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527B1 -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527B1
KR100926527B1 KR1020080076125A KR20080076125A KR100926527B1 KR 100926527 B1 KR100926527 B1 KR 100926527B1 KR 1020080076125 A KR1020080076125 A KR 1020080076125A KR 20080076125 A KR20080076125 A KR 20080076125A KR 100926527 B1 KR100926527 B1 KR 10092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meandering
belt
uni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경
김기열
서상원
서장석
최종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진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진기술(주) filed Critical 한국전진기술(주)
Priority to KR102008007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6Acous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벨트에 찢어짐, 마모, 절손, 양 끝단 마모, 걸림에 의한 훼손 등이 발생하면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을 알려주고,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하도록 한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는, 컨베이어벨트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감지부;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판단부가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으로 판단하면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의 사행보정신호에 근거하여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시키는 사행 보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행 보정을 위해 벨트 컨베이어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벨트 컨베이어의 정비점검의 횟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컨베이어벨트, 사행, 보정, 훼손, 알람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mpensating meander of conveyer-bel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에 훼손 발생을 알려주고,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구동풀리와 리턴풀리에 띠 형상의 타원궤도로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걸고, 컨베이어벨트의 이송을 위한 이송 롤러가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는 특정 운송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운송물을 하역하는 설비에서 적치 장소까지 이송하는 해송 라인과 육송 라인, 그리고, 기타의 설비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이송거리가 멀고, 이송 방향의 전환이 필요할 경우에는 벨트 컨베이어를 하나의 컨베이어벨트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개의 컨베이어벨트에 의존해야 한다. 이때 이송 방향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방향전환 장치에 의하여 운송물을 다른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00)는 운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110)와, 컨베이어벨트(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풀리(120) 및 리턴풀리(130)와, 컨베이어벨트(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컨베이어벨트(110)를 지지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처짐을 방지하는 이송 롤러(140), 및 이송 롤러(1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150)로 구성된다.
이때, 구동풀리(120)와 리턴풀리(130) 사이에는 다수의 이송 롤러(14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컨베이어벨트(1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회전 되도록 한다. 벨트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리턴풀리(130)에 의해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지지하는 하부 롤러(160)를 추가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100)는 운송 과정에서 운송물의 종류와 수분의 함유량이나 비중 등 운송물의 상태와 슈트의 마모상태나 부착물질, 낙하 각도 등의 문제점으로 벨트 컨베이어(100) 상부의 운송물이 편적 및 편기 현상과 설비적인 원인(예를 들어, 롤러가 일정한 높이를 갖지 못하거나, 프레임의 벤딩 등)으로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100)는 통상 빠른 속도로 구동되므로 컨베이어벨트(110)에 의해 이송되는 날카로운 철편이나, 원석의 모서리가 컨베이어벨트(110)의 표면에 영향을 줄 경우, 컨베이어벨트(110)의 진행에 따라 짧은 시간 내 에 컨베이어벨트(110)가 길이방향으로 절손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컨베이어벨트(110)가 절손될 수 있다. 그리하면, 컨베이어벨트(110)의 교체가 완료되기까지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운송물 이송이 중단되어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컨베이어벨트에 찢어짐, 마모, 절손, 양 끝단 마모, 걸림에 의한 훼손 등이 발생하면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을 알려주고,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하도록 한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동풀리 및 리턴풀리에 의해 타원궤도로 회전하고, 컨베이어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벨트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감지부;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판단부가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으로 판단하면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의 사행보정신호에 근거하여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시키는 사행 보정부를 포함한다.
영상 감지부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 컨베이어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을 촬영한다.
영상 감지부는, 벨트 컨베이어의 지지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면을 촬영한다.
영상 감지부는, 벨트 컨베이어의 지지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리턴풀리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로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한다.
영상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전센서를 구비한다.
사행 보정부는, 이송 롤러를 지지하고, 일측이 벨트 컨베이어의 지지구조물에 회전축으로 통해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구조물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판단부는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 여부를 추가로 판단한다.
