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958B1 -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958B1
KR100502958B1 KR10-2002-0035962A KR20020035962A KR100502958B1 KR 100502958 B1 KR100502958 B1 KR 100502958B1 KR 20020035962 A KR20020035962 A KR 20020035962A KR 100502958 B1 KR100502958 B1 KR 10050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bracket
slide plate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937A (ko
Inventor
서석호
Original Assignee
서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호 filed Critical 서석호
Priority to KR10-2002-003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9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1Arrangements for casting in situ concrete tow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에 있어서, 벨트컨베이어의 전환롤러와 구동롤러 쪽에 위치하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며 진행하는 벨트와 부딪히더라도 벨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컨베이어(10)의 사행방지롤러에 있어서,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20) 폭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진행하는 벨트(20)의 상하면에 각각 평행하게 위치하는 2장의 디스크(161)를 구비한 롤러(160)와, 롤러(160)의 중심에 위치하며 롤러(160)가 자유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축(140) 및, 벨트컨베이어(10)의 고정체(1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정된 고정축(140)이 벨트(20)의 폭 방향으로 전후진하며 벨트(2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110)을 포함하는 사행방지롤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Anti-meandering Roller of Belt conveye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벨트컨베이어의 벨트가 정궤도 회전하도록 구동롤러(Drive Roller)와 전환롤러(Return Roller)로 진입하는 방향에서 벨트의 폭 양단에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부품의 운반, 반제품(半製品)의 이동, 광산/항만 등에서의 석탄, 광석, 화물의 운반 및, 건설현장에서의 흙과 모래의 운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에는 컨베이어가 단순한 운반의 목적 뿐만 아니라, 작업원과 결합시켜 움직이는 작업대로도 사용되며, 공장 내에서의 대량 생산방식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에 관한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컨베이어 상에 특수한 기계장치를 설치하여 컨베이어에 의해 특수한 장치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퍼머신 등이 개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컨베이어의 종류로는 벨트컨베이어, 나사 컨베이어, 버킷 컨베이어, 공기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트롤리 컨베이어 및, 유체 컨베이어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컨베이어는 벨트컨베이어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의 안내롤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10)는 엔들리스(Endless) 벨트(20)를 궤도회전시키면서 상류벨트(20H)의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벨트(20)로 사용되는 재질은 고무, 직물, 철망, 강판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고무 벨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런 벨트컨베이어의 구성은 엔들리스 벨트(20)와, 벨트(20)의 안쪽면과 접하여 구동하는 구동롤러(30)와, 벨트(20)의 안쪽면에 접하여 상류벨트(20H)를 하류벨트(20L)로 또는 하류벨트(20L)를 상류벨트(20H)로 전환하는 전환롤러(31) 및, 상류벨트(20H) 및 하류벨트(20L)의 저면에 위치하여 벨트(20)의 처짐을 방지하며 아이들(Idle) 회전하는 자동조심롤러(33)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0)의 폭 양단에는 벨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안내롤러(35)가 배치된다. 이런 안내롤러(35)는 벨트(20)가 진행방향 즉, 구동롤러(30)에서 전환롤러(31) 방향으로 또는 전환롤러(31)에서 구동롤러(30) 방향으로 정궤도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롤러이다.
이와 같은 안내롤러(35)는 벨트(20)의 폭 양단과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벨트(20)가 사행하려고 할 때 벨트(20)와 안내롤러(35)가 접하게 된다. 이때, 진행하는 벨트(20)와 접한 안내롤러(35)는 벨트(20)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벨트(20)의 사행을 막는다.
