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611B1 -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611B1
KR102354611B1 KR1020210060996A KR20210060996A KR102354611B1 KR 102354611 B1 KR102354611 B1 KR 102354611B1 KR 1020210060996 A KR1020210060996 A KR 1020210060996A KR 20210060996 A KR20210060996 A KR 20210060996A KR 102354611 B1 KR102354611 B1 KR 10235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andering
sensor
width di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원
나동혁
노수현
박원우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주)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주),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주)
Priority to KR102021006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롤러와 리턴롤러가 이격되어 설치된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벨트풀리(130)와, 양측의 벨트풀리(130)를 감아 구비되는 벨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행본체(140)와, 상기 사행본체(140)에 피봇베어링(151)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본체(150)와, 일측은 사행본체(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본체(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에 의하여 사행본체(140)에 대하여 회전본체(150)를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동실린더(143)와, 벨트(120)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풀리(130) 중 하나는 회전본체(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행감지부(170)는 벨트풀리(13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사행본체(140)에 설치되며 벨트(120)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제1센서(171)와, 상기 제1센서(171)로부터 이격되어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며 벨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정렬된 복수의 제2 센서(171a)로 이루어진 제2센서그룹(17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A Conveyor Belt System Having Anti Meandering Structure}
본 발명은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산업현장에서 원료나 기타 완성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원료(광석, 연료 등)를 사용하는 제철소에서도 벨트 컨베이어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벨트 컨베이어는 구동시 벨트의 사행으로 벨트가 손상되고, 이송되는 원료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4-0056581호 특허공개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풀리에 인접하게 설치된 사행감지부에서 사행이 감지되어 실제 사행이 일어나는 정도가 정확하게 센싱되지 못하고, 실제 벨트에서 사행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사행처럼 감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행감지부를 이루는 센서가 벨트와 직접 접촉하지 않은 구조로 벨트의 사행이 정밀하게 실시간으로 감지되지 못하거나 간접 센싱되는 일부 부품의 작동 불량으로 사행이 감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4-0056581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센서가 풀리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한편 벨트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센서가 벨트를 따라 열을 이루어 구비되어 사행 발생이 정밀하게 판단될 수 있으며, 센서가 벨트와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서 실시간으로 벨트 사행이 감지되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롤러와 리턴롤러가 이격되어 설치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벨트풀리와, 양측의 벨트풀리를 감아 구비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행본체와, 상기 사행본체에 피봇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본체와, 일측은 사행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본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에 의하여 사행본체에 대하여 회전본체를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동실린더와,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풀리 중 하나는 회전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행감지부는 벨트풀리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사행본체에 설치되며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이격되어 벨트의 폭 방향 양측으로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정렬된 복수의 제2 센서로 이루어진 제2센서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벨트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가압부는 제1센서와 회전본체에 설치된 벨트풀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사행본체에 설치되며 벨트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벨트가압수단과,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그룹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벨트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벨트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압수단은 사행본체나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안내부재를 가지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안내부재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안내로드를 가지는 롤러브라켓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롤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행억제롤러와, 상기 롤러브라켓과 설치브라켓 사이에 구비된 가압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브라켓은 폭 방향 외향 절곡 연장되어 단부가 설치브라켓의 폭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폭 방향 내측에서 벨트가 사행억제롤러를 폭 방향 외향 가압하면 가압부스프링은 압축하고 안내로드는 안내부재를 따라 폭 방향 외향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절곡부가 설치브라켓에 접촉하여 스토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벨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유지부는 사행본체의 후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풀리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와이어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향전환풀리와, 상기 