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37B1 -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37B1
KR102418037B1 KR1020200072737A KR20200072737A KR102418037B1 KR 102418037 B1 KR102418037 B1 KR 102418037B1 KR 1020200072737 A KR1020200072737 A KR 1020200072737A KR 20200072737 A KR20200072737 A KR 20200072737A KR 102418037 B1 KR102418037 B1 KR 10241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le
pair
operation fram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471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는: 연속식하역기에 설치되고, 케이블이 권취되는 릴부와, 릴부에 서로 이격되어 케이블의 권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와, 한 쌍의 프레임부에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프레임부 사이에 통과되는 케이블과 접촉되어 케이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한 쌍의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과 접촉되고, 케이블의 권출여부에 따라 연속식하역기 상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와, 작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속식하역기의 주행휠 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과 접촉되는 고임목부와, 한 쌍의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작동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작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위치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APPARATUS FOR PRVENTING MOVING OF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주행휠에 간섭되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어 연속식하역장비를 통해 부두로 하역작업을 한 후,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제철공장으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127648호(2010.12.06 공개, 발명의 명칭: 연속식 하역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이 주행휠에 간섭되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는: 연속식하역기에 설치되고, 케이블이 권취되는 릴부; 상기 릴부에 서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블의 권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통과되는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어 상기 케이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고, 상기 케이블의 권출여부에 따라 상기 연속식하역기 상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속식하역기의 주행휠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주행휠과 접촉되는 고임목부; 및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작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위치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속식하역기에 설치되고, 상기 고임목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주행휠의 작동을 멈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위치복귀부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원위치복귀바; 상기 작동부를 관통하며, 상기 작동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제2원위치복귀바; 및 상기 제2원위치복귀바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작동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롤러부를 구비하며, 제2원위치복귀바가 관통되는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식하역기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임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작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제2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휠과 접촉되는 고임목본체; 및 상기 안내홀부의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고임목본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임목본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작동프레임은,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식하역기의 제1핀부재가 삽입되는 제2-1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1작동프레임;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식하역기의 제2핀부재가 삽입되는 제2-2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2작동프레임; 및 상기 제2-1작동프레임과 상기 제2-2작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1작동프레임과 상기 제2-2작동프레임을 결합하며, 상기 안내홀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안내홀부 상에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제1가이드부; 및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는 케이블의 미권출시 즉, 연속식하역기의 작동이 멈출때 고임목부가 연속식하역기의 주행휠 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과 접촉됨에 따라, 케이블이 주행휠에 간섭되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에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주행휠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케이블의 권출시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케이블의 미권출시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에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주행휠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케이블의 권출시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의 케이블의 미권출시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1)는 릴부(100), 한 쌍의 프레임부(200), 한 쌍의 가이드부(300), 작동부(400), 고임목부(500) 및 원위치복귀부(600)를 포함한다.
릴부(100)는 연속식하역기(10)에 설치되고, 케이블(20)이 권취된다. 릴부(100)는 케이블(20)을 권취, 권출가능한 릴축(미도시)을 가진다. 케이블(20)은 릴부(100)의 릴축에 감겨진 상태에서 릴축의 회전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권출된다. 릴부(100)는 연속식하역기(10)의 역속식하역기본체(11)의 전후(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길이방향 중간부에 배치되고(도 1 참조), 역속식하역기본체(11)의 측면부에 연속식하역기(10)의 전후방 주행휠(12)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20)이 연속식하역기(10)의 전후방 주행휠(12)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연속식하역기(10)의 주행 경로를 따라 안정되게 권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부(200)는 릴부(100)에 서로 이격되어 케이블(20)의 권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프레임부(20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210)은 릴부(100)의 일측부에 하향 연장되게 결합된다. 제2프레임(220)은 릴부(100)의 타측부에 하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제1프레임(21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릴부(100)에서 권출되는 케이블(20)은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300)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에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프레임부(200) 사이에 통과되는 케이블(20)과 접촉되어 케이블(20)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부(30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를 통과하는 케이블(20)이 임의의 형태와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즉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한 쌍의 프레임부(200) 각각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다.
작동부(400)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20)과 접촉되고, 케이블(20)의 권출여부에 따라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작동부(400)는 프레임부(200)의 제1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20)과 접촉되며, 연속식하역기(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부(400)는 케이블(20)의 권출시 반시계바향으로 회전되면서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반면에, 작동부(400)는 케이블(20)의 미권출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된다(도 5, 도 6 참조).
고임목부(500)는 작동부(4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4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속식하역기(10)의 주행휠(12) 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12)과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20)의 권출시 작동부(400)가 제1프레임(210)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임목부(500)가 연속식하역기(10)의 주행휠(12)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12)과 이격된다.
