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080B1 -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080B1
KR100916080B1 KR1020020048823A KR20020048823A KR100916080B1 KR 100916080 B1 KR100916080 B1 KR 100916080B1 KR 1020020048823 A KR1020020048823 A KR 1020020048823A KR 20020048823 A KR20020048823 A KR 20020048823A KR 100916080 B1 KR100916080 B1 KR 100916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s
horizontal
roller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583A (ko
Inventor
윤강석
송안회
박호근
신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트에 원료를 실고 오르막부등을 올라갈 때 안식각이 형성된 경사롤러와 수평롤러 사이로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 밸트가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밸트의 종렬 방향 손상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버킹(BUCKING) 현상을 방지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밸트의 하면을 지지하고, 밸트에 적재된 수송물의 하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복수의 수평롤러; 상기 수평롤러들이 일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은 수평롤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롤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수평롤러의 양측에서 각각 경사져 장착되고, 일측단은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은 경사대상에서 각각 미끄러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밸트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경사롤러;및 상기 중심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부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다수개 구비하여 상기 수평롤러들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하여주는 탄성유지부;를 포함하여 수송물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경사롤러들이 수평롤러의 양단으로 당겨져서 밸트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한다.
밸트 컨베이어, 경사롤러, 수평롤러, 스탠드 장치, 코일스프링

Description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A STAND APPARATUS FOR BELT CONVEYOR}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에서 밸트상에 수송물이 부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평롤러와 경사롤러들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에서 밸트상에 수송물이 부가되어 수평롤러와 경사롤러들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4도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에서 밸트상에 수송물이 부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평롤러와 경사롤러들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4도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에서 밸트상에 수송물이 부가되어 수평롤러와 경사롤러들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5도의 a)는 일반적인 종래의 밸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제 5도의 b)는 종래의 밸트 컨베이어에서 밸트의 하부면이 수평롤러와 경사롤러에 협착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5.... 경사롤러 10.... 수평롤러
12.... 브라켓트 14.... 중공 관
30.... 연결부 33.... 제 1레버
36.... 제 2레버 40.... 프레임
45.... 브라켓트 48.... 경사대
50.... 채널 52.... 롤러
60.... 탄성 유지부 62.... 코일 스프링
200.... 밸트 컨베이어 설비 210.... 수송물
215.... 밸트 220.... 스탠드 장치
본 발명은 수송물을 운반하는 밸트 컨베이어 설비에서 밸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탠드 장치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트에 원료를 실고 오르막부등을 올라갈 때 안식각이 형성된 경사롤러와 수평롤러 사이로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 밸트가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밸트의 종렬 방향 손상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버킹(BUCKING) 현상을 방지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트 컨베이어 설비(20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처리 설비등에서 수송물(210)을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밸트 컨베이어(1)는 그 하부에 원통형의 3개의 롤러(212a)(212b)가 1조로 된 스탠드장치(220)가 사용되며, 이러한 스탠드 장치(220)들이 밸트(215)의 하부에 설치되어 밸트(215)가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밸트(215)의 상부에 수송물(210)을 적재하고 운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송물(210)을 운반하는 밸트 컨베이어(1)는 크게 나이론 재질의 밸트 및 철제 밸트의 여러 종류로 나누어 지는데,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나이론 밸트(215)는 철제 밸트에 비해 늘어나는 정도가 높아 수송물(210)을 적재하고 수평으로 진행하면 수송물(210)의 하중에 의해 원통형 롤러(212)면에 밀착 접촉된다.
