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394B1 -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394B1
KR102141394B1 KR1020200025943A KR20200025943A KR102141394B1 KR 102141394 B1 KR102141394 B1 KR 102141394B1 KR 1020200025943 A KR1020200025943 A KR 1020200025943A KR 20200025943 A KR20200025943 A KR 20200025943A KR 102141394 B1 KR102141394 B1 KR 10214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meandering
information
mean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혁
Original Assignee
(주)모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백스 filed Critical (주)모백스
Priority to KR102020002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물을 대량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조정하여 설비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활용하여 설비 빛 정비자재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정비를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송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재(100)와,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을 가압하여 사행을 조정하는 사행조정부재(200)와, 사행감지부재(100)를 통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인식하고 사행조정부재(200)를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Smart conveyor tilt motion correction system}
본 발명은 운송물을 대량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조정하여 설비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활용하여 설비 빛 정비자재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정비를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 운송장치는 구동원에 의해 일정한 거리를 자동적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운송물을 대량으로 운반하는 운송장치 이다. 일예로 컨베이어벨트 운송장치는 다양한 공정에서 석탄이나 코크스, 석회석이나 철광석 등을 소결공장이나 코크스공장 또는 전기로 등으로 이송하여 투입시키는 등 원료 수송과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광석, 석탄, 코크스 등과 같은 운송물은 하역기를 통하여 하역된 후 컨베이어벨트를 통하여 제철공장의 야적장까지 장거리 운송되는데, 운송라인의 변경구간인 슈트를 통과할 때의 운송물의 입도, 비중, 종류 등 운송물의 조건에 따라, 또는 작동되는 컨베이어벨트의 작동 상태에 따라 슈트를 통하여 낙하 적재되는 하부라인의 컨베이어벨트에서 벨트의 사행(斜行)이 손쉽게 발생된다.
여기서, 컨베이어벨트가 야외의 야적장에 설치됨에 따라 야외에서 발생되는 바람(풍압)에 의해 사행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되고 있다.
특히,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은 많은 양의 운송물이 일시에 슈트를 통해 하부라인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재되는 경우, 컨베이어벨트의 중앙부분에 적재되지 않고 벨트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몰리는 편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슈트(chute)를 통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중앙에 운송물이 적재되면 컨베이어벨트는 정상적으로 이송되지만, 운송물이 컨베이어벨트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려 적재되면, 컨베이어벨트는 정상적으로 주행되지 않고, 우측 또는 좌측으로 치우쳐 경사 주행하게 되어 설비의 파손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10-2020-0015972호가 2020.02.14.일자로 대한민국특허청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송물을 대량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조정하여 설비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활용하여 설비 빛 정비자재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정비를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은, 운송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재(100)와,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을 가압하여 사행을 조정하는 사행조정부재(200)와, 사행감지부재(100)를 통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인식하고 사행조정부재(200)를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를 포함하고, 사행감지부재(100)는 컨베이어벨트(1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0)의 일측이 가압됨을 감지하는 일측감지센서(110)와, 컨베이어벨트(10)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0)의 타측이 가압됨을 감지하는 타측감지센서(120)를 포함하고, 일측감지센서(110)는 컨베이어벨트(10)가 이동하면서 접촉되면 회전되는 회전롤러(111)와, 회전롤러(111)가 연결되는 회전체(112)와, 회전체(112)가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체(112)가 기울어지면 감지하는 회전감지부(113)와, 회전감지부(113)에서 회전체(11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사행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행정보전송부(114)를 포함하고, 사행조정부재(200)는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근접되는 양측조정롤러(210)와, 컨베이어벨트(10)의 하부에 지지되는 하부조정롤러(220)와, 양측조정롤러(210) 및 하부조정롤러(2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프레임(230)과, 롤러프레임(230)의 밸런스운동을 지지하는 밸런스운동부(240)와, 밸런스운동부(24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가이드(250)와, 좌우가이드(250)를 따라 밸런스운동부(2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260)와, 좌우이동부(260)가 작동되도록 제어부재(300)로부터 전송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좌우가이드(250)는 밸런스운동부(240)가 연결되는 가이드블록(251)과, 가이드블록(2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블록가이드(252)를 포함하고, 가이드블록(251)의 측면에는 레크기어(253)가 형성되며, 블록가이드(252)는 가이드블록(251)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내부공간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부로 개방되고, 외측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되는 관통구(2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좌우이동부(260)는 블록가이드(252)의 관통구(254)를 통해 가이드블록(251)의 레크기어(253)에 교합되는 피니언(261)과, 피니언(2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측감지센서(110) 및 타측감지센서(120)는 각각 고유ID가 부여되면서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행정보와 함께 ID정보를 전송하고, 제어부재(300)는 일측감지센서(110) 및 타측감지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310)와, 정보관리부(320)에 사행정보 및 ID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320)와, 수신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와 함께 시간을 매칭시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관리부(330)와, 정보관리부(320)에서 관리되는 사행정보, ID정보 및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340)와, 수신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를 근거로 사행조정부재(200)를 작동시키는 사행작동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송물을 대량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조정하여 설비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활용하여 설비 빛 정비자재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정비를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가 사행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가 사행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송물이 편중되어 컨베이어벨트가 사행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사행조정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행조정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부재를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은, 운송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재(100)와,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을 가압하여 사행을 조정하는 사행조정부재(200)와, 사행감지부재(100)를 통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인식하고 사행조정부재(200)를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벨트(10)의 상부에는 호퍼(20)가 구비되어 있어서 호퍼(20)를 통해 낙하되는 운송물이 컨베이어벨트(10)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10)가 회전되면 운송물이 이송된다.
