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014A -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014A
KR20100118014A KR1020090036783A KR20090036783A KR20100118014A KR 20100118014 A KR20100118014 A KR 20100118014A KR 1020090036783 A KR1020090036783 A KR 1020090036783A KR 20090036783 A KR20090036783 A KR 20090036783A KR 20100118014 A KR20100118014 A KR 2010011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ansfer
rotation
retur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옥
전권호
최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8014A/ko
Publication of KR2010011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for conveying in a circular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벨트와 회송벨트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업대; 작업대에 설치되며 이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이송회전부재; 이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작업대에 설치되며 회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회송회전부재; 회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송감지부; 및 작업대에 설치되는 장착체와,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송감지부 및 회송감지부와 연결되는 레버와, 레버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송벨트와 회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는 이송벨트 또는 회송벨트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처짐이나 이송물 낙하를 감지함으로써, 이송벨트 또는 회송벨트의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가 이루어진다.
컨베이어, 이송벨트, 회송벨트, 손상, 감지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손상여부를 신속히 감지하여 벨트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벨트의 교환과 수리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는 고무재질에 스틸코드가 삽입되어 장력을 유지하지만, 고무재질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와 같은 벨트의 손상이 일부 영역에서 발생되면 벨트 전방위로 확대될 뿐만 아니라, 벨트에 선적된 원료가 낙하되어 부속설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작업자는 수시로 벨트의 손상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하여 시각 및 청각 등 감각을 이 용한 벨트 손상유무를 확인하거나, 별도의 검사장치를 통해 벨트의 측단부만의 손상을 확인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유무를 감각에 의존하여 판단함으로써, 오판단에 의한 불필요작업이 발생되며, 컨베이어 벨트에 작업자가 근접함으로 인해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컨베이어 벨트 손상 검사장치는 벨트에 일체로 장착되어 벨트의 측단부만을 감지하기 때문에, 벨트의 중앙부 손상으로 인한 원료 배출을 인지하기 어려워 자원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원료로 인해 설비파손을 유발하고 벨트 손상부위의 확대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손상 부위를 신속히 감지하여 설비를 정지시켜 줌으로써, 신속한 손상부위 수리 또는 교체를 가능케 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이송회전부재; 상기 이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및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이송회전부재는 상기 작업대를 연결하는 이송연결대; 상기 이송연결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는 이송지지대; 상기 이송지지대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이송회전축; 및 상기 이송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이송감지부를 이동시키는 이송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회전부는 상기 이송회전축을 감싸며 회전되는 이송회전통; 및 상기 이송회전통의 상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파손된 부분에 걸리는 이송감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회전통의 좌우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이송벨트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받아내는 이송저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감지부는 상기 스위치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송회전부를 지나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이송와이어; 및 상기 이송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와이어가 통과하는 이송안내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와이어가 상기 스위치를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는 장착체; 상기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이송와이어와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장착체에 내장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회전부재에는 상기 이송회전축이 복수개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이송회전축마다 상기 이송회전부가 장착되어 개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회전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송벨트의 최저점 아래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회전축 중 나머지는 상기 이송벨트의 아래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송벨트의 상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회송회전부재; 상기 회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송감지부; 및 상기 회송감지부에 의해 상기 회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회송회전부재는 상기 작업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는 회송지지대; 상기 회송지지대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회송회전축; 및 상기 회송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송감지부를 이동시키는 회송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송회전부는 상기 회송회전축을 감싸며 회전되는 회송회전통; 및 상기 회송회전통의 상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파손된 부분에 걸리는 회송감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송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송회전축이 수평 배치되고, 상기 회송회전축에는 상기 회송회전부가 복수로 장착되어 개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벨트와 회송벨트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이송회전부재; 상기 이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상기 작업대 에 설치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회송회전부재; 상기 회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송감지부; 및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는 장착체와, 상기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감지부 및 상기 회송감지부와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벨트와 상기 회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는 이송벨트 또는 회송벨트의 손상으로 인해 처지는 부분을 감지하여 벨트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히 손상된 부위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는 이송벨트 또는 회송벨트의 손상으로 인해 낙하되는 이송물을 감지하여 벨트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서, 작업자가 신속히 손상된 부위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는 이송벨트 또는 회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손상을 감지함으로써, 벨트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중앙부분에 대한 손상 감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는 복수의 이송회전부 또는 회송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손상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벨트의 손상 영역을 신속히 찾아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이송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회송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이송회전부재와 회송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00)에는 작업대(110), 이송회전부재(120), 이송감지부(130) 및 스위치(190)가 구비된다.
