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770A - 이동용 상승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용 상승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770A
KR20230030770A KR1020210112834A KR20210112834A KR20230030770A KR 20230030770 A KR20230030770 A KR 20230030770A KR 1020210112834 A KR1020210112834 A KR 1020210112834A KR 20210112834 A KR20210112834 A KR 20210112834A KR 20230030770 A KR20230030770 A KR 20230030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mounting plate
carrier
upper member
typ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엽
Original Assignee
김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엽 filed Critical 김정엽
Priority to KR102021011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770A/ko
Publication of KR2023003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0Scaffolds comprising upright members and provision for supporting cross-members or platforms at different positions therealo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고 설치ㆍ보수ㆍ검사 또는 기타 유사한 작업에서 필요한 작업 위치로 수동 또는 전동방식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올라서는 캐리어가 암수의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상ㆍ하 부재로 분리되어 이룬 기둥을 타고 오르내리며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작업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로서, 기둥의 하 부재 상단에 고정 결속공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고정 결속공과 선택적으로 결합ㆍ분리되는 다수의 가동 결속공들을 이용해 상기 기둥의 높이가 가변되게 한 것, 캐리어는 의자형 탑재판과 이 의자형 탑재판이 상 부재를 타고 오르내리도록 안내하는 브래킷, 그리고 상 부재 상단에 와이어가 결속되어 정역회전으로 와이어어 감기고 풀리면서 의자형 탑재판을 오르내리게 하는 윈치가 구비되어 이룬 것, 기둥의 상단에 캐리어가 설치된 측으로 연장되어 작업 현장의 벽면에 받쳐지는 지지대 및 기둥의 하단에는 작업 현장의 바닥으로 벽면과 병행한 방향에서 설치되는 받침대로 이루어 작업 현장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용 상승 작업대{Mobile Ascending Workstation}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고 설치ㆍ보수ㆍ검사 또는 기타 유사한 작업에서 필요한 작업 위치로 수동 또는 전동방식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 또는 산업장 등 높은 곳에 설치ㆍ보수나 기타 유사한 작업 시 작업자가 올라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오르내릴 수 있는 간이식 작업대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간이식 작업대는 대략 층계형 작업대 또는 리프트형 작업대들로 이루고 있다.
전자 층계형 작업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뤄 접이식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사다리들의 상단에서 탈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올라서는 평판형의 작업판이 구비되어 이루고 있다.
후자 리프트형 작업대는 몸체가 상ㆍ하부재로 양분되어 접이식 삼발이를 이용해 수립 설치되는 기둥과, 이 기둥에 그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별도의 수동 또는 전동 기구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리드 스크루로 상부재가 오르내리게 함과 아울러, 그 상부재를 타고 자유로이 오르내리도록 설치되는 캐리어가 상부재의 오르내림에 연동하는 인양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로 이동하며 작업자의 작업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간이식 작업대들 중 전자 층계형 작업대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밟고 오르내릴 시 사다리 주위에 안전 난간이 없어 작업자의 부주위 또는 발을 헛디딜 시 추락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가 따르고 있다.
근래에는 후자 리프트형 작업대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대의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자 리프트형 작업대는 기둥의 몸체를 상하로 양분하여 상ㆍ하부재로 분리 구성한 후 상부재가 그의 상단에서 구비되어 수동 또는 전동 기구를 이용해 정역회전으로 하는 리드 스크루에 의해 하부재를 타고 오르내림에 연동하는 인양 와이어를 이용해 캐리어가 오르내리며 작업자의 작업 위치를 변경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캐리어의 오르내림을 위한 구조가 1,2단계적으로 이뤄 구성이 복잡하고 기둥의 높이가 한정적이어 작업 범위가 제한적이며, 그리고 캐리어 오르내림을 위한 리드 스크루의 조작이 상부재 상단에서 이루어 캐리어가 기둥의 아래에 위치 시 리드 스크루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등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작업대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기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캐리어의 오르내림 조작을 간편히 이룰 수 있도록 작업대의 구조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21-008940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2171757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둥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되게 하여 높낮이가 다른 모든 작업 현장에 적절하게 사용 할 수 있게한 이동용 상승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둥의 상 부재에서 작업자가 올라서거나 앉는 탑재판이 윈치에 의해 자유로이 오르내리게 하면서 작업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용 상승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둥의 상부에 작업자 보호를 겸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서 설치가 간단 용이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고 설치ㆍ보수ㆍ검사 또는 기타 유사한 작업에서 필요한 작업 위치로 수동 또는 전동방식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를 제공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올라서는 캐리어가 암수의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상ㆍ하 부재로 분리되어 이룬 기둥을 타고 