의 표면이 깨끗하게 마무리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서트가 평판형의 금속판체를 간단하게 벤딩하여 제조하도록 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인서트의 제조방법이 판형의 금속판체를 천공하고, 제거(side notching,사이드 노칭)하고, 부분 절취(notching,노 칭)하고, 버링하고, 탭핑하고,절곡(bending,벤딩)하며, 절단하고, 절곡(벤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공정을 자동화한 하나의 공정으로 하고자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는,
개구부와,바닥과, 제1,제2측면 및 제3,제4측면을 형성하도록 평판형의 금속판체를 벤딩하여서 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의 상기 바닥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면과 결합되는 체결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의 상기 제1,제2측면에는 사각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조방법은,
1) 판형의 금속판체내에 1차 체결공 및 사각공을 천공(square piercing,사각공)하는 단계와, 2) 제1,제2측면용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side notching,사이드 노칭)하는 단계와, 3) 연속 가공되는 인서트와 인서트 사이를 부분 절취(notching,노칭)하는 단계와, 4) 체결공 내부의 버르(burr)를 다듬고(burring,버링), 나사깎기(tapping,탭핑)를 하는 단계와, 5) 제1,제2측면을 절곡(bending,벤딩)하는 단계와, 6) 제3,제4측면을 절단(cutting,컷팅)함과 아울러 절곡(벤딩)하는 단계로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 렁 결합용 인서트와 그 제조방법은 종래 인서트들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여 금속철판을 노칭(스탬핑),절단,천공,버링,탭핑,절곡하여 간단하게 제조함이 가능해진 것으로구조가 간단화하여 제조공정도 자동화 가능하여 생산단가를 줄일수 있는 경제성있는 인서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그동안 단지 중량감의 철편을 절단하여 외부에서 다듬고,구멍을 형성하는 수작업으로 가공되므로서 숙련작업자를 필요로 하던 것을 개선하고, 작업자를 통한 수작업으로 인하여 공정시간이 과다하던 점을 개선하여 간단히 기능변경이 가능한 롤포오밍기로서 자동화 제조가 가능한 인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a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인서트는 직사각형상으로 대향 양측에 위치하고, 사각공(13)을 형성한 제1,제2측면부(11)와, 이 제1,제2측면 내측으로 양측에서 길게 연장된 제3,제4측면부(12)와, 상기 제1,제2측면부(11) 및 제3,제4측면부(12)사이에 형성되고, 체결공(14)을 형성한 바닥면부(15)와,이 바닥면부(15)의 대향 위치하는 개구부(16)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2b,2c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2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인서트는 직사각형상으로 대향 양측에 위치하고, 사각공(13)을 형성한 제1,제2측면부(11)와, 이 제1,제2측면 내측으로 양측에서 길게 연장된 제3,제4측면부(12)와, 상기 제1,제2측면부(11) 및 제3,제4측면부(12)사이에 형성되고, 체결공(14)을 형성한 바닥면부(15)와,이 바닥면부(15)의 대향 위치하는 개구부(16)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17은 개공부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인서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제2실시예의 제조공정은 거의 같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중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1실시예의 제조공정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조공정 전체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라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1) 제1공정
도 3a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제조를 위하여 판형의 금속판체가 공급되는 초기 상태로서 1차 체결공(14)를 천공하는 공정을 거쳐 사각공(13)을 천공(square piercing,사각공)하는 2공정을 진행하여서 된다. 이러한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롤포오밍등의 연속포오밍기에서의 시설에 따라 한번에 천공가능하다.
2) 제2공정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제2측면(11)용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a)을 제거(side notching,사이드 노칭)한다.
3) 제3공정
도 3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상 나타나는 기 체결공(13)(14) 천공과 절단부분(a)을 제거하고 나면 연속 가공되는 인서트의 사이를 부분 절취(notching,노칭)하기 위하여 소정의 노칭작업이 수행된다.
4) 제4공정
도 3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결공(14) 내부의 버르(burr)를 다듬고(burring,버링), 나사깎기(tapping,탭핑)를 한다.
5) 제5공정
도 3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제2측면(11)을 절곡(bending,벤딩)하여 수직 위치로 접게 된다.
6) 제6공정
도 3f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제4측면(12)에서 그 인서트와 인서트의 연결부분을 마지막 절단(cutting,컷팅)함과 아울러 제3,제4측면(12)를 절곡(벤딩)한다.
이러한 전체 공정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롤포오밍기등에 의하여 연속하는 일련의 작업을 통하여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본 발명 인서트의 적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5a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제1실시예의 인서트 가 적용된 렁의 사시도이고, 도 5b,5c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제2실시예의 인서트가 적용된 렁이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면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의 인서트는 먼저, 케이블 트레이의 가로방향 설치되는 렁(2)의 양단에 삽입 고정된다.
즉, 렁(2)의 양단에 인서트(1)를 각각 삽입한 뒤 고정하여서 된다. 이때 체결공(14)은 양단으로 노출시키고, 기 형성된 사각공(13)에 렁(2)의 측면을 가압하여 결합시킨다.
이후 도 5b와 같이 양단에 인서트(2)가 결합된 렁(1)을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3)에 볼트(4)로서 인서트(1)의 체결공(14)에 고정하므로서 본 발명 인서트(1)가 결합된 렁(2)이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1a,1b는 종래 케이블 트레이의 렁과 인서트의 예를 나타내는 선등록예이고,
도 2a,2b,2c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1,제2실시예의 사시도들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별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조공정 전체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5b,5c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도면들과 조립예시도이다.

