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365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365B1
KR100817365B1 KR1020067011075A KR20067011075A KR100817365B1 KR 100817365 B1 KR100817365 B1 KR 100817365B1 KR 1020067011075 A KR1020067011075 A KR 1020067011075A KR 20067011075 A KR20067011075 A KR 20067011075A KR 100817365 B1 KR100817365 B1 KR 100817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car
rope
displacement
tensio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849A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3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메인 로프에 매달려지고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사이에는 연결 로프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 로프는 텐션 풀리에 감겨져 있다. 텐션 풀리는 연결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텐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각각의 승강 거리가 서로 다를 때 연결 로프에 끌려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텐션 풀리의 위쪽에는 검출부가 설치되고, 텐션 풀리의 변위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에, 검출부로부터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구동 장치는 검출 신호의 제어 장치로의 입력에 근거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트랙션(traction)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비상 정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각각에 비상 정지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는 공통의 가버너 로프(governor rope)에 접속되어 있다. 가버너 로프는 조속기(調速機)(가버너)의 조속기 쉬브(sheave)에 감겨져 있다. 조속기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커졌을 때에, 가버너 로프를 구속(拘束)하게 되어 있다. 조속기에 의한 가버너 로프의 구속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정지되게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미국 특허 제 6318506호 명세서
그러나,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승강로내에 장애물이 돌출하고, 균형추가 장애물에 닿아서 균형추의 정상적인 하강을 행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속도 이상을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장애물에 의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회전 가능한 구동 쉬브를 갖는 구동 장치, 구동 쉬브에 감겨진 메인 로프,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지고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사이에 접속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승강에 의해 이동되는 연결 로프, 연결 로프가 감겨지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승강 거리가 서로 다를 때 연결 로프에 의해 끌려서(pulled) 변위 가능한 텐션 풀리(tension pulley), 텐션 풀리의 변위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 및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상부에는 구동 장치인 권상기(2)와, 권상기(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3)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2)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4)와, 구동 장치 본체(4)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인 구동 쉬브(5)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쉬브(5) 및 디플렉터 풀리(3)에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매다는 메인 로프(8)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권상기(2)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1)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된다. 또한, 승강로(1)내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10)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10)에는 비상 정지 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한 풀업(pull-up) 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을 파지(把持)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칸(6)을 제동하게 되어 있다. 또, 균형추(7)의 중간부에는 균형추(7)로부터 돌출하는 접속 장치(13)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로(1) 상부에는 또한 조속기(가버너)(14)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4)는 조속기 본체(15)와, 조속기 본체(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풀리인 조속기 쉬브(16)를 포함하고 있다.
승강로(1) 하부에는 변위 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 변위 부재(17)는 핀(18)에 의해 엘리 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변위 부재(17)에는 풀리인 텐션 풀리(19)가 회전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텐션 풀리(19)는 변위 부재(17)의 핀(18)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6)에는 연결 로프인 상부 조속기 로프(20)가 감겨져 있다. 또, 텐션 풀리(19)에는 연결 로프인 하부 조속기 로프(21)가 감겨져 있다. 텐션 풀리(19)는 하부 조속기 로프(21)에 의해 매달려 있다.
상부 조속기 로프(20)의 일단(一端)부는 풀업 기구(11)에 접속되고, 상부 조속기 로프(20)의 타단(他端)부는 접속 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조속기 로프(21)의 일단부는 풀업 기구(11)에 접속되고, 하부 조속기 로프(21)의 타단부는 접속 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상부 조속기 로프(20) 및 하부 조속기 로프(21)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속기 로프(22)는 상부 조속기 로프(20) 및 하부 조속기 로프(21)를 포함하고 있다. 즉, 조속기 로프(22)는 비상 정지 장치(10)와 연동하게 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2)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과 함께 이동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속기 쉬브(16)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승강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또, 조속기 본체(15)는 조속기 쉬브(16)의 회전 속도가 설정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상부 조속기 로프(20)를 구속하게 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6)이 하강하고 있을 때 상부 조속기 로프(20)가 구속되는 것으로 동작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은 비상 정지 장치(10)의 동작에 의해 제동된다.
