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345B1 -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345B1
KR102009345B1 KR1020190009838A KR20190009838A KR102009345B1 KR 102009345 B1 KR102009345 B1 KR 102009345B1 KR 1020190009838 A KR1020190009838 A KR 1020190009838A KR 20190009838 A KR20190009838 A KR 20190009838A KR 102009345 B1 KR102009345 B1 KR 102009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allet
raw material
material roll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용
Original Assignee
이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용 filed Critical 이래용
Priority to KR102019000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누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원자재롤을 지게차가 수송할 수 있도록 파렛트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선단 컨베이어와, 상기 선단 컨베이어를 통과한 파렛트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렛트 안착부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중앙 컨베이어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 및 중앙 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 및 상기 중앙 컨베이어의 밑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원자재롤 회전부와, 상기 회전지지축에 연결되어 회전지지축을 지지하는 밑판과,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밑판에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중앙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컨베이어, 및 상기 선단 컨베이어와 중앙 컨베이어와 구동기구 및 후단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이 지면 등에 밀착되도록 뉘어진 상태로 이송된 원자재롤이 파렛트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파렛트의 상부에 세워서 안착시키거나, 파렛트에 세워서 안착된 원자재롤이 이송컨베이어에 뉘어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ROTATION APPARATUS OF RAW MATERIAL ROLL WHICH CAN USE PALLET}
본 발명은 회전된 원자재롤을 파렛트에 안착시킬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원자재롤을 지게차가 수송할 수 있도록 파렛트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 박판, 또는 필름이나 원단 등의 소재는 슬리터(slitter) 장치에 의해 임의의 폭으로 절단(slitting) 가공된 후 롤 형태로 제품화되어 출하되게 된다. 이때, 슬리터 장치에 의해 절단된 후 귄취(rewind)되어 출하되는 원자재롤 등의 제품은 원통 형상으로서 그 크기가 대형일 뿐 아니라, 자체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원자재롤을 슬리터 장치로부터 분리시킨 후, 적절한 장소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슬리터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원자재롤은 직경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보관 또는 차량 등에 적재시키거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측면이 지면 등에 밀착되어 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또는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원자재롤의 놓여진 상태를 전환시켰다.
그러나 원자재롤은 일반적으로 대형일 뿐 아니라,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원자재롤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원자재롤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을 뿐 아니라, 원자재롤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635호(2008.10.0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3044호(2009.08.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9284호(2012.05.2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이 지면 등에 밀착되도록 뉘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원자재롤을 보관 등이 용하하도록 이송과정에서 약 90°각도의 회전시킬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파렛트를 이송시키는 선단 컨베이어와, 상기 선단 컨베이어의 후단에 구비되어 선단 컨베이어를 통과한 파렛트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렛트 안착부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중앙 컨베이어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 및 중앙 컨베이어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파렛트 안착부와 중앙 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 및 상기 중앙 컨베이어의 밑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원자재롤 회전부와, 상기 중앙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지지축에 연결되어 회전지지축을 지지하는 밑판과,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밑판에 결합되어 파렛트 안착부 및 중앙 컨베이어가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된 중앙 컨베이어로 원자재롤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중앙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컨베이어, 및 상기 선단 컨베이어와 중앙 컨베이어와 구동기구 및 후단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단 컨베이어와 중앙 컨베이어와 구동기구 및 후단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이 지면 등에 밀착되도록 뉘어진 상태로 이송된 원자재롤이 파렛트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파렛트의 상부에 세워서 안착시키거나, 파렛트에 세워서 안착된 원자재롤이 이송컨베이어에 뉘어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기중기 등을 이용해 원자재롤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대신 이송컨베이러를 통해 원자재롤이 이송되는 과정 중 원자재롤의 위치를 반전시키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자재롤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게차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렛트에 위치가 회전된 원자재롤을 쉽게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원자재롤의 이송에 소비되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파렛트가 투입된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원자재롤 회전부로 파렛트를 이송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파렛트를 회전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파렛트에 안착되도록 원자재롤을 이송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파렛트에 안착된 원자재롤을 회전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원자재롤이 안착된 파렛트를 선단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이하, '원자재롤 회전장치'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파렛트가 투입된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선단 컨베이어(100)와, 상기 선단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파렛트(P)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렛트 안착부(210)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210)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중앙 컨베이어(220)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210) 및 중앙 컨베이어(220)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230) 및 상기 중앙 컨베이어(220)의 밑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포함하는 원자재롤 회전부(200)와, 상기 회전지지축(230)에 연결되어 회전지지축(230)을 지지하는 밑판(300)과,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밑판(300)에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400)와, 상기 중앙 컨베이어(220)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컨베이어(500), 및 상기 선단 컨베이어(100)와 중앙 컨베이어(220)와 구동기구(400) 및 후단 컨베이어(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원자재롤 회전부로 