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717Y1 -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717Y1
KR200339717Y1 KR20-2003-0021177U KR20030021177U KR200339717Y1 KR 200339717 Y1 KR200339717 Y1 KR 200339717Y1 KR 20030021177 U KR20030021177 U KR 20030021177U KR 200339717 Y1 KR200339717 Y1 KR 200339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se
belt
flow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안회
윤강석
이태연
조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2003-0021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속도제어 벨트 콘베어를 중앙으로 유도하는 편차식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 풀리측에서 벨트가 사행시 리턴부에서 사행발생 방향으로 검출롤라의 밀리는 힘에 의해 스탠드가 상,하각으로 유동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벨트를 중앙으로 유도하는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스탠드 장치를 위해 본 고안이 채택한 구성수단은 중간 부분에 둥근 구멍이 가공되어 있는 "┏┓" 형상의 스탠드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둥근 구멍에서 스탠드 베이스의 양 끝 방향으로 1/2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스탠드 베이스에 용접 설치된 유도롤과, 상기 스탠드 베이스 양끝 밑단에 위치하여 스탠드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탠드 베이스부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직육면체 중앙 부분에 베아링이 내장된 회전축 스탠드와, 상기 회전축 스탠드 좌, 우측에 링크 결합된 유동 스탠드와, 상기 유동 스탠드와 용접 고정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가공된 홈에 삽입되는 방향 검출 롤러와, 상기 유동 스탠드 하부에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과 링크 결합되고 상기 유도롤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 유도판과, 상기 회전축 스탠드 중앙 전면부에 용접 고정된 고정 스탠드로 구성된 유동 스탠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a stand apparatus for correcting belt-meandering}
본 고안은 속도제어 벨트 콘베어를 중앙으로 유도하는 편차식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 풀리측에서 벨트가 사행시 리턴부에서 사행발생 방향으로 검출롤라의 밀리는 힘에 의해 스탠드가 상,하각으로 유동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벨트를 중앙으로 유도하는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연,원료의 수송은 육상과 해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대다수는 벨트 콘베어를 이용하여 필요한 공정으로 연, 원료를 수송한다.
이 과정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철광석 원료 저장빈 하부의 속도제어 벨트 콘베어는 회전속도를 최소(0ton)에서 최대(500ton)까지 선택하여 여러 단계 이상으로 회전수를 제어하면서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기 때문에 사행의 폭이 각기 다르게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물이 편적되어 진행하면 벨트 콘베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사행이 발생되어 낙광이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행이 지속되어진행시 벨트 사이드와 고정 프레임이 마찰되어 사이드 손상 및 설비가 손상되며 트러블 발생으로 설비휴지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텔 풀리(40)의 스크루우(50)를 조정하여 사행 발생을 억제하였으나, 조정 능력이 미약하고 낙광 또는 분진 등으로 인해 고착되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사행이 심하면, 벨트 콘베어가 정지되어 설비를 단독 가동하여 수송물이 처리하고 수송물의 실리는 상태에 따라 텔 풀리(40)의 스크루우(50)를 당기거나 밀어 재조정을 한 후 벨트 콘베어 사행을 조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사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벨트를 가동 중에 조정하게 되어 타박이나 협착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고 트러블에 따른 가동 중인 벨트 콘베어가 정지됨에 따른 벨트의 가동정지로 설비 가동율이 저하되고 있으며 벨트 콘베어 사이드 손상 등 자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턴 벨트 콘베어의 사행이 발생하는 경우 방향 검출롤라가 감지 작동함으로서 상, 하 편차가 발생하는 스탠드 장치와 벨트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리턴 벨트를 사행 반대측 방향으로 유도되어 텔 풀리에 도달하기 전에 벨트를 보정 진행시켜 수송물의 낙하 적재시 벨트 중앙부에 적재 되도록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제점 기술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상, 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상, 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상, 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의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b): 유동스탠드 2 : 고정스탠드
