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699Y1 -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699Y1
KR200177699Y1 KR2019990025456U KR19990025456U KR200177699Y1 KR 200177699 Y1 KR200177699 Y1 KR 200177699Y1 KR 2019990025456 U KR2019990025456 U KR 2019990025456U KR 19990025456 U KR19990025456 U KR 19990025456U KR 200177699 Y1 KR200177699 Y1 KR 200177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ute
damper
type damper
inclin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호
송주길
강말상
최광석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5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슈트 내부로 낙하되는 원료의 편석을 방지하고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슈트 내부로 낙하되는 수송물을 안내하도록 상기 슈트의 배벽측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벨트형 댐퍼와; 상기 벨트형 댐퍼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슈트의 상부에 설치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형 댐퍼를 활주시켜 그 경사각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슈트의 하측에 상기 벨트형 댐퍼와 연결설치된 경사각조절부와; 상기 벨트형 댐퍼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동력부와 경사각조절부 사이의 슈트 배벽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벨트형 댐퍼의 회전력에 의해 부착광 생성을 방지하며 수송물의 편적은 물론 댐퍼의 편마모를 방지함으로써 조업의 안정성 확보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CONVEY ORE GUIDING APPARATUS USING BELT ROTATING FORCE}
본 고안은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슈트 내부로 낙하되는 원료의 편석을 방지하고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를 처리하기 위한 광석을 수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설비는 옥외에 설치되는 관계로 기후, 광석의 상태, 수분 함유량 등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벨트컨베이어는 광석을 일정한 개소까지 계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필요하지만 직선형태로만 수송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수송 및 분배를 위해 연결장치인 슈트(CHUTE)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이송된 수송물을 필요개소로 분급하여 연결수송하게 된다.
상기 슈트 내부에는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반송된 원료 수송물이 하부 벨트컨베이어에 안정적으로 적치유도될 수 있도록 댐퍼(DAMPER)가 설치되어 있으나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광석의 일부가 고착되어 부착광을 형성함으로써 광석의 상태에 따라 하부 벨트컨베이어로 낙하되는 각도가 상이하여 슈트의 막힘현상이나 혹은 편적, 상기 편적에 의한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사행발생으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파손 및 댐퍼의 편마모에 의한 댐퍼손괴 등의 문제가 초래된다.
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송물(4)을 원활하게 수송하기 위해 벨트컨베이어(1)와 연결된 슈트(2)의 내벽에 작동레버(5)에 의해 그 경사각이 조절가능한 댐퍼(3)를 설치하여 낙하되는 수송물(4)이 슈트(2)의 중앙부로 모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낙하하는 수송물(4)이 댐퍼(3)의 중앙부에 집중됨으로써 편마모되어 댐퍼(3)의 표면에 볼트고정된 라이너(6)의 손상이나 혹은 볼트자체가 탈락되는 문제 및 수분 함유량이 많을 경우 상기 댐퍼(3)에 수송물(4)이 고착되어 부착광(7)을 형성함으로써 수송물(4)의 낙하안내가 원활하지 못하여 편적이 발생되거나 혹은 수송물(4)이 비산되어 슈트(2) 외부로 낙하되는 문제 등이 유발된다.
또한, 상기 댐퍼(3)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작동레버(5)를 밀거나 당겨 조절해야 하나 상기 댐퍼(3)는 중량물이기 때문에 한사람만으로는 조절이 불가능하여 적어도 2∼3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힘을 가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과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 등의 문제도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수송물의 상황에 따라 수송물을 낙하시킬 각도를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자동조절토록 함으로써 원활한 수송유도 및 안정적인 수송물 적치작업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벨트의 회전력에 의해 부착광 생성을 방지하여 수송물의 편적은 물론 댐퍼의 편마모를 방지함으로써 조업의 안정성 확보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댐퍼의 사용상태도 및 댐퍼 파손상태, 부착광 형성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송물 안내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송물 안내장치의 작동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벨트컨베이어, 2 : 슈트,
4 : 수송물, 30 : 동력부,
31,61 : 구동모터, 33,69,91 : 로울러,
32,62 : 체인, 34,67,92 : 프레임,
50 : 벨트형 댐퍼, 60 : 경사각조절부,
90 : 장력조절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슈트 내부로 낙하되는 수송물을 안내하도록 상기 슈트의 배벽측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벨트형 댐퍼와; 상기 벨트형 댐퍼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슈트의 상부에 설치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형 댐퍼를 활주시켜 그 경사각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슈트의 하측에 상기 벨트형 댐퍼와 연결설치된 경사각조절부와; 상기 벨트형 댐퍼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동력부와 경사각조절부 사이의 슈트 배벽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송물 안내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의 요부는 판상의 기존 댐퍼와는 달리 회전되는 벨트형 댐퍼라는 점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안내장치는 크게 벨트형 댐퍼를 구동시키는 동력부(30)와, 상기 벨트형 댐퍼를 고정함과 동시에 각도를 조절해주는 경사각조절부(60)와, 상기 벨트형 댐퍼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부(90)로 구성된다.