오르내리며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작업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로서, 기둥의 하 부재 상단에 고정 결속공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고정 결속공과 선택적으로 결합ㆍ분리되는 다수의 가동 결속공들을 이용해 상기 기둥의 높이가 가변되게 한 것, 캐리어는 의자형 탑재판과 이 의자형 탑재판이 상 부재를 타고 오르내리도록 안내하는 브래킷, 그리고 상 부재 상단에 와이어가 결속되어 정역회전으로 와이어어 감기고 풀리면서 의자형 탑재판을 오르내리게 하는 윈치가 구비되어 이룬 것, 기둥의 상단에 캐리어가 설치된 측으로 연장되어 작업 현장의 벽면에 받쳐지는 지지대 및 기둥의 하단에는 작업 현장의 바닥으로 벽면과 병행한 방향에서 설치되는 받침대로 이루어 작업 현장에 간단히 설치 및 해체함과 아울러 기둥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해 높낮이가 다른 모든 작업 현장에 적절하게 사용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상승 작업대에 의하면 기둥의 높이를 높낮이가 다른 작업 현장에 적절하게 맞추어 자유로이 가변시킬 수 있어 다양한 높낮이를 가지는 모든 작업 현장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높낮이가 조절된 기둥의 상 부재에서 작업자가 올라서거나 앉은 상태에서 작업자의 수공으로 윈치를 직접 조작해 캐리어가 오르내리게 하면서 작업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이동용 상승 작업대의 기대 상부에 "ㄷ"자형으로 설치되는 지지대를 이용해 작업자 주위가 보호되게 함으로서, 작업자의 부주위에 따른 추락를 예방하고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상승 작업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상승 작업대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상승 작업대의 사용과정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도 4는 기둥 높이가 최소로 낮은 위치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고,
도 5는 기둥 높이가 최대로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b)는 본 발명 이동용 상승 작업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상승 작업대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또는 산업장 등 높은 곳에 설치ㆍ보수나 기타 유사한 작업 시 작업자가 올라서 공사할 필요한 작업 위치로 수동 또는 전동방식에 의해 변경시킬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이동용 승강 작업대는 크게 나누어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병렬 배치되는 기둥(10)과 캐리어(20)로 구성된다.
먼저, 10은 기둥이다. 이 기둥(10)은 길이 방향에서 상호 암수 끼워 맞춤 결합되는 관형의 상 부재(12)와 채널형의 하 부재(14)로 이뤄 하 부재(14)로부터 상 부재(12)가 들락날락 하며 기둥(10)의 길이가 자유자재로 가변되게 하여 작업 현장에 따라 적절하게 높이가 조절되게 하고 있다.
기둥(10)의 높낮이 조절은 하 부재(14) 상단에 고정 결속공(14a)을 구비하고, 상 부재(12)에는 그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하 부재(14)의 고정 결속공(14a)과 선택적으로 결합ㆍ분리되는 다수의 가동 결속공들(12a)을 이용해 이루게 된다. 이때 기둥(10)의 높낮이가 결정되어 결합된 고정 및 가동 결속공(14a,12a)의 결속은 통상의 볼트나 결속핀으로 이루게 한다.
캐리어(20)는 작업자가 올러서거나 앉은을 수 있는 의자형 탑재판(22)과, 기둥(20)의 상 부재(12)와 탑재판(22)의 사이에서 개재되고 바퀴들을 이용해 상 부재(12) 내면을 타고 탑재판(22)이 오르내리도록 이동 안내하는 브래킷(24), 그리고 탑재판(22)의 이면에 통상의 윈치(26)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고 있다.
윈치(26)는 도 3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 부재(12) 상단에 와이어(WI)의 끝단이 결속되어 정역회전으로 와이어(WI)가 릴(26c)에 감기고 풀리면서 의자형 탑재판(22)을 높낮이가 조절된 기둥(10)의 상 부재(12)에서 오르내리게 될 것이다.
또 윈치(26)의 구동은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는 손잡이(26a)로 이루는 수동형 구동과 울러 래치(26b)가 구비되어 통상에서와 같이 윈치(26)의 구동을 제어하게 될 것이다.
또한 윈치(26)는 상기에서와 같이 손잡이(26a)를 이용한 수동식 또는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으로 구동 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기둥(10)의 상단에는 캐리어(20)가 설치된 측으로 연장되어 작업 현장의 벽면(W)에 받쳐지는 봉형의 지지대(40)가 구비된다. 이때 지지대(40)는 "ㄷ"자 형으로 이뤄 작업자의 주위를 감싸 부주위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하게 하였다.
또 기둥(10)의 하단에는 작업 현장의 벽면(W)과 병행한 방향으로 펼쳐 설치되는 받침대(60)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기둥(10)은 그 기둥(10)의 상하단에 작업 현장의 벽(W)에 받쳐지는 지지대(40)와 작업 현장 바닥으로 펼쳐지는 받침대(60)를 이용하여 본 발명 이동용 승강 작업대를 작업 현장에 간단히 설치하게 될 것이다.
또한 받침대(60)는 기둥(1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는 분할대들(60a)이 기둥(10)의 양측면에서 아래위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운반 및 보관 시 도 2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기둥(10) 양변 측으로 분할대들(60a)을 접어들여서 이동용 승강 작업대의 부피를 최소로 줄이게 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승강 작업대의 사용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이동용 승강 작업대의 기둥(10) 높이가 최소로 낮은 위치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이동용 승강 작업대의 기둥(10) 상 부재(12)가 하 부재(14)로부터 최대로 높은 위치로 이동하여 기둥(10)을 최대로 높이어 작업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작업자가 캐리어(20)의 탑재판(22)에 올라서 윈치(26)의 손잡이(26a)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필요한 작업 위치로 자유로이 변경하면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도 6의 (a)(b)는 본 발명 이동용 승강 작업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10)의 하부에서 좌우 한쌍의 분할대들(600a)로 이루는 받침대(600)가 (a)의 도면에서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기둥(10)의 양측면에서 전후 접이식으로 설치되게 함과 아울러 지지대(40)가 (b)의 도면에서와 같이 기둥(10) 측으로 접히게 하여 운반 및 보관 시 작업대의 부피를 최소로 줄이게 한다. 이때 받침대(600)의 양 분할대들(600a)을 V자 형태로 벌리어 벽(W)에 받쳐지는 지지대(40)를 사용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작업대를 세워 사용할 수도 있게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기둥
12: 상 부재 12a: 가동 결속공
14: 하 부재 14a: 고정 결속공
20: 캐리어
22: 탑재판
24: 브래킷
26:윈치 26a: 손잡이 26a: 래치
40: 지지대
60: 받침대 60a: 분할대

