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45B1 -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4045B1 KR960004045B1 KR1019930013449A KR930013449A KR960004045B1 KR 960004045 B1 KR960004045 B1 KR 960004045B1 KR 1019930013449 A KR1019930013449 A KR 1019930013449A KR 930013449 A KR930013449 A KR 930013449A KR 960004045 B1 KR960004045 B1 KR 960004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support
- shaped
- elevator installation
- pai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일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설치방법을 보이기 위한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결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편심래칫기어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후 가로대 12 : 전,후 가로대
13 : 좌,우 가로대 14 : 좌,우 가로대
15 : 걸고리 16 : 수직다리
31 : ㄱ자형 지지부재 32 : 중공파이프
33 : ㄴ자형 조임부재 35 : 보울트
41 : 부착구 42 : 래칫기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자 할 때 임의의 층에서 작업대겸 안전망으로 또는 방호선반으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시 작업대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용 레일과 바란스 웨이트용 레일, 그리고 배선케이블등 여러 가지 시설을 엘리베이터 홀안에 장착하야 한다.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홀은 지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수직으로 관통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시설물은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보조시설이 필요하며, 이에대한 종래의 방법을 보면 최하층으로부터 건축용 비계를 조립 설치한후 그 위에 각목으로 작업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통례였다.
다시말해서 수직관통된 에리베이터홀의 내벽에 레일을 부착한다든지 했을때 아래층으로부터 시작하여 최상층까지 작업진행에 따라 비계높이를 그때그때 증축하여 가면서 작업대의 위치를 높여갔던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증축해가는 비계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강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결여된다는 점이 가장큰 문제점이며, 또 이와같은 비계는 설치작업이 본래하고자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작업보다 더큰 작업량이 되는 것일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설치작업이 끝난후 철거작업이 향상 뒤따르기 때문에 자재의 손실을 물론, 비용 및 인력의 낭비가 심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같은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을 설치작업이 어려운 비계증축을 하지않고도 원하는 임의의 층에서 홀의 넓이에 구애받지 않고 곧바로 펼쳐 지지시킨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일회사용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거의 영구적 으로 재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망체가 걸리는 사각특을 만들되, 전,후 좌,우로 길이연장이 가능토록하면서 전방의 클램핑 기구 및 후방의 버팀기구를 마련하데에 있는바,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사각형을 이루고있는 전후방의 가로대(11)(12)와 좌,우측의 세로대(13)(14)를 볼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직경이 큰 외봉(a)과 직경이 작은 내봉(b) 파이프로써 끼워 맞추어 길리조절이 가능토록 연결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각형의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 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한 전,후방 가로대(11)(12)와 좌,우측 세로대(13)(14)의 안쪽으로는 적절히 배치된 다수의걸고리(15)들을 마련한후, 여기에 망체(2)를 걸어주었고, 전방가로대(11)의 좌, 우 양측끝단에서는 하단에 조절나사(17)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다리(16)를 고정부착하였으며, 그 중단에는 클램핑긱(3)를 구비하였다.
이 클램핑 기구(3)는 외측을 향한 한쌍의 ㄱ자형 지지부재(31)와 중공파이프(32)에 끼워진채 위 아래로 습동이 가능한 ㄴ자형 조임주재(33)를 가지는데 이때의 조임부재(33)는 ㄱ자형 지지부재(31)들 사이의 횡판(34)에 수직나삽한 보울트(35)를 풀고조임에 따라 상,하로 승강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좌, 우측에 세로대(13)(14)의 중단에서는 역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조가로대(18)를 가로로 마련하고, 후단끝에는 각각 동일한 한쌍의 버팀기구(4)를 착설하였는바, 이는 부착구(41)의 끝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축받침편(42)상에 하향 편심진 래칫기어(43)를 축착하여 된 것이며, 부착구(41)의 위로는 각각 인양끈(44)을 하나씩 매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9)는 작은 나사들이고, (20)은 건물의 해당층 바닥이며, (21)은 엘리베이터홀의 벽체이다.
다음은 위에서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작동 및 사용상태의 작용효력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작업대는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같이 전, 후 가로대(11)(12)의 좌,우 길이와 좌,우측 세로대(13)(14)의 앞, 뒤 길이를 조절하여 사각형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고자 할 때는 작은나사들(19)을 풀어준 상태에서 각각의 외봉파이프(a)와 내봉파이프(b)를 빼내 조절하되, 엘리베이터홀의 전후 좌우 넓이에 맞게 조절한후 각각의 해당 작은나사들(19)을 조여주면 일차 준비작업이 끝난 것이다.