파렛트를 이송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파렛트를 회전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파렛트에 안착되도록 원자재롤을 이송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파렛트에 안착된 원자재롤을 회전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원자재롤이 안착된 파렛트를 선단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본 발명의 원자재롤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선단 컨베이어(100)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 컨베이어(100)는 관리자나 지게차를 통해 선단으로 투입된 파렛트(P)를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롤러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물품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데, 컨베이어 벨트는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운동을 하며, 구동풀리의 구동축은 제1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제1 구동모터는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파렛트(P)를 원자재롤 회전부(200)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선단 컨베이어(100)는 원자재롤(R)이 안착된 파렛트(P)가 원자재롤 회전부(200)를 통해 후단으로 투입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재롤(R)이 안착된 파렛트(P)를 지게차가 운반시킬 수 있도록 선단 컨베이어(100)의 선단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선단 컨베이어(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원자재롤 회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원자재롤 회전부(200)는 상기 선단 컨베이어(100)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선단 컨베이어(100)를 통해 진입한 파렛트(P)를 약 90°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도 6과 같이 후단 컨베이어(500)를 통해 진입한 원자재롤(R)을 약 90°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원자재롤 회전부(200)는 파렛트 안착부(210)와, 중앙 컨베이어(220)와, 회전지지축(230), 및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렛트 안착부(210)는 도 3과 같이 선단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파렛트(P)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선단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파렛트(P)가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선단 컨베이어(100)의 상부와 동일 선상의 상부를 형성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안착부(210)는 파렛트(P)가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롤러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파렛트 안착부(2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 안착부(2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 측면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지지바는 파렛트 안착부(210)에 안착된 파렛트(P)의 좌우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측면 지지바는 파렛트 안착부(21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도 1과 같이 파렛트 안착부(210)의 우측 선단, 좌측 선단, 우측 후단, 좌측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컨베이어(220)는 상기 파렛트 안착부(210)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선단 또는 후단으로부터 진입한 원자재롤(R)이 원활히 이송되도록 롤러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물품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데, 컨베이어 벨트는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운동을 하며, 구동풀리의 구동축은 제2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제2 구동모터는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선단 컨베이어(100) 방향에서 후단 컨베이어(500) 방향으로 원자재롤(R)을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후단 컨베이어(500) 방향에서 선단 컨베이어(100) 방향으로 원자재롤(R)을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중앙 컨베이어(220)는 후단 컨베이어(500)에 인접하도록 회전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컨베이어(500)로부터 진입한 원자재롤(R)이 파렛트(P)에 원활히 접촉될 수 있도록 후단 컨베이어(500)의 상부와 동일 선상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지지축(230)은 상기 파렛트 안착부(210) 및 중앙 컨베이어(220)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파렛트 안착부(210)와 중앙 컨베이어(2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파렛트 안착부(210)와 중앙 컨베이어(220)가 외력에 의해 약 90°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중심축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중앙 컨베이어(220)의 밑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을 중앙 컨베이어(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은 구동기구(400)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에 따라 중앙 컨베이어(220)가 전달받는 외력의 위치가 다르도록 구동기구(400)의 말단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은 구동기구(400)의 말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 컨베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
Figure 112019009197415-pat00001
"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은 구동기구(400)의 말단이 중앙 컨베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컨베이어(220)의 밑면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더라도 구동기구(400) 말단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구동기구(400)의 훼손 없이 구동기구(400)의 말단이 중앙 컨베이어(22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파렛트 정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렛트 정지부는 상기 선단 컨베이어(100)와 파렛트 안착부(2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선단 컨베이어(100)를 통해 파렛트 안착부(210)로 진입한 파렛트(P)의 전후 이동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를 위해, 파렛트 정지부는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파렛트 정지부는 파렛트 안착부(210)의 선단에 설치되며 제어부(600)에 연결된 정지용 실린더와, 상기 정지용 실린더에 연결되어 정지용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파렛트(P)의 이동경로 상으로 진입되는 이동 차단바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파렛트 정지부나, 중앙 컨베이어(220)에는 파렛트(P)와 원자재롤(R)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로는 광전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는 중앙 컨베이어(220)에 밀착되도록 파렛트 안착부(210)로 진입한 파렛트(P)의 위치를 감지하여 파렛트 도달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파렛트 도달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파렛트 도달신호가 수신되면 파렛트(P)가 안착된 원자재롤 회전부(200)가 회전되도록 구동기구(400)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는 파렛트 안착부(210)에 밀착되도록 중앙 컨베이어(220)로 진입한 원자재롤(R)의 위치를 감지하여 원자재롤 도달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원자재롤 도달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원자재롤 도달신호가 수신되면 원자재롤(R)이 안착된 원자재롤 회전부(200)가 회전되도록 구동기구(400)를 제어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밑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밑판(300)은 상기 중앙 컨베이어(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지지축(230)에 연결되어 회전지지축(230)을 지지하는 것으로, 회전지지축(230)이 파렛트 안착부(210)와 중앙 컨베이어(220)의 회전과 상관없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회전지지축(230)을 지지한다.