그러나, 벨트(20)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안내롤러(35)는 벨트의 사행이 비교적 작게 발생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만약, 벨트의 사행이 심하게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벨트(20)가 안내롤러(35)를 타고 넘어가 안내롤러(35)를 이탈하게 된다. 이럴 경우에 작업자는 벨트컨베이어(10)의 구동 및 벨트컨베이어(10)의 주변에 위치하여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미완성품을 가공하는 주변장치들을 정지시키고, 정비작업에 들어간다. 또한, 이탈한 벨트가 주변장치와 부딪치면서 파손되어 벨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벨트(20)가 구동롤러(30)와 전환롤러(31)로 진입할 때에 사행되어 진입하면, 구동롤러(30)와 전환롤러(31)의 외표면을 따라 진행하면서 그 사행은 더욱 심하게 되어 결국에는 벨트(20)가 정궤도를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벨트(20)가 구동롤러(30) 및 전환롤러(31)로 올바르게 진입하는 것이 정궤도 회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안내롤러는 구동롤러와 전환롤러의 전방에서 설치되어 벨트의 사행을 막기에는 불안전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동벨트와 전환벨트에 의해 궤도회전하는 벨트가 사행하여 궤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벨트와 전환벨트의 전방에 위치하여 구동벨트와 전환벨트로 진입하는 벨트를 안전하게 지지함으로써 벨트의 정궤도 회전을 유도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폭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진행하는 벨트의 상하면에 각각 평행하게 위치하며, 진행하는 벨트와 충돌하더라도 변형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2장의 디스크를 구비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가 자유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축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고정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축이 고정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사행방지롤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은 중간부가 직각으로 절곡되고, 그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에 삽입된 볼트가 상기 고정체 및 상기 고정축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장홈의 길이만큼 상기 고정축이 전후진 및 상하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축의 하단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장홈에 삽입된 볼트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브라켓의 안쪽 절곡부를 향한 쪽에 사각형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브라켓의 안쪽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을 관통한 이송스크류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사각형 관통공 측면에 관통한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좀 더 양호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지지 축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관통공의 둘레에 상기 암나사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롤러는 그 길이를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2장의 디스크는 상기 벨트의 두께이상으로 떨어져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롤러의 중공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위치하며, 상기 롤러가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과 상기 롤러의 내주면 사이에는 복수의 베어링이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베어링의 바깥쪽에는 오일 실이 위치한다.
좀 더 양호하게는 상기 고정축에는 상기 복수의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상기 고정축의 상단면에서부터 상기 복수의 베어링의 사이로 윤활유공급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의 중공을 폐쇄하는 캡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롤러가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행방지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행방지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100)는 도 1에 보이듯이 구동롤러(30)와 전환롤러(31)의 전방 즉, 벨트(20)의 정궤도 회전에서의 구동롤러(30)와 전환롤러(31)의 진입지점 전방에 설치된다. 이런 사행방지롤러(100)는 벨트(20)의 폭 양단부에 위치하여 벨트(20)의 진행방향을 제한함으로써, 구동롤러(30)와 전환롤러(31)로 진입하는 벨트(20)가 양측에 위치한 사행방지롤러(100)를 따라 정궤도로 구동롤러(30)와 전환롤러(31)로 진입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방지롤러(100)는 벨트컨베이어(10)의 채널(11)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간부는 절곡되어 타단이 벨트(20)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브라켓(110)과, 이런 브라켓(110)의 타단에 상기 벨트(20) 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고정축(140)과, 상기 고정축(140)을 감싼 상태로 고정축(140)에 의해 지지되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원반롤러(160)를 포함한다.
원반롤러(160)는 중공(164)이 형성된 중심축(162)의 길이를 따라 두 장의 디스크(161)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중심축(162)의 외주면에 고정된 형상의 롤러로서, 이런 원반롤러(160)의 두 장의 디스크(161) 사이에 벨트(20)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이런 원반롤러(160)의 중공(164)에 있어서, 중공(164) 내측면 길이의 중간에는 걸림턱(165)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중공(164)은 걸림턱(165)을 중심으로 상부 구역과 하부 구역으로 구분되며, 베어링(173, 174)이 걸림턱(165)의 상하면에 각각 접하여 상부 구역과 하부 구역에 각각 위치한다. 여기에서 걸림턱(165)을 중심으로 하부에 위치한 베어링을 '하부 베어링(174)'이라 하고, 상부에 위치한 베어링을 '상부 베어링(173)'이라 한다.