리턴풀리에 의해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의 두께를 감지하고, 이를 두께 측정값으로 하여 전송하는 두께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판단부는, 기설정된 컨베이어벨트의 두께 설정값 및 두께 감지부로부터의 두께 측정값을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판단부에서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판단부에서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컨베이어벨트의 훼손을 알려주기 위해 알람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로부터의 알람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을 알려주는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은, 컨베이어벨트가 구동풀리 및 리턴풀리에 의해 타원궤도로 회전하고, 컨베이어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에 있어서, 영상 감지부가,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벨트 영상 감지단계; 판단부가,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사행 판단단계; 제어부가, 사행 판단단계에서의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으로 판단하면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단계; 및 사행 보정부가, 사행보정신호에 근거하여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시키는 사행 보정단계를 포함한다.
벨트 영상 감지단계에서는, 영상 감지부가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을 촬영한다.
벨트 영상 감지단계에서는, 영상 감지부가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면을 촬영한다.
벨트 영상 감지단계에서는, 영상 감지부가 리턴풀리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로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한다.
판단부가,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훼손 판단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두께 감지부가, 리턴풀리에 의해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의 두께를 감지하고, 이를 두께 측정값으로 하여 전송하는 벨트두께 감지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판단부가, 기설정된 컨베이어벨트의 두께 설정값 및 벨트두께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두께 측정값을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훼손 판단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단계에서는, 판단단계에서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제어부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을 알려주도록 제어한다.
저장부가,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표시부가, 상기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은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여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발행 여부를 판단하고, 사행발생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사행 보정을 위해 벨트 컨베이어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벨트 컨베이어의 정비점검의 횟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은 컨베이어벨트에 서 찢어짐, 마모, 절손, 양 끝단 마모, 걸림에 의한 훼손 등이 발생하면 벨트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고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을 알림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훼손으로 인해 운송물의 훼손 및 쏟아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영상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두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사행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도 2의 사행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는 영상 감지부(210), 두께 감지부(220), 판단부(230), 제어부(240), 사행 보정부(250), 알람부(260), 구동부(270), 저장부(280), 표시부(290)를 포함한다.
영상 감지부(210)는 구동풀리(120)에 의해 구동하여 운송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판단부(230)로 전송한다. 즉, 영상 감지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140)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150)의 상부에 설치된 영상 감지부 지지대(218)에 설치된 제1영상 감지부(212)와 제2영상 감지부(214) 및 제3영상 감지부(216)를 포함하고, 구동풀리(120)에 의해 구동하여 운송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판단부(230)로 전송한다.
영상 감지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140)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1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리턴풀리(130)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0)의 하부로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판단부(2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영상 감지부(210)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벨트 컨베이어(10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구동풀리(120)에 의해 구동하여 리턴풀리(130)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판단부(2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영상 감지부(210)는 물체를 촬영하여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비전 센서(Vision Sensor)가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 감지부(210)는 제1영상 감지부(212)와 제2영상 감지부(214) 및 제3영상 감지부(216)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영상 감지부(210)의 수는 이송 롤러(140)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설치되는 영상 감지부(210)의 수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도 있다.