또한, 밑판(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컨베이어(100)와 후단 컨베이어(500) 사이에 구비되어 원자재롤 회전부(200)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밑판(300)은 구동기구(400)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구동기구(4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구(400)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밑판(300)에 결합되어 파렛트 안착부(210) 및 중앙 컨베이어(220)가 회전지지축(23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기구(400)로는 실린더 바디와, 상기 중앙 컨베이어(220)와 마주보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는 실린더바디에 설치된 로드캡과, 상기 실린더 바디의 외부에 배치된 피스톤 로드의 말단에 설치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홀더는 초기에 파렛트 안착부(210)에 인접한 가이드레일의 일단에 위치하다가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나오면 가이드레일의 타단으로 점차 이동한다.
예를 들면, 홀더는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 컨베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
Figure 112019009197415-pat00002
"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400)는 제어부(600)에 연결된 공기탱크로부터 공기압력을 제공하는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호스로부터 공급되거나 호스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통해 피스톤 로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피스톤 로드가 선단 컨베이어(100)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수행하면 파렛트 안착부(210)는 선단 컨베이어(10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도 5와 같이 피스톤 로드가 후단 컨베이어(500)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수행하면 중앙 컨베이어(220)는 후단 컨베이어(50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후단 컨베이어(500)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 컨베이어(500)는 상기 구동기구(400)에 의해 회전된 중앙 컨베이어(220)로 원자재롤(R)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중앙 컨베이어(22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컨베이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후단 컨베이어(500)로는 롤러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동영상에서 나타난 후단 컨베이어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명칭이 있다면 이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물품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데, 컨베이어 벨트는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운동을 하며, 구동풀리의 구동축은 제3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3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제3 구동모터는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자재롤(R)을 원자재롤 회전부(200)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후단 컨베이어(500)는 원자재롤(R)이 원자재롤 회전부(200)를 통해 선단으로 투입되면, 상기 원자재롤(R)을 후단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후단 컨베이어(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모터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원자재롤(R)의 입고신호나 원자재롤(R)의 출고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어부(6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입력부는 사용자가 출고신호, 입고신호, 정지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거나, 액정 및 물리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선단 컨베이어(100)와 중앙 컨베이어(220)와 구동기구(400) 및 후단 컨베이어(5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단 컨베이어(100)와 중앙 컨베이어(220)와 구동기구(400) 및 후단 컨베이어(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입력부를 통해 원자재롤(R)의 입고신호가 제공되면, 선단 컨베이어(10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선단 컨베이어(100)로 투입된 파렛트(P)를 파렛트 안착부(210)로 이송시키고, 구동기구(400)를 제어해 파렛트 안착부(210)에 위치한 파렛트(P)를 회전시키며, 후단 컨베이어(500)로 투입된 원자재롤(R)이 중앙 컨베이어(220)를 통해 상기 파렛트(P)까지 도달하도록 후단 컨베이어(500)와 중앙 컨베이어(22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입력부를 통해 원자재롤(R)의 출고신호가 제공되면, 선단 컨베이어(10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파렛트(P)에 세워진 상태로 선단 컨베이어(100)를 통해 투입된 원자재롤(R)을 파렛트 안착부(210)로 이송시킨다. 