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095A -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095A
KR20060066095A KR1020067003253A KR20067003253A KR20060066095A KR 20060066095 A KR20060066095 A KR 20060066095A KR 1020067003253 A KR1020067003253 A KR 1020067003253A KR 20067003253 A KR20067003253 A KR 20067003253A KR 20060066095 A KR20060066095 A KR 20060066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landing
threshold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빈 마이헤큰 밀러
티모시 피. 갈란테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6700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6095A/ko
Publication of KR2006006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승강기(20)는 차량(30)과 랜딩(24) 사이의 작동 간격(26)을 연결하기 위해 승강기 차량(30) 아래로부터 연장하는 문지방(38)을 포함한다. 승강기 문(34)이 랜딩 문(36)과 정렬될 때, 문지방(38)이 랜딩 구조물(40)과 접촉할 때까지 문지방(38)이 차량(30)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한다. 고정 메커니즘(52)이 안전하게 문지방(38)을 랜딩 구조물(40)에 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단 적절한 문지방 정렬 및 고정 결합이 되면, 문 이동 메커니즘(50)이 해제되고 승강기 문(34) 및 랜딩 문(36)들이 개방된다.
승강기 조립체, 문지방, 고정 메커니즘, 문 이동 메커니즘

Description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ELEVATOR ASSEMBLY WITH EXTENDABLE SIL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승강기 차량과 랜딩(landing) 사이의 작동 간격을 연결하는 연장가능한 문지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랜딩 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해 승강기 문 아래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문지방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차량들은 랜딩들 사이의 승강구(hoistway) 내에서 위아래로 움직인다. 차량이 승강구 내에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승강기 차량의 외면과 승강구벽 사이에 충분한 운행 간격이 유지되어야만 한다. 만약 운행 간격이 최소화되면, 승차감이 떨어지고 차량 안내 시스템 부품의 마모가 증가된다. 만약 운행 간격이 최대화되면, 승차감은 개선되지만, 승강기 차량과 랜딩 사이의 큰 작동 간격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 해법은 진자 차량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진자 차량은 차량과 승강구벽 사이에 증가된 운행 간격으로 작동하고, 보다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하며 안내 시스템 부품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차량이 선택된 랜딩에 도달할 때, 차량은 차량과 랜딩 사이 작동 간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랜딩에 가깝도록 흔들린다. 이 해 법의 일 문제점은 차량의 측방향 움직임이 승차인의 승차감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의 다른 문제점은 차량을 측면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한, 만약 시스템이 고장나면, 차량과 랜딩 사이의 커다란 간격이 잔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다른 문제점들을 피하고 충분한 운행 간격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승강기와 랜딩 사이의 작동 간격을 연결하기 위한 향상된 구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용어로 말하면, 본 발명은 승강기 차량과 랜딩 사이의 작동 간격을 연결하는 연장가능한 문지방이다. 문지방은 랜딩 문지방과 같은 랜딩 구조물과 접촉하기 위해 승강기 차량 아래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다. 고정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및 랜딩 문들이 개방되기 전에 랜딩 구조물에 문지방을 고정한다.
일 예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일 단부에 후크(hook) 부분을 갖는 결합 아암(arm)을 구동하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핀이 랜딩 구조물에 장착된다. 문지방이 랜딩 구조물 쪽으로 움직일 때, 구동기가 후크 부분을 핀과 결합시키도록 움직인다. 다른 랜딩으로 움직이라는 명령을 받을 때, 구동기는 후크 부분을 핀으로부터 해제시키고 문지방은 후퇴된 위치로 되돌아온다.
고정 메커니즘의 다른 예는 전자석 및 솔레노이드(solenoid) 구동기를 이용한다. 솔레노이드는 승강구벽에 위치한 자기(magnetic) 목표물과 접촉하도록 전자석을 움직인다. 선택적으로는, 고정 요소들을 가진 솔레노이드들이 또한 승강구내 제 위치에 차량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문지방은 승강기 차량 바닥과 랜딩 사이의 오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된다. 문지방은 선형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랜딩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랜딩 구조물 위의 위치로부터 아래로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기재로부터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더욱 분명해진다. 상세한 기재와 첨부 도면들이 다음에 간략하게 기술된다.