반대로, 케이블(20)의 미권출시 작동부(400)가 제1프레임(210)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임목부(500)가 연속식하역기(10)의 주행휠(12) 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12)과 접촉된다.
원위치복귀부(600)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케이블(20)의 미권출시 작동부(4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작동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원위치복귀부(600)는 제1원위치복귀바(610), 제2원위치복귀바(620) 및 스프링(630)을 포함한다. 제1원위치복귀바(610)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즉, 제1원위치복귀바(610)는 프레임부(200)의 제1프레임(210)과 결합된다.
제2원위치복귀바(620)는 작동부(400)를 관통하며, 작동부(40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622)를 구비한다. 제2원위치복귀바(620)는 제2원위치복귀본체(621)와 제2이탈방지부(622)를 포함한다. 제2원위치복귀본체(621)는 작동부(400)의 제1관통홀부(411d)를 관통한다. 제2이탈방지부(622)는 제2원위치복귀본체(621)와 결합되며, 제2원위치복귀본체(621)가 작동부(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630)은 제2원위치복귀바(620)의 외측을 감싸며, 작동부(4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프링(630)은 작동부(400)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축된다. 구체적으로, 작동부(400)의 제1작동프레임(4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630)은 제1작동프레임(410)에 의해 압축된다. 이때, 케이블(20)이 권출되고 있는 상태로, 케이블(20)의 권출에 의해 작동부(400)의 제1작동프레임(4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스프링(630)은 작동부(400)의 제1작동프레임(4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630)에 가해지는 제1작동프레임(410)의 압력이 해제되고, 스프링(6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작동프레임(410)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케이블(20)이 미권출되고 있는 상태이다.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1)는 센서부(700)와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센서부(700)는 연속식하역기(10)에 설치되고, 고임목부(500)와의 접촉을 감지한다.
센서부(700)는 연속식하역기(10)의 역속식하역기본체(11)에서 고임목부(500) 측으로 돌출된다. 센서부(700)는 케이블(20)의 미권출시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400)에 의해 연속식하역기(10)의 주행휠(12) 측으로 이동되는 고임목부(500)와의 접촉되어 작동부(400)의 접촉을 감지한다. 센서부(700)는 고임목부(500)의 접촉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800)에 전달한다.
제어부(800)는 센서부(7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토대로 주행휠(12)의 작동을 멈춘다. 제어부(800)는 센서부(7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센서부(7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토대로 주행휠(12)의 모터(미도시)의 작동을 멈춘다. 이때, 복수개의 주행휠(12) 중 어느 하나에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작동부(400)는 제1작동프레임(410)과 제2작동프레임(420)을 포함한다. 제1작동프레임(410)은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20)과 접촉되는 접촉롤러부(412)를 구비하며, 제2원위치복귀바(620)가 관통된다.
제1작동프레임(410)은 제1작동프레임바(411)와 접촉롤러부(412)를 포함한다. 제1작동프레임바(411)는 중앙부 부분이 프레임부(200)의 제1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원위치복귀바(620)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411d)를 구비한다. 제1작동프레임(410)은 케이블(20)의 권출시 제1프레임(210)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제1작동프레임(410)은 케이블(20)의 미권출시 제1프레임(210)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제1작동프레임바(411)는 제1-1작동프레임바(411a), 제1-2작동프레임바(411b), 제1연결프레임(411c), 제1결합핀부(411e) 및 제1체결핀부(411f)를 포함한다. 제1-1작동프레임바(411a)는 프레임부(200)의 제1프레임(210)의 일측에 접촉된다. 제1-2작동프레임바(411b)는 프레임부(200)의 제1프레임(210)의 타측에 접촉되고, 제1-1작동프레임바(411a)와 마주본다. 제1연결프레임(411c)은 제1-1작동프레임바(411a)와 제1-2작동프레임바(411b) 사이에 배치되어 제1-1작동프레임바(411a) 및 제1-2작동프레임바(411b)를 연결하며, 제2원위치복귀바(620)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411d)를 구비한다. 제1체결핀부(411e)는 제1-1작동프레임바(411a)와 제1-2작동프레임바(411b)를 프레임부(200)의 제1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체결핀부(411f)는 제1-1작동프레임바(411a) 및 제1-2작동프레임바(411b)에 제2작동프레임(420)의 제2-1작동프레임(421) 및 제2-2작동프레임(422)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체결한다(도 4 참조).
접촉롤러부(412)는 제1작동프레임바(4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블(20)과 접촉된다. 접촉롤러부(412)는 제1-1작동프레임바(411a)와 제1-2작동프레임바(411b) 사이에서 양단부가 제1-1작동프레임바(411a)와 제1-2작동프레임바(411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작동프레임(420)은 제1작동프레임(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연속식하역기(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임목부(5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작동프레임(420)은 제1작동프레임(410)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임목부(500)가 연속식하역기(10)의 주행휠(12)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12)과 이격된다.
