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165A -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165A
KR20030008165A KR1020010042910A KR20010042910A KR20030008165A KR 20030008165 A KR20030008165 A KR 20030008165A KR 1020010042910 A KR1020010042910 A KR 1020010042910A KR 20010042910 A KR20010042910 A KR 20010042910A KR 20030008165 A KR20030008165 A KR 20030008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ansport
meandering
retur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121B1 (ko
Inventor
최태환
황준영
황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1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턴측 벨트에 광석이 실렸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송물 감지센서가 양측에 갖춰진 수송물 검출대를 리턴측 벨트의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 캐리어측 벨트에서 수송물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 검출대(10)는 설비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미끄럼축(20)에 상기 리턴측 벨트(1)의 폭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수송물 검출대(10)는 상기 리턴측 벨트(1)가 사행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구동모터(48)에 의해 이동되게 연결됨으로써, 리턴측 벨트로 떨어진 수송물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Detecting apparatus for falling transportation object from the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턴측 벨트의 사행에 대응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리턴측 벨트로 떨어진 수송물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된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 등의 수송물을 대량으로 연속하여 수송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가 널리 사용되며,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는 리턴측 벨트의 상부에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를 갖는다.
상기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는 리턴측 벨트의 양단 상부면에 캐리어측 벨트로부터 떨어진 수송물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수송물이 리턴측 벨트로 떨어졌을 때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는 설정된 초기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바, 이는 리턴측 벨트가 사행되는 경우에 수송물의 떨어짐을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여 수송물이 그대로 리턴측 벨트에 실려 종동풀리 쪽으로 들어가 그 종동풀리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벨트의 사행을 조장하거나 벨트가 찢어지게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벨트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이 찢겨지면 수송물이 떨어지더라도 찢겨진 부분에는 수송물이 실리지 않아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벨트가 사행되는 경우에도 리턴측 벨트에 수송물이 떨어지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된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이 찢겨진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검출장치의 작동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검출장치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슈트의 구성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10 : 수송물검출대
12 : 미끄럼브라켓14 : 홈
16 : 회전체지지대20 : 미끄럼지지축
22 : 지지대30 : 수송물감지센서
32 : 회전체34 : 회전축
40 : 지지프레임42 : 풀리
44 : 와이어로프46 : 와이어드럼
48 : 구동모터50 : 사행감지센서
52 : 사행감지롤60 : 슈트
62 : 스커트64 : 실린더
66 : 미끄럼지지대68 : 미끄럼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리턴측 벨트에 광석이 실렸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송물 감지센서가 양측에 갖춰진 수송물 검출대를 리턴측 벨트의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 캐리어측 벨트에서 수송물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 검출대는 설비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미끄럼축에 상기 리턴측 벨트의 폭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수송물 검출대는 상기 리턴측 벨트가 사행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사시도로서, 리턴측 벨트(1)의 상부에 삼각형 판재 형상을 갖는 수송물 검출대(10)가 설치된다.
상기 수송물 검출대(10)는 2등변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밑변이 벨트(1)의 폭방향과 동일하면서 꼭지점이 벨트(1)의 진행방향에 대한 전류측에 있도록 상기 리턴측 벨트(1)의 상부에 위치되고, 이 수송물 검출대(10)의 상부 양측에 미끄럼브라켓(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브라켓(12)에는 상기 수송물 검출대(10)의 밑변과 평행하게 미끄럼지지축(20)이 미끄럼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지지축(20)은 지지대(22)를 매개로 설비프레임 등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송물 검출대(10)의 빗변에는 밑변에 가까운 위치에 수송물 감지센서(3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송물 감지센서(30) 사이의 거리는 상기 리턴측 벨트(1)의 폭 길이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상기 수송물 감지센서(30)는 도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물 검출대(10)의 빗변에 상하로 형성된 홈(14)에 수용되는 회전체(32)를 가지며, 상기 회전체(32)의 회전축(34)은 상기 수송물 