이러한 밸트 컨베이어(200)는 스탠드장치(220)에 장착된 복수의 경사 롤러(TOUGRH ROLLER)(212b)와, 수평롤러(FLAT ROLLER)(212a)에 접촉 마찰이 되지 않는 부분에서, 즉 상기 경사 롤러(212b)와 수평롤러(212a)의 양측단부가 연결되어지는 분리부분(안식각 형성부분)에서 밸트(215)의 하부면 일부가 협착되는 현상(240)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밸트(215)의 하부면이 협착되면, 밸트(215)의 하부면에서 종렬방향(길이방향)으로 파공되어 겹쳐지므로 밸트(215)가 크게 손상되어 밸트(215)의 적재면으로 부터 낙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밸트(215)의 하부면 마찰이 크게되어 결과적으로는 밸트(215)가 덜거덕 거리고, 원활한 진행이 어려워지는 밸트 컨베이어 버킹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밸트 컨베이어가 진행중에 안식각이 형성된 경사롤러와 수평롤러의 사이지점에서 밸트의 하면이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밸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설비 가동율 향상을 이룸은 물론, 밸트 덜거덕거림 등과 같은 벨크 컨베이어 버킹현상을 방지하여 설비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송물을 운반하는 밸트 컨베이어설비에서 밸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사롤러와 수평롤러들을 구비한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밸트의 하면을 지지하고, 밸트에 적재된 수송물의 하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복수의 수평롤러; 상기 수평롤러들이 일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은 수평롤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롤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및 제 2레버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 2레버가 프레임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중심축을 구비한 연결부; 상기 수평롤러의 양측에서 각각 경사져 장착되고, 일측단은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은 경사대상에서 각각 미끄러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밸트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경사롤러;및 상기 중심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부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다수개 구비하여 상기 수평롤러들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하여주는 탄성유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롤러에 가해지 수송물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경사롤러들이 수평롤러의 양단으로 당겨져서 밸트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1)는 도 1에 분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물(210)을 운반하는 밸트 컨베이어설비(200)에서 밸트(215)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사롤러(5)와 수평롤러(10)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롤러(10)에 가해지는 수송물(21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경사롤러(5)들이 수평롤러(10)의 양단으로 당겨져서 밸트(215)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1)는 밸트(215)의 하면을 지지하고, 밸트(215)에 적재된 수송물(210)의 하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복수의 수평롤러(10)들을 갖는다. 상기 수평롤러(10)들은 각각 나란하게 동일레벨로 위치되고, 그 양단은 각각 ㄷ형의 브라켓트(1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12)들은 그 하단이 각각 중공 관(14)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 관(14)에는 하나의 공통 지지축(16)이 끼워지며, 상기 지지축(16)의 양단에는 나사부(16a)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 관(14)이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너트(20)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6)에는 연결부(30)가 결합되는 바,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전,후방의 수평롤러(10)들이 장착된 중공 관(14)의 사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0)는 각각 복수의 직선형의 제 1레버(33)와 상기 제 1레버(33)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형의 복수의 제 2레버(36)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직선형의 제 1레버(33)는 그 일단이 지지축(16)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그 타단은 제 2레버(36)에 핀(33a)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 1레버(33)들을 통하여 지지축(1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제 1레버(33)의 타측에 제 2레버(36) 들이 핀(33a)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들은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2레버(36)들은 이들을 프레임(40)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중심축(4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서 상기 연결부(30)는 수평롤러(10)들이 일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은 수평롤러(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롤러(5)의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경사롤러(5)들은 상기 수평롤러(10)의 양측에서 각각 경사져 배치된 것으로서, 그 일측 단부는 상기 복수의 제 2레버(36)의 타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반대측 단부는 수직한 브라켓트(45)에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트(45)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롤러(47)가 장착되어 각각 상기 프레임(40)의 양측에서 비스듬하게 위치된 경사대(48)상에서 각각 미끄러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밸트(215)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대(48)는 각각 도 1에서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측에 서로 대향한 복수의 〔 〕형 채널(50)들을 갖는 것으로서, 이들 채널(50)내측에 브라켓트(45) 하단의 롤러(52)들이 위치되어 상기 채널(50)로 부터 빠지지 않고 활주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레버(36)들에 의해서 상기 경사롤러(5)의 일측이 수평롤러(10)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경사롤러(5)의 