두께 감지부(220)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를 감지한다. 즉, 두께 감지부(220)는 리턴풀리(130)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0)의 하부로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를 감지한다. 두께 감지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00)의 하부로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중심으로 상부에 장착되는 제1두께 감지부(220a) 및 하부에 장착되는 제2두께 감지부(22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두께 감지부(220a)는 제1신호 발생부(221a)로부터 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까지의 길이(예컨대, 도 5의 b 길이)를 측정하고, 제2두께 감지부(220b)는 제2신호 발생부(221b)로부터 컨베이어벨트(110)의 하부면까지의 길이(예컨대, 도 5의 c 길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두께 감지부(220)는 하나의 센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다수개의 고정된 센서가 설치되어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두께 감지부(220)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센서가 사용되며, 제1두께 감지부(220a) 및 제2두께 감지부(220b) 사이의 길이(예컨대, 도 5의 a)에서 제1신호 발생부(221a)로부터 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까지의 길이(예컨대, 도 5의 b 길이) 및 제2신호 발생부(221b)로부터 컨베이어벨트(110)의 하부면까지의 길이(예컨대, 도 5의 c 길이)를 감산하여 벨트의 두께(예컨대, 도 5의 d)를 산출한다. 여기서, 두께 감지부(220)는 기설정된 벨트두께 설정값(즉, 정상인 컨베이어벨트(110)의 두 께)에서 기산출한 벨트의 두께를 감산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마모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두께 감지부(220)는 산출한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 또는 마모도를 벨트두께 측정값으로 하여 전송한다.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을 근거로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 및 제3영상 감지부(216)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예컨대, 도 6의 (a)에서 g, 도 6의 (c)에서 h)을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예컨대, 도 6의 (a)에서 g)이 제3영상 감지부(212)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예컨대, 도 6의 (c)에서 h)보다 넓으면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을 근거로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상 감지부(212)와 제2영상 감지부(214) 및 제3영상 감지부(216)로부터 각각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와 같은 영상신호를 수신하면,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 및 제3영상 감지부(216)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예컨대, 도 6의 (a), 도 6의 (c))에서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예컨대, 도 6의 (a)에서 e, 도 6의 (c)에서 f)을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예컨대, 도 6의 (a)에서 e)이 제3영상 감지부(216)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예컨대, 도 6의 (c)에서 f)보다 넓으면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 또는 제3영상 감지부(216)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또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을 기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제1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영상 감지부(212)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 미만이면 제3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제3영상 감지부(216)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3영상 감지부(216)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 미만이면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컨베이어벨트(110)가 정상일 때 제1영상 감지부(212) 및 제3영상 감지부(216)에서 감지되는 이송 롤러(140; 또는,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을 의미한다.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컨베이어벨트(110)에 찢어짐, 마모, 절손, 양 끝단 마모, 걸림에 의한 훼손 등에 해당하는 영상신호의 유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에 찢어짐, 마모, 절손, 양 끝단 마모, 걸림에 의한 훼손 등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검출되면 컨베이어벨트(110)에 훼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 및 제3영상 감지부(216) 중에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양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마모로 인한 찢어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검출되거나, 제2영상 감지부(214)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에 찢어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검출되면 컨베이어벨트(110)에 훼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기설정된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 설정값 및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두께 측정값을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230)는 두께 측정값이 두께 설정값 미만이면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고, 두께 측정값이 두께 설정값 이상이면 컨베이어벨트(110)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두께 설정값으로 10㎝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판단부(230)는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두께 측정값이 10㎝ 미만이면 컨베이어벨트(110)의 마모로 인한 훼손발생으로 판단하고, 두께 측정값이 10㎝ 이상이면 컨베이어벨트(110)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240)는 판단부(230)가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으로 판단하면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사행발생으로 판단하면 사행 보정부(250)가 구동하여 벨트 컨베이어(100)의 이송 롤러(140)를 회전시켜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처럼,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은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여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벨트 컨베이어(100)의 사행발행 여부를 판단하고, 사행발생시 벨트 컨베이어(100)의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사행 보정을 위해 벨트 컨베이어(100)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벨트 컨베이어(100)의 정비점검의 횟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구동부(270)가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을 알려주기 위해 알람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알람부(260)가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처럼,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은 컨베이어벨트(110)에서 찢어짐, 마모, 절손, 양 끝단 마모, 걸림에 의한 훼손 등이 발생하면 벨트 컨베이어(100)를 정지시키고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림으로써,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으로 인해 운송물의 훼손 및 쏟아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알람부(260)가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컨베이어벨트(110)에서 훼손이 발생하면 경보를 울려 작업자(또는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경보를 확인한 작업자(또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벨트 컨베이어(100)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사행 보정부(250)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사행보정신호에 근거하여 이송 롤러(140)를 지지하는 프레임(148)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한다. 즉, 사행 보정부(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로부터 사행보정신호를 수신하면 지지구조물(150)의 일측 및 프레임(148) 일측에 장착되는 실린더(255)를 구동시켜 회전축(155)을 중심으로 프레임(148)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230)가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사행 보정부(25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140)를 운송물 이송방향의 역방향(예컨대, 도 8a의 a방향)으로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한다. 판단부(230)가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사행 보정부(25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140)를 운송물 이송방향(예컨대, 도 8b의 b방향)으로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한다.