도1a는 본 발명을 포함하고, 승강구내에 장착된 승강기 조립체의 입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b는 도1a의 승강기 조립체의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승강기 문 및 랜딩 문들이 폐쇄 위치에 있고 랜딩 문 조립체와 정렬되고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문 조립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3은 도2와 유사하지만 승강기 문 및 랜딩 문들이 폐쇄 위치에 남아 있고 연장된 위치에 있는 문지방을 보여준다.
도4는 도3과 유사하지만 승강기 문 및 랜딩 문들이 개방 위치에 있고 연장된 위치에 있는 문지방을 보여준다.
도5는 비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메커니즘과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문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6은 도5와 유사하지만 비고정 및 고정 위치들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는 고 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7은 도6과 유사하지만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도8은 고정 메커니즘의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9는 승강기 시스템에 포함된 도8의 고정 메커니즘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0a는 비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0b는 비고정 위치에 있는 도10a의 고정 메커니즘을 위한 복귀 메커니즘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1a는 도10a와 유사하지만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도11b는 도10b와 유사하지만 고정 위치에 있는 도11a의 고정 메커니즘을 위한 복귀 메커니즘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2는 승강기 차량과 랜딩 사이의 오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지방의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3a는 도12와 유사하지만 랜딩보다 더 높이 있는 승강기 차량을 보여준다.
도13b는 도12와 유사하지만 랜딩보다 더 낮게 있는 승강기 차량을 보여준다.
도14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승강기 차량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5a는 비고정 위치에 있는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5b는 중간 위치에 있는 도15a의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15c는 고정 위치에 있는 도15a의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16a는 비고정 위치에 있는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16b는 중간 위치에 있는 도15a의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16c는 고정 위치에 있는 도15a의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조립체(20)는 랜딩(24)들(하나만 도시됨) 사이의 움직임을 위해 승강구(22) 내에 장착된다. 작동 간격(26)은 승강기 차량(30)의 외면(28)과 승강구벽(32)들 사이에서 유지된다. 승강기 조립체(20)가 랜딩(24)들 사이의 승강구(22) 내에서 움직일 때 작동 간격(26)은 승강구벽(32)들과 승강기 차량(30) 사이의 충분한 운행 간격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승강기 차량(30)은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움직이는 승강기 문 조립체(34)를 포함한다. 승강기 차량(30)이 승객들 또는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랜딩(24)들 중 하나에서 멈출 때, 승강기 문 조립체(34)는 랜딩 문 조립체(36)와 정렬한다. 승강기 차량(30)으로 지지되는 문지방(38)은 승강기 문 조립체(34)와 랜딩(24) 사이의 작동 간격(26)을 연결하기 위해 차량(30)으로부터 랜딩 문 조립체(36)쪽으로 바깥으로 연장한다. 문지방(38)은 승강기 문 조립체(34) 아래로부터 연장되고 랜딩 문지방과 같은 랜딩 구조물(40)과 결합하기 위해 선형 경로를 따라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 문지방(38)은 승강기 문(34)과 랜딩 문(36)들 사이에 간격이 없도록 연속적인 비파손 면을 나타내는 평판 부재를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문 조립체(34)는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차량 프레임(44)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트랙(42)들 위에 지지되는 제1 문(34a) 및 제2 문(34b)을 포함한다. 시일(seal)(46)은 승강기 차량(30) 내에 공기 소음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량 프레임(44)과 문들(34a,34b) 사이에 위치된다. 랜딩 문 조립체(36)는 랜딩 문 프레임 구조물(48)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지지되는 제1 문(36a) 및 제2 문(36b)을 포함한다.
