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434B1 -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434B1
KR101204434B1 KR20100135932A KR20100135932A KR101204434B1 KR 101204434 B1 KR101204434 B1 KR 101204434B1 KR 20100135932 A KR20100135932 A KR 20100135932A KR 20100135932 A KR20100135932 A KR 20100135932A KR 101204434 B1 KR101204434 B1 KR 101204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elt
damage
belt
carrier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993A (ko
Inventor
장종렬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0013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4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43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 롤러 위에 중앙부는 하측을 향하고 양단부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원료 수송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하향 결합된 터치봉과, 상기 터치봉과 접촉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사이드 감지부와; 상기 캐리어 벨트의 직하에 설치되어 중앙은 수평이고, 양측은 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며,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 검출부의 상부와 결합된 센터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를 수송하는 캐리어 벨트의 측면과 하부면에 근접된 사이드 감지부 및 센터 감지부에 의하여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자동으로 감지해 조기에 검출후 조치를 취함으로써, 설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업이 가능하고, 전체 캐리어 벨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벨트 수명이 연장되며, 정확한 손상 부위를 파악하여 작업자의 조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BREAKAGE OF CARRIER BELT}
본 발명은 원료를 수송하는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 롤러 위에 중앙부는 하측을 향하고 양단부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원료 수송 캐리어 벨트의 센터와 사이드의 손상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원료나 연료의 운송수단으로서 벨트콘베이어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벨트콘베이어는 크게 나일론으로 된 내부강선에 고무가 덮여진 고무벨트와, 내부에 스틸강선이 적층되고 고무가 덮여지는 스틸-고무벨트로 구분되는 바, 사용상태에 따라 고중량의 원료를 운송하는 경우에는 스틸-고무벨트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고무벨트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콘베이어는 통상 양측의 구동풀리로서 벨트를 궤도운동시키고, 여러 지지롤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원료나 연료 등의 운송물을 이송시킨다.
통상 사용되는 벨트콘베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 설치된 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원료를 수송하는 캐리어 벨트(110)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벨트(110)의 저면에는 이를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캐리어 롤러(115)가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원료를 수송한 후 복귀되는 리턴 벨트(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턴 벨트(120)의 저면에는 이를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리턴 롤러(12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 벨트(110)의 상면에 원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구동풀리가 회전되면 원료가 캐리어 벨트(110)에 의하여 이송되게 되고, 이때, 상기 캐리어 벨트(110)는 저면에 캐리어 롤러(115)를 설치함에 의하여 중앙부는 하측을 향하고, 양단부는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원료의 낙광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캐리어 벨트(110)로 이송된 원료는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리턴 벨트(120)가 리턴 롤러(12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구동폴리 측으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벨트콘베이어는 각종 원료나 연료를 수송하게 되므로 그 운송과정에서 편적, 사행 및 편기 현상이 발생되어 벨트가 손상되는 바, 이로 인하여 설비 사고의 위험으로 조업이 불안정하고, 전체 벨트가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비 가동률과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의 측면과 아래에 감지봉(130)을 설치하고 벨트의 손상 부위가 접촉되어 감지봉(130)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따라 터치봉(140)이 회전하여 리미트 스위치(150)를 터치함으로써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장치를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는 벨트의 사이드와 센터 부분을 검출할 때 감지봉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터치봉이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중앙부의 검출이 불가능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으로 벨트가 편기되어 진행될 때 벨트 사이드의 손상 부위가 검출 장치 위로 통과되어 벨트의 손상부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료를 수송하는 캐리어 벨트의 측면과 하부면에 근접된 사이드 감지부 및 메인 감지부에 의하여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자동으로 감지해 조기에 검출후 조치를 취함으로써, 설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업이 가능하고, 전체 캐리어 벨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벨트 수명이 연장되며, 정확한 손상 부위를 파악하여 작업자의 조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 롤러 위에 중앙부는 하측을 향하고 양단부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원료 수송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하향 결합된 터치봉과, 상기 터치봉과 접촉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사이드 감지부와; 상기 캐리어 벨트의 직하에 설치되어 중앙은 수평이고, 양측은 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며,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 검출부의 상부와 결합된 메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위에 결합된 베어링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사이드 감지부는 하부에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 결합되는 사이드 감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홀더에는 조정레버가 부착되어 상기 사이드 감지봉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터치봉과 접촉되는 회전식 리미트 센서를 갖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를 수송하는 캐리어 벨트의 측면과 하부면에 근접된 사이드 감지부 및 메인 감지부에 의하여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자동으로 감지해 조기에 검출후 조치를 취함으로써, 설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업이 가능하고, 전체 캐리어 벨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벨트 수명이 연장되며, 정확한 손상 부위를 파악하여 작업자의 조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콘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벨트 손상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벨트 사이드의 손상부가 검출되지 않는 문제점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터치봉과 리미트 스위치가 도시된 부분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벨트 사이드의 손상부가 검출된 것을 나타낸 사진.