3 : 회전축스탠드 4 : 스탠드 베이스
5(a,b): 지지프레임 6(a,b): 베이스
7(a,b): 방향검출 롤라
10(a,b):고정판 11(a,b):경사유도판
12(a,b):각조절볼트 13(a,b):유도 롤
21:원료 저장빈 20:철광석
30:리턴 벨트콘베어 31:캐리어 벨트콘베어
40:텔 풀리 41:헤드 풀리
50:스크류 51:스크류 조정 너트
60:슈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인 상, 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중간 부분에 둥근 구멍이 가공되어 있는 "┏┓" 형상의 스탠드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둥근 구멍에서 스탠드 베이스의 양 끝 방향으로 1/2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스탠드 베이스에 용접 설치된 유도롤과, 상기 스탠드 베이스 양끝 밑단에 위치하여 스탠드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탠드 베이스부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직육면체 중앙 부분에 베아링이 내장된 회전축 스탠드와, 상기 회전축 스탠드 좌, 우측에 링크 결합된 유동 스탠드와, 상기 유동 스탠드와 용접 고정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가공된 홈에 삽입되는 방향 검출 롤러와, 상기 유동 스탠드 하부에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과 링크 결합되고 상기 유도롤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 유도판과, 상기 회전축 스탠드 중앙 전면부에 용접 고정된 고정 스탠드로 구성된 유동 스탠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들의 관계, 작동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상,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유동스탠드부와 스탠드베이스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 스탠드부는 직육면체 중앙 부분에 베아링이 내장된 회전축 스탠드(3)가 스탠드베이스(4) 상부에 결합되며 회전축스탠드(3) 내측에 4개의 홈이 가공되어 좌, 우측 유동 스탠드(1a, 1b)에 링크 결합되고 유동스탠드 외측 후면 모서리 부분에 베이스(6a, 6b)가 용접 고정되며 베이스 끝 단부에 홈이 가공되어 방향 검출롤라(7a, 7b)가 삽입되어 고정볼트(8a, 8b)로 고정되며 유동 스탠드(1a, 1b) 1/2 지점에 고정판(10a, 10b)이 유동스탠드(1a, 1b) 하부에 수평으로 용접 고정하여 경사 유도판(11a, 11b)에 링크 결합되고 고정판(10a, 8b) 끝 단부에 각도조절볼트(12a, 12b)로 고정되며 경사 유도판(11a, 11b)은 유도롤(13a, 13b)에 지지되고 회전축 스탠드(3) 중앙 전면부에 고정 스탠드(2)가 용접고정 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스탠드 베이스는 "┏┓"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의 스탠드 베이스(4)로써 중간부분에 베아링이 내장된 회전축(3)이 중심부분에 장착할 수 있도록 둥근 구멍이 가공되어 있으며,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둥근 구멍에서 스탠드 베이스의 양 끝 방향으로 1/2 지점에는 유동스탠드본체가(1a, 1b) 상향 이동시 안내해주는 주는 유도롤(13a, 13b)이 스탠드 베이스(4)에 용접설치 되어있으며 스탠드 베이스(4) 양 끝부분에는 지지 프레임(5)에 고정할 수 있도록 4개의 볼트구멍이 가공되어 지지 프레임(5)에 고정볼트로 고정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벨트 콘베어 텔 풀리(40) 전면 리턴 벨트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각 유동식 스탠드 장치의 좌, 우측 유동스탠드(1a, 1b) 하부 경사 유도판(11a, 11b)을 스탠드 베이스(4)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유도롤(13a, 13b)이 지지하고 있어 상, 하각 유동식 스탠드 장치의 작동 전 상태는 좌, 우 각 15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구성수단과 그들간의 결합 관계를 가지고 있는 본 고안의 작용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콘베어를 이용하여 수송 작업중 편적 및
편기로 인한 벨트의 사행이 발생하게 되는데 캐리어 벨트(31)에서 사행된 벨트콘베어는 리턴 벨트(30)에서도 지속적으로 사행이 이루어져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 3의 (가)와 같이 수송 작업 중 벨트가 "A" 방향으로 사행이 발생하는 경우 우측에 설치된 방향 검출롤러(7b)가 화살표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 스탠드(3)를 중심으로 상, 하각 유동식 스탠드 전체가 우측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우측 유동스탠드(1b)가 스탠드 하부에 설치된 경사 유도판(11b)을 따라 이동되면서 경사유도판(11b) 경사각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유동 스탠드(1b)가 부상된다.
