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581B1 -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 Google Patents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581B1
KR101192581B1 KR1020110091497A KR20110091497A KR101192581B1 KR 101192581 B1 KR101192581 B1 KR 101192581B1 KR 1020110091497 A KR1020110091497 A KR 1020110091497A KR 20110091497 A KR20110091497 A KR 20110091497A KR 101192581 B1 KR101192581 B1 KR 101192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ge
locking
frame
cag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숙
김응수
Original Assignee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 케이지가 차량 및/또는 사람의 탑승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탑승 위치와 카 케이지의 사이에 틈이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카 케이지의 수직 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호이스트부, 상기 호이스트부에 의해 승강하는 육면체 형태의 카 케이지, 상기 카 케이지가 정차하며, 차량 및 사람이 탑승하는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 프레임 및 상기 카 케이지의 전방 및 후방과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락킹 장치로 이루어진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락킹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스윙 부재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스윙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 케이지가 정차하였을 때 상기 카 케이지의 하면을 지지하는 락킹 부재로 이루어진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LOCKING SYSTEM OF CAR CAGE FOR LIFT WITH PASSENGER AND CARRIAGE}
본 발명은 인화물(人貨物)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또는 토목 공사용 리프트는 드럼에 다수회 권취된 리프트 로프 및 지하 수직 터널에 설치된 가이드 로프를 이용하여 차량이 실리는 카 케이지(car cage)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카 케이지에는 종래와 다르게 차량뿐만 아니라 사람도 승차할 수 있도록 요구됨으로써, 최근에는 안전성 향상을 위해 카 케이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락킹 장치가 설치되도록 권장되고 있다.
이러한 락킹 장치는 카 케이지에 차량이 들어가고 나갈 때 카 케이지가 수직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사람이 진출입할 때 사람의 발이 카 케이지와 그 외측 구조물 사이의 틈에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락킹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떨어지는 각종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려는 과제는 카 케이지 락킹 장치에 있어서, 카 케이지가 차량 및/또는 사람의 탑승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탑승 위치와 카 케이지의 사이에 틈이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카 케이지의 수직 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호이스트부, 상기 호이스트부에 의해 승강하는 육면체 형태의 카 케이지, 상기 카 케이지가 정차하며, 차량 및 사람이 탑승하는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 프레임 및 상기 카 케이지의 전방 및 후방과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락킹 장치로 이루어진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락킹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스윙 부재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스윙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 케이지가 정차하였을 때 상기 카 케이지의 하부에 위치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카 케이지가 상기 프레임에 도착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스윙 부재가 상기 카 케이지에 가까워지도록 회동한다.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카 케이지의 전방 두 영역 및 후방 두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스윙 부재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락킹 케이스; 상기 락킹 케이스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락킹 암; 상기 락킹 케이스의 외측에 상기 락킹 케이스 및 락킹 암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끝단과 상기 락킹 암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락킹 암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 케이지의 하부에 위치하였을 경우, 상기 락킹 암은 상기 카 케이지로부터 10mm 내지 50mm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는 차량 및/또는 사람의 탑승 위치에 일정 각도 회전 운동이 가능한 스윙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카 케이지의 수직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 및/또는 사람의 탑승 위치와 카 케이지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카 케이지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는 스윙 부재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락킹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카 케이지가 차량 및/또는 사람의 탑승 위치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락킹 부재가 카 케이지의 네 영역을 하부에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카 케이지에 차량 및/또는 사람이 진입하거나 진출할 때, 카 케이지의 수직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는 락킹 부재가 스윙 부재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차량 및/또는 사람의 진출입 경로로부터 격리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는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각종 토사 등에 의한 오염이 방지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 락킹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 락킹 장 중에서 스윙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 락킹 장치 중에서 락킹 부재를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 락킹 장치 중에서 락킹 부재의 락킹 케이스 및 락킹 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100)는 호이스트부(110), 리프트 로프(121,122,124), 카 케이지(130), 카운터 웨이트(141,142), 컴펜세이션 로프(150), 카 케이지 가이드 로프(160) 및 웨이트 가이드 로프(1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100)는 지상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탑 프레임(180), 상기 탑 프레임(180)과 지상 사이에 설치된 미들 프레임(190), 지상에 설치된 지상 프레임(210) 및 지하에 설치된 지하 프레임(2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탑 프레임(180), 미들 프레임(190) 및 지상 프레임(210)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다수의 서포트 프레임(230)으로 상호간 연결되어 지지된다.