도 8은 리턴 벨트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료를 수송하는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캐리어 벨트의 측면과 하부면에 근접된 사이드 감지부 및 메인 감지부에 의하여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자동으로 감지해 내어 조기에 검출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료 수송 캐리어 벨트(20)는 프레임(40)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 롤러(30) 위에 중앙부는 하측을 향하고 양단부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10)는 크게 캐리어 벨트(20)의 손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캐리어 벨트(20)의 사이드 손상을 감지하는 사이드 감지부(60), 캐리어 벨트(20)의 사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손상을 감지하는 메인 감지부(70)로 구성된다.
먼저, 검출부는 회전축(50)이 프레임(40)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캐리어 벨트(2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프레임(40)에 부착된 지지판(51)과, 상기 지지판(51) 위에 결합된 베어링(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50)의 일단에는 터치봉(53)이 하향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터치봉(53)도 회전하게 되며, 그 형상은 봉 형상이 아닌 바(bar)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54)가 터치봉(53)과 접촉되도록 이격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리미트 스위치(54)는 터치봉(53)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회전식 리미트 센서(5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6의 사진에 잘 나타나 있다. 이는 회전식 리미트 센서(55)를 적용함으로써 벨트의 손상 검출후 자동으로 정상 복귀되더라도 리미트 스위치(54)가 계속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이드 감지부(60)는 회전축(50)의 양측에 상측으로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하부에 형성된 홀더(61)와, 상기 홀더(61)에 삽입 결합되는 사이드 감지봉(62)과, 상기 홀더(61)에 부착된 조정레버(63)로 이루어지며, 이는 도 5의 사진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감지부(60)는 캐리어 벨트(20)의 사이드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도 3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행으로 인해 벨트가 편기되어 진행될 때 벨트 사이드의 손상 부위가 검출 장치 위로 통과되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도 7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드 감지부의 높이가 캐리어 벨트의 사이드의 높이보다 높도록 구성하여 벨트 사이드의 손상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사이드 감지부(60)의 홀더(61)에 조정레버(63)가 부착되어 캐리어 벨트(20)의 상태에 따라 사이드 감지봉(6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메인 감지부(70)는 캐리어 벨트(20)의 하측에 설치된 수평부(71)와 상기 수평부(71)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의 경사부(72)의 단부가 사이드 검출부(60)의 상부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감지부(70)는 캐리어 벨트(20)의 직하에 캐리어 벨트(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설치됨으로써 벨트 사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손상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장치는 벨트의 사이드와 그 외의 부분을 검출할 때 감지봉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터치봉이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중앙부의 검출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 장치는 메인 감지부(70)를 사이드 감지부(60)에 직접 연결하고, 별도로 회전축(50)을 형성함으로써, 벨트의 사이드와 그 외 부분의 검출시 작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일치하게 되므로 사이드 뿐만 아니라 그 외 부분의 손상 부위의 검출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도 8은 리턴 벨트(80)의 손상을 검출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인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검출부는 리턴 벨트 양측에 설치된 프레임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하향 결합된 터치홀더(82), 상기 터치홀더(82)와 접촉되어 리턴 벨트(80)의 손상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다.
또한, 감지부는 리턴 벨트(80)의 직하에 설치된 감지봉(83)과, 상기 감지봉(83)의 양단에 상향 연결된 연결대(84)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연결대(84)의 상단은 상기 터치홀더(82)에 수용되며, 상기 터치홀더(82)에는 조정레버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대(8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캐리어 벨트(20)에 원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구동풀리가 회전되면 원료 등의 운송물이 캐리어 벨트(20)에 의하여 이송되고, 이때, 그 운송 과정에서 편적, 사행 및 편기 현상의 발생으로 캐리어 벨트(20)가 손상된 채 본 발명의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10)를 통과하게 된다.