부상된 각의 변화만큼 진행중인 벨트가 동시에 부상되어 진행하면서 텔 풀리(40)에 감기는 우측 벨트 끝 단부를 도 3의 (나)와 같이 마찰력에 의하여 반대편(내측)으로 밀어 벨트를 내측으로 이동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수송 작업중 벨트가 "B" 방향으로 사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좌측에 설치된 방향 검출롤러(7a)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 스탠드(3)를 중심으로 상, 하각 유동식 벨트 중앙유도 스탠드 전체가 좌측 방향인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좌측 유동스탠드(1a)가 스탠드 하부에 설치된 경사 유도판(11a)을 따라 이동되면서 경사 유도판(11a) 경사각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좌측 유동스탠드(11a)가 부상된다.
부상된 각의 변화만큼 진행중인 벨트가 동시에 부상되어 진행하면서 우측으로 사행이 발생한 경우와 동일한 원리로서 벨트를 반대편(내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므로 좌, 우측 사행 발생시 반복하여 자동 사행보정이 이루어져 벨트가 진행 방향이 항상 중앙에 위치되어 수송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되는 상, 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에 의하면, 벨트를 리턴 벨트에서 사행을 감지 조정하여 텔 풀리 진입시 캐리어 벨트가 중앙부위로 진행되어 낙하되는 수송물을 중앙에 안착, 진행시켜 벨트 컨베어의 정지나 절손을 방지하며 벨트를 가동하면서 사행을 조정하여 낙광에 의한 각 부의 고착과 환경오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작업이 간편해져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지연 현상을 배제하는 한편, 안전사고 를 방지할 수 있은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상, 하 유동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중간 부분에 둥근 구멍이 가공되어 있는 "┏┓" 형상의 스탠드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둥근 구멍에서 스탠드 베이스의 양 끝 방향으로 1/2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스탠드 베이스에 용접 설치된 유도롤과, 상기 스탠드 베이스 양끝 밑단에 위치하여 스탠드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탠드 베이스부와;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직육면체 중앙 부분에 베아링이 내장된 회전축 스탠드와, 상기 회전축 스탠드 좌, 우측에 링크 결합된 유동 스탠드와, 상기 유동 스탠드와 용접 고정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가공된 홈에 삽입되는 방향 검출 롤러와, 상기 유동 스탠드 하부에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과 링크 결합되고 상기 유도롤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 유도판과, 상기 회전축 스탠드 중앙 전면부에 용접 고정된 고정 스탠드로 구성된 유동 스탠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20-2003-0021177U 2003-07-02 2003-07-02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200339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177U KR200339717Y1 (ko) 2003-07-02 2003-07-02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177U KR200339717Y1 (ko) 2003-07-02 2003-07-02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717Y1 true KR200339717Y1 (ko) 2004-01-28

Family

ID=4942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177U KR200339717Y1 (ko) 2003-07-02 2003-07-02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7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080B1 (ko) * 2002-08-19 2009-09-08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KR101835446B1 (ko) * 2016-04-18 2018-03-16 대양롤랜트(주) 자동 조심 롤러 장치
CN109625839A (zh) * 2019-01-25 2019-04-16 刘泽银 一种皮带跑偏自动调节方法及调节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080B1 (ko) * 2002-08-19 2009-09-08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KR101835446B1 (ko) * 2016-04-18 2018-03-16 대양롤랜트(주) 자동 조심 롤러 장치
CN109625839A (zh) * 2019-01-25 2019-04-16 刘泽银 一种皮带跑偏自动调节方法及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459B1 (ko) 컨베이어 벨트 주행 자동 조절장치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JP201919411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防止装置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KR20100118031A (ko) 벨트 컨베이어
CN107686000B (zh) 一种全自动纸筒传输装置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0502958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KR100908089B1 (ko)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이송물 중앙 유도장치
KR20010097746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01007557B1 (ko) 운전중 정비가 가능한 컨베이어
KR1019193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방법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043083B1 (ko) 컨베이어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2003000816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100878626B1 (ko) 벨트사행에 따른 벨트 편중 방지장치
KR200267270Y1 (ko) 리턴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보정장치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KR200179961Y1 (ko) 벨트 콘베어 설비의 사행방지 자동 조정 스탠드
KR200481816Y1 (ko) 컨베이어벨트의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H073335A (ja) 鋼板上残留水の除去方法および除去装置
KR1017943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