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163B1 -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163B1
KR101607163B1 KR1020140024273A KR20140024273A KR101607163B1 KR 101607163 B1 KR101607163 B1 KR 101607163B1 KR 1020140024273 A KR1020140024273 A KR 1020140024273A KR 20140024273 A KR20140024273 A KR 20140024273A KR 101607163 B1 KR101607163 B1 KR 10160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lever
rail
temporary
temporary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426A (ko
Inventor
김평윤
박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16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시공 및 보수 작업 시 임시로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을 특정 구조의 홀딩장치를 매개로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안전장치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권상기 거치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권상기를 상승 이동시킨 후 권상기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SAFETY HOLDING DEVICE FOR PROVISIONAL ELEVATOR CAR}
본 발명은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로 내에서의 작업 시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임의적인 하강을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안전장치와 연동하면서 카의 추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설치 및 점검을 비롯한 각종 작업을 행하는 경우, 승강로 내에 임시 엘리베이터 카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를 전동 윈치나 기타 장치를 매개로 승.하강 시키게 된다.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카의 임의적인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추락 방지장치는 이상속도를 감지하는 거버너(GOVERNOR) 및 카를 정지시키는 안전장치(SAFETY DEVIC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카의 추락을 감지하기 위한 거버너는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에 해당 작업지점에 상부 안전발판을 먼저 설치한 후 거버너의 설치작업을 진행해야하만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 위험성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상기를 승강로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 체인 블럭(CHAIN BLOCK)을 매개로 권상기를 들어 올려 작업을 해야하므로, 권상기와 천장 사이에 최소한의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아울러,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상기 체인 블럭을 걸고 권상기를 설치해야 함에 따라, 그 작업이 어렵고 위험한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603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시공 및 보수 작업 시 임시로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을 특정 구조의 홀딩장치를 매개로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안전장치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시공 및 보수 작업 시 임시로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권상기 거치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권상기를 상승 이동시킨 후 권상기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는,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점검을 비롯한 각종 작업을 행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시, 이를 감지하여 안전장치 측으로 전달하는 추락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시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는, 카의 낙하 시 작동되면서 추락을 방지시키는 안전장치에 로프를 매개로 연계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홀딩장치로서, 상기 홀딩장치는, 평면이 "
Figure 112014020216392-pat00001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그 일측면에는 레버가 관통 설치되는 레버설치홀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레일에 단속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몸체와, 일단부에 레버 브레이크가 편심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레버설치홀을 관통하여 레일에 인접 설치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안전장치에 하단이 연결된 로프의 상단이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몸체의 레버설치홀에 위치한 레버의 일단을 편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힌지 및, 상기 몸체를 전면에서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레일의 전면에 맞닿음에 따라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의 상부에는 권상기를 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권상기 거치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에 특정 구조의 홀딩장치를 적용하여, 카의 임의적인 낙하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또한 레일에 설치되는 홀딩장치를 통해 기존에 거버너 설치 시에 필요한 추가 발판 작업 등의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권상기 거치대를 추가로 구비하여, 임시 엘리베이터를 통해 권상기를 상승 이동시킨 후 수평이동으로 권상기를 권상기대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권상기 설치의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가 적용된 임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3b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가 적용된 임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3b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는 승강로(100)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시공 및 보수 작업을 위해 임시로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의 임의적인 하강 발생 시, 이를 특정 구조의 홀딩장치(10)에서 감지하여 레일에 가압력을 인가함과 동시에 안전장치(300)의 작동을 통해 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로(100) 내에서 엘리베이터 설치 및 점검을 비롯한 각종 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기 승강로(100) 내에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를 전동 윈치나 기타 장치를 매개로 승.하강 시키면서 해당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카의 임의적인 하강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는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도록 카 하부에 설치되는 안전장치(SAFETY DEVICE)(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특정 구조의 브레이크를 매개로 카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장치인 안전장치(SAFETY DEVICE)(300)는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임시엘리베이터 카(200)의 임의적인 하강 발생 시, 그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안전장치(3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감지장치는 특정 구조를 갖는 홀딩장치(10)가 승강로 내의 레일(110)에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홀딩장치(10)는 평면의 형상이 대략 "
Figure 112014020216392-pat00002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몸체(20)가 구비되어, 레일(110)에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20)의 일측면에는 레버(30)가 관통 설치되도록 레버설치홀(2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0) 양단에는 레일(110)에 단속되는 걸림부(2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레버설치홀(22)을 통해서는 대략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타단부에 로프(60)가 연결되어 상기 안전장치(300)와 연계되는 레버(30)의 일단부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레버(30)의 일단부에는 고정힌지(40)가 편심 조립됨에 따라 상기 고정힌지(40)를 매개로 상기 레버(30)에 편심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레버 브레이크(42)가 레일(110)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레버(30)를 상부로 올릴 경우에는 상기 레일(110)과 레버 브레이크(42)가 작동되지 않지만, 상기 레버(30)가 하부로 내려갈 경우에만 상기 레버 브레이크(42)가 작동하면서 상기 레일(110)에 외력을 인가하여,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재(10)의 몸체(20)를 전면에서 관통하여서는 조정볼트(50)가 체결되는데, 상기 조정볼트(50)를 조임에 따라 그 단부가 상기 레일(110)의 전면에 맞닿으면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부에는 승강로(100) 내의 권상기대(500)와 인접한 일측에 권상기(4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그 정면의 형상이 대략 "
Figure 112014020216392-pat00003
" 형상으로 이루어진 권상기 거치대(210)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이에 권상기(400)의 설치시에는 상기 권상기 거치대(210)에 권상기(400)를 안착시킨 후 권상기 거치대(210)가 승강로(100) 내의 권상기대(500)와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권상기(400)를 수평 이동시켜 편리하게 설치작업을 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의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는,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의 임의적인 하강 발생 시에만 안전장치(300)가 자동 동작하면서 카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점검 작업 시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를 의도적으로 하강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치(300)를 해제시킨 후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를 하강 이동시키게 되므로, 하기에서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의 임의적인 추락발생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에 따라, 승강로(10) 내에서 엘리베이터 설치 및 점검을 비롯한 각종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에는 카의 임의적인 하강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안전장치(SAFETY DEVICE)(300)가 연동되도록 하는 특정 구조의 홀딩장치(10)가 적용된다.
즉, 승강로(100) 내에 수직 설치된 레일(110)에는 특정 구조의 홀딩장치(10)가 설치되되, 이때 상기 홀딩장치(10)의 몸체(20)는 레일(110) 후측과 대응되게 형성된 양단의 걸림부(24) 및 몸체(20) 전면에서의 조정볼트(50) 체결을 통한 마찰력에 의해 레일(110)의 일정 지점에 적당한 힘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딩장치(10)의 몸체(20) 일측에 장착된 레버 브레이크(42)를 포함하는 레버(30)에는 로프(60)의 상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60)의 하단에는 공지의 안전장치(300)가 연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 브레이크(42)가 편심으로 힌지 고정된 홀딩장치(10)의 몸체(20)는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승 시에는 상기 레버(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레버 브레이크(42)와 레일(110) 상호간의 간격이 벌어져 끼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도 2a 참조),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가 임의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레버(30)가 하강하게 됨게 동시에 편심 회전되는 레버(30) 일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 브레이크(42)와 레일(110) 상호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끼임 발생에 따라 레버 브레이크(42)가 동작될 수 있게 된다(도 2b).
또,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 카(200)를 이용한 권상기(400)의 설치에 있어서는, 카 상부의 권상기 거치대(210)에 해당 권상기(400)를 안착시킨 후, 카를 상승시켜 권상기대(500)와 높이를 같게 하고, 권상기(400)를 수평 이동시켜 용이하게 권상기 설치작업을 진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홀딩장치, 20: 몸체,
22: 레버설치홀, 24: 걸림부,
30: 레버, 40: 고정힌지,
42: 레버 브레이크, 50: 조정볼트,
60: 로프, 100: 승강로,
110: 레일, 200: 임시 엘리베이터 카,
210: 권상기 거치대, 300: 안전장치,
400: 권상기, 500: 권상기대.