변위 부재(17)의 위쪽에는 검출부인 검출 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23)는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23)는 스위치 본체(24)와, 스위치 본체(2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레버(lever)(25)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 레버(25)는 변위 부재(17)의 핀(18)을 중심으로 하는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변위 부재(17)에 눌려서 조작되게 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23)는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의해, 검출 신호를 스위치 본체(24)로부터 제어 장치(9)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검출 스위치(23)는 텐션 풀리(19)의 변위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9)는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권상기(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제어 장치(9)는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권상기(2)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한 쪽의 하강이 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다른 쪽이 상승되고 있을 때, 텐션 풀리(19)는 하부 조속기 로프(21)에 의해 끌어 올려진다. 즉, 텐션 풀리(19)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각각의 승강 거리가 서로 다를 때 하부 조속기 로프(21)에 의해 끌려서 변위된다. 이 예에서는 어떠한 원인으로 승강로(1)내에 돌출한 장애물(26)에 균형추(7)가 부딪쳐서, 균형추(7)의 하강이 장애물(26)에 의해 저지되게 되어 있다. 또, 텐션 풀리(19)는 균형추(7)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6)이 권상기(2)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고 있을 때, 하부 조속기 로프(21)에 의해 끌어 올려진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6)의 하강 속도가 비정상으로 커졌을 경우, 조속기(14)에 의해 상부 조속기 로프(20)가 구속된다. 이로 인해, 풀업 기구(11)가 기계적으로 동작되고, 비상 정지 장치(10)가 동작된다. 엘리베이터 칸(6)은 비상 정지 장치(10)의 동작에 의해 제동된다.
승강로(1)내에 돌출하는 장애물(26)에 균형추(7)가 부딪쳐서 균형추(7)의 하강이 저지되고 있는 경우 균형추(7)는 정지되지만, 엘리베이터 칸(6)은 권상기(2)의 구동에 의해 상승된다. 이 때, 상부 조속기 로프(20)는 느슨해지고, 하부 조속기 로프(21)는 엘리베이터 칸(6)과 함께 끌어 올려진다. 이로 인해, 텐션 풀리(19)도 위쪽으로 변위되고, 변위 부재(17)가 핀(18)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 후, 텐션 풀리(19)의 변위량이 소정량으로 되면, 변위 부재(17)가 조작 레버(25)에 맞닿아서 조작 레버(25)가 조작된다. 이로 인해, 검출 신호가 검출 스위치(23)로부터 제어 장치(9)에 출력된다.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9)에 입력되면, 권상기(2)의 구동은 제어 장치(9)의 제어에 의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텐션 풀리(19)의 변위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에, 검출 신호가 검출 스위치(23)로부터 출력되고,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 장치가 권상기(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승강로(1)내에 돌출한 장애물(26) 등에 의해 균형추(7)의 하강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을, 엘리베이터 칸(6)의 상승에 의한 텐션 풀리(19)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검출할 수 있고, 권상기(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6)의 하강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도 균형추(7)의 상승에 의해 텐션 풀리(19)가 위쪽으로 변위되므로 동일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10)가 엘리베이터 칸(6)에만 탑재되어 있으나, 균형추(7)에 비상 정지 장치를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균형추(7)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에는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풀업 기구가 설치된다. 또, 풀업 기구에는 조속기 로프(22)가 접속된다.