와이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향전환풀리와, 와이어와, 웨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풀리와, 고정부에 설치되는 방향전환풀리와, 와이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향전환풀리를 차례로 감아 타측이 와이어프레임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웨이트는 와이어프레임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된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사행감지부를 이루는 제1센서와 제2센서부를 이루는 제2센서에서 감지된 벨트 감지 신호와 사행 발생 정도가 측정된 값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의 입력값이 되고, 제1센서와 제2센서부의 감지 신호로부터 사행 발생 정도가 연산되고 가동실린더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100)에 의하면,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170)가 벨트풀리(130)에 인접하게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제1센서(171)와 벨트풀리(1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벨트(120)를 따라 정렬되며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된 복수의 제2센서(171a)로 이루어진 제2센서그룹(170a)을 포함하여 사행이 정확하게 감지되어 실제 사행이 일어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정밀하게 센싱되어 가동실린더(143)가 작동되며, 사행감지부(170)를 이루는 복수의 센서가 직접 벨트(120)에 직접 접촉하여 벨트(120)의 사행이 감지되므로 구성 부품의 작동 불량으로 감지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제1센서(171)의 양측에 벨트(120)의 사행을 억제하는 벨트가압부(170)가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벨트(120)의 사행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A"부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구비되는 벨트가압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 "A"부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구비되는 벨트가압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도 3의 세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100)은 프레임부(110)와, 벨트(120)와, 벨트풀리(130)와, 사행본체(140)와, 회전본체(150)와, 벨트가압부(160)와, 사행감지부(170)와, 장력유지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복수의 이송롤러와 리턴롤러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부(110a)와, 사행본체(1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부(1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10a)와 설치프레임부(110b)가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프레임부(110a)와 설치프레임부(110b)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부(110a)에는 복수의 이송롤러(도시하지 않음)와 리턴롤러(도시하지 않음)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부(110)를 이루는 설치프레임부(110b)는 받침부재(111)와, 이탈방지부(113)와, 레일(115)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프레임부(110b)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115)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140)는 레일(1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40)에는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본체휠(141)이 구비된다.
상기 벨트(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서 상기 벨트풀리(130)를 감아 구비된다. 벨트풀리(130)에 대한 내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벨트풀리(13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벨트풀리(130) 중 하나는 상기 회전본체(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사행본체(140)는 설치프레임부(110b)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휠(141)은 상기 레일(115)의 상부에서 상기 사행본체(140)가 상기 레일(11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본체(150)의 폭 방향 양측에 가동실린더(143)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실린더(143)의 일측은 사행본체(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본체(1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동실린더(143)의 로드는 회전본체(150)에 브라켓 등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동실린더(143)의 로드가 브라켓 등을 매개로 회전본체(150)에 연결된 연결부(1431)의 중심은 회전본체(150)의 회전 중심을 연장한 선상에 위치한다.
양측의 가동실린더(143)의 로드의 연결부(1431)가 회전본체(150)의 회전 중심 연장선 상에 위치하므로 양측의 회전 각도는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회전본체(150)는 상기 사행본체(140)에 피봇베어링(151)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동실린더(143)의 작동으로 회전본체(150)는 사행본체(140)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벨트가압부(160)는 벨트가압수단(160-1, 16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가압수단(160-1)은 제1센서(171)와 상기 회전본체(150)에 설치된 벨트풀리(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행본체(140)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벨트가압수단(160-3)은 길이 방향으로 제1센서(171)와 제2센서그룹(170a)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가압수단(160-1, 160-3)은 설치브라켓(161)과, 안내부재(162)와, 롤러브라켓(163)과, 가압부스프링(164)과, 사행억제롤러(165)와, 안내로드(167)를 포함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69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벨로우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치브라켓(161)은 각각 상기 사행본체(140)와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61)은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브라켓연장부(1611)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부재(162)는 상기 브라켓연장부(1611)에 구비되며, 폭방향으로 관통된 중공 형태이다.
상기 롤러브라켓(163)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사이에 사행억제롤러(165)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브라켓(163)은 폭 방향 외향 절곡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브라켓연장부(1611)의 폭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절곡부(1631)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1631)는 벨트(120)로 인해 폭 방향 외향 가압된 사행억제롤러(165)가 폭 방향 외향 이동할 때 상기 설치브라켓(161)에 접촉하여 스토퍼로 작용한다.