문 이동 메커니즘(50)은 일단 문지방(38)이 제 위치로 연장되고 고정되면 차량 문들(34a,34b)과 랜딩 문들(36a,36b)을 함께 열고 닫기 위한 연동장치를 포함한다.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임의의 타입의 문 이동 메커니즘 및 연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문 이동 메커니즘 및 연동장치의 작동은 잘 알려져 있고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승강기 문들(34a,34b)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시일(46)은 문들(34a,34b) 및 차량 프레임(44) 사이에서 압축되고, 문지방(38)은 문들(34a,34b) 아래에 완전히 후퇴된 위치에 있다. 상기 압축력은 트랙(42)들의 형상으로 인해 가해진다. 트랙(42)들은 대체로 직선인 제1 부분(42a) 및 제1 부분(42a)과 평행하지 않은 제2 부분(42b)을 포함한다. 제2 부분(42b)은 바람직하게는 문들(34a,34b)이 차량 프레임(44)에 대해 안쪽으로 당겨져서 시일(46)을 압축하도록 휘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일(46) 및 관련된 트랙 형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 "압축 시일을 가진 승강기 문 조립체" 라는 명칭의 동시계류출원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된다.
일단 차량(30)이 랜딩에 있고 승강기 문들(34a,34b)이 랜딩 문들(36a,36b)과 정렬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지방(38)은 문들(34a,34b) 아래로부터 랜딩 구조물(40)쪽 바깥으로 연장된다. 문지방(38)은 승강기 문들(34a,34b)과 랜딩 문들(36a,36b) 사이에서 직접 연장되는 대체로 선형인 경로를 따라 움직인다. 또한, 문들(34a,34b)은 트랙(42)의 제2 부분(42b)을 따라 차량 프레임(44)으로부터 바깥으로 움직인다. 문지방(38)은 바람직하게는 빠르게 작동 간격(26)을 연결하기 위해 문들(34a,34b)이 시일(46)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기 위해 움직이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
일 실시예에서, 문 이동은 문지방 위치에 의존적이다. 일단 문지방(38)이 랜딩 구조물(40)에 연결되면, 문 작동기 또는 이동 메커니즘(50)이 문들을 개방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지방(38)이 문지방을 지나 고정되고 승강기 문들(34a,34b) 및 랜딩 문들(36a,36b)이 같이 개방된다. 문지방(38)은 문들(34a,34b,36a,36b)을 닫고 승강기 차량(30)을 다른 랜딩(24)으로 움직이라는 명령을 받을 때까지 랜딩 구조물(40)에 고정되어 있다.
문지방(38)을 랜딩 구조물(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메커니즘의 실시예가 도5 내지 도7의 고정 메커니즘(52)에서 일반적으로 보여진다. 고정 메커니즘(52)은 구동기(56) 일 단부에 장착된 아암(54)을 포함한다. 결합 후크(58)는 아암의 반대 단부에 형성되거나 부착된다. 아암(54)은 함께 움직이도록 문지방(38)과 결합되어 있다. 핀(60)이 랜딩 구조물(40)(즉,랜딩 문지방)에 장착된다. 구동기(56)는 후크(58)가 핀(60)과 결합하도록 아암(54)을 움직인다(도6). 일단 후크(58)가 안전하게 핀(60)과 제 위치에 고정되면, 문지방(38)은 완전히 연장되고 고 정된 위치에 있고, 문 이동 메커니즘(50)이 작동되고, 승강기 문들(34a,34b) 및 랜딩 문들(36a,36b)은 이제 개방될 수 있다(도7). 탄성 스프링 부재(62)가 구동기(56)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없어질 때 아암(54)을 후퇴되고 비고정된 위치(도5)로 복귀시킨다.