원반롤러(160)의 중공(164)에는 고정축(140)이 삽입되고, 고정축(140)의 하단부에는 원판 베이스(141)가 위치한다. 이런 원판 베이스(141)는 원반롤러(160)의 중공(164)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그 저면의 원주를 따라 4개의 제1 암나사공(18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런 원판 베이스(141)의 상부에는 고정축(140)의 둘레를 따라 지지턱(144)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축(140)의 상단부에는 수나사 가공된 수나사부(1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축(140)을 원반롤러(160)의 중공(164)에 삽입시키면, 하부 베어링(174)은 고정축(140)에 형성된 지지턱(144)의 상면과 걸림턱(165)의 하면 사이에 접하여 위치하고, 고정축(140)의 수나사부(146)는 원반롤러(160)의 중공(164)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중공(164)의 내부 상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고정축(140)의 둘레에는 상기 상하부 베어링(173, 174)의 바깥쪽 상면과 하면에 오일 실(172)이 위치한다. 이런 오일 실(172)은 상하부 베어링(173, 174)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고정축(140)의 외표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축(140)의 수나사부(146)에는 너트(171)가 체결되는데, 너트(171)는 상부에 위치한 오일 실(172)을 가압한다. 그로 인해 원반롤러(160)는 고정축(140)의 길이를 따라 상부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이런 고정축(140)에는 그 상단면의 중앙에서 상하부 베어링(173, 174)이 위치한 중간 사이로 윤활유공급로(148)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축(140)의 상단면에 윤활유를 주입하면 윤활유는 윤활유공급로(148)를 따라 상하부 베어링(173, 174)의 사이에 채워지면서 상하부 베어링(173, 174)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윤활작용을 한다.
이런 고정축(140)의 하부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20)가 위치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중심에는 고정축(14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제1 관통공(191)이 형성되며, 제1 관통공(191)의 둘레에는 4개의 제2 관통공(192)이 형성되는데, 이런 4개의 제2 관통공(192)은 원판 베이스(141)의 제1 암나사공(181)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4개의 제2 관통공(192)에 고정볼트(130)를 삽입하고, 원판 베이스(141)의 제1 암나사공(181)에 체결하면 고정축(140)은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이런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에는 중심에 형성된 제1 관통공(191)을 향한 길이방향의 사각형 관통공(122)이 형성되며, 이런 사각형 관통공(122)는 브라켓(110)의 안쪽 절곡부를 향해 위치한다. 그리고, 이런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측면에는 상기 사각형 관통공(122)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암나사공(182)이 형성되고, 이런 제2 암나사공(182)에는 이송스크루(124)가 체결된다. 그리고, 제2 관통공(192)의 바깥쪽에는 4개의 제3 암나사공(183)이 형성된다.
한편, 이런 슬라이드 플레이트(120)는 브라켓(110)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110)의 길이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고정된다.
이런 브라켓(110)은 중간부가 절곡되어 'L'형상을 갖고 있으며, 브라켓(110)의 일단에는 벨트컨베이어(10)의 채널(11)이 고정되고, 브라켓(110)의 타단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20)가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브라켓(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벨트컨베이어(10)의 채널(11)에 브라켓(110)을 고정하기 위해, 채널(11)에 고정판(115)이 용접고정된다. 이런 고정판(115)의 4모서리에는 암나사공(18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110)의 안쪽 일단에는 상기 고정판(115)의 암나사공(184)과 대응하는 지점에 상기 브라켓(110)의 길이방향으로 4개의 제1 장홈(111)이 형성되고, 이런 4개의 제1 장홈(111)에는 고정볼트(130)가 삽입되어 고정판(115)의 암나사공(184)에 체결된다. 따라서, 브라켓(110)의 높이는 상기 제1 장홈(111)의 길이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브라켓(110)의 타단은 벨트(20)의 저면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사행방지롤러(100)가 상류벨트(20H)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브라켓(110)의 타단이 상류벨트(20H)와 하류벨트(20L)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류벨트(20L)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하류벨트(20L)의 저면에 위치한다. 이런 브라켓(110)의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제3 암나사공(183)과 대응하는 지점에 4개의 제2 장홈(112)이 브라켓(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런 제2 장홈(112)에도 고정볼트(13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제3 암나사공(183)에 체결된다.