벨트 컨베이어(100)는 한 쌍의 구동롤(2)이 회전되며, 구동롤(2)을 감은 벨트는 무한궤도 이동을 한다.
벨트는 기능과 위치에 따라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로 구분된다. 이송벨트(10)는 원료와 같은 이송물을 운반하고, 회송벨트(20)는 이송물을 운반한 후 되돌아간다. 통상 이송벨트(10)는 회송벨트(20)의 상방에 위치된다.
작업대(110)는 이송벨트(10)의 하방에 위치되며 한 쌍이 이격되어 마주본다. 바람직하게는 작업대(110)가 벨트 컨베이어(100)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다. 작업대(110)에는 이송벨트(10)의 저면을 받쳐주어 처짐을 방지하는 이송지지롤(11)이 구비된다.
이송회전부재(120)는 작업대(110)에 설치되며, 이송벨트(10)의 파손된 부분을 감지하여 회전되고, 이송감지부(130)는 이송회전부재(120)의 회전을 감지한다. 그리고, 스위치(190)는 이송감지부(1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송벨트(10)가 정지되도록 벨트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송회전부재(120)에는 이송연결대(121), 이송지지대(122), 이송회전축(123) 및 이송회전부(124)가 구비된다.
이송연결대(121)는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 사이를 통과하여 한 쌍의 작업대(110)를 연결한다. 이송지지대(122)는 이송연결대(1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며, 이송회전축(123)은 양단부가 이송지지대(122)에 고정된다. 이러한 이송회전축(123)은 이송벨트(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송회전부(124)는 이송회전축(12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송벨트(10)의 손상여부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회전축(123)이 이송회전부(124)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송회전부(124)에는 이송회전통(124a)과 이송감지판(124b)이 구비된다.
이송회전통(124a)은 이송회전축(123)을 감싸 회전되며, 이송감지판(124b)은 이송벨트(10)의 저면에 근접되어 이송벨트(10)의 파손된 부분에 걸린다. 이송감지판(124b)은 이송회전통(124a)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송벨트(10)의 파손된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처지는 부분이 이송감지판(124b)에 걸려 이송회전통(124a)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송회전부(124)에는 이송저장판(124c)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저장판(124c)은 이송회전통(124a)의 좌우측부로 각각 돌출되며 이송벨트(10)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받아내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송벨트(10)의 손상으로 이송물이 낙하되면, 이송저장판(124c)이 이를 받아주어 하중이 일측으로 증대됨으로써, 이송회전통(124a)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 이송회전통(124a)이 회전되지 않도록, 이송감지판(124b)과 이송저장판(124c)의 크기와 배치 및 하중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송감지부(130)에는 이송와이어(131)와 이송안내고리(132)가 구비된다. 이송와이어(131)는 스위치(19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이송회전부(124)를 지나 소정부위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이송안내고리(132)는 이송회 전축(123)에 설치되어 이송와이어(131)가 통과한다. 따라서, 이송회전부(124)가 회전되면서 이송와이어(131)를 가압하게 되어, 이송와이어(131)가 스위치(190)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송와이어(130)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소정부위는 이송회전부(124), 작업대(110), 그 외 고정 설치물에 구비되는 이송고정고리(133)가 된다. 이러한 이송고정고리(133)에 고정되고 이송안내고리(132)를 통과하는 이송와이어(131)는 이송감지판(124b) 또는 이송저장판(124c)에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이송회전축(123)의 일단부에 이송안내고리(132)가 구비되고, 이송회전축(123)의 타단부에 이송고정고리(13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90)에는 장착체(191), 레버(192) 및 제어부(193)가 구비된다.
장착체(191)는 작업대(110)에 설치되고, 레버(192)는 장착체(19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레버(192)는 이송와이어(131)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제어부(193)는 장착체(191)에 내장되고 레버(192)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송벨트(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이송벨트(10)는 다량의 이송물을 실어 나르기 위해 상당한 폭을 가지며, 이러한 폭에 대응되도록 이송회전부재(120)에는 복수의 이송회전축(123)이 일렬로 배치된다. 즉, 이송연결대(121)에는 쌍을 이루는 이송지지대(122)가 다수 설치되고, 각 이송지지대(122)에 이송회전축(123) 및 이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이송회전부(124)가 구비되어 개별 회전된다.