Claims (3)

  1.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에 있어서,
    직사각형을 이루되 상면은 개구부(16)를 이루고,하면은 체결공(14)을 형성한 바닥(15)을 이루며,일주하는 네면은 각각 제1,제2측면(11) 및 제3,제4측면(12)을 형성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측면(11)에 사각공(13)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3.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판형의 금속판체내에 1차 체결공(14) 및 사각공(13)을 천공(piercing)하는 단계와,
    제1,제2측면(11)용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a)을 제거하는 단계와,
    연속 가공되는 인서트와 인서트 사이를 절단하기 전 일부 연결되게 부분 노칭(notching)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공(14) 내부를 버링(burring)하고, 이어서 탭핑(tapping)하는 단계와,
    제1,제2측면(11)을 벤딩하여 수직으로 접는 단계와,
    제3,제4측면(12)의 연결부분을 절단함과 동시에 벤딩하여 수직으로 접는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의 제조방법.
KR1020090027445A 2009-03-31 2009-03-31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제조방법 KR10105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445A KR101054466B1 (ko) 2009-03-31 2009-03-31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445A KR101054466B1 (ko) 2009-03-31 2009-03-31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057A true KR20100109057A (ko) 2010-10-08
KR101054466B1 KR101054466B1 (ko) 2011-08-05

Family

ID=4313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445A KR101054466B1 (ko) 2009-03-31 2009-03-31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4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0834A (zh) * 2011-01-16 2011-08-03 葛跃进 用于无钉卡装电热地板系统的供电龙骨
KR101587590B1 (ko) * 2015-08-31 2016-01-26 정윤석 케이블 트레이
KR101601766B1 (ko) * 2015-08-31 2016-03-10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021359B1 (ko) * 2018-06-07 2019-09-16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200075262A (ko) * 2018-12-18 2020-06-26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지지대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332210B1 (ko) * 2021-04-09 2021-12-01 주식회사 덕성테크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제조 프레스 자동금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1614U (ja) 1981-10-05 1983-04-07 石井 真澄 ケ−ブル・ラツク用床桁
KR20080109982A (ko) * 2007-06-14 2008-12-18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조립방법
KR20090092874A (ko) * 2008-02-28 2009-09-02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케이블 트레이, 이 케이블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55753B1 (ko) * 2009-02-16 2011-08-11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0834A (zh) * 2011-01-16 2011-08-03 葛跃进 用于无钉卡装电热地板系统的供电龙骨
KR101587590B1 (ko) * 2015-08-31 2016-01-26 정윤석 케이블 트레이
KR101601766B1 (ko) * 2015-08-31 2016-03-10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021359B1 (ko) * 2018-06-07 2019-09-16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200075262A (ko) * 2018-12-18 2020-06-26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지지대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332210B1 (ko) * 2021-04-09 2021-12-01 주식회사 덕성테크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제조 프레스 자동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466B1 (ko) 201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466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결합용 인서트 제조방법
US7409804B2 (en) Roof truss
EP2492408A1 (en) Joint structure for building frame
KR101055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CN104246093B (zh) 临时设置脚手架用接头
KR20100109059A (ko) 케이블 트레이용 렁과 그 제조방법
JP2001513027A (ja) 金属部材接合
KR102046242B1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구조
KR200486529Y1 (ko)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
PL197715B1 (pl) Sposób wytwarzania belek dla regałów magazynowych i układ belek dla regałów magazynowych
JP2008274571A (ja) 折版屋根材の固定金具
CN112196205A (zh) 一种墙板的装配式张拉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481467Y1 (ko)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KR20200032849A (ko) 조립식 방화문틀
KR0167993B1 (ko) 격자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CN210859483U (zh) 一种便于拆装的型材及其连接件
CN215888808U (zh) 一种装配式顶板吊挂结构
JP5940905B2 (ja) 仮設足場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6192U (ja) 天井板の支持構造
CA2548028C (en) Roof truss
KR200355405Y1 (ko) 조립식 난간
CN211172796U (zh) 一种饰面板装置
JP4514677B2 (ja) 屋根パネルまたは床パネルの補強方法、補強構造および補強用支持金具
WO2010047670A1 (ru) Профиль перфорированный для быстромонтируем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0316810Y1 (ko) 방화문용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