여기서, 도 7에서는 사행 보정부(250)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행 보정부(250)가 하나의 실린더(255)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실린더(25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사행 보정부(250)는 모터를 이용하여 이송 롤러(140)의 프레임(148)을 회전시키거나, 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부에 직접 힘을 가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할 수도 있다.
알람부(260)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알람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준다. 즉, 알람부(260)는 제어부(240)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소리나 빛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준다. 여기서, 알람부(260)는 발광소자(LED), 액정표시장치(LCD), 부저(BUZZER) 등과 같이 소리나 빛을 발생하는 부재가 사용된다. 알람부(260)는 후술할 표시부(290)가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주는 문자, 도형, 이미지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부(270)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구동부(270)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풀리(12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풀리(1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에 따라, 구동풀리(120)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110)의 구동이 멈추게 되어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구동부(270)가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내용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저장부(28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280)는 영상 감지부(210)에서 촬영한 컨베이어벨트(110)의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280)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한 정지 이미지(예컨대, JPG, BMP, GIF 등), 연속 이미지(예컨대, avi, asf, mp4 등) 등의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280)는 영상 감지부(210)에서 촬영되어 표시부(290)가 화면 표시하는 영상을 비디오, 동영상 등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80)는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를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저장부(280)는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280)는 두께 감지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를 대신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마모도를 저장하거나,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 및 마모도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표시부(29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표시부(29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실시간 트렌드(Trend; 또는 그래프) 형태로 화면에 표시한다. 저장부(28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저장된 시간순 서에 따라 검출하여 트렌드 형태(또는 그래프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부(290)는 작업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의 일부(예를 들면, 컨베이어벨트(110)의 양 끝단)만을 트렌드 형태(또는 그래프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신호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한 정지 이미지(예컨대, JPG, BMP, GIF 등), 연속 이미지(예컨대, avi, asf, mp4 등)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90)는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주는 문자, 도형,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표시부(290)는 제어부(240)로부터 알람신호가 발생하면 알람부(260)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도형, 이미지 등을 화면에 표시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준다.
표시부(290)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 또는 마모도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표시부(290)는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두께 측정값을 실시간 트렌드(또는 그래프) 형태로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290)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두께 측정값을 저장된 시간순서에 따라 검출하여 트렌드(또는 그래프)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부(290)는 작업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두께 측정값의 일부(예를 들면, 시간 간격)만을 트렌드 형태(또는 그래프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신호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한 정지 이미지(예컨대, JPG, BMP, GIF 등), 연속 이미지(예컨대, avi, asf, mp4 등)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90)는 저장부(280)에 누적된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 또는 마모도 를 화면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컨베이어벨트(110)의 마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290)는 LCD, CRT, PDP 등과 같이 문자, 도형, 이미지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00)의 사행 보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00)의 사행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감지부(210)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과 동시에 구동풀리(120)에 의해 구동하여 운송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판단부(230)로 전송한다(S110). 저장부(28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작업자(또는 운전자)로부터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신호를 제공한다.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20). 예를 들면,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 및 제3영상 감지부(216)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을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 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제3영상 감지부(212)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보다 넓으면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을 근거로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이 제3영상 감지부(216)에서 촬영된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보다 넓으면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 또는 제3영상 감지부(216)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또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제외한 영역의 폭)을 기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제1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영상 감지부(212)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 미만이면 제3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제3영상 감지부(216)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3영상 감지 부(216)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이 기설정된 설정값 미만이면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컨베이어벨트(110)가 정상일 때 제1영상 감지부(212) 및 제3영상 감지부(216)에서 감지되는 이송 롤러(140; 또는, 컨베이어벨트(110))의 폭을 의미한다.