더불어,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상기 탑 프레임(180)에 설치되며, 상기 카 케이지(130)는 상기 지상 프레임(210)과 상기 지하 프레임(220)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 케이지(130), 카운터 웨이트(141,142), 탑 프레임(180) 및 미들 프레임(190)에는 다수의 시브가 설치된다.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탑 프레임(180)에 설치되며, 이는 구동 모터, 감속기 및 한쌍의 드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드럼은 탑 프레임(180)의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드럼에 결합된 리프트 로프(121,122,124)에 의한 힘의 분배가 용이하고, 또한 상기 리프트 로프(121,122,124)가 결합되는 다수의 시브에 대한 정렬도 용이하다.
상기 리프트 로프(121,122,124)는 상기 드럼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카 케이지(130) 및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에 결합된다.
상기 카 케이지(130)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카 케이지(130)에는 차량(240) 뿐만 아니라 사람도 탑승한다. 상기 카 케이지(130)는 상부에 4개의 시브(131a,131b,131d)가 설치된다. 상기 4개의 시브(131a,131b,131d)에는 상술한 리프트 로프(121,122,124)가 각각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카 케이지(130)에는 4개의 카 케이지 가이드 로프(160)에 결합되어, 상기 카 케이지(130)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가이드 롤러(135)가 설치된다. 이러한 적어도 4개 이상의 가이드 롤러(135)는 상기 카 케이지(130)의 양측부에 총 8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카 케이지(130)의 일측부당 대략 4개씩의 가이드 롤러(135)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카 케이지(130)에는 차량이 들어오고 나가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락킹 장치가 설치된다. 즉, 상기 카 케이지(130)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이며, 상기 개방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락킹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락킹 장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는 대략 상기 카 케이지(130)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각각의 카운터 웨이트(141,142)는 상부에 다수의 시브(141a,141b,141d)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일측의 카운터 웨이트(141)에 1,3시브(141a)가 설치되고, 타측의 카운터 웨이트(142)에 2,4시브(141b,141d)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2개의 카운터 웨이트(141,142)에는 상술한 리프트 로프(121,122,124)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일측의 카운터 웨이트(141)의 1,3시브(141a)에 제1,3리프트 로프(121)가 결합되고, 타측의 카운터 웨이트(142)의 2,4시브(141b,141d)에 제2,4리프트 로프(122,124)가 결합된다.
더욱이, 각각의 카운터 웨이트(141,142)의 단변에는 웨이트 가이드 로프(170)가 결합되어,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가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측부에 웨이트 가이드(14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컴펜세이션 로프(150)는 양끝단이 상기 카 케이지(130)의 바닥 및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의 바닥에 결합된다. 즉, 상기 컴펜세이션 로프(150)의 일단이 상기 카 케이지(130)의 바닥에, 타단이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의 바닥에 결합된다. 이러한 컴펜세이션 로프(150)는 상기 호이스트부(110)를 이루는 모터(111)에 대체로 균일한 힘이 인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 케이지(130)(예를 들어, 10톤)가 최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예를 들어, 10톤)는 최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카 케이지(130)의 하부에는 컴펜세이션 로프(150)(예를 들어, 10톤)가 위치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의 상부에는 리프트 로프(예를 들어, 10톤)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을 중심으로, 일측의 컴펜세이션 로프(150)의 중량(예를 들어, 10톤)이 상기 카 케이지(130)의 중량(예를 들어, 10톤)에 합쳐지고, 타측의 리프트 로프의 중량(예를 들어, 10톤)이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예를 들여, 10톤)의 중량에 합쳐진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드럼을 중심으로 승강되는 카 케이지(130) 및 카운터 웨이트(141,142)의 중량은 대체로 항상 비슷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 카 케이지 가이드 로프(160)는 상기 미들 프레임(190)과 상기 지하 프레임(220) 사이에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카 케이지 가이드 로프(160)는 대략 4개가 구비되며, 이는 카 케이지(130)의 장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카 케이지(130)에는 가이드 롤러(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롤러(135)에 상기 카 케이지 가이드 로프(16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미들 프레임(190)에는 유압 잭을 포함하는 고정부가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부에 상기 카 케이지 가이드 로프(160)의 상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가이드 로프(160)에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모두 동일한 장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가이드 로프(170) 역시 상기 미들 프레임(190)과 상기 지하 프레임(2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웨이트 