이송벨트(10)는 다량의 이송물 하중에 의해 중앙부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며, 이에 대응되도록 이송회전부재(120)가 설치된다. 즉, 다수의 이송회전축(123) 중 어느 하나는 이송벨트(10)의 최저점 아래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이송회전축(123)들은 이송벨트(10)의 아래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벨트(10)가 이송물을 싣고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송벨트(10)가 손상되는 경우,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거나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낙하된다.
먼저,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손상된 부분이 이송감지판(124b)과 접촉되므로 이송회전부(124)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이송회전부(1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회전부(124)를 근접 통과하는 이송와이어(131)를 가압한다.
이송와이어(1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190)의 레버(1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193)는 이송벨트(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이송벨트(1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낙하되는 경우, 이송저장판(124c)에 낙하된 이송물이 쌓이게 된다. 그리고, 낙하된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이송회전부(1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회전부(124)를 근접 통과하는 이송와이어(131)를 가압한다.
이송와이어(1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190)의 레버(1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193)는 이송벨트(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이송벨트(1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200)에는 작업대(210), 회송회전부재(220), 회송감지부(230) 및 스위치(290)가 구비된다.
벨트 컨베이어(200)는 한 쌍의 구동롤(2)이 회전되며, 구동롤(2)을 감은 벨트는 무한궤도 이동을 한다.
벨트는 기능과 위치에 따라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로 구분된다. 이송벨트(10)는 원료와 같은 이송물을 운반하고, 회송벨트(20)는 이송물을 운반한 후 되돌아간다. 통상 이송벨트(10)는 회송벨트(20)의 상방에 위치된다.
작업대(210)는 회송벨트(20)의 상방에 위치되며 한 쌍이 이격되어 마주본다. 바람직하게는 작업대(210)가 벨트 컨베이어(200)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다. 작업대(210)에는 회송벨트(20)의 저면을 받쳐주어 처짐을 방지하는 회송지지롤(21)이 구비된다.
회송회전부재(220)는 작업대(210)에 설치되며, 회송벨트(20)의 파손된 부분을 감지하여 회전되고, 회송감지부(230)는 회송회전부재(220)의 회전을 감지한다. 그리고, 스위치(290)는 회송감지부(230)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송벨트(20)가 정지되도록 벨트 컨베이어(2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송회전부재(220)에는 회송지지대(222), 회송 회전축(223) 및 회송회전부(224)가 구비된다.
회송지지대(222)는 작업대(21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며, 회송회전축(223)은 양단부가 회송지지대(222)에 고정된다. 이러한 회송회전축(223)은 회송벨트(20)의 하방에 위치된다.
회송회전부(224)는 회송회전축(22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송벨트(20)의 손상여부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송회전축(223)이 회송회전부(224)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송회전부(224)에는 회송회전통(224a)과 회송감지판(224b)이 구비된다.
회송회전통(224a)은 회송회전축(223)을 감싸 회전되며, 회송감지판(224b)은 회송벨트(20)의 저면에 근접되어 회송벨트(20)의 파손된 부분에 걸린다. 회송감지판(224b)은 회송회전통(224a)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송벨트(20)의 파손된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처지는 부분이 회송감지판(224b)에 걸려 회송회전통(224a)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송회전부(224)에는 회송저장판(224c)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회송저장판(224c)은 회송회전통(224a)의 좌우측부로 각각 돌출되며 회송벨트(20)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받아내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송벨트(10)의 손상으로 낙하된 이송물이 회송벨트(20)로 낙하되고, 회송벨트(20)의 손상으로 재낙하되면, 회송저장판(224c)이 이를 받아주어 하중이 일측으로 증대됨으로써, 회송회전통(224a)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 회송회전통(224a)이 회전되지 않도록, 회송감지판(224b)과 회송저장판(224c)의 크기와 배치 및 하중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송감지부(230)에는 회송와이어(231)와 회송안내고리(232)가 구비된다. 회송와이어(231)는 스위치(29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회송회전부(224)를 지나 소정부위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회송안내고리(232)는 회송회전축(223)에 설치되어 회송와이어(231)가 통과한다. 따라서, 회송회전부(224)가 회전되면서 회송와이어(231)를 가압하게 되어, 회송와이어(231)가 스위치(290)를 잡아당기게 된다.
