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994B1 -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994B1
KR102167994B1 KR1020200100330A KR20200100330A KR102167994B1 KR 102167994 B1 KR102167994 B1 KR 102167994B1 KR 1020200100330 A KR1020200100330 A KR 1020200100330A KR 20200100330 A KR20200100330 A KR 20200100330A KR 102167994 B1 KR102167994 B1 KR 10216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ase plate
meandering
we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후영
이완철
노수현
Original Assignee
(주)한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뫼테크 filed Critical (주)한뫼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롤러의 각도 조절을 통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면서 웨이트 타워와 연동시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는, 레일; 레일을 따라 슬라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수직의 지지축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회동하는 회동 플레이트; 회동 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벨트가 리턴되도록 하는 풀리; 양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플레이트에 각각 축 결합되어 출몰되는 로드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실린더; 벨트의 양측에 위치하여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장치; 사행감지장치 및 실린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벨트의 사행 발생시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웨이트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당김으로써 벨트의 장력을 유지토록 하는 웨이트 타워;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DEVICE FOR GUIDING MEANDERING OF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리의 각도 조절을 통해 벨트의 사행을 자동으로 방지하면서 웨이트 타워와 연동시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석탄을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한다. 컨베이어 벨트는 다수의 이송 롤러 위를 벨트가 이동하며 그 위에 올려진 석탄을 정해진 장소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석탄의 상태, 기후, 주변설비 특성 등의 이유로 벨트가 사행되어 진행하며, 벨트의 사행이 지속될 경우 벨트가 이송롤러로부터 이탈하거나 주변설비와 접촉으로 인해 마모 발생 및 파손되거나 열화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벨트의 수명이 짧아져 자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가 등록특허 제10-1368279호로 등록되었는바, 벨트부재의 이동에 따라 벨트부재의 측면을 가이드 하는 사이드롤러가 이동하여 벨트부재의 사행을 방지하므로, 이송물의 운송효율이 향상되며 벨트 컨베이어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나, 벨트가 사행할 때 그 말단부가 사이드롤러와 접촉하여 말려 접혀지므로 벨트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502958호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에 대한 것으로, 벨트가 사행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진행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사행이 발생하려는 구간의 특정 롤러에만 집중적으로 부하가 발생함에 따라 해당 부위의 롤러 수명이 단축되어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34750호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에 대한 것으로, 웨이트를 이용하여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며 웨이트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이와 연결된 웨이트 풀리의 각조를 조절함으로써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벨트의 하부에 웨이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벨트의 하부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설치가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로 장력 폭에 한계가 있다. 특히 길이가 긴 벨트의 경우 팽창 및 수축 길이가 더욱 크므로 여러 구간에 웨이트르 설치해야 하는 등 시설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벨트 교환 시 웨이트가 설치된 구간에서 분리 및 장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이 난해하고, 시간이 어려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가 대부분 벨트 주변에 위치하므로 분진이이나 눈, 비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키고, 접촉 센서의 경우 벨트 마모와 센서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68279호(2014.02.21)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02958호(2005.07.13) KR 등록실용신안 제20-0234750호(2001.06.07)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벨트의 사행이 발생하려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풀리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고, 웨이트 타워와 연결하여 벨트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는,
레일;
레일을 따라 슬라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수직의 지지축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회동하는 회동 플레이트;
회동 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벨트가 리턴되도록 하는 풀리;
양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플레이트에 각각 축 결합되어 출몰되는 로드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실린더;
벨트의 양측에 위치하여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장치;
사행감지장치 및 실린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벨트의 사행 발생시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웨이트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당김으로써 벨트의 장력을 유지토록 하는 웨이트 타워;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행감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이 양단에 구비되는 밀폐함;
밀폐함의 마주보는 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봉;
슬라이드 봉의 말단에 설치되는 롤러 고정부;
밀폐함과 롤러 고정부 간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
롤러 고정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벨트의 사행시 벨트와 구름 접촉하는 롤러;
밀폐함을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드 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 타워는,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골조;
골조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 하는 웨이트;
골조의 상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 구비되는 안내 롤러;