타측도 경사대(48)상을 따라 하강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롤러(10)들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서 경사롤러(5) 도 상승된 상태로 항상 유지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유지부(60)를 포함하는 바, 상기 탄성 유지부(60)는 상기 중심축(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30)의 제 2레버(36)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62)을 다수개 구비하며, 이들 코일 스프링(62)들은 상기 프레임(40)상에 장착된 복수의 중심축(42)들에 각각 끼워 고정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및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밸트(215)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복수의 수평롤러(10)들과 경사롤러(5)들이 밸트(215)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밸트(215)의 상면에 수송물(210)이 부가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수평롤러(10)와 경사롤러(5)들은 각각 코일 스프링(62)에 의해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송물(210)이 밸트(215)의 상면에 놓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밸트(215)가 수송물로 부터 하중을 받지 않음으로서 그 하면이 수평롤러(10)들의 양측단과 경사롤러(5)들의 사이에서 협착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밸트 컨베이어(1)가 가동되어 수송작업이 진행되면, 수송물(210)의 무게하중으로 인하여 부상되었던 밸트(215)가 수직으로 내려오면서 수평롤러(10)들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롤러(10)들은 연결부(30)의 제 1레버(33)를 하강시키며, 상기 제 1레버(33)에 연결된 제 2레버(36)의 일단부를 눌러서 상기 프레임(40)의 중심축(42)들을 중심으로 하여 제 2레버(36)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2레버(36)의 타측은 도 4a)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롤러(10)측으로 경사롤러(5)의 일측을 당겨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결국은 도 3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롤러(10)의 양측단부와 경사롤러(5)의 일측단부가 일부 서로 중첩되는 구조로 변형되어 수평롤러(10)와 경사롤러(5)들이 하강된 상태에서 밸트(215)를 떠 받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밸트(215)의 하부면을 수평롤러(10)와 경사롤러(5)사이의 간격없이 지지하게 되므로, 밸트(215)의 하부면이 수송물(210)의 하중에 의해서 수평롤러(10)와 경사롤러(5)의 사이에 끼어 손상이나 절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다음, 수송물(210)의 이송이 완료되어 수송물(210)의 하중이 소멸되면, 코일 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해서 밸트(215)가 부상되면서 중심축(42)을 중심으로 제 2레버(36)를 반대측으로 회전시켜서 제 1레버(33)를 통하여 수평 밸트(215)를 상승시키고, 경사롤러(5)들을 상승시켜 최초의 상태로 복귀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62)에 의해서 수평롤러(10)와 경사롤러(5)들이 상승된 상태에서 밸트(215)의 상부면에 하중이 부과되면 수평롤러(10)와 경사롤러(5)들이 하강하면서 수평롤러(10)와 경사롤러(5)들 사이의 분리부분을 폐쇄시키기 때문에, 수송물(210)의 하중에 의해서 밸트(215)의 하부면이 밸트(215)들 사이의 공간에서 협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밸트 컨베이어(200)의 밸트(215) 하부면 종렬 방향 손상 및 절손으로 인한 낙광 방지와, 설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설비 가동율 향상을 이룸은 물론, 밸트 진행정지와 같은 벨크 컨베이어 버킹현상을 방지하여 설비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5)

  1. 수송물(210)을 운반하는 밸트 컨베이어설비에서 밸트(215)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사롤러(5)와 수평롤러(10)들을 구비한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롤러(5)와 수평롤러(10)들이 설치되는 프레임(40)과;
    제 1레버(33)와 제 2레버(36)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 2레버(36)들은 복수의 중심축(42)에 의해 상기 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 1레버(33)들은 지지축(16)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핀(33a)에 의해 상기 제 2레버(36)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30)와;
    상기 밸트(215)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밸트(215)에 적재된 수송물(210)의 하중에 의해서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축(16)에 장착되는 복수의 수평롤러(10)와;
    상기 밸트(215)의 양측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평롤러(10)의 양측 위치에 각각 상기 수평롤러(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일측단은 상기 제 2레버(3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은 경사대(48)상에서 각각 미끄러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경사롤러(5); 및
    상기 중심축(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30)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62)을 다수개 구비하여 상기 수평롤러(10)들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하여주는 탄성유지부(60);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롤러(10)에 가해지 수송물(21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경사롤러(5)들이 수평롤러(10)의 양단으로 당겨져서 밸트(215)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롤러(10)들은 각각 나란하게 동일레벨로 위치되고, 그 양단은 각각 ㄷ형의 브라켓트(1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브라켓트(12)들은 그 하단이 각각 중공 관(14)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 관(14)에는 하나의 공통 지지축(16)이 끼워지며, 상기 지지축(16)의 양단에는 나사부(16a)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 관(14)이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너트(20)로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롤러(5)들은 상기 복수의 제 2레버(36)의 타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그 반대측 단부가 