상기 가압부스프링(164)은 상기 롤러브라켓(163)과 브라켓연장부(16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사행억제롤러(165)는 상기 롤러브라켓(16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내로드(167)는 상기 롤러브라켓(163)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부재(162)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벨로우즈(169)는 상기 안내부재(162) 및 상기 가압부스프링(164)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벨트가압수단(160-1, 160-3)의 폭 방향 내측에서 상기 벨트(120)가 사행억제롤러(165)를 폭 방향 외향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스프링(164)은 압축되고 상기 안내로드(167)는 상기 안내부재(162)를 따라 폭 방향 외향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가압부스프링(164)이 압축될 때 반력이 벨트(120)로 작용하여 벨트(120)의 사행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사행감지부(170)는 상기 벨트(120)의 사행을 감지한다. 상기 사행감지부(170)는 제1센서(171)와, 제2센서그룹(170a)을 포함한다.
상기 제1센서(171)는 상기 벨트풀리(13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사행본체(140)에 설치된다. 상기 제1센서(171)는 상기 벨트(120)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센서(171)는 센서브라켓(142)으로 사행본체(140)에 설치된다.
상기 제2센서그룹(170a)은 상기 제1센서(17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정렬된 복수의 제2 센서(171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센서(171a) 사이의 간격은 대략 1m 정도로 한다. 도 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된 7개의 제2 센서(171a)(폭 방향 양측으로 14개의 제2 센서(171a))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0m 이상에 걸쳐 10개 이상의 제2 센서(171a)(폭 방향 양측으로 20개 이상의 제2 센서(171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센서(171a)는 상기 프레임(110-1)에 센서브라켓(112)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센서(171)와 제2 센서(171a)에는 상하로 벨트(120)에 직접 접촉되어 사행을 감지하는 센싱부(1711)가 구비되어, 이송측 사행 및 리턴측 사행이 감지된다. 벨트(120)가 상기 센싱부(1711)를 가압하면 센싱부(1711)가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되고, 회전한 정보가 벨트(120)에 의한 가압 신호로 되어 제어부로 전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본체(150)에 설치된 벨트풀리(130)와 인접하게 상기 사행본체(140)에 설치되어 벨트풀리(13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센서(171)와, 상기 제1센서(171)로부터 이격되며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정렬된 복수의 제2센서(171a)로 이루어진 제2센서부(170a)에서 사행이 감지되므로, 벨트(120)의 사행이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실제로 벨트풀리(120)와 인접한 제1센서(171)에서 사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벨트(120)의 출렁임(공진) 등에 의하여 벨트(120)에 사행이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때 제2센서부(170a)에서 사행이 감지되어 가동실린더(143)가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행감지부(170)를 이루는 제1센서(171)와 제2센서부(170a)를 이루는 제2센서(171a)에서 감지된 벨트(120) 감지 신호와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사행 측정 데이터가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의 입력값이 되어 학습되고, 제1센서(171)와 제2센서부(170a)의 감지 신호로부터 사행 발생 정도가 연산되고 가동실린더(143)의 작동이 제어되어 실제 발생하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력유지부(180)는 와이어풀리(181)와, 방향전환풀리(182)와, 와이어프레임(183)과, 방향전환풀리(184)와, 웨이트(185)와, 와이어(187)와, 고정부(189)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풀리(181)는 상기 사행본체(140)의 후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방향전환풀리(182)는 상기 고정부(189)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프레임(183)은 상기 고정부(189)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풀리(184)는 상기 와이어프레임(183)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웨이트(185)는 와이어프레임(183)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된 와이어(187)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187)는 일단이 고정부(189)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풀리(181)와, 고정부(189)의 방향전환풀리(182) 및 와이어프레임(183)의 방향전환풀리(184)를 차례로 감아 타측이 와이어프레임(183)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89)는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그 후방에 와이어프레임(183)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89)가 와이어프레임(183)이 설치되는 기초가 되어, 와이어프레임(183)의 하부에 와이어프레임(183)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방향전환풀리(182)는 와이어프레임(18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고정부(189)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100)은 상기 사행감지부(170)를 이루는 제1센서(171)와 제2 센서(171a)로 이루어진 제2 센서그룹(170a)이 직접 벨트(120)에 접촉하여 사행이 감지되고 감지된 벨트(120)의 사행을 사행감지부(170)로 전달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센싱을 전달하기 위한 부품이 필요 없어 부품 수가 감소하며 사행 감지 전달 부품의 변형이나 고장 등에 의한 감지 불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센서(171)와 제2 센서(171a)가 직접 벨트(120)에 접촉하면서도, 벨트가압부(160)를 이루는 벨트가압수단(160-1, 160-3)이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벨트(120)를 폭 방향 내향 가압하므로 제1센서(171) 및 제2 센서(171a)와 벨트(172)의 접촉은 약화되어 벨트(120) 손상 등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사행감지부(170)에서 감지된 벨트(120)의 사행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에서 제어 명령으로 가동실린더(143)로 유압(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회전본체(150)가 회전되어 사행을 방지한다.