그 다음, 제어부(600)는 구동기구(400)를 제어해 파렛트 안착부(210)에 위치한 원자재롤(R)이 중앙 컨베이어(220)에 누워진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이어서, 제어부(600)는 중앙 컨베이어(220)에 위치한 원자재롤(R)이 후단 컨베이어(500)의 후단까지 이동하도록 중앙 컨베이어(220)와 후단 컨베이어(50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파렛트(P)와 원자재롤(R)에 대한 회전과 이송을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제어하거나, 지정된 시간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는 파렛트 정지부를 제어하여 파렛트 안착부(210)에 안착된 파렛트(P)가 회전하는 도중에 파렛트 안착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 차단바를 상승시켜 파렛트(P)의 전후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파렛트 안착부(210)가 선단 컨베이어(10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되면, 파렛트(P)가 선단 컨베이어(1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파렛트 정지부의 이동 차단바를 초기 위치로 회동시킨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롤 회전장치의 동작과정을 입고과정과, 출고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고과정에서 도 1과 같이 파렛트(P)가 선단 컨베이어(100)의 선단으로 투입되면, 제1 감지센서는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그 다음, 제어부(600)는 도 3과 같이 선단 컨베이어(100)와 파렛트 안착부(210)를 제어하여 파렛트(P)가 파렛트 안착부(210)에 안착되도록 파렛트(P)를 이송시킨다.
이어서, 파렛트 안착부(210)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600)로 전송하면, 제어부(600)는 선단 컨베이어(100)와 파렛트 안착부(210)를 정지시키고, 도 4와 같이 원자재롤 회전부(200)가 회전되도록 구동기구(400)를 제어한다.
그 다음, 원자재롤(R)이 후단 컨베이어(500)의 후단으로 투입되면, 제3 감지센서는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600)로 전송하며, 제어부(600)는 후단 컨베이어(500)를 제어하여 원자재롤(R)을 후단 컨베이어(500)의 선단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구동기구(400)에 의한 원자재롤 회전부(200)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도 5와 같이 후단 컨베이어(500)로 투입된 원자재롤(R)이 파렛트 안착부(210)에 안착된 파렛트(P)에 밀착되도록 후단 컨베이어(500)와 중앙 컨베이어(2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중앙 컨베이어(220)에 설치된 제4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600)로 전송하면, 제어부(600)는 중앙 컨베이어(220)와 후단 컨베이어(500)를 정지시키고, 도 6과 같이 원자재롤 회전부(200)가 회전되도록 구동기구(400)를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구동기구(400)에 의한 원자재롤 회전부(200)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도 7과 같이 원자재롤(R)이 안착된 파렛트(P)가 선단 컨베이어(100)의 선단으로 이송되도록 선단 컨베이어(100)와 파렛트 안착부(210)를 제어한다.
한편, 출고과정에서 도 7과 같이 원자재롤(R)이 안착된 파렛트(P)가 선단 컨베이어(100)의 선단으로 투입되면, 제1 감지센서는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그 다음, 제어부(600)는 선단 컨베이어(100)와 파렛트 안착부(210)를 제어하여 원자재롤(R)이 안착된 파렛트(P)가 파렛트 안착부(210)에 안착되도록 파렛트(P)를 이송시킨다.
이어서, 파렛트 안착부(210)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600)로 전송하면, 제어부(600)는 선단 컨베이어(100)와 파렛트 안착부(210)를 정지시키고, 도 6과 같이 원자재롤 회전부(200)가 회전되도록 구동기구(400)를 제어한다.
그 다음, 구동기구(400)에 의한 원자재롤 회전부(200)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도 5와 같이 중앙 컨베이어(220)에 안착된 원자재롤(R)이 후단 컨베이어(500)의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중앙 컨베이어(220)와 후단 컨베이어(5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중앙 컨베이어(220)에 설치된 제4 감지센서가 원자재롤(R)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600)로 전송하면, 제어부(600)는 도 4와 같이 원자재롤 회전부(200)가 회전되도록 구동기구(400)를 제어한다.