이 고정 메커니즘(52)은 슬라이딩 문 라커(locker)의 메커니즘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한 쌍의 고정 메커니즘(52)들이 도5 내지 도7에서 보여졌지만, 승강기 크기 및/또는 승강기 용도에 따라 하나의 고정 메커니즘(52) 또는 추가적인 고정 메커니즘(52)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63)의 실시예가 도8 및 도9에서 보여진다.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전기 동력원에 연결된 전자석(64)을 포함한다. 전자석(64)은 솔레노이드(65)에 의해 조절되는 축(66)과의 움직임을 위해 장착된다. 스프링(67)이 축(66) 및 전자석(64)을 위한 후퇴를 제공한다.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차량(30)이 멈추고 전자석(64) 및 솔레노이드(65)가 캐논(cannon) 동력원(69)에 의해 함께 구동된다. 전자석(64)은 승강구(22) 내에 장착된 철 목표물(71)과 결합한다. 그 결과 코일 저항이 떨어지고, 솔레노이드(65)가 꺼지고, 전자석(64)이 제 위치에 차량(30)을 유지하거나 고정한다. 출발 전에, 전자석(64)이 꺼지고 스프링(67)이 축(66)을 후퇴시킨다. 하나의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63)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63)은 차량(30)의 위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차량의 아래에 장착되어 한 쌍의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63)이 사용된다. 문지 방(38)은 바람직하게는 차량(30) 아래에 장착된 고정 메커니즘(63) 및 구동기의 축(66)과 움직이기 위해 장착된다. 선택적으로는, 별개의 구동기가 문지방(38)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동기(56)의 다른 실시예가 도10a 및 도11a에서 보여진다. 이 형상에서, 구동기(56)는 아암(54)을 구동하는 출력부(70)를 갖는 전기 모터(68)를 포함한다. 아암(54)이 걸쇠가 걸린 위치 및 걸쇠가 풀린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아암(54)은 아암(54)을 안내하기 위해 아암과 함께 작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들(72) 사이에 위치된다.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8)는 후크(58)의 걸쇠가 풀리도록 제1 방향으로 아암(54)을 구동하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8)는 후크(58)를 핀(60)과 결합하도록 걸쇠를 걸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아암(54)을 구동하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 형상에서, 모터(68)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아암(54)의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 스프링이 제공될 수도 있지만, 탄성 스프링(62)이 필요하지는 않다.
도10a 및 도11a에 도시된 구동기(56)를 위한 복귀 메커니즘(90)은 도10b 및 도11b에서 표현되어 있다. 복귀 메커니즘(90)은 후크(58)가 결합되고 유지하는 피드백을 위해 후크 부분으로 포함된다. 복귀 메커니즘(90)은 스프링 부하 스위치(92)를 포함한다. 스프링(94)은 스위치 하우징(96) 및 아암(54)과 연관된 바닥 부분(98) 사이에서 반응한다. 스위치(92)는 피드백(100)을 문 이동 메커니즘(50)에 제공한다. 비고정 위치(도10b)에서, 스프링(94)은 연장되고, 스위치는 닫혀진다. 즉, 바닥 부분(98)이 스위치(92)와 접촉하고 피드백(100)이 차량(30)이 움직일 수 있도록 주어진다. 고정 위치(도11b)에서, 스피링(94)은 압축되고, 스위치(92)는 개방되고, 피드백(10)이 문들(34,36)이 열리도록 주어진다. 모터(68)가 후크(58)를 핀(60)으로부터 풀기 위해 아암(54)을 움직일 때, 스프링(94)은 스위치(92)를 닫도록 작용한다.