다수의 안내롤러를 통해 웨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는 와이어를 통해 웨이트 타워와 간접적으로 연동하여 벨트이 장력이 유지되므로 와이어의 연결 해제만으로 벨트의 장력을 무력화하여 벨트를 신속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트가 리턴되는 풀리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행을 방지하므로 매우 신속하게 벨트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으며, 고하중에 견딜 수 있는 축에 풀리가 연결되어 벨트에 의한 저항력이 축에 집중되므로 양측에 구비된 실린더의 변형 방지 및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가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여 분진 또는 눈이나 비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웨이트 타워에 웨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좁은 면적에 충분한 높이로 설치 가능하므로 벨트의 길이가 길더라도 웨이트 타워 하나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 시설비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타워 연동형 컨베이어 시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타워 연동형 컨베이어 시설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행감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행감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타워 연동형 컨베이어 시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타워 연동형 컨베이어 시설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장치는, 이송라인(1)의 어느 일측 끝단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10); 레일(10)을 따라 슬라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수직의 지지축(22)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회동하는 회동 플레이트(30); 회동 플레이트(30)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벨트(B)가 리턴되도록 하는 풀리(40); 양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회동 플레이트(30)에 각각 축 결합되어 출몰되는 로드(51)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30)를 회동시키는 실린더(50); 벨트(B)의 양측에 위치하여 벨트(B)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장치(60); 사행감지장치(60) 및 실린더(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벨트(B)의 사행 발생시 실린더(5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7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웨이트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를 당김으로써 벨트의 장력을 유지토록 하는 웨이트 타워(80); 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10)은 이송라인(1)과 나란히 구비되는 것을로, 다수의 지지 프레임(11) 상부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수평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양측에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블록(21)이 고정 설치되어 베이트 플레이트(20)는 레일(10)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한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의 지지축(2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수평을 유지한채로 회동 운동을 한다. 여기서 지지축(22)은 큰 지름으로 형성하여 풀리(40)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지지축(22)에 집중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축(22)과 베이스 플레이트(20) 간에는 베어링(23)을 설치하되, 자동조심롤러 베어링을 설치하여 고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풀리(40)는 회동 플레이트(30)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풀리(40)에 벨트(B)가 감겨 리턴하게 된다. 풀리(40)는 구동 롤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실린더(5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회동 플레이트(30) 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회동 플레이트(30)에 축 결합된다. 이러한 실린더(5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회동 플레이트(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 로드(51)의 출몰에 따라 회동 플레이트(30)는 회동하게 되는데,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일측의 실린더 로드(51)는 실린더(50)로부터 돌출되고, 타측의 실린더 로드(51)는 반대로 실린더(50)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실린더(50)는 유압식 실린더가 이용된다.
상기 사행감지장치(6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벨트(B)의 사행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0)에 전달하는 것으로, 밀폐함(61), 슬라이드 봉(62), 롤러 고정부(63), 압축 스프링(64), 롤러(65), 센서(66)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함(61)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폐함(61)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슬라이드 봉(62)이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는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중앙에 하나 설치하고, 그 둘레로 다수의 슬라이드 봉(62)을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 배열한다. 또는, 중앙에 하나 설치하고, 상하부에 다수 설치하는 등 여러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봉(62)은 일단이 밀폐함(61)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드 봉(62)에 롤러 고정부(63)가 설치된다. 롤러 고정부(63)는 'ㄷ'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롤러 고정부(63)는 밀폐된 부위가 슬라이드 봉(62)과 고정되어 개방된 부위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64)은 밀폐함(61)과 롤러 고정부(63) 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슬라이드 봉(62)에 끼워 설치한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64)에 의해 롤러 고정부(63)는 외력에 의해 후퇴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돌출된다.
롤러 고정부(63)의 개방된 부위에는 롤러(65)가 설치된다. 롤러(65)는 드럼(65a)과 드럼(65a)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디스크(65b)로 이루어진다. 디스크(65b)는 드럼(65a)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여 양 디스크(65b) 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행하는 벨트(B)의 단부가 이 공간으로 삽입되고 이송하는 벨트(B)에 의해 접촉되어 롤러(65)가 후퇴하면서 회전한다. 롤러(65)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하는 벨트(B)와 롤러(65)는 구름접촉하여 마모를 방지한다.
한편, 밀폐함(61)의 내부에는 센서(66)가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 봉(62)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센서(66)는 슬라이드 봉(6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지만, 직선운동하는 슬아이드 봉(62)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리니어 센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66)는 밀폐함(61)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환경 즉, 분진, 비, 눈으로부터 보호되어 오작동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사행감지장치(60)의 센서(66) 및 실린더(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벨트(B)의 사행 발생시 실린더(50)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일측 실린더 로드(51)는 돌출되도록 하고, 타측 실린더 로드(51)는 삽입되도록 하여 결국 풀리(40)의 각도를 변화시켜 벨트(B)의 사행을 방지하고, 정상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웨이트 타워(80)는 레일(10)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골조(81)와, 골조(81)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웨이트(82)와, 골조(81)의 상부 및 골조(81)의 하부 외측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안내 롤러(83)와, 다수의 안내 롤러(83)에 안내되면서 웨이트(82)와 베이스 플레이트(20)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84)로 구성된다.