Claims (3)

  1. 작업자가 올라서는 캐리어가 암수의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상ㆍ하 부재로 분리되어 이룬 기둥을 타고 오르내리며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작업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로서,
    상기 기둥의 하 부재 상단에 고정 결속공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상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 결속공과 선택적으로 결합ㆍ분리되는 다수의 가동 결속공들을 이용해 상기 기둥의 높이가 가변되게 한 것;
    상기 캐리어는 의자형 탑재판과 이 의자형 탑재판이 상기 상 부재를 타고 오르내리도록 안내하는 브래킷, 그리고 상기 상 부재 상단에 와이어가 결속되어 정역회전으로 상기 와이어어 감기고 풀리면서 상기 의자형 탑재판을 오르내리게 하는 윈치가 구비되어 이룬 것;
    상기 기둥의 상단에 상기 캐리어가 설치된 측으로 연장되어 작업 현장의 벽면에 받쳐지는 지지대; 및
    상기 기둥의 하단에는 작업 현장의 바닥으로 벽면과 병행한 방향에서 설치되는 받침대로 이룬 이동용 상승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ㄷ" 자형으로 이뤄 작업자 추락 사고를 예방하게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어 접이식으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용 상승 작업대.

KR1020210112834A 2021-08-26 2021-08-26 이동용 상승 작업대 KR20230030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34A KR20230030770A (ko) 2021-08-26 2021-08-26 이동용 상승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34A KR20230030770A (ko) 2021-08-26 2021-08-26 이동용 상승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70A true KR20230030770A (ko) 2023-03-07

Family

ID=8551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834A KR20230030770A (ko) 2021-08-26 2021-08-26 이동용 상승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077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57B1 (ko) 2018-10-29 2020-10-30 임대우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20210089401A (ko) 2020-01-08 2021-07-16 안예원 계단형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57B1 (ko) 2018-10-29 2020-10-30 임대우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20210089401A (ko) 2020-01-08 2021-07-16 안예원 계단형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KR100956177B1 (ko) 고소작업대
KR20140002915U (ko) 선박 블록 작업용 높이조절사다리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CN108915229B (zh) 一种多功能装修施工架
KR20230030770A (ko) 이동용 상승 작업대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KR20190109873A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060071595A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KR20110006044U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대
JP5765795B2 (ja) 作業台装置及び作業台装置の積層構造
KR101958349B1 (ko) 사다리용 승하강작업대
KR20140079058A (ko) 협착 방지용 폴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
KR20100041906A (ko) 가변형 조립 작업대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KR20230000501U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KR20140110406A (ko) 고소작업대
KR20130000337U (ko) 높이 조절용 경사 사다리
JP3548287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台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1852545B1 (ko) 리프트 겸용 운반 사다리
KR20100057569A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
KR100342235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고소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