따라서, 브라켓(110)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미끄러짐 범위는 제2 장홈(112)의 길이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
한편, 브라켓(110)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이송스크류(124)와 마주하는 브라켓(110)의 안쪽 측면에는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110)의 관통공(114)에는 이송스크류(124)가 관통하여 위치하며 이송스크류(124)의 헤드는 브라켓(110)의 바깥에 위치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와 브라켓(110)의 일단을 체결하는 고정볼트(130)를 푼 상태에서 이송스크류(124)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플레이트(120)는 브라켓(11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며, 원반롤러(160)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20)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원반롤러(160)의 중공(164) 상단에는 윤활유주입구(149)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199)이 체결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벨트컨베이어(10)의 사행방지롤러(100)에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191)에 고정축(140)의 하단을 삽입하고, 고정볼트(130)를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제2 관통공(192)에 삽입하여 원판 베이스(141)의 제1 암나사공(181)에 체결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에 고정축(140)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축(140)의 하단 둘레에 오일 실(172)과 하부 베어링(174)을 위치한 후에, 원반롤러(160)의 중공(164)에 고정축(140)을 삽입한다. 그리고, 원반롤러(160)의 중공(164)에 상부 베어링(173)과 오일 실(172)을 끼우고, 고정축(140)의 상단에 너트(171)를 체결한 후, 캡(199)으로 원반롤러(160)의 중공(164) 상단을 폐쇄한다.
벨트컨베이어(10)의 채널(11)에 고정판(115)을 용접고정한다. 그리고, 브라켓(110)의 타단과 고정판(115)을 고정볼트(130)로 체결 고정한다. 이때 브라켓(110)의 일단에 위치하는 원반롤러(160)의 두 디스크(161) 사이에 벨트(20)가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높이를 조절한 후에 고정볼트(130)로 브라켓(110)을 체결한다.
그리고, 브라켓(11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장홈(112)에 고정볼트(130)를 삽입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20)의 제3 암나사공(183)에 체결한다. 이때, 완전히 체결하지 않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20)가 브라켓(110)의 길이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체결한 상태에서, 브라켓(110)의 바깥면에 위치한 이송스크루(124)의 헤드를 회전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20)를 이송시킨다. 이렇게 슬라이드 플레이트(120)를 이송함에 있어서, 벨트(20)의 폭 단면과 두 장의 디스크(161) 사이의 안쪽 밑면과의 거리가 결정되면 브라켓(110)의 타단과 슬라이드 플레이트(120)를 체결하는 고정볼트(130)를 완전 체결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120)를 브라켓(110)의 타단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벨트컨베이어(10)에 사행방지롤러(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벨트(20)가 구동하게 되면, 벨트(20)의 양단부는 원반롤러(160)의 두 장의 디스크(161) 사이에서 위치하여 무한궤도 회전한다. 이런 상태에서 벨트(20)가 사행하여 벨트(20)의 양단부 중에서 어느 한 쪽 단부가 두 장의 디스크(161)의 마주하는 면 또는 두 장의 디스크(161)의 안쪽 밑면과 접하게 된다. 원반롤러(160)는 상하부 베어링(173, 174)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원반롤러(160)는 회전하는 벨트(20)와 접하여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벨트(20)는 원반롤러(160)와 부딪히더라도 원반롤러(160)가 회전함으로써, 벨트(20)의 폭 양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디스크(161)에 의해 벨트(20)의 단부가 사행방지롤러(100)를 이탈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이 벨트컨베이어의 채널에 용접고정된다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정판이 고정될 수 있는 한 구성요소이지 반드시 벨트컨베이어의 채널을 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벨트컨베이어의 다른 어떤 고정수단에 고정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는 벨트가 사행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진행방향을 유지함으로써, 사행으로 발생하는 작업정지 시간을 축소하여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는 원반롤러의 두 장의 디스크에 벨트가 수용된 상태로 궤도회전함으로써, 벨트의 사행 발생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벨트의 폭에 따라 원반롤러의 높이 및 벨트 폭방향으로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컨베이어의 안내롤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롤러가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행방지롤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행방지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벨트컨베이어 20 : 벨트
30 : 구동롤러 31 : 전환롤러
35 : 안내롤러 100 : 사행방지롤러
110 : 브라켓 1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130 : 고정볼트 140 : 고정축
160 : 원반롤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양 측 상하면에 벨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이루는 고정축,