브라켓트(45)에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트(45)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롤러(47)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47)들은 경사대(48)의상부측에 위치된 서로 대향한 복수의 채널(50)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채널(50)로 부터 빠지지 않고 활주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부(60)는 중심축(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30)의 제 2레버(36)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62)을 다수개 구비하며, 이들 코일 스프링(62)들은 상기 프레임(40)상에 장착된 복수의 중심축(42)들에 각각 끼워 고정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KR1020020048823A 2002-08-19 2002-08-19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KR10091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823A KR100916080B1 (ko) 2002-08-19 2002-08-19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823A KR100916080B1 (ko) 2002-08-19 2002-08-19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583A KR20040016583A (ko) 2004-02-25
KR100916080B1 true KR100916080B1 (ko) 2009-09-08

Family

ID=3732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823A KR100916080B1 (ko) 2002-08-19 2002-08-19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132B1 (ko) * 2004-12-01 2006-09-12 주식회사 후상 벨트 컨베이어
CN108357862B (zh) * 2017-07-15 2020-06-23 全南县超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校正部件的装置
CN109090175B (zh) * 2018-09-21 2023-10-27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食品收角装置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031U (ko) * 1978-07-14 1980-02-02
JPS5899222U (ja) * 1981-12-28 1983-07-0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自動調芯装置
JPS5922226U (ja) * 1982-08-04 1984-02-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パクトロ−ラ
JPH0627734U (ja) * 1992-09-10 1994-04-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ベルトローラーの受け台
JPH07315536A (ja) * 1994-05-23 1995-12-05 Nippon Conveyor Kk カーブコンベヤ用のトラフ形ローラ
US5564557A (en) * 1994-10-18 1996-10-15 Hinkle Contracting Corporation Impact absorbing apparatus for a belt conveyor
KR20000010214U (ko) * 1998-11-17 2000-06-15 이구택 벨트콘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US6543607B2 (en) * 2000-11-29 2003-04-08 Air Control Science, Inc. Roller bed for a conveyor belt system
KR20030034699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유동되는 스커트장치
JP2003176009A (ja) * 2001-12-12 2003-06-24 Nippon Conveyor Co Ltd ハンキングローラ用ベルトの蛇行調芯装置
KR200339717Y1 (ko) * 2003-07-02 2004-01-28 주식회사 포스코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031U (ko) * 1978-07-14 1980-02-02
JPS5899222U (ja) * 1981-12-28 1983-07-0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自動調芯装置
JPS5922226U (ja) * 1982-08-04 1984-02-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パクトロ−ラ
JPH0627734U (ja) * 1992-09-10 1994-04-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ベルトローラーの受け台
JPH07315536A (ja) * 1994-05-23 1995-12-05 Nippon Conveyor Kk カーブコンベヤ用のトラフ形ローラ
US5564557A (en) * 1994-10-18 1996-10-15 Hinkle Contracting Corporation Impact absorbing apparatus for a belt conveyor
KR20000010214U (ko) * 1998-11-17 2000-06-15 이구택 벨트콘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US6543607B2 (en) * 2000-11-29 2003-04-08 Air Control Science, Inc. Roller bed for a conveyor belt system
US6634490B2 (en) * 2000-11-29 2003-10-21 Air Control Science, Inc. Roller bed for a conveyor belt system
KR20030034699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유동되는 스커트장치
JP2003176009A (ja) * 2001-12-12 2003-06-24 Nippon Conveyor Co Ltd ハンキングローラ用ベルトの蛇行調芯装置
KR200339717Y1 (ko) * 2003-07-02 2004-01-28 주식회사 포스코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583A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65186A (en) Warehouse conveyor system
US3024891A (en) Continuous vertical lift
KR100916080B1 (ko) 밸트 컨베이어용 스탠드 장치
US3987911A (en) Self-aligning apparatus for stacker-unstacker elevator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KR102115081B1 (ko)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CN109809166B (zh) 一种玩具球分装自动化生产系统
JP4857990B2 (ja) 仕分け設備
US2563965A (en) Conveyer belt feed
KR20200097056A (ko) 프레스용 제품 적재 자동화 장비
KR101842164B1 (ko) 벨트 클리닝 장치
JPH06183546A (ja) 移載装置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CN110733913A (zh) 一种软板吸附机构及上板机
KR102072848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N217575778U (zh) 自动化分级送料装置及管料包装装置
CN117985398B (zh) 一种板式家具自动上料设备及其使用方法
US3247950A (en) Live roller conveyor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US8800746B1 (en) Lift assembly
JP5034811B2 (ja) 仕分け設備
CN218619545U (zh) 电缆输送机倾斜平台
CN219156075U (zh) 一种瓦楞纸下料装置
CN216784657U (zh) 一种用于包装盒体输送的提升机
KR102111220B1 (ko) 음료용기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