이후에는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핑기구(3)의 ㄱ 자형 지지부재(31)를 임의의 층바닥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작업대 거의 수평까지 기울여주고, 인양끝(44)을 이용해 이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횡판(34)상의 보울트(35)를 노여주면 ㄴ자형 조임부재(33)가 상승하는데 끝까지 조여줄 경우 ㄱ자형 지지부재(31)와 ㄴ자형 조임부재(33)의 사이 위치한 건물바닥(20)을 꽉 잡아주는 것과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어서 이 클램핑 수단만으로도 작업대(1)의 수평상태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 전방가로대(11)의 좌, 우 양측에는 수직다리(16)가 있어 이것이 엘리베이터홀의 내벽에 접하기 때문에 수평지지를 돕게되는데, 엘리베이터홀의 내벽이 불균일 할 때는 그 끝단에 나삽한 보울트(17)를 더조이거나 풀어 튼튼한 지지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좌, 우측 세로대(13)(14)의 후단 끝부분상에 마련한 버킴기구(4)는 이같은 작업대(1)의 수평상태를 더욱 견고히 받쳐줄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제 4 도에서 보듯이 작업대의 후단쪽에 하중이 많이 작용하여 처지려고 할 때 엘리베이트홀의 내벽(21)에 접해있는 편심 래칫기어(43)가 저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엘리베이터홀의 내벽에 접해있는 편심래칫기어(43)는 처음에는 작은 직경쪽이 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후단이 쳐지게되면 마찰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약간의 회동이 발생하고, 이는 결국 쳐지는 량에 따라 래칫기어의 큰직경쪽이 더욱더 접하도록 되는 것이기 때문에 하강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같이 설치하고 사용이 끝나후에는 이를 철수하여야 하는데, 이때는 클램핑기구(3)를 아까와 반대의 순서로 풀어주면서 건물의 안쪽에 서서 인양끝(44)을 당겨주면 클램핑기구(3)의 ㄱ 자형 지지대(31)(31)을 지점으로해서 앞으로 들려 올라오므로 철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건물의 최하층으로부터 적층해 사용하던 비계설비대신 원하는 임의의 층에서 곧바로 장착해 사용할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작업대를 제공받게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은 비계설비에 따른 비용 및 자재,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받침대(1)는 그 크기조절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홀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어 유리하며, 설치가 간단하므로 2∼3개층에 동시에 설치하고 사용하면 안전성 및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Claims (3)
- 전,후방의 가로대와 좌, 우측의 세로대를 사각형으로 연결하되, 각각의 내봉과 외봉파이프로서 길이조절이 가능토록한 후 각자 안쪽으로 다수의 걸고리를 마련해 망체를 긴장되게 걸어주며, 상기한 전방가로대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다리를 일체로 부착하고, 그 중단에는 클램핑기구를 마련하며, 상기한 좌우측 세로대의 후단끝에는 한쌍의 버팀기구를 각각 후방으로 돌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핑기구는 전방 가로대의 중단에 마련하되 상측으로 고정부착한 한상의 ㄱ 자형 지지부재와 중공파이프에 끼워진채 승강이동이 가능한 ㄴ자형 조임부재를 구비한후, 4자형 지지부재의 사이의 횡판에 자삽한 보울트로서 상기의 ㄴ 자형 조임부재를 승강시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버팀기구는 좌우측 세로대의 후단끝부상에 각각 하나씩 한쌍을 마련하되, 부착구의 끝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측받침편상상에 하향편심진 래칫기어를 축착하여 엘리베이터홀의 내벽에 밀착접촉하였을 때 하측으로 쳐질수록 상기한 편심래칫기어의 큰지름 쪽으로 회전하여 버티어질수록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13449A KR960004045B1 (ko) | 1992-12-12 | 1993-07-16 |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KR1019940008370A KR100328174B1 (ko) | 1993-07-16 | 1994-04-20 | 차량용방전램프의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024041 | 1992-12-12 | ||
KR92-24041 | 1992-12-12 | ||
KR1019930013449A KR960004045B1 (ko) | 1992-12-12 | 1993-07-16 |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5132A KR940015132A (ko) | 1994-07-20 |
KR960004045B1 true KR960004045B1 (ko) | 1996-03-25 |
Family
ID=6739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3449A KR960004045B1 (ko) | 1992-12-12 | 1993-07-16 |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40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1234B1 (ko) * | 2008-10-07 | 2012-02-21 | 김송강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3417B1 (ko) * | 2006-03-24 | 2006-06-28 | 임성호 |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안전난간 부착형 점검구 및기기반입구 안전커버 |
-
1993
- 1993-07-16 KR KR1019930013449A patent/KR9600040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1234B1 (ko) * | 2008-10-07 | 2012-02-21 | 김송강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5132A (ko) | 1994-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9765B1 (ko) | 옹벽 및 합벽용 거푸집 버팀대 | |
US7735606B1 (en) | Scaffold support platform | |
US20090218166A1 (en) | Scaffold auxiliary shelf | |
US20100025151A1 (en) |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 |
KR960004045B1 (ko) |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
CN213626572U (zh) | 一种工具式外悬挑操作平台 | |
US20050061582A1 (en) | Movable and repositionable safety guard rails for scaffolding | |
GB2364733A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ilders trestles | |
FI94657C (fi) | Tukilaite korkeudeltaan säädettävät jalustakappaleet sisältävien katsomoiden tai telineiden kantavia osia varten | |
CN210105234U (zh) | 一种吊顶施工用台车 | |
CN214090904U (zh) | 一种带有新型吊挂组件的倒置式升降脚手架 | |
CN213952912U (zh) | 一种悬挑式脚手架 | |
SK94797A3 (en) | Ladder-supported working platform | |
CN219909850U (zh) | 一种便于快速拼装的建筑施工架 | |
CN210002834U (zh) | 一种建筑外墙临时悬挂装置 | |
CN209815613U (zh) | 一种可重复使用可伸缩式单人吊具挂点装置 | |
CN114086752A (zh) | 一种用于屋面结构的可移动悬挑平台装置 | |
CN215760321U (zh) | 一种建筑工程施工用挑架装置 | |
CN219654275U (zh) | 一种格构式钢管高大模板支架 | |
CN217680421U (zh) | 一种吊篮平台防滑移固定装置 | |
CN209742772U (zh) | 一种电力维护用辅助器 | |
JP3865433B2 (ja) | L型作業台 | |
CN220954533U (zh) | 一种安全高的施工外挂架 | |
CN212388947U (zh) | 一种建筑施工用脚手架 | |
CN220414788U (zh) | 一种改进的便携门式脚手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616 Effective date: 1999113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32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