    복수개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고정되는 일 단부와 상기 일 단부에 수직하고 복수개의 장홈이 형성되는 타 단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복수개의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안착되며 상기 고정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장홈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사행방지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브라켓의 안쪽 절곡부를 향한 쪽에 사각형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브라켓의 안쪽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을 관통한 이송스크류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사각형 관통공 측면에 관통한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롤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고정축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관통공의 둘레에 상기 암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롤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그 길이를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2장의 디스크는 상기 벨트의 두께이상으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롤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중공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위치하며, 상기 롤러가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과 상기 롤러의 내주면 사이에는 복수의 베어링이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베어링의 바깥쪽에는 오일 실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롤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는 상기 복수의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상기 고정축의 상단면에서부터 상기 복수의 베어링의 사이로 윤활유공급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롤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중공을 폐쇄하는 캡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롤러.
KR10-2002-0035962A 2002-06-26 2002-06-26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KR10050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962A KR100502958B1 (ko) 2002-06-26 2002-06-26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962A KR100502958B1 (ko) 2002-06-26 2002-06-26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937A KR20040000937A (ko) 2004-01-07
KR100502958B1 true KR100502958B1 (ko) 2005-07-25

Family

ID=3731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962A KR100502958B1 (ko) 2002-06-26 2002-06-26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9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22B1 (ko) 2020-05-26 2020-07-23 (주)한뫼테크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 장치
KR102167994B1 (ko) 2020-08-11 2020-10-21 (주)한뫼테크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KR102343495B1 (ko) 2021-08-24 2021-12-27 (주)지엔티 컨베이어용 무전원 사행방지장치
KR102408418B1 (ko) 2021-12-17 2022-06-14 (주)지엔티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KR20230044761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아이비 이형지 부착물의 사행 방지 자동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91B1 (ko) * 2021-02-04 2021-10-26 유상호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22B1 (ko) 2020-05-26 2020-07-23 (주)한뫼테크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 장치
KR102167994B1 (ko) 2020-08-11 2020-10-21 (주)한뫼테크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KR102343495B1 (ko) 2021-08-24 2021-12-27 (주)지엔티 컨베이어용 무전원 사행방지장치
KR20230044761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아이비 이형지 부착물의 사행 방지 자동화 시스템
KR102408418B1 (ko) 2021-12-17 2022-06-14 (주)지엔티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937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7708A (en) Drive apparatus for belt power turns
SU1272972A3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ержателей с боковыми поверхност ми,расположенными параллельно к направлению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 сборочных машин
KR101423940B1 (ko) 컨베이어
US4828339A (en) Crawler chain
RU2160694C2 (ru)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с цепным приводом (варианты)
US7131531B1 (en) Roller shoes in modular-belt conveyors
US4865185A (en) Crawler-mounted conveying train
KR20110020744A (ko) 중하물 운반용 지지 장치
US5038925A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articles along a curved path
KR100502958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JP5314748B2 (ja) 昇降装置
KR20180029048A (ko) 벨트 운송 시스템
US20020179410A1 (en) Installation for the circulation of part-carrying pallets and a pallet for said installation
US9308615B2 (en) Horizontal double disc surface grinding machine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0502959B1 (ko) 안내롤러를 구비한 조심장치
KR101007557B1 (ko) 운전중 정비가 가능한 컨베이어
KR100803757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방지장치
KR2009003028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US2922513A (en) Pan conveyor
JP2005041594A (ja) 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CN213201104U (zh) 一种输送带
KR2013002374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