컨베이어벨트(10)의 하부에는 블레이드(30)가 구비되어 있어서 컨베이어벨트(10)의 표면에 부착된 운송물의 찌꺼기가 제거될 수 있다.
블레이드(30)에서 이격되게 스파이럴롤러(40)가 구비되어 있어서 블레이드(30)에 의해 미처 제거되지 못한 운송물의 찌꺼기가 컨베이어벨트(10)에서 제거될 수 있다.
스파이럴롤러(40)의 에서 이격되게 트랙커롤러(tracker roller)(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컨베이어벨트(10)가 바른 자세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10)에는 장력조절롤러(60)가 구비되어 있어서 컨베이어벨트(1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감지부재(100)는 컨베이어벨트(1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0)의 일측이 가압됨을 감지하는 일측감지센서(110)와, 컨베이어벨트(10)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0)의 타측이 가압됨을 감지하는 타측감지센서(120)를 포함한다.
일측감지센서(110) 및 타측감지센서(120)는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위치된다.
일측감지센서(110)는 컨베이어벨트(10)가 이동하면서 접촉되면 회전되는 회전롤러(111)와, 회전롤러(111)가 연결되는 회전체(112)와, 회전체(112)가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체(112)가 기울어지면 감지하는 회전감지부(113)와, 회전감지부(113)에서 회전체(11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사행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행정보전송부(114)를 포함한다.
회전롤러(111)는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10)가 접촉되면 회전되므로 컨베이어벨트(10)가 마찰되지 않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
회전체(112)는 회전감지부(113)에 수직되고 컨베이어벨트(10)가 회전롤러(111)에 접촉되면서 가압하면 회전롤러(111)와 함께 기울어지고, 컨베이어벨트(10)가 회전롤러(111)에 접촉되지 않으면 탄성체(미도시)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되어서 수직된다.
회전감지부(113)는 회전체(112)가 수직된 상태인지 기울어진 상태인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감지부(113)는 회전체(112)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사행정보전송부(114)는 근거리통신으로 사행정보를 제어부재(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운송물이 컨베이어벨트(10)의 일측에 편중되게 안착되어 컨베이어벨트(10)가 사행되는 상태로 이동하면서 회전롤러(111)에 접촉되면, 회전롤러(111)가 회전되면서 회전체(112)와 함께 기울어진다. 이때, 회전감지부(113)가 회전체(11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사행정보전송부(114)가 사행정보를 제어부재(3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0)가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이면 일측감지센서(110)가 감지하고, 컨베이어벨트(10)가 타측으로 치우친 상태이면 타측감지센서(120)가 감지한다.
그리고, 일측감지센서(110) 및 타측감지센서(120)는 각각 고유의 ID정보가 부여되면서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사행정보전송부(114)는 제어부재(300)로 사행정보와 함께 ID정보를 전송한다. 즉, 일측감지센서(110)가 사행을 감지하면 사행정보와 함께 ID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감지부재(100)는 컨베이어벨트(10)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부재(300)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컨베이어카메라(130)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0)가 전체적으로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가 영상정보전송부(140)에 의해 제어부재(300)로 전송된다.
따라서, 제어부재(300)는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근거로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파악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조정부재(200)는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근접되는 양측조정롤러(210)와, 컨베이어벨트(10)의 하부에 지지되는 하부조정롤러(220)와, 양측조정롤러(210) 및 하부조정롤러(2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프레임(230)과, 롤러프레임(230)의 밸런스운동을 지지하는 밸런스운동부(240)와, 밸런스운동부(24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가이드(250)와, 좌우가이드(250)를 따라 밸런스운동부(2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260)와, 좌우이동부(260)가 작동되도록 제어부재(300)로부터 전송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부(270)를 포함한다.