먼저, 도 7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캐리어 벨트(20)의 사이드가 손상될 경우, 사이드 감지봉(62)이 벨트 사이드의 손상부와 접촉되고, 그에 따라 회전축(50)과 연결된 터치봉(53)이 회전하면서 리미트 스위치(54)의 회전식 리미트 센서(55)와 접촉되어 벨트 사이드의 손상이 검출된다.
한편, 캐리어 벨트(20)의 사이드 이외의 부분이 손상될 경우, 그 손상부가 벨트 직하에 설치된 메인 감지부(70)의 수평부(71)나 경사부(72)와 접촉되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임 감지부(70)와 연결된 사이드 감지부(6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사이드 감지부(60)와 연결된 회전축(50)과 터치봉(53)이 회전하면서 리미트 스위치(54)의 회전식 리미트 센서(55)와 접촉되어 벨트 사이드 외 부분의 손상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벨트 사이드나 메인부의 손상이 검출되면 비상정지 스위치에 의해 라인이 정지되고, 작업자가 손상부를 절단하게 된다.
또한, 리턴 벨트의 작동 방법도 상기 캐리어 벨트의 작동 방법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를 수송하는 캐리어 벨트의 측면과 하부면에 근접된 사이드 감지부 및 메인 감지부에 의하여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자동으로 감지해 조기에 검출후 조치함으로써, 설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벨트의 파손을 방지하며, 조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00. 프레임 110. 캐리어 벨트(carrier belt)
115. 캐리어 롤러 120. 리턴 벨트(return belt)
125. 리턴 롤러 130. 감지봉
140. 터치봉 150. 리미트 스위치
160. 회전롤
10.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20. 캐리어 벨트
30. 캐리어 롤러 40. 프레임
50. 회전축 51. 지지판
52. 베어링 53. 터치봉
54. 리미트 스위치 55. 리미트 센서
60. 사이드 감지부 61. 홀더
62. 사이드 감지봉 63. 조정레버
70. 메인 감지부 71. 수평부
72. 경사부
80. 리턴 벨트 81. 리턴 롤러
82. 터치홀더 83. 감지봉
84. 연결대

Claims (5)

  1. 프레임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 롤러 위에 중앙부는 하측을 향하고 양단부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원료 수송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하향 결합된 터치봉과, 상기 터치봉과 접촉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손상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 벨트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사이드 감지부와;
    상기 캐리어 벨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의 양측의 경사부의 단부가 상기 사이드 검출부의 상부와 결합된 메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위에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감지부는 회전축의 양측에 상측으로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 결합되는 사이드 감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조정레버가 부착되어 상기 사이드 감지봉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터치봉과 접촉되는 회전식 리미트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20100135932A 2010-12-27 2010-12-27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10120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932A KR101204434B1 (ko) 2010-12-27 2010-12-27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932A KR101204434B1 (ko) 2010-12-27 2010-12-27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993A KR20120073993A (ko) 2012-07-05
KR101204434B1 true KR101204434B1 (ko) 2012-11-26

Family

ID=4670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5932A KR101204434B1 (ko) 2010-12-27 2010-12-27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3758A1 (en) * 2013-08-02 2015-02-05 Wilmans Charles A roller system for a conveyor bel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566B (zh) * 2022-04-24 2023-08-29 广东包庄科技有限公司 一种断带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63A (ja) 1998-10-09 2000-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修正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63A (ja) 1998-10-09 2000-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修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3758A1 (en) * 2013-08-02 2015-02-05 Wilmans Charles A roller system for a conveyor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993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JP2016088722A (ja) コンベヤベルトの摩耗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526449B1 (ko) 이송장치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20100118014A (ko) 벨트 컨베이어
KR20110047040A (ko) 벨트부재의 부상 방지장치
KR101411851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KR2007000804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 검출장치
KR20120121547A (ko)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치
JP4857990B2 (ja) 仕分け設備
KR101291535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2955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 감지장치
KR20140042080A (ko) 이송물 충돌 방지용 슈트
KR1012775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157624B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KR101291544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0831620B1 (ko) 필름 낱장공급장치
KR1019505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JP3215812U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と蛇行を同時に防止する装置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101277837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070016012A (ko)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