상기 골조(81) 외부의 하부 바닥에는 중량 블록(85)을 설치하고 이에 안내 롤러(83)를 설치한다. 그리고 와이어(84)의 일단은 웨이트(82)와 연결하고, 골조(81)의 상부에 위치한 안내 롤러(83), 중량 블록(85)에 설치된 안내 롤러(83),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된 안내 롤러(83)에 순차적으로 안내된 후 타단은 다시 중량 블록(85)에 고정된다. 따라서, 벨트(B)의 수축 팽창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더라도 웨이트(82)가 와이어(84)에 의해 메달린 상태이므로 베이스 플레이트(20)는 항시 당겨짐으로써 벨트(B)의 장력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행방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일단이 웨이트(82) 및 와이어(84)에 의해 항시 당겨지는 상태를 유지한다. 웨이트(82)는 웨이트 타워(80)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려 하고, 이에 연결된 와이어(84)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웨이트 타워(80) 방향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벨트(B)의 수축 팽창에 의해 길이가 변화할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며 장력을 유지한다. 즉, 동절기와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 벨트(B)는 수축되어 길이가 짧아지는데,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이송라인(1)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하절기와 같이 온도가 높은 경우 벨트(B)는 팽창하여 길이가 길어지는데,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이송라인(1) 반대방향인 웨이트 타워(80)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항시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웨이트 타워(80)는 수직으로 설치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원하는 높이로 얼마든지 길게 설치할 수 있어 웨이트(82)가 움직일 수 있는 길이를 충분히 길게할 수 있다. 따라서 석탄 화력 발전소와 같이 벨트(B)의 길이가 매우 긴 경우에도 하나의 이송라인(1) 하나 당 웨이트 타워(80) 하나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84)를 통해 웨이트 타워(80)와 간접적으로 연동하여 벨트(B)이 장력이 유지되므로 와이어(84)의 연결 해제만으로 벨트(B)의 장력을 무력화하여 벨트(B)를 신속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풀리(40)에 감긴 벨트(B)가 일측으로 사행하려 할 경우 치우치는 방향으로 벨트(B)의 단부가 사행감지장치(60) 즉, 롤러(65)와 접촉하게 되면서 롤러(65)를 후퇴시킨다. 이때, 롤러(65)는 벨트(B)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벨트(B) 및 롤러(65)의 마모를 방지하고, 후퇴하는 롤러(65)와 연결된 슬라이드 봉(62)이 후퇴하면서 리니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70)는 양 실린더(50)를 구동하되, 벨트(B)가 치우치는 방향의 실린더 로드(51)는 실린더(50)에 삽입되도록 하고, 타측의 실린더 로드(51)는 실린더(50)로부터 돌출되도록하여 회동 플레이트(20)의 각도를 변화시키고 이에 설치된 풀리(40)의 각도도 같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사행하던 벨트(B)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사행이 방지되는데, 풀리(40)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벨트(B)의 복귀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풀리(40)를 지지하는 회동 플레이트(20)는 하부에 구비된 지지축(22)에 저항력이 집중되어 실린더(50)의 변형을 방지하고 수명을 대폭 연장시킨다. 또한, 상기 센서(66)는 밀폐함(61) 내부에 설치되므로 분진 또는 눈이나 비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행감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행감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행감지장치는 밀폐함(61) 내부에 슬라이드 봉(62), 압축 스프링(64), 센서(66)가 내장되도록 하고, 롤러(65)와 롤러(65)를 지지하는 롤러 고정부(63)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즉, 압축 스프링(64)과 슬라이드 봉(62)도 밀폐함(61)에 내장되도록 하여 슬라이드 봉(62) 및 압축 스프링(64)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행감지장치(60)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행감지장치(60)는 상부와 하부 이단으로 형성하여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 모두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양 방향 이송 컨케이어 즉, 벨트(B)의 정회전은 물론 역회전 시에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함이다.