상기 벨트가압부(160)를 이루는 벨트가압수단(160-1)이 제1센서(171)와 회전본체(150)에 설치된 벨트풀리(130) 사이에서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또 하나의 벨트가압수단(160-3)은 제1센서(171)와 제2센서그룹(170a) 사이에서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므로 벨트(110)가 사행하여 벨트가압부(160)를 가압할 때 제1센서(171)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벨트가압부(160)에 의해서 벨트(120)가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사행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100: 컨베이어 벨트시스템 110: 프레임부
120: 벨트 130: 벨트풀리
140: 사행본체 150: 회전본체
160: 벨트가압부 170: 사행감지부
180: 장력유지부

Claims (5)

  1. 이송롤러와 리턴롤러가 이격되어 설치된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벨트풀리(130)와, 양측의 벨트풀리(130)를 감아 구비되는 벨트(120)와, 벨트가압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행본체(140)와, 상기 사행본체(140)에 피봇베어링(151)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본체(150)와, 일측은 사행본체(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본체(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에 의하여 사행본체(140)에 대하여 회전본체(150)를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동실린더(143)와, 벨트(120)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풀리(130) 중 하나는 회전본체(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행감지부(170)는 벨트풀리(13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사행본체(140)에 설치되며 벨트(120)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제1센서(171)와, 상기 제1센서(171)로부터 이격되어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며 벨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정렬된 복수의 제2 센서(171a)로 이루어진 제2센서그룹(170a)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가압부(160)는 제1센서(171)와 회전본체(150)에 설치된 벨트풀리(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사행본체(140)에 설치되며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벨트가압수단(160-1)과, 상기 제1센서(171)와 제2센서그룹(170a)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며 벨트(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벨트가압수단(160-3)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가압수단(160-1, 160-3)은 사행본체(140)나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안내부재(162)를 가지는 설치브라켓(161)과, 상기 안내부재(162)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안내로드(167)를 가지는 롤러브라켓(163)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롤러브라켓(16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행억제롤러(165)와, 상기 롤러브라켓(163)과 설치브라켓(161) 사이에 구비된 가압부스프링(164)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브라켓(163)은 폭 방향 외향 절곡 연장되어 단부가 설치브라켓(161)의 폭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절곡부(1631)를 포함하여, 폭 방향 내측에서 벨트(120)가 사행억제롤러(165)를 폭 방향 외향 가압하면 가압부스프링(164)은 압축하고 안내로드(167)는 안내부재(162)를 따라 폭 방향 외향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절곡부(1631)가 설치브라켓(161)에 접촉하여 스토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100).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벨트(12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유지부(180)는 사행본체(140)의 후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풀리(181)와,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부(189)와, 상기 고정부(189)의 후방에 설치되는 와이어프레임(183)과, 상기 고정부(189)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향전환풀리(182)와, 상기 와이어프레임(183)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향전환풀리(184)와, 와이어(187)와, 웨이트(185)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187)는 일단이 고정부(189)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풀리(181)와, 고정부(189)의 방향전환풀리(182) 및 와이어프레임(183)의 방향전환풀리(184)를 차례로 감아 타측이 와이어프레임(183)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웨이트(185)는 와이어프레임(183)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된 와이어(187)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1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감지부(170)를 이루는 제1센서(171)와 제2센서부(170a)를 이루는 제2센서(171a)에서 감지된 벨트(120) 감지 신호와 사행 발생 정도가 측정된 값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의 입력값이 되고, 제1센서(171)와 제2센서부(170a)의 감지 신호로부터 사행 발생 정도가 연산되고 가동실린더(143)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100).