회송와이어(231)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소정부위는 회송회전부(224), 작업대(210), 그 외 고정 설치물에 구비되는 회송고정고리(233)가 된다. 이러한 회송고정고리(233)에 고정되고 회송안내고리(232)를 통과하는 회송와이어(231)는 회송감지판(224b) 또는 회송저장판(224c)에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회송회전축(223)의 일단부에 회송안내고리(232)가 구비되고, 회송회전축(223)의 타단부에 회송고정고리(23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290)에는 장착체(291), 레버(292) 및 제어부(293)가 구비된다.
장착체(291)는 작업대(210)에 설치되고, 레버(292)는 장착체(29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레버(292)는 회송와이어(231)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제어부(293)는 장착체(291)에 내장되고 레버(292)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송벨트(2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이송벨트(20)와 회송벨트(20)는 다량의 이송물을 실어 나르기 위해 상당한 폭을 가지며, 이러한 폭에 대응되도록 회송회전부재(220)에는 장방형의 회송회전축(223)이 구비되고, 회송회전축(223)에는 복수의 회송회전부(224)가 수평 배치되어 개별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송벨트(20)가 이송물을 싣기 위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회송벨트(20)가 손상되는 경우,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거나,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회송벨트(20)로 낙하된 후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재낙하된다.
먼저,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손상된 부분이 회송감지판(224b)과 접촉되므로 회송회전부(224)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송회전부(2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송회전부(224)를 근접 통과하는 회송와이어(231)를 가압한다.
회송와이어(2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290)의 레버(2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293)는 회송벨트(2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회송벨트(2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낙하되는 경우, 회송저장판(224c)에 낙하된 이송물이 쌓이게 된다. 그리고, 낙하된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회송회전부(2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송회전부(224)를 근접 통과하는 회송와이어(231)를 가압한다.
회송와이어(2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290)의 레버(2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293)는 회송벨트(2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이송벨트(10) 및 회송벨트(2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300)에는 작업대(310), 이송회전부재(320), 이송감지부(330), 회송회전부재(420), 회송감지부(430) 및 스위치(590)가 구비된다.
이러한 손상 감지장치(300)는 벨트 컨베이어(300)에 설치된다. 벨트 컨베이어(300)는 한 쌍의 구동롤(2)이 회전되며, 구동롤(2)을 감은 벨트는 무한궤도 이동을 한다.
벨트는 기능과 위치에 따라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로 구분된다. 이송벨트(10)는 원료와 같은 이송물을 운반하고, 회송벨트(20)는 이송물을 운반한 후 되돌아간다. 통상 이송벨트(10)는 회송벨트(20)의 상방에 위치된다.
작업대(310)는 이송벨트(10)의 하방에 위치되며 한 쌍이 이격되어 마주본다. 바람직하게는 작업대(310)가 벨트 컨베이어(300)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다. 작업대(310)에는 이송벨트(10)의 저면을 받쳐주어 처짐을 방지하는 이송지지롤(11)과 회송벨트(10)의 저면을 받쳐주어 처짐을 방지하는 회송지지롤(21)이 구비된다.
이송회전부재(320)는 작업대(310)에 설치되며, 이송벨트(10)의 파손된 부분 을 감지하여 회전되고, 이송감지부(330)는 이송회전부재(320)의 회전을 감지한다.
회송회전부재(420)는 작업대(310)에 설치되며, 회송벨트(20)의 파손된 부분을 감지하여 회전되고, 회송감지부(430)는 회송회전부재(420)의 회전을 감지한다.
스위치(590)는 이송감지부(330)와 회송감지부(4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가 정지되도록 벨트 컨베이어(3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송회전부재(320)에는 이송연결대(321), 이송지지대(322), 이송회전축(323) 및 이송회전부(324)가 구비된다.
이송연결대(321)는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 사이를 통과하여 한 쌍의 작업대(310)를 연결한다. 이송지지대(322)는 이송연결대(3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며, 이송회전축(323)은 양단부가 이송지지대(322)에 고정된다. 이러한 이송회전축(323)은 이송벨트(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송회전부(324)는 이송회전축(32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송벨트(10)의 손상여부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회전축(323)이 이송회전부(324)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송회전부(324)에는 이송회전통(324a)과 이송감지판(324b)이 구비된다.