실시 형태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에서, 있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조속기 로프(20) 및 하부 조속기 로프(21)는 접속 장치(31)을 통하여 균형추(7)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장치(31)는 균형추(7)의 중간부에 고정된 유지 부재(32)와, 유지 부재(32)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조속기 로프(20) 및 하부 조속기 로프(21)가 접속된 가동 부재(33)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가동 부재(33)는 유지 부재(32)에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지 부재(32)는 균형추(7)의 중간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4)와, 돌출부(34)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관 형상(tubular)부(35)를 포함하고 있다. 관 형상부(35)에는 가동 부재(33)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가동 부재(33)는 관 형상부(35)에 관통된 관통 봉(through-rod)(36)과, 관통 봉(36)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되고, 관 형상부(35)에 대한 가동 부재(33)의 변위량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규제부인 상부 규제부(37) 및 하부 규제부(38)를 포함하고 있다. 즉, 가동 부재(33)는 상부 규제부(37)가 관 형상부(35)의 상단부에 맞닿는 하한 위치와, 하부 규제부(38)가 관 형상부(35)의 하단부에 맞닿는 상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관 형상부(35)에 대하여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통 봉(36)의 길이는 관 형상부(35)의 상하 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길어지고 있다. 또, 각 규제부(37, 38)의 외경은 관 형상부(35)의 내경보다 커지고 있다. 상부 규제부(37)에는 상부 조속기 로프(20)의 타단부가 접속되고, 하부 규제부(38)에는 하부 조속기 로프(21)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즉, 접속 장치(31)는 조속기 로프(22)의 균형추(7)에 대한 소정량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균형추(7)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균형추(7)의 하강이 장애물(26)(도 1)에 의해 저지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6)이 상승되면, 가동 부재(33)가 유지 부재(32)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 후, 상부 규제부(37)가 관 형상부(35)의 상단부에 맞닿는다. 이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6)이 계속 상승되면, 하부 조속기 로프(21)에 의해 텐션 풀리(19)가 끌어 올려진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또, 장애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의 하강이 정지된 경우에는 균형추(7)가 상승됨으로써, 유지 부재(32)가 가동 부재(3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 후에도 균형추(7)가 계속 상승되면, 관 형상부(35)의 상단부가 상부 규제부(37)에 맞 닿고, 하부 조속기 로프(21)가 상승된다. 이로 인해, 텐션 풀리(19)가 끌어 올려진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유지 부재(32)에 대한 가동 부재(33)의 변위량이 가동 부재(33)에 설치된 규제부(27, 28)에 의해 규제되게 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로프(22)의 균형추(7)에 대한 변위를 허용하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6)에 승객이 탑승하면, 메인 로프(8)는 엘리베이터 칸(6)의 중량의 증가에 의해 늘어난다. 또, 메인 로프(8)는 경시적으로도 늘어난다. 이것에 대하여, 조속기 로프(22)의 늘어남(stretch)은 메인 로프(8)의 늘어남에 비해 작다. 이로 인해, 메인 로프(8)의 늘어남과 조속기 로프(22)의 늘어남과의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메인 로프(8)의 늘어남과 조속기 로프(22)의 늘어남과의 사이에 차이가 생기면, 엘리베이터 칸(6)이 조속기 로프(22)에 대하여 변위되므로, 비상 정지 장치(10)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접속 장치(31)는 조속기 로프(22)의 균형추(7)에 대한 변위를 허용할 수 있으므로, 메인 로프(8)의 늘어남과 조속기 로프(22)의 늘어남과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고, 비상 정지 장치(1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조속기 로프(22)가 접속 장치(31)를 통하여 균형추(7)에 접속되어 있으나, 균형추(7)에 비상 정지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 장치(31)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6)에 조속기 로프(22)를 