동력부(30)는 제1구동모터(31)와 구동로울러(33) 및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32)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1구동모터(31)는 슈트(2)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로울러(33)는 상기 제1구동모터(31)의 직하방인 슈트(2) 내부의 상측에 설치된다.
체인(32)은 상기 슈트(2)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구동모터(31)와 구동로울러(33)간을 연결하여 제1구동모터(31)의 동력이 상기 구동로울러(33)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구동로울러(33)는 벨트컨베이어(1)와 평행하게 상기 슈트(2) 내벽에 고정된 고정프레임(34)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구동시 전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경사각조절부(60)는 제2구동모터(61)와 제1종동로울러(69)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인(62) 및 스크류샤프트(64)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2구동모터(61)는 상기 슈트(2)의 배면 외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종동로울러(69)는 상기 슈트(2)의 내부 하측에 고정된 한쌍의 제1안내부재(68a)(68b)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샤프트(64)는 상기 제1종동로울러(69)를 활주시킬 수 있도록 그와 연결되고 상기 슈트(2)의 배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그 노출된 부위에는 종동기어(66)가 고정된다.
상기 종동기어(66)는 제2구동모터(61)의 회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63)와 연결체인(62)에 의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제2구동모터(61)의 동력이 상기 스크류샤프트(64)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샤프트(64)의 노출된 단부에는 중공체의 수동조작파이프(65)가 고정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61)의 고장시 수동으로 상기 스크류샤프트(6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준다.
특히, 제1종동로울러(69)는 제1지지프레임(6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 상기 제1지지프레임(67)은 상기 제1안내부재(68a)(68b)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샤프트(6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67)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샤프트(64)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제1지지프레임(67)이 제1안내부재(68a)(68b)를 따라 전진 및 후진동작하게 되어 상기 제1종동로울러(69)가 유동되게 된다.
장력조절부(90)는 제2종동로울러(91) 및 중량체(96), 이들을 연결하는 와이어(95)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2종동로울러(91)는 상기 구동로울러(33)와 제1종동로울러(69) 사이의 슈트(2) 내부에 설치되며 대략 이들이 서로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종동로울러(91)는 상기 슈트(2) 내벽에 고정된 제2안내부재(93)상에 이를 따라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종동로울러(91)를 회전가능하게 축고정하는 제2지지프레임(92)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92)의 일단에는 상기 슈트(2) 배벽을 관통하여 와이어(95)가 결속된다.
상기 와이어(95)는 그 타단에 중량체(96)가 결속되어 상기 제2종동로울러(91)가 항상 슈트(2) 배벽측으로 당겨지도록 작용하며, 이러한 작용의 원활성을 위해 중량체(96)와 제2지지프레임(92) 사이에는 아이들로울러(94)가 설치된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각 로울러, 즉 구동로울러(33), 제1,2종동로울러(69)(91)의 외주연에는 벨트형 댐퍼(50)가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형 댐퍼(50)의 회전동작은 상기 각 로울러(33)(69)(91)의 회전과 연동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슈트(2)의 하측인 수송물이 낙하되는 부위는 수송물을 중앙측으로 용이하게 모이게 하기 위하여 다소 경사져 배출구가 좁게 형성되며 상기 수송물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이드댐퍼(70)가 그 내벽에 다수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의 작동관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벨트컨베이어(1)를 타고 이송되던 수송물(원료)(4)는 슈트(2)의 상측에서 낙하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상기 제1구동모터(31)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구동로울러(33)의 구동에 의해 벨트형 댐퍼(50)로 상호 권취된 제1,2종동로울러(69)(91)들도 회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벨트형 댐퍼(50)의 회전방향은 낙하되는 수송물(4)의 낙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수송물(4)이 원활하게 슈트(2)의 하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낙하되던 수송물(4)중 일부는 상기 벨트형 댐퍼(50)에 부딪혀 그 회전방향을 따라 원활히 안내되게 되며 이때 중량체(96)는 항상 상기 제2종동로울러(91)를 당기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기 벨트형 댐퍼(50)는 팽팽한 장력을 유지한 채 작동되게 된다.
그러므로, 수송물(4)중 일부가 상기 벨트형 댐퍼(50)에 고착되어 부착광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낙하된 수송물(4)은 슈트(2) 하측의 하부 벨트컨베이어(55)에 적치되는 바,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55)의 상단 양측에는 한쌍의 리미트스위치(99a)(99b)가 제2구동모터(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설치되므로 만약 편적이 발생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구동모터(61)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편적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게 된다.
즉, 수송물(4)이 하부 벨트컨베이어(55)의 일측, 즉 리미트스위치(99a)측으로 편적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리미트스위치(99a)는 그 감지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모터(61)는 역회전되게 된다.