이송회전통(324a)은 이송회전축(323)을 감싸 회전되며, 이송감지판(324b)은 이송벨트(10)의 저면에 근접되어 이송벨트(10)의 파손된 부분에 걸린다. 이송감지판(324b)은 이송회전통(324a)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송벨트(10)의 파손된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처지는 부분이 이송감지판(324b)에 걸려 이 송회전통(324a)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송회전부(324)에는 이송저장판(324c)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저장판(324c)은 이송회전통(324a)의 좌우측부로 각각 돌출되며 이송벨트(10)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받아내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송벨트(10)의 손상으로 이송물이 낙하되면, 이송저장판(324c)이 이를 받아주어 하중이 일측으로 증대됨으로써, 이송회전통(324a)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 이송회전통(324a)이 회전되지 않도록, 이송감지판(324b)과 이송저장판(324c)의 크기와 배치 및 하중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송감지부(330)에는 이송와이어(331)와 이송안내고리(332)가 구비된다. 이송와이어(330)는 스위치(59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이송회전부(324)를 지나 소정부위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이송안내고리(332)는 이송회전축(323)에 설치되어 이송와이어(331)가 통과한다. 따라서, 이송회전부(324)가 회전되면서 이송와이어(331)를 가압하게 되어, 이송와이어(331)가 스위치(590)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송와이어(330)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소정부위는 이송회전부(324), 작업대(310), 그 외 고정 설치물에 구비되는 이송고정고리(333)가 된다. 이러한 이송고정고리(333)에 고정되고 이송안내고리(332)를 통과하는 이송와이어(331)는 이송감지판(324b) 또는 이송저장판(324c)에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이송회전축(323)의 일단부에 이송안내고리(332)가 구비되고, 이송회전축(323)의 타단부에 이송고정고리(333)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322a는 이송지지대(322)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써, 이송와이어(331)는 구멍(322a)을 관통하여 스위치(59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송회전부재(420)에는 회송지지대(422), 회송회전축(423) 및 회송회전부(424)가 구비된다.
회송지지대(422)는 작업대(31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며, 회송회전축(423)은 양단부가 회송지지대(422)에 고정된다. 이러한 회송회전축(423)은 회송벨트(20)의 하방에 위치된다.
회송회전부(424)는 회송회전축(42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송벨트(20)의 손상여부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송회전축(423)이 회송회전부(424)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송회전부(424)에는 회송회전통(424a)과 회송감지판(424b)이 구비된다.
회송회전통(424a)은 회송회전축(423)을 감싸 회전되며, 회송감지판(424b)은 회송벨트(20)의 저면에 근접되어 회송벨트(20)의 파손된 부분에 걸린다. 회송감지판(424b)은 회송회전통(424a)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송벨트(20)의 파손된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처지는 부분이 회송감지판(424b)에 걸려 회송회전통(424a)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송회전부(424)에는 회송저장판(424c)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회송저장판(424c)은 회송회전통(424a)의 좌우측부로 각각 돌출되며 회송벨트(20)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받아내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송벨트(10)의 손상으로 낙하된 이송물이 회송벨트(20)로 낙하되고, 회송벨트(20)의 손상으로 재낙하되면, 회송저장판(424c)이 이를 받아주어 하중이 일측으로 증대됨으로써, 회송회전통(424a)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 회송회전통(424a)이 회전되지 않도록, 회송감지판(424b)과 회송저장판(424c)의 크기와 배치 및 하중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송감지부(430)에는 회송와이어(431)와 회송안내고리(432)가 구비된다. 회송와이어(431)는 스위치(59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회송회전부(424)를 지나 소정부위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회송안내고리(432)는 회송회전축(423)에 설치되어 회송와이어(431)가 통과한다. 따라서, 회송회전부(424)가 회전되면서 회송와이어(431)를 가압하게 되어, 회송와이어(431)가 스위치(590)를 잡아당기게 된다.
회송와이어(431)의 타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소정부위는 회송회전부(424), 작업대(310), 그 외 고정 설치물에 구비되는 회송고정고리(433)가 된다. 이러한 회송고정고리(433)에 고정되고 회송안내고리(432)를 통과하는 회송와이어(431)는 회송감지판(424b) 또는 회송저장판(424c)에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회송회전축(423)의 일단부에 회송안내고리(432)가 구비되고, 회송회전축(423)의 타단부에 회송고정고리(433)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422a는 회송지지대(422)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써, 회송와이어(431)는 구멍(422a)을 관통하여 스위치(59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590)에는 장착체(591), 레버(592) 및 제어부(593)가 구비된다.