가이드 로프(170)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141,142)당 4개가 구비되며, 이는 카운터 웨이트(141,142)의 단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141,142)에는 가이드(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143)에 상기 웨이트 가이드 로프(170)가 결합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1은 카 케이지(130)가 지하 프레임(220)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 완충 부재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 락킹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장치(300)는 카 케이지(130)가 정차하며, 차량 및 사람이 탑승하는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인 프레임(2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락킹 장치(300)는 상기 프레임(210)중에서도 상기 카 케이지(130)의 전방 및 후방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10)이란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 프레임(210) 및 지하에 설치된 지하 프레임(220)을 의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락킹 장치(300)는 상기 프레임(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부재(310)와, 상기 프레임(210)과 상기 스윙 부재(31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부재(31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미도시됨)와, 상기 스윙 부재(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 케이지(130)의 하부에 위치된 락킹 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락킹 부재(330)는 카 케이지(130)의 전방과 후방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210)의 하부에 각각 2개씩 설치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 락킹 장 중에서 스윙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스윙 부재(310)는 대략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2개소가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 부재(310)는 일정 거리 이격된 양측에 브라켓(311)이 형성되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210)에도 브라켓(312)이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브라켓(311,312)은 회전축(313)에 의해 상호간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윙 부재(310)는 상기 회전축(313)에 의해 상기 프레임(210)으로부터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부재(320)는 상기 스윙 부재(310)의 하면 중앙과 상기 프레임(2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윙 부재(310)의 하면 중앙에도 브라켓(32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10)의 하부에 위치된 또다른 프레임(211)의 중앙에도 브라켓(3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개의 브라켓(321,322) 사이에 실린더 부재(3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부재(3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윙 부재(310)는 프레임(210)으로부터 일정 각도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윙 부재(310) 및 실린더 부재(320)는 상기 카 케이지(130)가 프레임(210)에 도착하였을 경우에만 동작한다. 즉, 상기 카 케이지(130)가 프레임(210)에 도착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실린더 부재(320)의 길이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스윙 부재(310)가 지면에 대하여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카 케이지(130)와 그 외측의 탑승 영역 사이에 빈 공간이 없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이나 사람이 상기 카 케이지(130)에 안전하게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카 케이지(13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상기 실린더 부재(320)가 상기 스윙 부재(310)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스윙 부재(310)가 상기 카 케이지(130)의 수직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130) 락킹 장치(300) 중에서 락킹 부재(330)를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의 카 케이지(130) 락킹 장치(300) 중에서 락킹 부재(330)의 락킹 케이스(331) 및 락킹 암(332)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락킹 장치(300) 중에서 락킹 부재(330)는 스윙 부재(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 케이지(130)가 정차하였을 때 상기 카 케이지(13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락킹 부재(330)는 상기 스윙 부재(310)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210) 상에 설치된 락킹 케이스(331); 상기 락킹 케이스(331)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락킹 암(332); 상기 락킹 케이스(331)의 외측에 상기 락킹 케이스(331) 및 락킹 암(332)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실린더(333); 및 상기 실린더(333)의 끝단과 상기 락킹 암(332)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334)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 케이스(331)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 및 관통된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프레임(210)에 고정 또는 용접되어 설치된다.