반대로, 제2작동프레임(420)은 제1작동프레임(410)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임목부(500)가 주행휠(12)과 접촉된다.
고임목부(500)는 고임목본체(510)와 탄성부재(520)를 포함한다. 고임목본체(510)는 제2작동프레임(4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작동프레임(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부(511)를 구비하고, 주행휠(12)과 접촉된다.
탄성부재(520)는 안내홀부(511)의 내에 설치되고, 제2작동프레임(420)에 의해 압축되며, 고임목본체(5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20)의 미권출시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400)의 제2작동프레임(420)이 안내홀부(511)를 따라 주행휠(1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임목부(500)의 고임목본체(510)는 주행휠(12) 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12)과 접촉된다. 이때, 고임목부(500)의 탄성부재(520)는 안내홀부(511)의 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케이블(20)이 권출되면서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400)의 제2작동프레임(420)이 안내홀부(511)를 따라 주행휠(12)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고임목부(500)의 탄성부재(5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고임목부(500)의 고임목본체(510)를 주행휠(12)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고임목본체(510)는 주행휠(12)과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므로, 연속식하역기(10)의 이동을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2작동프레임(420)은 제2-1작동프레임(421), 제2-2작동프레임(422) 및 핀부(423)를 포함한다. 제2-1작동프레임(421)은 제1작동프레임(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1작동프레임(421)은 제1작동프레임(410)의 제1-1작동프레임바(411a)에 제1체결핀부(411f)에 의해 결합된다.
제2-1작동프레임(421)은 연속식하역기(10)의 제1핀부재(14)가 삽입되는 제2-1가이드홀부(421a)가 형성된다. 이때, 제1핀부재(14)는 연속식하역기(10)의 역속식하역기본체(11)에 장착된 장착부(13)에 설치되며, 제2-1작동프레임(421)의 제2-1가이드홀부(421a)를 따라 이동된다.
제2-2작동프레임(422)은 제1작동프레임(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2작동프레임(422)은 제1작동프레임(410)의 제1-2작동프레임바(411b)에 제1체결핀부(411f)에 의해 결합된다.
제2-2작동프레임(422)은 연속식하역기(10)의 제2핀부재(15)가 삽입되는 제2-2가이드홀부(422a)가 형성된다. 이때, 제2핀부재(15)는 연속식하역기(10)의 역속식하역기본체(11)에 장착된 장착부(13)에 설치되며, 제2-2작동프레임(422)의 제2-2가이드홀부(422a)를 따라 이동된다.
핀부(423)는 제2-1작동프레임(421)과 제2-2작동프레임(422) 사이에 배치되어 제2-1작동프레임(421)과 제2-2작동프레임(422)을 결합하고, 안내홀부(511)를 따라 이동되며, 안내홀부(511) 상에서의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탄성부재(520)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제2-1작동프레임(421)과 제2-2작동프레임(422)이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핀부(423)가 고임목부(500)의 안내홀부(511)를 따라 이동되어 안내홀부(511)의 내에 배치된 탄성부재(520)를 압축한다. 반대로, 제2-1작동프레임(421)과 제2-2작동프레임(422)이 연속식하역기(10)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핀부(423)가 제2작동프레임(420)의 탄성부재(520)에 가한 압력이 해제되면서 탄성부재(5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가이드부(300)는 제1가이드부(310)와 제2가이드부(320)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부(310)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케이블(20)과 접촉된다. 제1가이드부(310)는 프레임부(200)의 제1프레임(210)에 결합되고, 케이블(20)의 일측에 접촉된다.
제2가이드부(320)는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케이블(20)과 접촉된다. 제2가이드부(320)는 프레임부(200)의 제2프레임(220)에 결합되고, 케이블(20)의 타측에 접촉된다.
즉, 제1가이드부(310)와 제2가이드부(32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를 통과하는 케이블(20)의 양측에 접촉되어 케이블(20)이 권출되거나 권취될 때 케이블(20)을 가이드한다.
제1가이드부(310)는 제1가이드프레임(311)과 제1롤러(312)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프레임(311)은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에서 한 쌍의 프레임부(200)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된다. 제1가이드프레임(311)은 제1프레임(210)에서 제2프레임(220) 측으로 돌출된다.
제1롤러(312)는 제1가이드프레임(3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20)과 접촉된다. 제1롤러(312)는 케이블(20)이 권출되거나 권취될 때 회전되면서 케이블(20)의 일측에 접촉된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2가이드프레임(321)과 제2롤러(322)를 포함한다. 제2가이드프레임(321)은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200) 중 다른 하나에서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다. 제2가이드프레임(321)은 제2프레임(220)에서 제1프레임(210) 측으로 돌출된다.