판단부(230)에서 컨베이어벨트(110)에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S120; YES), 제어부(240)는 사행 보정부(250)가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한다(S130). 여기서,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제1이송 롤러(142)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사행 보정부(250)가 이송 롤러(140)를 운송물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고, 판단부(230)가 제3이송 롤러(146) 측에서 사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사행 보정부(250)가 이송 롤러(140)를 운송물 이송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한다.
사행 보정부(250)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사행보정신호에 따라 정위치한 이송 롤러(140)를 지지하는 프레임(148)을 회전시킨다(S140). 즉, 사행 보정부(250)는 제어부(240)로부터 사행보정신호에 따라 실린더(255)를 전진시켜 프레임(148)을 운송물 이송방향의 역방향(예컨대, 도 8a의 a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실린더(255)를 후진시켜 프레임(148)을 운송물 이송방향(예컨대, 도 8b의 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사행 보정부(250)는 이송 롤러(140)를 운송물 이송방향 또는 운송물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된 이송 롤러(140)를 다시 정위치하도록 회전시킨다(S150). 즉, 사행 보정부(250)는 상술한 S140 단계에서의 이송 롤러(140)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이송 롤러(140)를 회전시켜 이송 롤러(140)를 정위치시킨다.
판단부(230)는 정위치한 이송 롤러(140)를 촬영한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보정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160). 제어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사행보정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사행 보정부(250)가 상술한 S140단계 및 S150단계를 반복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은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여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벨트 컨베이어(100)의 사행발행 여부를 판단하고, 사행발생시 벨트 컨베이어(100)의 사행을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사행 보정을 위해 벨트 컨베이어(100)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벨트 컨베이어(100)의 정비점검의 횟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훼손발생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감지부(210)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과 동시에 구동풀 리(120)에 의해 구동하여 운송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판단부(230)로 전송한다. 동시에, 두께 감지부(220)는 리턴풀리(130)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0)의 하부로 리턴되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를 감지하고, 이를 벨트두께 측정값으로 하여 판단부(230)로 전송한다(S210). 이때, 두께 감지부(220)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두께 또는 마모도를 벨트두께 측정값으로 하여 전송한다. 표시부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 및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벨트두께 측정값을 트렌드(또는 그래프) 형태로 변환하여 화면 표시하고, 저장부(28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 및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벨트두께 측정값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작업자(또는 운전자)로부터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작업자(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영상신호 및 벨트두께 측정값이 저장된 정보 그대로를 제공하거나, 저장부(280)에 누적된 영상신호 및 벨트두께 측정값을 그래프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 및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벨트두께 측정값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220). 즉,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컨베이어벨트(110)에 훼손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고, 두께 측정값 및 두께 설정값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벨트(110)가 마모된 정도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230)는 영상 감지부(210)로부터의 영상신호에 컨베이어벨트(110)에 찢어짐에 해당하는 신호가 검출되면 컨베이어벨트(110)에 훼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230)는 제1영상 감지부(212) 및 제3영상 감지부(216) 중에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컨베이어벨트(110)의 양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마모로 인한 찢어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검출되거나, 제2영상 감지부(214)의 영상신호에서 컨베이어벨트(110)에 찢어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검출되면 컨베이어벨트(110)의 찢어짐으로 인한 훼손발생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두께 측정값이 두께 설정값 미만이면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두께 설정값이 10㎝으로 설정된 경우에, 판단부는 두께 감지부(220)로부터의 두께 측정값이 10㎝ 미만이면 컨베이어벨트(1110)의 마모로 인한 훼손발생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30)에서 컨베이어벨트(110)에 훼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S220; YES), 제어부(240)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230). 구동부(270)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풀리(12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풀리(1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에 따라, 구동풀리(120)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110)의 구동이 멈추게 되어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이 정지된다.