역회전 된 제2구동모터(61)의 동력은 상기 연결체인(62)에 의해 스크류샤프트(64)로 전달되고 스크류샤프트(64)가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즉 제1종동로울러(69)가 슈트(2)의 배벽측으로 인접되게 이동되면서 낙하하는 수송물(4)의 방향을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55)상의 편적현상을 제거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반대방향에 편적이 생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작용을 수행함으로서 동일하게 편적현상을 제거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수송물(4)을 안내하는 벨트형 댐퍼(50)는 수송물(4)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항상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편마모현상이 없어져 댐퍼(5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작업자가 작업상황을 체크하면서 제어패널 및 다수의 제어버튼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이 가일층 증진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댐퍼를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댐퍼의 편마모 방지는 물론 수송물을 원활하게 안내하여 슈트의 입구막힘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며 부착광 형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둘째, 편적발생시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수송물의 낙하방향을 자동제어함으로써 편적현상의 제거는 물론 편적발생에 따른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셋째, 편적에 의한 낙광현상이 제거되므로 낙광시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게 된다.

Claims (3)

  1. 벨트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어 슈트(2) 내부로 낙하되는 수송물(4)을 안내하도록 상기 슈트(2)의 배벽측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벨트형 댐퍼(50)와;
    상기 벨트형 댐퍼(50)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슈트(2)의 상부에 설치된 동력부(30)와;
    상기 동력부(30)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형 댐퍼(50)를 활주시켜 그 경사각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슈트(2)의 하측에 상기 벨트형 댐퍼(50)와 연결설치된 경사각조절부(60)와;
    상기 벨트형 댐퍼(5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동력부(30)와 경사각조절부(60) 사이의 슈트(2) 배벽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조절부(60)는 상기 슈트(2)의 배면 외벽에 고정된 제2구동모터(61)와,
    연결체인(62)에 의해 상기 제2구동모터(61)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슈트(2)의 배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스크류샤프트(64)와,
    상기 스크류샤프트(64)의 작동에 따라 활주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벨트형 댐퍼(50)가 회전가능하게 일부 권취된 제1종동로울러(6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90)는 상기 벨트형 댐퍼(50)가 회전가능하게 일부 권취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종동로울러(91)와,
    상기 제2종동로울러(91)에 고정되고 상기 슈트(2) 배벽을 관통하여 배설된 와이어(95)와,
    상기 와이어(95)의 노출된 일단에 고정된 중량체(9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KR2019990025456U 1999-11-19 1999-11-19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KR200177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56U KR200177699Y1 (ko) 1999-11-19 1999-11-19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56U KR200177699Y1 (ko) 1999-11-19 1999-11-19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699Y1 true KR200177699Y1 (ko) 2000-04-15

Family

ID=1959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456U KR200177699Y1 (ko) 1999-11-19 1999-11-19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69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98B1 (ko) * 2001-10-26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외부에서 점검과 교체가 용이한 벨트 중심 적재유도장치
KR100856269B1 (ko) * 2001-12-13 2008-09-03 주식회사 포스코 브렌딩광 야드 적치용 스테카의 광석 분산장치
KR101129786B1 (ko) 2009-10-29 2012-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장입물 공급용 슈트 및 이를 사용한 고로 장입물 공급 장치
CN107758376A (zh) * 2017-11-16 2018-03-06 北矿机电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辊式给料装置
KR20190000672A (ko) * 2017-06-23 2019-01-03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98B1 (ko) * 2001-10-26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외부에서 점검과 교체가 용이한 벨트 중심 적재유도장치
KR100856269B1 (ko) * 2001-12-13 2008-09-03 주식회사 포스코 브렌딩광 야드 적치용 스테카의 광석 분산장치
KR101129786B1 (ko) 2009-10-29 2012-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장입물 공급용 슈트 및 이를 사용한 고로 장입물 공급 장치
KR20190000672A (ko) * 2017-06-23 2019-01-03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KR101962734B1 (ko) * 2017-06-23 2019-03-27 한전산업개발주식회사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CN107758376A (zh) * 2017-11-16 2018-03-06 北矿机电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辊式给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268B2 (en) Spiral conveyor apparatus with automatic flow control
CN210230684U (zh) 一种可调式收料皮带线用导轨
KR200177699Y1 (ko)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US6427999B1 (en) Signature hopper loader apparatus and method
KR100732459B1 (ko) 컨베이어 벨트 주행 자동 조절장치
US5050726A (en) Vertical lift conveyor
CN212292067U (zh) 料流调节组件及装船机
JP4477716B2 (ja) パイプコンベヤにおける捩れ矯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パイプコンベヤ
KR10050302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KR0126969Y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KR100798067B1 (ko) 벨트컨베이어 설비에서 낙광 자동 수거장치
KR20030034545A (ko) 벨트컨베어의 센트럴슈트 댐퍼 조정장치
KR20020018857A (ko) 가역벨트컨베이어용 벨트면의 에지부 승강 장치
JP3432785B2 (ja) 傾斜ベルトコンベヤの落荷回収装置
KR100758456B1 (ko) 양방향 조정이 가능한 컨베이어설비의 사행조정장치
KR20010047957A (ko) 원료 운반용 콘베어벨트의 사행조정장치
KR200237478Y1 (ko) 벨트콘베이어의자동사행방지장치
JPS6397515A (ja) バケツトエレベ−タ−
KR2003000816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200352834Y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US3804229A (en) Stockpile reclaiming apparatus
KR100779669B1 (ko) 벨트컨베이어 설비에서 수송물의 적재위치 가변장치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20230128696A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