감지센서(30)의 상부면에 고정된 회전체지지대(16)에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4)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펄스제너레이터(Pulse generator)(36)가 상기 회전체지지대(16)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체(32)의 하단 위치는 상기 벨트(1)의 상부면에서 약간 떨어진 상태에 있도록 설정되어 벨트(1)에 수송물이 실려온 경우에만 그 수송물에 의해 회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펄스제너레이터(36)는 설비제어컴퓨터(미도시)에 상기 회전체(32)의 회전수 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수송물 검출대(10)를 벨트(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바, 이는 상기 벨트(1)의 양측에 약간 떨어져 수직하게 유지되도록 설비 프레임 등에 고정된 지지프레임(40)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상, 하부에 각각 풀리(42)가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풀리(42)에는 와이어로프(4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로프(44)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하부 풀리(42)를 통해 상기 수송물 검출대(10)의 빗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로프(44)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상부 풀리(42)를 통해 와이어드럼(46)에 감겨지며, 상기 와이어드럼(46)은 구동모터(48)로부터 회전 구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48)는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8)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드럼(46)이 함께 회전되어 상기 로프(44)가 와이어드럼(46)에 감겨지면서 상기 수송물 검출대(10)를 벨트(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8)의 회전수 정보는 설비제어컴퓨터에 송출되며, 이를 위한 별도의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리턴측 벨트(10)의 양측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사행감지롤(52)을 갖는 사행감지센서(50)가 설치되며, 이 사행감지센서(50)는 상기 벨트(1)가 사행되었을 때 상기 사행감지롤(52)이 벨트(1)의 측부에 접촉하여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설비제어컴퓨터에송출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캐리어측 벨트에 수송물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60)의 양측에 벨트의 폭방향 양측을 따라 소정 길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스커트(62)를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측부 일측 또는 양측이 절손되었을 때 상기 스커트(62)를 이동시켜 수송물이 절손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바, 이는 상기 스커트(62) 사이의 중앙부에 양방향으로 로드를 갖는 실린더(64)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64)를 로드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전, 후진되게 상기 슈트(60)의 중앙부에 고정하며, 상기 실린더(64)의 로드 단부에는 상기 슈트(60)에 벨트 폭방향으로 형성된 미끄럼 지지대(66)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지는 미끄럼대(68)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미끄럼대(68)에 상기 스커트(62)가 각각 고정된다.
물론, 상기에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할 구성요소들은 설비제어컴퓨터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설비제어컴퓨터에는 본 발명의 장치가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소정의 프로그램이 입력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슈트에서 공급되는 수송물이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소정 장소로 수송되고,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상부 캐리어측 벨트의 양쪽으로 수송물이 낙하하여 하부 리턴측 벨트에 실린다.
이렇게 리턴측 벨트(1)에 실린 수송물은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수송물 감지센서(30)의 회전체(32)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설비제어컴퓨터는 캐리어측 벨트의왼쪽, 오른쪽 또는 양쪽 모두에서 수송물이 낙하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설비제어컴퓨터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장 먼저 수송물 검출대(10)의 양측에 설치된 수송물 감지센서(30)가 리턴측 벨트(1)의 양측 가장자리 상부에 위치되도록 초기 상태가 설정되며, 이때의 리턴측 벨트(1)의 상태는 사행되지 않는 정상 경로로 진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리턴측 벨트(1)에 사행이 발생된 경우, 이 사행은 사행감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되고, 이에 의해 감지된 결과는 설비제어컴퓨터에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벨트(1)가 사행되고 있음을 감지하면 설비제어컴퓨터는 그 사행정보에 의해 구동모터(48)를 구동시켜 수송물 검출대(10)를 벨트(1)가 사행되고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송물 검출대(10)의 수송물 감지센서(30)와 벨트(1)의 상대위치가 초기에 설정된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즉, 벨트(1)의 사행에 관계없이 수송물 감지센서(30)는 항상 벨트(1)의 소정 위치에서 유지됨으로써, 리턴측 벨트(1)에 수송물이 실리는 것을 항상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슈트(60)에서 배출되는 수송물 량을 제대로 설정하지 않았거나 수송물 량을 측정하는 센서에 고장이 발생되어 과도한 량의 수송물이 캐리어측 벨트에 실릴 때, 또는 벨트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으로 찢겨졌을 때, 리턴측 벨트(1)의 양측 상부에 수송물이 실리게 되며, 이에 의해 수송물 검출대(10)의 양측에 설치된 수송물 감지센서(30)의 모두에서 수송물이 감지되었다는 신호가 설비제어컴퓨터에 전송된다.
이 경우, 설비제어컴퓨터는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멈추게 한 후 소정 조치를 취하게 함으로써 원인을 제거한 후 벨트 컨베이어를 다시 작동시킨다.