연장가능한 문지방(38)은 또한 승강기 차량(30)과 랜딩(24) 사이에 오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지방(38)은 랜딩(24)으로 지지되는 랜딩 문지방 구조물(40) 쪽으로 차량 바닥(76) 아래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다. 문지방(38)은 랜딩 문지방 구조물(40)과 결합하기 전에, 랜딩 문지방 구조물(40) 위에서, 문지방(38)을 아래로 움직이도록 하는 피봇(pivot)(78) 또는 안내부와 함께 작동한다. 그리고 문지방(38)은 랜딩 문지방 구조물(40)과 접촉하도록 아래로 움직인다. 이는 승강기 차량(30)이 랜딩 문지방 구조물(40)보다 더 높은 형상(도13a) 및 승강기 차량(30)이 랜딩 문지방 구조물(40)보다 더 낮은 형상(도13b)을 조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지방(80)은 승강기 차량(30)과 움직이기 위해 장착된다. 문지방은 핀(82) 또는 유사한 부품과 함께 차량 바닥(76)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문지방(80)은 랜딩 문지방 구조물(40)과 결합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로 아래로 회전한다. 문지방(80)이 접촉하면, 문 작동기 또는 이동 메커니즘(50)은 문들(34,36)이 개방되도록 한다.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110)의 다른 실시예가 도15a 내지 도15c에서 보여진다.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110)은 연장가능한 봉(114)을 가진 솔레노이드 (112)를 포함한다. 고정 요소들(116)은 봉(14)의 말단부와 움직이기 위해 장착된다. 차량(30)이 랜딩(24)과 정렬될 때, 솔레노이드(112)가 봉(114)을 승강구벽(32)에 형성된 구멍(118)으로 밀어넣는다. 고정 요소들(116)이 제 위치에 봉(114)을 고정하기 위해 봉(114)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다. 고정 요소들(116)은 구멍(118)을 통해 삽입되는 봉(114) 위에서 자동적으로 후퇴하고 걸쇠를 걸기 위해서 스프링 부하를 받을 수도 있다. 후퇴 작동은 래칫(ratchet) 해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봉(114)을 후퇴시키는 동안 연장 해제시 끌어당길 수 있다.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16a 내지 도16c에서 도시된다. 구동기 및 고정 메커니즘(120)은 제1 솔레노이드(122), 제2 솔레노이드(124), 및 제1 솔레노이드(122)와 제2 솔레노이드(124)를 상호연결하는 커플러(126)를 포함한다. 제1 솔레노이드(122)는 말단부에 장착된 고정 요소(130)와 제1 축(128)을 포함한다. 제2 솔레노이드(124)는 커플러(126)를 구동하는 제2 축(132)을 포함한다. 커플러(126)는 제1 축(128) 위에 장착된다.
차량(30)이 랜딩(24)과 정렬될 때, 제1 솔레노이드(122)가 제1 축(128)과 고정 요소(130)를 승강구벽(32)에 형성된 구멍(134)을 통하여 밀어넣는다. 센서(도시않음)가 축(128)이 종료 위치에 도달할 때 감지한다. 그리고, 제2 솔레노이드(124)가 제1 축(128)을 커플러(126)를 거쳐 회전시키고, 고정 요소(13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1 축(128) 및 고정 요소(130)가 구멍(134)으로부터 후퇴하여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30)을 제 위치에 고정한다. 제1 솔레노이드(122)는 문 이동 메커니즘(50)을 풀기 전에 후퇴하려 할 것이다.
상기 논의된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구동기들 및 연관된 고정 메커니즘들은 승강기 차량의 위, 아래, 및/또는 측면들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문지방(38)은 고정 메커니즘과 같은 구동기로 움직이거나 별개의 구동기로 조정될 수 있다.
유일한 연장가능한 문지방(38)은 차량 조립체의 더 빠른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더 많은 운행 간격을 제공하여, 더 부드러운 승차감과 감소된 안내 시스템 부품의 마모를 가져온다. 또한, 운행 간격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 랜딩 문지방들에 대한 간격들이 또한 증가되고, 그 결과 승강기가 빠르게 움직일 때 발생되는 공기역학적 충격 발생이 감소된다. 추가적인 이점은 안내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플로트(float)의 양을 제한하는 고정밀 날개들을 요구하지 않는 단순화된 문 이동 메커니즘 및 연동장치를 사용할 기회를 포함한다. 차량과 랜딩 사이의 근소한 오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랜딩 문지방에 계단부를 도입하지 않고 문지방이 연장되고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또한 보다 작은 초기 랜딩 정렬 정확도를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센서 및 구동 시스템의 필요를 감소시키고 랜딩 속도를 향상시킨다.