1 : 이송라인 10 : 레일 11 : 지지 프레임
20 : 베이스 플레이트 21 : 슬라이드 블록 22 : 지지축
23 : 베어링 30 : 회동 플레이트 40 : 풀리
50 : 실린더 51 : 로드 60 : 사행감지장치
61 : 밀폐함 62 : 슬라이드 봉 63 : 롤러 고정부
64 : 압축 스프링 65 : 롤러 66 : 센서
70 : 제어부 80 : 웨이트 타워 81 : 골조
82 : 웨이트 83 : 안내 롤러 84 : 와이어
85 : 중량 블록 B : 벨트

Claims (5)

  1. 레일(10); 레일(10)을 따라 슬라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수직의 지지축(22)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회동하는 회동 플레이트(30); 회동 플레이트(30)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벨트(B)가 리턴되도록 하는 풀리(40); 양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회동 플레이트(30)에 각각 축 결합되어 출몰되는 로드(51)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30)를 회동시키는 실린더(50); 벨트(B)의 양측에 위치하여 벨트(B)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장치(60); 사행감지장치(60) 및 실린더(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벨트(B)의 사행 발생시 실린더(5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7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웨이트(82)를 와이어(84)로 연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를 당김으로써 벨트(B)의 장력을 유지토록 하는 웨이트 타워(80); 를 포함하되,
    상기 사행감지장치(6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양단에 구비되는 밀폐함(61); 밀폐함(61)의 마주보는 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봉(62); 슬라이드 봉(62)의 말단에 설치되는 롤러 고정부(63); 밀폐함(61)과 롤러 고정부(63) 간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64); 롤러 고정부(63)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벨트(B) 사행시 벨트(B) 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65); 밀폐함(61)을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드 봉(62)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리니어 센서(66); 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타워(80)는,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골조(81); 골조(81)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 하는 웨이트(82); 골조(81)의 상부와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다수 구비되는 안내 롤러(83); 다수의 안내 롤러(83)를 통해 웨이트(82)와 베이스 플레이트(20)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84); 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롤러(83)는 골조(81)의 상부와, 골조(81)의 하부 외측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각각 설치하되, 골조(81)의 하부 외측에 중량 블록(85)을 설치하고 이 중량 블록(85)에 안내 롤러(83)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84)는 일단이 웨이트(82)에 연결되고, 공조(81)의 상부에 설치된 안내 롤러(83), 중량 블록(85)에 설치된 안내 롤러(83),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된 안내 롤러(83)를 순차적으로 안내 된 후 중량 블록(85)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0330A 2020-08-11 2020-08-11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KR10216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30A KR102167994B1 (ko) 2020-08-11 2020-08-11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30A KR102167994B1 (ko) 2020-08-11 2020-08-11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994B1 true KR102167994B1 (ko) 2020-10-21

Family

ID=7303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330A KR102167994B1 (ko) 2020-08-11 2020-08-11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9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495B1 (ko) 2021-08-24 2021-12-27 (주)지엔티 컨베이어용 무전원 사행방지장치
KR102354611B1 (ko) * 2021-05-11 2022-01-24 대양롤랜트(주)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KR102408418B1 (ko) 2021-12-17 2022-06-14 (주)지엔티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CN117566328A (zh) * 2024-01-15 2024-02-20 江苏新联达制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纠偏式输送带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750Y1 (ko) 1996-12-21 2001-11-22 이구택 벨트콘베어의사행방지장치
KR20030054514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100502958B1 (ko) 2002-06-26 2005-07-25 서석호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KR100608299B1 (ko) * 2005-05-03 2006-08-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1368279B1 (ko) 2012-03-29 2014-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435069B1 (ko) * 2011-10-28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101477089B1 (ko) * 2012-10-29 2014-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센터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750Y1 (ko) 1996-12-21 2001-11-22 이구택 벨트콘베어의사행방지장치
KR20030054514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100502958B1 (ko) 2002-06-26 2005-07-25 서석호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롤러
KR100608299B1 (ko) * 2005-05-03 2006-08-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1435069B1 (ko) * 2011-10-28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68279B1 (ko) 2012-03-29 2014-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477089B1 (ko) * 2012-10-29 2014-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센터링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611B1 (ko) * 2021-05-11 2022-01-24 대양롤랜트(주)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KR102343495B1 (ko) 2021-08-24 2021-12-27 (주)지엔티 컨베이어용 무전원 사행방지장치
KR102408418B1 (ko) 2021-12-17 2022-06-14 (주)지엔티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CN117566328A (zh) * 2024-01-15 2024-02-20 江苏新联达制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纠偏式输送带
CN117566328B (zh) * 2024-01-15 2024-03-15 江苏新联达制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纠偏式输送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994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RU2286298C2 (ru) Откидная стенка
CN1576194B (zh) 用于检测刮板链张紧状态的装置
US7802666B2 (en) Device for protection and handling of electric feed cables for mobile use
KR101839277B1 (ko) 메쉬벨트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메쉬벨트 컨베이어의 장력조절장치
KR20090040824A (ko)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상품운반장치
CN213036890U (zh) 一种防推箱挡板及输送线
US8662477B2 (en) Belt-driven transportation system
WO20100780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nd storing pipe
KR20090050911A (ko) 상품운반장치
KR102343495B1 (ko) 컨베이어용 무전원 사행방지장치
US7752698B2 (en) Carwash brush extension arm with roller bearings
CN113023247A (zh) 一种拖链支撑机构及拖链装置
KR20030054514A (ko)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CN107963408B (zh) 一种自检调整型运输轨道
KR101188085B1 (ko)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JP3015351B1 (ja) 重量物搬送装置
KR102408418B1 (ko)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CN109823768B (zh) 输送机
KR102550500B1 (ko)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KR100803757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방지장치
CN112027519A (zh) 一种滚筒式皮带机
CN218230404U (zh) 立体仓库入库导正机构
KR101010616B1 (ko)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자동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