장착체(591)는 작업대(310)에 설치되고, 레버(592)는 장착체(591)에 회전 가 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레버(592)는 이송와이어(331)의 일단부 및 회송와이어(431)와 결합된다. 제어부(593)는 장착체(591)에 내장되고 레버(592)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송감지부(330)에는 이송풀리(339)가 더 구비되고, 회송감지부(430)에는 회송풀리(439)가 더 구비된다. 이송풀리(339)는 작업대(310)에 설치되고 이송와이어(331)를 레버(592)로 안내한다. 그리고, 회송풀리(439)는 회송지지대(422)에 장착되어 회송와이어(431)를 레버(592)로 안내한다. 이러한 이송풀리(339)와 회송풀리(439)는 이송와이어(331)와 회송와이어(431)가 레버(592)로 원활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업대(310) 또는 회송지지대(422)에 설치위치가 한정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는 다량의 이송물을 실어 나르기 위해 상당한 폭을 가지며, 이러한 폭에 대응되도록 이송회전부재(320)에는 복수의 이송회전축(323)이 일렬로 배치된다. 즉, 이송연결대(321)에는 쌍을 이루는 이송지지대(322)가 다수 설치되고, 각 이송지지대(322)에 이송회전축(323) 및 이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이송회전부(324)가 구비되어 개별 회전된다.
또한, 이송벨트(10)는 다량의 이송물 하중에 의해 중앙부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며, 이에 대응되도록 이송회전부재(320)가 설치된다. 즉, 다수의 이송회전축(323) 중 어느 하나는 이송벨트(10)의 최저점 아래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이송회전축(323)들은 이송벨트(10)의 아래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는 다량의 이송물을 실어 나르기 위해 상당한 폭을 가지며, 이러한 폭에 대응되도록 회송회전부재(420)에는 장방형의 회송회전축(423)이 구비되고, 회송회전축(423)에는 복수의 회송회전부(424)가 수평 배치되어 개별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이송벨트(10)의 손상 감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송벨트(10)가 이송물을 싣고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송벨트(10)가 손상되는 경우,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거나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낙하된다.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손상된 부분이 이송감지판(324b)과 접촉되므로 이송회전부(324)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이송회전부(3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회전부(324)를 근접 통과하는 이송와이어(331)를 가압한다.
이송와이어(3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590)의 레버(5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593)는 이송벨트(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이송벨트(1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낙하되는 경우, 이송저장판(324c)에 낙하된 이송물이 쌓이게 된다. 그리고, 낙하된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이송회전부(3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회전부(324)를 근접 통과하는 이송와이어(331)를 가압한다.
이송와이어(3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590)의 레버(5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593)는 이송벨트(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이송벨트(1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회송벨트(20)의 손상 감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
회송벨트(20)가 이송물을 싣기 위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회송벨트(20)가 손상되는 경우,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거나, 이송벨트(1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회송벨트(20)로 낙하된 후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재낙하된다.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가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 손상된 부분이 회송감지판(424b)과 접촉되므로 회송회전부(424)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송회전부(4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송회전부(424)를 근접 통과하는 회송와이어(431)를 가압한다.
회송와이어(4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590)의 레버(5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593)는 회송벨트(2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회송벨트(2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회송벨트(20)의 손상된 부위를 통해 이송물이 낙하되는 경우, 회송저장판(424c)에 낙하된 이송물이 쌓이게 된다. 그리고, 낙하된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회송회전부(4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송회전부(424)를 근접 통과하는 회송와이어(431)를 가압한다.