이전의 기술은 특성을 한정한다기 보다 오히려 예시적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변경 및 변형들은 본 발명의 본질을 반드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주어지는 법적 보호의 범위는 다음 청구항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4)

  1. 차량 프레임(44)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장착된 승강기 문(34)과,
    상기 차량 프레임(44)으로 지지되고, 상기 승강기 문(34)이 처음에 랜딩 문(36)과 정렬될 때 후퇴된 위치에서 연장된 위치로 움직이는 문지방(38)을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지방(38)이 랜딩 구조물(40)과 결합하기 위해 대체로 선형인 경로를 따라 상기 승강기 문(34) 아래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승강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구조물(40)에 상기 문지방(38)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메커니즘(52)을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52)이 구동기(56), 후크 부분(58)을 갖는 아암(54), 및 상기 랜딩 구조물(40)에 장착된 핀(6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56)는 상기 문지방(38)을 상기 랜딩 구조물(4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 부분(58)을 상기 핀(6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작동하는 승강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문(34) 및 랜딩 문(36)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 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승강기 문(34) 및 랜딩 문(36)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움직이도록 하는 풀림 위치를 갖는 문 이동 메커니즘(50)을 포함하며, 상기 문 이동 메커니즘(50)은 상기 후크 부분(58)이 상기 핀(60)과 안전하게 결합할 때까지 상기 풀림 위치로 전환되지 않는 승강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56)가 전기 모터(68)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일단 상기 승강기 문(34)이 상기 랜딩 문(36)과 정렬되면 상기 랜딩 구조물(40)에 상대적인 위치에 상기 차량 프레임(44)을 고정시키기 위해 승강구벽(32)에 장착된 자석 목표물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솔레노이드(65)로 구동되는 축(66)과 함께 움직이기 위해 부착된 전자석(64)를 갖는 고정 메커니즘(63) 및 구동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8. 제4항에 있어서, 제1 트랙 부분(42a) 및 상기 제1 트랙 부분(42a)에 평행하지 않은 제2 트랙 부분(42b)을 포함하고,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승강기 문(34)을 지지하는 트랙(42)과,
    상기 승강기 문(34)과 상기 차량 프레임(44) 사이에 위치한 시일(46)을 포함하며, 상기 문(34)이 상기 제1 트랙 부분(42a)으로부터 상기 제2 트랙 부분(42b)으로 움직일 때 상기 문(34)이 상기 시일(46)에 압축 밀봉력을 가하는 승강기 조립 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지방(38)이 제1 연장 속도로 움직이고 상기 승강기 문(34)이 상기 시일(46)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상기 차량 프레임(4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승강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지방(38)이 차량 프레임(44)으로부터 랜딩 구조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비파손 면을 나타내는 평판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지방(38)이 차량 바닥(76) 아래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고, 상기 차량 바닥(76) 및 상기 랜딩 구조물(40) 사이의 오정렬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 회전 경로를 따라 그리고 랜딩 구조물(40) 쪽으로 선형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승강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지방(38)이 차량 바닥(76)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랜딩 구조물(40)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승강기 문(34)으로부터 피봇하는 승강기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연장가능한 축(114, 128)을 가진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112,122)와 상기 축(114,128)과 함께 움직이기 위해 장착된 고정 요소 (116,130)를 갖는 고정 메커니즘(110,120) 및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112,122)가 상기 승강구벽(32)의 개방부(118,134)를 통하여 고정 요소(116,130)를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고정 요소(116,130)가 비고정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움직여서 상기 차량 프레임(44) 및 상기 승강구벽(32)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방지하는 승강기 조립체.