제2롤러(322)는 제2가이드프레임(3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20)과 접촉된다. 제2롤러(322)는 케이블(20)이 권출되거나 권취될 때 회전되면서 케이블(20)의 타측에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1)는 케이블(20)의 미권출시 즉, 연속식하역기(10)의 작동이 멈출때 고임목부(500)가 연속식하역기(10)의 주행휠(12) 측으로 이동되어 주행휠(12)과 접촉됨에 따라, 케이블(20)이 주행휠(12)에 간섭되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10 : 연속식하역기 11 : 연속식하역기본체
12 : 주행휠 13 : 장착부
14 : 제1핀부재 15 : 제2핀부재
20 : 케이블 100 : 릴부
200 : 프레임부 210 : 제1프레임
220 : 제2프레임 300 : 가이드부
310 : 제1가이드부 311 : 제1가이드프레임
312 : 제1롤러부 320 : 제2가이드부
321 : 제2가이드프레임 322 : 제2롤러부
400 : 작동부 410 : 제1작동프레임
411 : 제1작동프레임바 411a : 제1-1작동프레임바
411b: 제1-2작동프레임바 411c : 제1연결프레임
411d : 제1관통홀부 411e : 제1결합핀부
411f : 제1체결핀부 412 : 접촉롤러부
420 : 제2작동프레임 421 : 제2-1작동프레임
421a : 제2-1가이드홀부 422 : 제2-2작동프레임
422a : 제2-2가이드홀부 423 : 핀부
500 : 고임목부 510 : 고임목본체
511 : 안내홀부 520 : 탄성부재
600 : 원위치복귀부 610 : 제1원위치복귀바
620 : 제2원위치복귀바 621 : 제2원위치복귀본체
622 : 제2이탈방지부 630 : 스프링
700 : 센서부 800 : 제어부

Claims (7)

  1. 연속식하역기에 설치되고, 케이블이 권취되는 릴부;
    상기 릴부에 서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블의 권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통과되는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어 상기 케이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고, 상기 케이블의 권출여부에 따라 상기 연속식하역기 상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속식하역기의 주행휠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주행휠과 접촉되는 고임목부; 및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작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위치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치복귀부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원위치복귀바; 및
    상기 작동부를 관통하며, 상기 작동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제2원위치복귀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롤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원위치복귀바가 관통되는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식하역기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임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작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하역기에 설치되고, 상기 고임목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주행휠의 작동을 멈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복귀부는,
    상기 제2원위치복귀바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작동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제2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휠과 접촉되는 고임목본체; 및
    상기 안내홀부의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고임목본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임목본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프레임은,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식하역기의 제1핀부재가 삽입되는 제2-1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1작동프레임;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속식하역기의 제2핀부재가 삽입되는 제2-2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2작동프레임; 및
    상기 제2-1작동프레임과 상기 제2-2작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1작동프레임과 상기 제2-2작동프레임을 결합하며, 상기 안내홀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안내홀부 상에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제1가이드부; 및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20200072737A 2020-06-16 2020-06-16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241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37A KR102418037B1 (ko) 2020-06-16 2020-06-16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37A KR102418037B1 (ko) 2020-06-16 2020-06-16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71A KR20210155471A (ko) 2021-12-23
KR102418037B1 true KR102418037B1 (ko) 2022-07-06

Family

ID=7917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737A KR102418037B1 (ko) 2020-06-16 2020-06-16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15B1 (ko) * 2012-08-30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271B1 (ko) * 2016-09-20 2018-08-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102077926B1 (ko) * 2018-07-17 2020-02-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15B1 (ko) * 2012-08-30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71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0374B2 (en) Dancer roller apparatus
US8701867B2 (en) Conveyor with a gentle retractable stop
US5317858A (en) Bag forming/filling system
JP5455849B2 (ja) 仕分装置
KR102418037B1 (ko)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US3884461A (en) Facsimile drum feed
KR102077926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JP2553992B2 (ja) 供給物品のアキュームレーション装置
KR10117443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US11292669B2 (en) Conveying apparatus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KR101938072B1 (ko) 트리퍼카용 케이블 손상 방지장치
KR20090049213A (ko) 벨트 컨베이어장치용 벨트 쏠림 교정장치
JP5162865B2 (ja) 搬入装置
KR102224863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KR102009345B1 (ko)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KR1021778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JP5154117B2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および搬送装置
KR20200012146A (ko) 연속식 하역기의 밀림방지장치
KR20190113076A (ko) 연속 하역기의 방해물 감지장치
US11691181B2 (en) Article sorting apparatus
WO2018225130A1 (ja) ベルト片寄り抑止機構、ベルト片寄り抑止方法、及びベルト式搬送装置
KR100905633B1 (ko)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철편 검출기 보호 장치
KR102336753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