동시에, 제어부(240)는 알람부(260)가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작업자(또는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제어하기 위한 알람신호를 발생한다(S240). 알람부(260)는 제어부(240)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소리나 빛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준다. 이때, 표시부(290)는 알람부(260)를 대신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주는 문자, 도형, 이미지 등을 화면에 표시하여 작업자(또는 운전자)에게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려준다. 이처럼,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은 컨베이어벨트(110)에서 찢어짐, 마모, 절손, 양 끝단 마모, 걸림에 의한 훼손 등이 발생하면 벨트 컨베이어(100)를 정지시키고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발생을 알림으로써, 컨베이어벨트(110)의 훼손으로 인해 운송물의 훼손 및 쏟아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영상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두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사행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b는 도 2의 사행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훼손발생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벨트 컨베이어 110: 컨베이어벨트
120: 구동풀리 130: 리턴풀리
140: 이송 롤러 142: 제1이송 롤러
144: 제2이송 롤러 146: 제3이송 롤러
148: 프레임 150: 지지구조물
155: 회전축 160: 하부 롤러
210: 영상 감지부 212: 제1영상 감지부
214: 제2영상 감지부 216: 제3영상 감지부
218: 영상 감지부 지지대 220: 두께 감지부
220a: 제1두께 감지부 220b: 제2두께 감지부
221a: 제1신호 발생부 221b: 제1신호 발생부
230: 판단부 240: 제어부
250: 사행 보정부 255: 실린더
260: 알람부 270: 구동부
280: 저장부 290: 표시부

Claims (25)

  1. 컨베이어벨트가 구동풀리 및 리턴풀리에 의해 타원궤도로 회전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감지부;
    상기 리턴풀리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중심으로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까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두께 감지부와, 상기 리턴풀리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중심으로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면까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두께 감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두께 감지부에서 측정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까지의 길이 및 상기 제2두께 감지부에서 측정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면까지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두께를 산출하고, 이를 두께 측정값으로 하여 전송하는 두께 감지부;
    상기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 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제외한 영역의 폭을 근거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두께 설정값 및 상기 두께 감지부로부터의 두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사행보정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시키는 사행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지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지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지지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면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지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지지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턴풀리에 의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로 리턴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행 보정부는,
    상기 이송 롤러를 지지하고, 일측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지지구조물에 회전축으로 통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구조물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을 알려주기 위해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알람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을 알려주는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지부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15. 컨베이어벨트가 구동풀리 및 리턴풀리에 의해 타원궤도로 회전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에 있어서,
    영상 감지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벨트 영상 감지단계;
    판단부가, 상기 영상 감지단계에서 발생한 영상신호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폭 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제외한 영역의 폭을 근거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사행 판단단계;
    두께 감지부가, 상기 리턴풀리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까지의 길이 및 하부면까지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두께를 산출하고, 이를 두께 측정값으로 하여 전송하는 벨트두께 감지단계;
    상기 판단부가, 기설정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두께 설정값 및 상기 벨트두께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두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훼손 판단단계;
    제어부가, 상기 사행 판단단계에서의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사행보정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및
    사행 보정부가, 상기 사행보정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보정시키는 사행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벨트 영상 감지단계에서는,
    상기 영상 감지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벨트 영상 감지단계에서는,
    상기 영상 감지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면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벨트 영상 감지단계에서는,
    상기 영상 감지부가 상기 리턴풀리에 의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로 리턴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훼손발생을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저장부가,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표시부가, 상기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방법.