양측조정롤러(210)들이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근접되므로 컨베이어벨트(1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이동하면 어느 한쪽의 양측조정롤러(210)에 지지되어서 바른 자세로 조정될 수 있다.
하부조정롤러(220)는 컨베이어벨트(10)의 하부에 접촉되어서 지지하므로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진동이 감쇄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230)의 전방에서 양측에 양측조정롤러(210)들이 구비되고, 롤러프레임(230)의 후방에서 상부에 하부조정롤러(220)가 구비된다.
밸런스운동부(240)는 롤러프레임(230)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241)와, 연결부(24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부(241)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됨을 지지하는 지지부(242)를 포함한다.
연결부(241)가 하부조정롤러(220)의 하방에 위치되고, 지지부(242)는 연결부(241)에 회전축으로 연결된다. 즉, 지지부(242)를 기준으로 연결부(241)가 회전되어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조정롤러(220)가 컨베이어벨트(10)의 하부에 위치되면 양측조정롤러(210)들의 하중에 의해 롤러프레임(230)과 함께 밸런스운동부(240)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되므로, 하부조정롤러(220)가 컨베이어벨트(10)의 하부에 밀착되고, 양측조정롤러(210)들의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위치된다.
좌우가이드(250)는 밸런스운동부(240)가 연결되는 가이드블록(251)과, 가이드블록(2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블록가이드(252)를 포함한다.
가이드블록(251)의 상부에는 밸런스운동부(240)의 지지부(242)가 연결되고, 가이드블록(251)의 측면에는 레크기어(253)가 형성된다.
블록가이드(252)는 가이드블록(251)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내부공간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부로 개방되고, 외측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되는 관통구(254)가 형성된다.
좌우이동부(260)는 블록가이드(252)의 관통구(254)를 통해 가이드블록(251)의 레크기어(253)에 교합되는 피니언(261)과, 피니언(2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62)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62)는 피니언(261)에 축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이동부(260)는 가이드블록(251)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좌우작동부(270)는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제어부재(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좌우작동부(270)의 작동에 의해 블록가이드(252)에서 가이드블록(251)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되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운동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재(300)는 일측감지센서(110) 및 타측감지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310)와, 정보관리부(320)에 사행정보 및 ID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320)와, 수신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와 함께 시간을 매칭시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관리부(330)와, 정보관리부(320)에서 관리되는 사행정보, ID정보 및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340)와, 수신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를 근거로 사행조정부재(200)를 작동시키는 사행작동부(3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보수신부(310)에서 사행정보 및 ID정보를 수신되어서 정보관리부(320)에 저장되어서 관리될 뿐만 아니라, 사행정보 및 ID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함께 정보전송부(340)를 통해 외부의 관리센터에 구비된 서버로 전송된다. 따라서, 관리센터에서는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동작이 어느 시간에 몇 번 발생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어서 컨베이어벨트(10)의 관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사행작동부(350)가 사행조정부재(200)를 작동시키므로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동작이 즉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300)는 사행감지부재(100)인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근거로 사행동작을 판단하고, 사행동작을 판단하면 사행작동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운송물을 대량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조정하여 설비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활용하여 설비 빛 정비자재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정비를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컨베이어밸트 20 : 호퍼
30 : 블레이드 40 : 스파이럴롤러
50 : 트랙커롤러 60 : 장력조절롤러
100 : 사행감지부재 110 : 일측감지센서
111 : 회전롤러 112 : 회전체
113 : 회전감지부 114 : 사행정보전송부
120 : 타측감지센서
200 : 사행조정부재 210 : 양측조정롤러
220 : 하부조정롤러 230 : 롤러프레임
240 : 밸런스운동부 250 : 좌우가이드
251 : 가이드블록 252 : 블록가이드
253 : 레크기어 254 : 관통구
260 : 좌우이동부 261 : 피니언
262 : 회전부재 270 : 좌우작동부
300 : 제어부재 310 : 정보수신부
320 : 시간체크부 330 : 정보관리부
340 : 정보전송부 350 : 사행작동부

Claims (5)

  1. 운송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재(100)와,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을 가압하여 사행을 조정하는 사행조정부재(200)와,
    사행감지부재(100)를 통해 컨베이어벨트(10)의 사행을 인식하고 사행조정부재(200)를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를 포함하고,
    사행감지부재(100)는
    컨베이어벨트(1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0)의 일측이 가압됨을 감지하는 일측감지센서(110)와,
    컨베이어벨트(10)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0)의 타측이 가압됨을 감지하는 타측감지센서(120)를 포함하고,
    일측감지센서(110)는
    컨베이어벨트(10)가 이동하면서 접촉되면 회전되는 회전롤러(111)와,
    회전롤러(111)가 연결되는 회전체(112)와,