이어서, 구동기구(400)에 의한 원자재롤 회전부(200)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도 1과 같이 파렛트 안착부(210)에 안착된 파렛트(P)가 선단 컨베이어(100)의 선단으로 이송되도록 파렛트 안착부(210)와 선단 컨베이어(100)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선단 컨베이어 200 : 원자재롤 회전부
210 : 파렛트 안착부 220 : 중앙 컨베이어
230 : 회전지지축 300 : 밑판
400 : 구동기구 500 : 후단 컨베이어
600 : 제어부

Claims (5)

  1. 파렛트를 이송시키는 선단 컨베이어;
    상기 선단 컨베이어의 후단에 구비되어 선단 컨베이어를 통과한 파렛트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렛트 안착부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중앙 컨베이어와, 상기 파렛트 안착부 및 중앙 컨베이어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파렛트 안착부와 중앙 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 및 상기 중앙 컨베이어의 밑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원자재롤 회전부;
    상기 중앙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지지축에 연결되어 회전지지축을 지지하는 밑판;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밑판에 결합되어 파렛트 안착부 및 중앙 컨베이어가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된 중앙 컨베이어로 원자재롤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중앙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컨베이어; 및
    상기 선단 컨베이어와 중앙 컨베이어와 구동기구 및 후단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단 컨베이어와 중앙 컨베이어와 구동기구 및 후단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렛트 안착부는 상기 파렛트 안착부에 안착된 파렛트의 좌우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파렛트 안착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 측면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구동기구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에 따라 구동기구의 말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중앙 컨베이어가 전달받는 외력의 위치가 다르도록 그 단면이 "
    Figure 112019047003075-pat00010
    "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 컨베이어로부터 원자재롤이 이탈되면 원자재롤 회전부가 회전되도록 구동기구를 제어한 후 파렛트 안착부에 안착된 파렛트가 선단 컨베이어의 선단으로 이송되게 파렛트 안착부와 선단 컨베이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컨베이어와 파렛트 안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단 컨베이어를 통해 파렛트 안착부로 진입한 파렛트의 전후 이동을 일시 정지시키는 파렛트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원자재롤의 입고신호나 원자재롤의 출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KR1020190009838A 2019-01-25 2019-01-25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KR102009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38A KR102009345B1 (ko) 2019-01-25 2019-01-25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38A KR102009345B1 (ko) 2019-01-25 2019-01-25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45B1 true KR102009345B1 (ko) 2019-10-21

Family

ID=6846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838A KR102009345B1 (ko) 2019-01-25 2019-01-25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4536A1 (ja) * 2022-06-27 2024-01-04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7212B2 (ja) * 1995-01-30 1998-06-18 東海プレコン株式会社 重量物の横転機及び反転機
KR100862635B1 (ko) 2007-06-05 2008-10-09 (주)써스파인 강판롤 반전장치
KR100913044B1 (ko) 2002-12-23 2009-08-2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코일 이송용 가이드 장치
KR101149284B1 (ko) 2009-06-26 2012-05-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코일용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7212B2 (ja) * 1995-01-30 1998-06-18 東海プレコン株式会社 重量物の横転機及び反転機
KR100913044B1 (ko) 2002-12-23 2009-08-2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코일 이송용 가이드 장치
KR100862635B1 (ko) 2007-06-05 2008-10-09 (주)써스파인 강판롤 반전장치
KR101149284B1 (ko) 2009-06-26 2012-05-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코일용 이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4536A1 (ja) * 2022-06-27 2024-01-04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4472B2 (ja) 荷積スペースから貨物を荷卸しするための装置及びプロセス
KR101697657B1 (ko) 자동 화물 시스템
US9221605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having same
JP2007126258A (ja) 物品移載装置及び物品収納設備
CN106379616B (zh) 一种包装流水线及其控制方法
KR102009345B1 (ko)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원자재롤 회전장치
JP2009214987A (ja) 物品処理設備
KR101561225B1 (ko) 이송대차 시스템
CN107973120A (zh) 装车系统
JP2008156059A (ja) 荷下ろし装置
KR100416383B1 (ko) 적재화물 이송 시스템
JP3187679B2 (ja) ワーク反転装置
JP2007084272A (ja) 段積み装置
JP3485153B2 (ja) 物品移載装置
JP4396494B2 (ja) 物品移載装置及び物品移載方法
JP5298088B2 (ja) 結束装置
JP4795321B2 (ja) 荷送込み装置
JP2002114317A (ja) 移載装置
JPH07300226A (ja) 搬送物の搬送方向変換装置
JP4725438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移載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975776B1 (ko) 편중 방지 기능을 갖는 석재 적재 장치
JP4277204B2 (ja) 物品搬送装置
KR101194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7804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추락 방지장치
JPH0730577Y2 (ja) パレット搬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