KR1020080076125A 2008-08-04 2008-08-04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92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25A KR100926527B1 (ko) 2008-08-04 2008-08-04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25A KR100926527B1 (ko) 2008-08-04 2008-08-04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527B1 true KR100926527B1 (ko) 2009-11-12

Family

ID=4156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25A KR100926527B1 (ko) 2008-08-04 2008-08-04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52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3013A1 (en) * 2011-10-13 2013-04-18 Vitech Asia-Pacific Pty Ltd Conveyor belt monitoring system and apparatus
KR20140022192A (ko) * 2012-08-13 2014-02-24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160086461A (ko) 2015-01-09 2016-07-20 폴텍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완충 가이드 장치
KR101682308B1 (ko) * 2015-07-09 2016-12-02 한국중부발전(주) 저회이송 컨베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2899B1 (ko) 2017-09-06 2018-02-28 (주)한남세라믹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석탄이송 설비용 세라믹 보강판
CN107944394A (zh) * 2017-11-27 2018-04-20 宁夏广天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对传输带上物料进行检测的视频分析方法及系统
KR20190035440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컨베이어벨트 원료 편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4013923A (zh) * 2021-11-10 2022-02-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皮带纠偏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90293A (ko) * 2020-12-22 2022-06-29 울랄라랩 주식회사 비전 센서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문제 혹은 사행문제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663A (ja) * 1992-10-21 1994-05-10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上の粉粒塊状物の積載状態の測定方法及びコンベア蛇行制御方法
KR950018576U (ko) * 1993-12-24 1995-07-22 벨트콘베이어 사행방지장치
KR20030053584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표면 손상 감지장치
JP2008094506A (ja) 2006-10-05 2008-04-24 Jrc:Kk 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663A (ja) * 1992-10-21 1994-05-10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上の粉粒塊状物の積載状態の測定方法及びコンベア蛇行制御方法
KR950018576U (ko) * 1993-12-24 1995-07-22 벨트콘베이어 사행방지장치
KR20030053584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표면 손상 감지장치
JP2008094506A (ja) 2006-10-05 2008-04-24 Jrc:Kk 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3013A1 (en) * 2011-10-13 2013-04-18 Vitech Asia-Pacific Pty Ltd Conveyor belt monitoring system and apparatus
KR20140022192A (ko) * 2012-08-13 2014-02-24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2019405B1 (ko) * 2012-08-13 2019-11-04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160086461A (ko) 2015-01-09 2016-07-20 폴텍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완충 가이드 장치
KR101682308B1 (ko) * 2015-07-09 2016-12-02 한국중부발전(주) 저회이송 컨베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2899B1 (ko) 2017-09-06 2018-02-28 (주)한남세라믹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석탄이송 설비용 세라믹 보강판
KR20190035440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컨베이어벨트 원료 편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39223B1 (ko) * 2017-09-26 2019-11-2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컨베이어벨트 원료 편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7944394A (zh) * 2017-11-27 2018-04-20 宁夏广天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对传输带上物料进行检测的视频分析方法及系统
KR20220090293A (ko) * 2020-12-22 2022-06-29 울랄라랩 주식회사 비전 센서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문제 혹은 사행문제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2139066A1 (ko) * 2020-12-22 2022-06-30 울랄라랩 주식회사 비전 센서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문제 혹은 사행문제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52274B1 (ko) * 2020-12-22 2022-10-07 울랄라랩 주식회사 비전 센서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문제 혹은 사행문제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013923A (zh) * 2021-11-10 2022-02-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皮带纠偏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527B1 (ko) 컨베이어 벨트 상태감시 및 사행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751019B1 (ko) 협잡물 이송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AU20092062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veyor belt
US11292670B2 (en) Loading device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682742B (zh) 用于检测采矿系统中输送机张力的传感器系统和方法
US7331445B2 (en) Methods and systems to facilitate spiral conveyance
US20200277143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ggregates or similar
KR20120074647A (ko) 벨트컨베이어의 편적방지장치
KR20030053731A (ko) 벨트컨베어 설비의 운반물 비정상 수송 감시장치
KR10068208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 검출장치
JP201919411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防止装置
JPH1171012A (ja) コンベヤ装置
KR101466637B1 (ko) 벨트 두께 측정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벨트 두께 측정 방법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WO2023171625A1 (ja) 搬送状態検知装置、及び搬送状態検知方法
KR101516626B1 (ko) 컨베이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4812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102157871B1 (ko) 베어링 이탈 검출장치
CN213650879U (zh) 一种粉料配料运输装置
KR100444266B1 (ko)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
KR200251299Y1 (ko)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
KR20150136370A (ko) 벨트절개 감시시스템
KR20040051772A (ko)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AU2011101449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veyor belt
KR102210427B1 (ko) 안정성을 상승시킨 벨트컨베이어용 속도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