접속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로프(8)의 늘어남과 조속기 로프(22)의 늘어남과의 차이를 접 속 장치(31)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비상 정치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접속 장치(41)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유지 부재(32) 및 가동 부재(33)와, 상부 규제부(37)와 관 형상부(35)와의 사이, 및 하부 규제부(38) 및 관 형상부(35)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탄성체인 스프링(42, 43)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42) 및 스프링(43)에는 가동 부재(33)의 관통 봉(36)이 관통되어 있다. 스프링(42)은 상부 규제부(37)의 관 형상부(35)측으로의 변위에 의해 축소되고, 스프링(43)은 하부 규제부(38)의 관 형상부(35)측으로의 변위에 의해 축소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스프링(42)이 상부 규제부(37)와 관 형상부(35)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스프링(43)이 하부 규제부(38)와 관 형상부(3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조속기 로프(22)의 균형추(7)에 대한 변위를 허용할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고 나서 조작 레버(25)가 조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상부 규제부(37)의 관 형상부(35)측으로의 변위에 의해, 스프링(42)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고 나서 텐션 풀리(19)를 끌어 올리기까지 필요한 가동 부재(33)의 관 형상부(35)에 대한 변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33)가 관 형상부(35)에 대하여 변위되는 것으로 생기는 지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고 나서 조작 레버(25)가 조작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균형추(7)의 중간부에는 유지 부재(51)가 고정되어 있다. 유지 부재(51)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규제부인 상부 규제부(52) 및 하부 규제부(53)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 규제부(52)에는 상부 조속기 로프(20)가 관통되고, 하부 규제부(53)에는 하부 조속기 로프(21)가 관통되어 있다.
상부 규제부(52)와 하부 규제부(53)와의 사이에는 유지 부재(51)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부재(54)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부재(54)에는 상부 조속기 로프(20) 및 하부 조속기 로프(21)가 접속되어 있다. 또, 가동 부재(54)는 균형추(7)에 핀(5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부재(54)는 핀(55)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유지 부재(54)에 대하여 변위된다. 또한, 핀(55)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한 가동 부재(54)의 변위량은 상부 규제부(52) 및 하부 규제부(53)에 의해 규제된다.
상부 규제부(52)와 가동 부재(54)와의 사이에는 탄성체인 스프링(56)이 설치되고, 하부 규제부(53)와 가동 부재(54)와의 사이에는 탄성체인 스프링(57)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56)은 가동 부재(54)의 상부 규제부(52)측으로의 변위에 의해 축소되고, 스프링(57)은 가동 부재(54)의 하부 규제부(53)측으로의 변위에 의해 축소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조속기 로프(20) 및 하부 조속기 로프(21)를 균형추(7)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60)는 유지 부재(51), 가동 부재(54) 및 스프링(56, 57)을 포함하고 있다.
승강로(1) 하부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인 텐션 풀리 가이드 레일(58)이 설치되어 있다. 각 텐션 풀리 가이드 레일(58) 사이에는 텐션 풀리 가이드 레일(58)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변위 부재(59)가 배치되어 있다. 변위 부재(59)는 각 텐션 풀리 가이드 레일(58)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게 되어 있다.
텐션 풀리(19)는 변위 부재(59)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23)는 변위 부재(59)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25)는 변위 부재(59)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변위 부재(59)에 눌려서 조작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유지 부재(51)에 대한 가동 부재(54)의 변위량이 유지 부재(51)에 설치된 규제부(52, 53)에 의해 규제되게 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로프(22)의 균형추(7)에 대한 변위를 허용하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낸다.