상기 락킹 암(332)은 상기 락킹 케이스(331)에 결합되며, 상기 락킹 케이스(331)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락킹 암(332)은 상기 락킹 케이스(331)의 길이에 비해 약간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락킹 암(332)은 실질적으로 카 케이지(130)의 하부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카 케이지(13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상기 락킹 암(332)과 상기 카 케이지(130)의 사이에는 일정한 틈(S)이 형성된다. 이러한 틈(S)은 대략 10mm 내지 5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락킹 암(332)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카 케이지(130)의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카 케이지(130)에 의해 진로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 케이지(130)는 실질적으로 리프트 로프(121,122,124)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락킹 암(332)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곧바로 카 케이지(130)를 떠받칠 필요도 없다. 물론, 상기 리프트 로프에 오차가 생겨 예상치 못하게 상기 카 케이지(130)가 좀 더 하강하게 되면, 상기 네개의 락킹 암(332)이 상기 카 케이지(130)를 안전하게 떠받치는 형태가 된다. 더불어, 상기 틈(S)이 대략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설계 오차에 의해 상기 락킹 암(332)의 수평 이동중 상기 카 케이지(130)의 하면에 간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틈(S)이 대략 5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리프트 로프의 오차에 의해 카 케이지(130)가 과도하게 하강하여 그 충격이 그대로 차량 및 사람에 전달되고, 따라서 카 케이지(130)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3)는 상기 락킹 케이스(331)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고정부(335)를 통하여 상기 락킹 케이스(331)에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335)는 상기 락킹 케이스(331)에 고정된 제1고정부(335a), 상기 실린더(333)에 고정된 제2고정부(335b) 및 상기 제1고정부(335a)와 상기 제2고정부(335b)를 연결하는 회전축(335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35c)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33)는 상기 고정부(335)를 통하여 수평 방향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4)는 상기 실린더(333)의 끝단과 상기 락킹 암(332)의 끝단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34)는 상기 락킹 암(332)의 끝단에 용접된 형태를 하고, 상기 실린더(333)의 끝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또다른 고정부(336)를 통하여 연결된 형태를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336)는 상기 연결부(334)에 고정된 제1고정부(336a), 상기 실린더(333)에 고정된 제2고정부(336b) 및 상기 제1고정부(336a)와 상기 제2고정부(336b)를 연결하는 회전축(336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36c)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33)는 상기 고정부(336)를 통하여 수직 방향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 암(332)과 상기 실린더(333)가 완전하게 평행한 상태로 조립되지 않는다고 하여도, 상기 두개의 고정부(335,336)를 조절함에 의해 상기 락킹 암(332)은 상기 락킹 케이스(331)로부터 용이하게 수평 운동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락킹 암(332)은 카 케이지(130)의 하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형태를 하기 때문에, 상기 카 케이지(130)에 차량 및/또는 사람이 타거나 내릴 때 상기 카 케이지(130)가 수직 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장치(300)는 기본적으로 카 케이지(13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실린더 부재(320)의 길이가 증가하여, 스윙 부재(310)가 프레임(210)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윙 부재(310)가 카 케이지(130)의 수직 방향 이동 경로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카 케이지(130)의 수직 방향 이동시 상기 스윙 부재(310)가 이를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카 케이지(130)가 프레임(210)(지상 프레임(210) 또는 지하 프레임(220))에 도착하면, 먼저 상기 실린더 부재(320)의 길이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스윙 부재(310)가 지면과 대략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즉, 상기 실린더 부재(320)는 상기 스윙 부재(310)가 상기 카 케이지(130)에 가장 근접하도록, 상기 스윙 부재(310)가 일정 각도 회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 및/또는 사람의 탑승 위치와 상기 카 케이지(130)의 사이에 빈 공간이 없어지고, 따라서 차량 및/또는 사람이 안전하게 카 케이지(130)에 탑승하거나 또는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 부재(310)의 동작과 동시에, 락킹 부재(330)가 동작한다. 즉, 스윙 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된 락킹 부재(330)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카 케이지(130)의 하부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실린더(333)가 동작함으로써 실린더(333)의 길이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333)에 연결부(334)를 통하여 결합된 락킹 암(332)이 상기 락킹 케이스(331)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한다. 즉, 상기 락킹 암(332)이 카 케이지(130)의 하면을 향하여 일정 길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카 케이지(130)의 전방 두 영역 및 후방 두 영역이 락킹 부재(330)에 의해 근접하여 지지되는 형태가 됨으로써, 카 케이지(130)의 수직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억제된다. 즉, 차량 및/사람의 탑승 또는 하차시에 상기 카 케이지(130)가 수직 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카 케이지(130)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락킹 부재(330)는 스윙 부재(3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음으로써, 진출입 차량으로부터 낙하될 수 있는 토사 등에 의한 오염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인화물 겸용 리프트