  14. 승강기 문(34)을 랜딩 문(36)과 정렬하는 단계와,
    랜딩 구조물(40)과 결합하기 위해 문지방을 승강기 문(34) 아래로부터 연장하는 단계와,
    승강기 문(34)과 랜딩 문(36)들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문 조립체를 개방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승강기 문(34)과 랜딩 문(36)들을 개방하기 전에 문지방(38)을 랜딩 구조물(40)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문지방(38)이 랜딩 구조물(40)에 안전하게 고정된 후에만 문 이동 메커니즘(50)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문지방(38)을 랜딩 구조물(40)에 고정하기 위해 문지방 (38)과 함께 움직이도록 지지되는 후크(58)를 랜딩 구조물(40)에 장착된 핀(6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시일(46)을 승강기 문(34)과 차량 프레임(44)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 차량 프레임(44)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트랙(42) 위에 승강기 문(34)을 지지하는 단계와,
    문(34)이 제1 트랙 부분(42a)으로부터 제1 트랙 부분(42a)과 평행하지 않은 제2 트랙 부분(42b)으로 움직일 때 승강기 문(34)과 차량 프레임(44) 사이의 시일(46)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일단 승강기 문(34)과 랜딩 문(36)들이 정렬되면 차량 프레임(44)으로부터 바깥쪽 제1 방향으로 승강기 문(34)과 문지방(38)을 초기에 움직이는 단계와,
    문지방(38)이 랜딩 구조물(40)와 결합할 때까지 문지방(38)을 제1 방향으로 계속하여 움직이는 단계와,
    이어서 문지방(38)이 랜딩 구조물(40)에 고정된 후에 차량 프레임(44)에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승강기 문(34)을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승강기 문(34)을 다른 랜딩 문(36)으로 움직이라는 요구에 따라 문지방(38)을 랜딩 구조물(40)로부터 고정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문지방(38)이 연속적인 비파손 면을 나타내는 평판을 포함하고, 승강기 문(34)으로부터 랜딩 문(36)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선형인 경로를 따라 문지방(38)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평판으로 승강기 문(34)과 랜딩 문(36)들 사이에 형성된 작동 간격을 완전히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문지방(38)이 차량 바닥(76)에 장착된 평판을 포함하고, 랜딩 구조물(40)과 결합하기 위해 승강기 문(34)으로부터 평판을 피봇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차량 바닥(76)과 랜딩 구조물(40) 사이의 오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랜딩 구조물(40)에 대해 문지방(38)의 위치를 수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랜딩 구조물(40) 쪽으로 선형 방향으로 문지방(38)을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문지방(38)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67003253A 2006-02-17 2003-09-18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KR20060066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3253A KR20060066095A (ko) 2006-02-17 2003-09-18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3253A KR20060066095A (ko) 2006-02-17 2003-09-18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095A true KR20060066095A (ko) 2006-06-15

Family

ID=3716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253A KR20060066095A (ko) 2006-02-17 2003-09-18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60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320A (ko) * 2016-02-03 2016-02-29 문혜준 엘리베이터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
KR200489586Y1 (ko) * 2018-03-05 2019-07-08 덕성산업 주식회사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320A (ko) * 2016-02-03 2016-02-29 문혜준 엘리베이터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
KR200489586Y1 (ko) * 2018-03-05 2019-07-08 덕성산업 주식회사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379B2 (en) Elevator assembly with extendable sill
US6032416A (en) Transit vehicle door
US7699363B2 (en)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US5148631A (en) Pneumatic door operator having pneumatic actuator and lock
EP3636577B1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JP5570598B2 (ja) エレベータカー・ドアによって軸ドアをエントレイン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
US5690188A (en) Elevator door system
KR890014368A (ko) 빗장기구를 갖는 승강기문 구동장치
JP6388418B1 (ja) エレベータ装置
US6220396B1 (en) Door restrictor apparatus for elevators
US6070700A (en) Operating system for elevator doors
EP0850189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US20030000149A1 (en) Linearly actuated locking device for transit vehicle door system
KR20060066095A (ko)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US4512443A (en) Lift door control apparatus
US5918706A (en) Hold closed feature for elevator car doors
EP3524763B1 (en) Secondary retention device for bi-parting doors
EP1841681B1 (en) Elevator car door locking apparatus
US4035956A (en) Driving and locking mechanisms
CN217996449U (zh) 电梯地坎结构及其电梯门组件
FI85363C (fi) Laosningsanordning foer doerr i hisskorg.
KR102511910B1 (ko)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추락 및 처짐방지용 랙-기어형 제동시스템
JPH02189262A (ja) 軌道車両システムにおける乗降扉装置
KR950013837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도어 및 카도어 록크 및 커플링
KR20230135296A (ko) 열차 도어용 기계식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