또, 스프링(56)이 상부 규제부(52)와 가동 부재(54)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스프링(57)이 하부 규제부(53)와 가동 부재(54)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로프(22)의 균형추(7)에 대한 변위를 허용할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고 나서 조작 레버(25)가 조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텐션 풀리(19)가 탑재된 변위 부재(59)는 텐션 풀리 가이드 레일(5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게 되어 있으므로, 텐션 풀리(19)의 수평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변위 부재(59)에 의한 조작 레버(25)의 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스프링(56)이 상부 규제부(52)와 가동 부재(54)와의 사이에, 스프링(57)이 하부 규제부(53)와 가동 부재(54)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나, 스프링(56) 및 스프링(57)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속기 로프(22)의 균형추(7)에 대한 변위를 허용하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사이에는 연결 로프(61)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 로프(61)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 접속되고, 연결 로프(61)의 타단부는 균형추(7)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 로프(61)는 텐션 풀리(19)에 감겨져 있다. 텐션 풀리(19)는 연결 로프(61)에 의해 매달려 있다. 연결 로프(61)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승강에 의해 이동된다. 다른 구성 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장애물에 의해 저지되었을 때에, 텐션 풀리(19)를 끌어 올릴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을 간단한 구성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연결 로프(61)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에 직접 접속되어 있으나, 연결 로프(61)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실시 형태 2의 접속 장치(31), 실시 형태 3의 접속 장치(41) 또는 실시 형태 4의 접속 장치(60)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에 접속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3 및 5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변위 부재(17)에 텐션 풀리(19)가 설치되어 있으나, 변위 부재(17)는 텐션 풀리(19)와 함께 변위되어서 조작 레버(25)를 조작 가능한 부재이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에 대하여 변위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과는 다른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변위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장애물 에 의해 저지되었을 때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회전 가능한 구동 쉬브(drive sheave)를 갖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진 메인 로프(main rope),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지고,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의 승강에 의해 이동되는 연결 로프,
    상기 연결 로프가 감겨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 각각의 승강 거리가 서로 다를 때 상기 연결 로프에 의해 끌려서(pulled) 변위 가능한 텐션 풀리(tension pulley),
    상기 텐션 풀리의 변위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연결 로프는 상기 비상 정지 장치와 연동하는 조속기(governor)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연결 로프가 접속 장치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 로프에 접속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가동 부재 중 한 쪽은 상기 유지 부재에 대한 상기 가동 부재의 변위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가동 부재 중 다른 쪽과 상기 규제부와의 사이에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삭제
KR1020067011075A 2006-06-05 2004-08-2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1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075A KR100817365B1 (ko) 2006-06-05 2004-08-27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075A KR100817365B1 (ko) 2006-06-05 2004-08-27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849A KR20070031849A (ko) 2007-03-20
KR100817365B1 true KR100817365B1 (ko) 2008-03-26

Family

ID=4164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075A KR100817365B1 (ko) 2006-06-05 2004-08-2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546B1 (ko) 2014-04-09 2018-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7969U (ko) * 1971-09-09 1973-05-09
JPS52870A (en) * 1975-06-24 1977-01-06 Kureha Chemical Ind Co Ltd Method of prevention or recovery of whitening of formed product of acrylonitrile polymer due to absorption of water
JPS52870U (ko) * 1975-06-21 1977-01-06
JPS52147374U (ko) * 1976-04-30 1977-11-08
JPS52147374A (en) * 1976-06-03 1977-12-07 Metallgesellschaft Ag Louver type dust collector
JPH052870Y2 (ko) * 1986-09-19 1993-01-25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7969U (ko) * 1971-09-09 1973-05-09
JPS52870U (ko) * 1975-06-21 1977-01-06
JPS52870A (en) * 1975-06-24 1977-01-06 Kureha Chemical Ind Co Ltd Method of prevention or recovery of whitening of formed product of acrylonitrile polymer due to absorption of water
JPS52147374U (ko) * 1976-04-30 1977-11-08
JPS52147374A (en) * 1976-06-03 1977-12-07 Metallgesellschaft Ag Louver type dust collector
JPH052870Y2 (ko) * 1986-09-19 1993-01-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849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54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250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481170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装置
JP5472311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JP52647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066180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3009365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70271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JP200135437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7073632B2 (en)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173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BRPI0416836B1 (pt) Aparelho elevador compreendendo uma parte de supervisão para detectar anormalidades no movimento de um carro
WO201517391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51056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275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2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168565A (ja) エレベータ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KR1007271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8184241A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CN109720959B (zh) 调速器和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