반면, 리턴측 벨트(1)의 일측 상부에만 수송물이 실리는 경우, 이는 벨트의 가장자리 일측이 찢겨져 그 부분을 통해 하부 리턴측 벨트(1)의 일측 상부로만 수송물이 떨어지거나, 수송물이 슈트(60)의 내부에서 케이크화 되어 벨트에 편적되는 현상으로 하부 리턴측 벨트(1)의 일측 상부로만 수송물이 떨어진다.
후자의 경우에는, 편적물로 인하여 벨트가 사행되며, 따라서 사행감지센서(50)에 의한 벨트 사행신호가 설비제어컴퓨터에 전송된다. 즉, 일측 수송물 감지센서(30)에서 수송물 감지신호가 송출되고 사행감지센서(50)에서 벨트 사행신호가 송출되면, 수송물의 편적에 의해 하부 리턴측 벨트(1)의 일측에 수송물이 실려 있다고 판단하여, 실린더(64)를 구동시켜 스커트(62)를 벨트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송물의 낙하지점을 변경시켜 하부 리턴측 벨트(1)로 수송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이때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벨트의 사행이 조정되어 정상 경로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사행감지센서(50)에서의 벨트 사행신호 송출이 중지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64)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스커트(62)를 정상 상태의 위치로 복원시키면 된다.
반면에, 전자의 경우에는, 사행감지센서(50)에 의한 벨트 사행 신호가 송출되지 않고, 따라서 설비제어컴퓨터는 귀마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설비의 가동을 정지시켜 벨트를 수선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후속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에 의하면, 벨트의 사행에 대응하여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리턴측 벨트에 수송물이 떨어지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그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후속조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리턴측 벨트에 광석이 실렸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송물 감지센서가 양측에 갖춰진 수송물 검출대를 리턴측 벨트의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 캐리어측 벨트에서 수송물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 검출대(10)는 설비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미끄럼축(20)에 상기 리턴측 벨트(1)의 폭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수송물 검출대(10)는 상기 리턴측 벨트(1)가 사행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구동모터(48)에 의해 이동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측 벨트(1)의 사행은 이 벨트(1)의 양측에 소정거리 떨어져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사행감지롤(52)을 갖는 사행감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1020010042910A 2001-07-16 2001-07-16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10074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10A KR100748121B1 (ko) 2001-07-16 2001-07-16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10A KR100748121B1 (ko) 2001-07-16 2001-07-16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165A true KR20030008165A (ko) 2003-01-24
KR100748121B1 KR100748121B1 (ko) 2007-08-10

Family

ID=2771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910A KR100748121B1 (ko) 2001-07-16 2001-07-16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1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76B1 (ko) * 2006-11-13 2007-11-22 주식회사 포스코 웨이트 클리너장치
KR100887060B1 (ko) * 2002-09-09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11110B1 (ko) * 2002-11-26 2009-08-06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콜 재처리 가능한 벨트 콘베이어 시스템
KR100966554B1 (ko) * 2003-06-12 201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13690B1 (ko) * 2003-12-10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1283U (ko) * 1974-08-29 1976-03-06
JPH01288510A (ja) * 1988-05-16 1989-11-20 Toshiba Corp ガイド制御装置
JPH0514017U (ja) * 1991-08-06 1993-02-23 日立金属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調芯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60B1 (ko) * 2002-09-09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11110B1 (ko) * 2002-11-26 2009-08-06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콜 재처리 가능한 벨트 콘베이어 시스템
KR100966554B1 (ko) * 2003-06-12 201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13690B1 (ko) * 2003-12-10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0778676B1 (ko) * 2006-11-13 2007-11-22 주식회사 포스코 웨이트 클리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121B1 (ko) 200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4116B2 (ja) コンベヤベルト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の適用方法
JP2009274878A (ja) 物品搬送送出方法、物品搬送送出装置
JP2006327758A (ja) 方向転換装置
KR10074812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JP201919411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防止装置
JP5159206B2 (ja) パネル排出装置
JP2000313518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CN209835093U (zh) 自动装车机水泥袋连包处理装置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JP5162865B2 (ja) 搬入装置
GB2140371A (en) Conveying devices
CN109607245B (zh) 自动装车机水泥袋连包处理装置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20120110317A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JP2008265986A (ja) 物品の仕分装置
JP2005067863A (ja) 方向転換装置
KR100908089B1 (ko)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이송물 중앙 유도장치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101581547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295745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20150125081A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0778676B1 (ko) 웨이트 클리너장치
JP2582024B2 (ja) 縁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