110; 호이스트부 121,122,123,124; 리프트 로프
130; 카 케이지 141,142; 카운터 웨이트
150; 컴펜세이션 로프 160; 카 케이지 가이드 로프
170; 웨이트 가이드 로프 180; 탑 프레임
190; 미들 프레임 210; 지상 프레임
220; 지하 프레임 230; 서포트 프레임
300; 락킹 장치
310; 스윙 부재 311,312; 브라켓
313; 회전축 320; 실린더 부재
321,322; 브라켓
330; 락킹 부재 331; 락킹 케이스
332; 락킹 암 333; 실린더
334; 연결부 335; 고정부
335a; 제1고정부 335b; 제2고정부
335c; 회전축 336; 고정부
336a; 제1고정부 336b; 제2고정부
336c; 회전축

Claims (5)

  1. 호이스트부, 상기 호이스트부에 의해 승강하는 육면체 형태의 카 케이지, 상기 카 케이지가 정차하며, 차량 및 사람이 탑승하는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 프레임 및 상기 카 케이지의 전방 및 후방과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락킹 장치로 이루어진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락킹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스윙 부재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스윙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 케이지가 정차하였을 때 상기 카 케이지의 하부에 위치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카 케이지가 상기 프레임에 도착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스윙 부재가 상기 카 케이지에 가까워지도록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카 케이지의 전방 두 영역 및 후방 두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스윙 부재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락킹 케이스;
    상기 락킹 케이스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락킹 암;
    상기 락킹 케이스의 외측에 상기 락킹 케이스 및 락킹 암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끝단과 상기 락킹 암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암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 케이지의 하부에 위치하였을 경우, 상기 락킹 암은 상기 카 케이지로부터 10mm 내지 50mm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KR1020110091497A 2011-09-08 2011-09-08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KR10119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497A KR101192581B1 (ko) 2011-09-08 2011-09-08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497A KR101192581B1 (ko) 2011-09-08 2011-09-08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581B1 true KR101192581B1 (ko) 2012-10-18

Family

ID=4728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497A KR101192581B1 (ko) 2011-09-08 2011-09-08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28B1 (ko) 2007-11-13 2008-06-16 주식회사 동아지질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954807B1 (ko) 2009-10-23 2010-04-2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트랜스포트 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28B1 (ko) 2007-11-13 2008-06-16 주식회사 동아지질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954807B1 (ko) 2009-10-23 2010-04-2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트랜스포트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CN102092610A (zh) 电梯检修台
CN102232050B (zh) 包括支承于电梯机器支承件上的控制电子器件的电梯系统
KR100954807B1 (ko) 트랜스포트 리프트
EP2390219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965162B1 (ko) 엘리베이터
KR101406018B1 (ko) 승하강 방식의 안전장치
CN104428235A (zh) 电梯装置
KR101192581B1 (ko)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EP1914188A1 (en) Elevator device
KR101192582B1 (ko)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CN109843773B (zh) 电梯的轿厢上扶手装置
EP2636627B1 (en) Elevator
KR20130126561A (ko)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0344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250562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タ
JP5748538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JP622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66646B1 (ko) 인화물 겸용 리프트
WO2022141051A1 (en) Construct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KR1009236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340050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用制御盤システム
JP200313748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