회송와이어(431)는 가압되면서 스위치(590)의 레버(592)를 회전시키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593)는 회송벨트(2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작업자는 이송벨트(10) 및 회송벨트(20)의 손상을 인지하여 신속한 교환이나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송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회송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송회전부재와 회송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 컨베이어 2 : 구동롤
10 : 이송벨트 11 : 이송지지롤
20 : 회송벨트 21 : 회송지지롤

Claims (13)

  1. 이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이송회전부재;
    상기 이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및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부재는
    상기 작업대를 연결하는 이송연결대;
    상기 이송연결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는 이송지지대;
    상기 이송지지대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이송회전축; 및
    상기 이송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이송감지부를 이동시키는 이송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부는
    상기 이송회전축을 감싸며 회전되는 이송회전통; 및
    상기 이송회전통의 상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파손된 부분에 걸리는 이송감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통의 좌우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이송벨트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받아내는 이송저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감지부는
    상기 스위치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송회전부를 지나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이송와이어; 및
    상기 이송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와이어가 통과하는 이송안내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와이어가 상기 스위치를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는 장착체;
    상기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이송와이어와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장착체에 내장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부재에는 상기 이송회전축이 복수개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이송회전축마다 상기 이송회전부가 장착되어 개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송벨트의 최저점 아래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회전축 중 나머지는 상기 이송벨트의 아래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9. 회송벨트의 상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회송회전부재;
    상기 회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송감지부; 및
    상기 회송감지부에 의해 상기 회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송회전부재는
    상기 작업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주보는 회송지지대;
    상기 회송지지대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회 송회전축; 및
    상기 회송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송감지부를 이동시키는 회송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송회전부는
    상기 회송회전축을 감싸며 회전되는 회송회전통; 및
    상기 회송회전통의 상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파손된 부분에 걸리는 회송감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송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송회전축이 수평 배치되고,
    상기 회송회전축에는 상기 회송회전부가 복수로 장착되어 개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13. 이송벨트와 회송벨트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이송회전부재;
    상기 이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송벨트의 파손시 회전되는 회송회전부재;
    상기 회송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송감지부; 및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는 장착체와, 상기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감지부 및 상기 회송감지부와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벨트와 상기 회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KR1020090036783A 2009-04-27 2009-04-27 벨트 컨베이어 KR20100118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83A KR20100118014A (ko) 2009-04-27 2009-04-27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83A KR20100118014A (ko) 2009-04-27 2009-04-27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14A true KR20100118014A (ko) 2010-11-04

Family

ID=4340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783A KR20100118014A (ko) 2009-04-27 2009-04-27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01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7101A (zh) * 2011-08-10 2012-04-18 徐州中部矿山设备有限公司 机电液门式组合断带保护装置
KR101225731B1 (ko) * 2011-03-29 2013-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295728B1 (ko) * 2011-11-10 2013-08-16 (주)아셈스 핫멜트 합지형 라미네이팅 장치
CN105059866A (zh) * 2015-07-24 2015-11-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防止皮带机尾部滚筒粘料卡死的装置
CN107758272A (zh) * 2017-10-18 2018-03-06 兖州煤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带的应力检测系统和方法
KR20200012459A (ko) * 2018-07-27 2020-02-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CN110902260A (zh) * 2019-12-12 2020-03-24 山东里能鲁西矿业有限公司 皮带低洼点变向装置
KR102165103B1 (ko) 2020-03-03 2020-10-13 권도근 컨베이어 벨트 안전사고 방지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731B1 (ko) * 2011-03-29 2013-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CN102417101A (zh) * 2011-08-10 2012-04-18 徐州中部矿山设备有限公司 机电液门式组合断带保护装置
KR101295728B1 (ko) * 2011-11-10 2013-08-16 (주)아셈스 핫멜트 합지형 라미네이팅 장치
CN105059866A (zh) * 2015-07-24 2015-11-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防止皮带机尾部滚筒粘料卡死的装置
CN107758272A (zh) * 2017-10-18 2018-03-06 兖州煤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带的应力检测系统和方法
CN107758272B (zh) * 2017-10-18 2019-10-25 兖州煤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带的应力检测系统和方法
KR20200012459A (ko) * 2018-07-27 2020-02-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CN110902260A (zh) * 2019-12-12 2020-03-24 山东里能鲁西矿业有限公司 皮带低洼点变向装置
CN110902260B (zh) * 2019-12-12 2021-05-04 山东里能鲁西矿业有限公司 皮带低洼点变向装置
KR102165103B1 (ko) 2020-03-03 2020-10-13 권도근 컨베이어 벨트 안전사고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8014A (ko) 벨트 컨베이어
KR20110047040A (ko) 벨트부재의 부상 방지장치
KR20140060396A (ko) 이송장치
KR101411851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20120072479A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KR102077915B1 (ko)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KR20120110317A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101291544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77501B1 (ko) 벨트 컨베이어
CN112722430A (zh) 一种分路码垛堆叠装置
KR102021195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KR101295745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246316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KR10124625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분배장치
KR20090091840A (ko) 컨베이어벨트 이탈감지장치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N116374487A (zh) 一种检测用分料纠偏一体式输送机
CN216334719U (zh) 工件篮运输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