    회전체(112)가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체(112)가 기울어지면 감지하는 회전감지부(113)와,
    회전감지부(113)에서 회전체(11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사행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행정보전송부(114)를 포함하고,
    사행조정부재(200)는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 근접되는 양측조정롤러(210)와,
    컨베이어벨트(10)의 하부에 지지되는 하부조정롤러(220)와,
    양측조정롤러(210) 및 하부조정롤러(2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프레임(230)과,
    롤러프레임(230)의 밸런스운동을 지지하는 밸런스운동부(240)와,
    밸런스운동부(24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가이드(250)와,
    좌우가이드(250)를 따라 밸런스운동부(2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260)와,
    외부로부터 전송되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좌우이동부(260)를 작동시키는 좌우작동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가이드(250)는
    밸런스운동부(240)가 연결되는 가이드블록(251)과,
    가이드블록(2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블록가이드(252)를 포함하고,
    가이드블록(251)의 측면에는 레크기어(253)가 형성되며,
    블록가이드(252)는 가이드블록(251)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내부공간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부로 개방되고, 외측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되는 관통구(2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좌우이동부(260)는
    블록가이드(252)의 관통구(254)를 통해 가이드블록(251)의 레크기어(253)에 교합되는 피니언(261)과,
    피니언(2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감지센서(110) 및 타측감지센서(120)는 각각 고유ID가 부여되면서 컨베이어벨트(10)의 양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행정보와 함께 ID정보를 전송하고,
    제어부재(300)는
    일측감지센서(110) 및 타측감지센서(120)에서 전송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310)와,
    정보관리부(320)에 사행정보 및 ID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320)와,
    수신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와 함께 시간을 매칭시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관리부(330)와,
    정보관리부(320)에서 관리되는 사행정보, ID정보 및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340)와,
    수신되는 사행정보 및 ID정보를 근거로 사행조정부재(200)를 작동시키는 사행작동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KR1020200025943A 2020-03-02 2020-03-02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KR10214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43A KR102141394B1 (ko) 2020-03-02 2020-03-02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43A KR102141394B1 (ko) 2020-03-02 2020-03-02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394B1 true KR102141394B1 (ko) 2020-08-05

Family

ID=7204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943A KR102141394B1 (ko) 2020-03-02 2020-03-02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611B1 (ko) * 2021-05-11 2022-01-24 대양롤랜트(주)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KR20220074530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63A (ja) * 1998-10-09 2000-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修正装置
JP2012006703A (ja) * 2010-06-24 2012-01-12 Taisei Corp ベルトコンベア監視システム
KR20120033476A (ko) * 2010-09-30 2012-04-09 박태진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63A (ja) * 1998-10-09 2000-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修正装置
JP2012006703A (ja) * 2010-06-24 2012-01-12 Taisei Corp ベルトコンベア監視システム
KR20120033476A (ko) * 2010-09-30 2012-04-09 박태진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30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KR102354611B1 (ko) * 2021-05-11 2022-01-24 대양롤랜트(주)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394B1 (ko)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
EP3680199A1 (en) Loading device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ame
US11332313B2 (en) Conveyor belt monitoring system
CN101765849B (zh) 卡片处理装置
US20200354164A1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KR102277623B1 (ko)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물품 분류 방법
KR100926527B1 (ko)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CN113727925A (zh) 紧凑型分拣机
JP2023523054A (ja) 仕分け車両、荷物仕分けシステムおよび荷物仕分け方法
CN110653162A (zh) 流水线化自动分拣回收设备
CN110606347A (zh) 传输机及运货小车
JP2013091546A (ja) 空容器回収装置
US9994400B2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CN212284929U (zh) 一种物流分拣台
JP2000313518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2011190089A (ja) スタッカー
CN111266319A (zh) 供件设备、控制方法、分拣系统和装置
KR101694469B1 (ko) 기판 적재운송기
CN110884868B (zh) 一种物料装车系统
CN211619205U (zh) 一种物料装车系统
KR101893980B1 (ko) 층간 반송 시스템
KR20180064756A (ko) 컨베이어 벨트의 아이들러 센싱 정보처리 시스템
KR100444266B1 (ko)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
KR200251299Y1 (ko)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
KR10216659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