Claims (2)

  1.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점검을 비롯한 각종 작업을 행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되는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시, 이를 감지하여 안전장치 측으로 전달하는 추락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시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는,
    카의 낙하 시 작동되면서 추락을 방지시키는 안전장치에 로프를 매개로 연계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홀딩장치로서,
    상기 홀딩장치는,
    평면이 "
    Figure 112014020216392-pat00004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그 일측면에는 레버가 관통 설치되는 레버설치홀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레일에 단속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몸체와,
    일단부에 레버 브레이크가 편심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레버설치홀을 관통하여 레일에 인접 설치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안전장치에 하단이 연결된 로프의 상단이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몸체의 레버설치홀에 위치한 레버의 일단을 편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힌지 및,
    상기 몸체를 전면에서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레일의 전면에 맞닿음에 따라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엘리베이터의 상부에는 권상기를 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권상기 거치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엘리베이터의 추락 감지 장치.
KR1020140024273A 2014-02-28 2014-02-28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KR10160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73A KR101607163B1 (ko) 2014-02-28 2014-02-28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73A KR101607163B1 (ko) 2014-02-28 2014-02-28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26A KR20150102426A (ko) 2015-09-07
KR101607163B1 true KR101607163B1 (ko) 2016-03-29

Family

ID=5424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273A KR101607163B1 (ko) 2014-02-28 2014-02-28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1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192B2 (ja) 1998-10-01 2001-03-12 丸尾カルシウム株式会社 硬化型組成物
KR200406013Y1 (ko) 2005-11-01 2006-01-11 주식회사 운영 수직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192B2 (ja) 1998-10-01 2001-03-12 丸尾カルシウム株式会社 硬化型組成物
KR200406013Y1 (ko) 2005-11-01 2006-01-11 주식회사 운영 수직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26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545B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US10988346B2 (en) False car device
AU2013361847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lift
US9676596B2 (en) Elevator refurbishing method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JP2013019195A (ja) 足場用昇降機の制動装置
JP580549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67004B1 (ko)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CN103569918A (zh) 一种自动检测防坠落安全装置
JP2014114130A (ja) エレベータ
KR20220147834A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KR101607163B1 (ko)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JPWO20030333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3752442B1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34891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케이지 추락 방지장치
JP2008285260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据え付け工法
TWI668177B (zh) 鎖固裝置固持工具以及擺輪裝置之位置調整方法
JP6476142B2 (ja) タイダウン装置、タイダウン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ー、タイダウン装置の復帰方法
JP2002003118A5 (ko)
JP5463229B2 (ja) 昇降足場類における手動ブレーキング装置
RU2482053C2 (ru) Башенный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лифтом
KR20210084924A (ko)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조속기 작동 장치
JP4978218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据付方法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