KR1020210060996A 2021-05-11 2021-05-11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KR10235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996A KR102354611B1 (ko) 2021-05-11 2021-05-11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996A KR102354611B1 (ko) 2021-05-11 2021-05-11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611B1 true KR102354611B1 (ko) 2022-01-24

Family

ID=8005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996A KR102354611B1 (ko) 2021-05-11 2021-05-11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581A (ko) 2012-10-29 2014-05-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센터링장치
JP2018144969A (ja) * 2017-03-07 2018-09-20 大成建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修正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KR102141394B1 (ko) * 2020-03-02 2020-08-05 (주)모백스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KR102167994B1 (ko) * 2020-08-11 2020-10-21 (주)한뫼테크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581A (ko) 2012-10-29 2014-05-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센터링장치
JP2018144969A (ja) * 2017-03-07 2018-09-20 大成建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修正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KR102141394B1 (ko) * 2020-03-02 2020-08-05 (주)모백스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KR102167994B1 (ko) * 2020-08-11 2020-10-21 (주)한뫼테크 컨베이어 벨트의 유압식 자동 사행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03050B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tension of scraper chains
FI82226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atning av tryckalster till en separeringsanordning, saerskilt en ilaeggare.
CN101934923A (zh) 链条张力板中的自动工作面输送带链条张力负载传感器
CN101934925A (zh) 双传感器链条断裂检测器
CN101934920A (zh) 可在主闸端延伸的铠装工作面输送带
GB1603660A (en) Apparatus for handling a multiplicity of articles in a convergent path and side guide means therefor
US9302853B2 (en) Installation with at least one continuous conveyor belt for conveying materials and products
US7171906B2 (en) Friction-drive carriage type conveyor
KR102354611B1 (ko)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CN87105651A (zh) 轴向调整生产型钢用轧机机座轧辊的装置
GB218290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webs or conveyor belts relative to associated guide or deflecting rollers
FI62509B (fi) Anordning foer vertikal efterslaepning av styrslaederna pao lidningsrullarnas axlar vid lindning av materialbanor i en bduelbaervalsrullmaskin
EP0753477A3 (de) Vorrichtung zur Bogenauslage in einer Bogendruckmaschine
US4842130A (en) Belt bender
CA2262571A1 (en) Adjustable length conveyor system
US3024955A (en) System for centering a moving web
CN216888775U (zh) 一种板材扶正装置
US4646402A (en) Stretching machine
CN210103035U (zh) 一种等距离收卷机构
CN210479999U (zh) 一种皮带输送机跑偏调整机构
US4469286A (en) Free floating rider roll beam mounting
KR100466231B1 (ko) 이송콘베이어 벨트의 벨트 센터링장치
US5517766A (en) Paper machine drying section
KR200179918Y1 (ko) 코일의 정위치 제어장치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