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915B1 -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915B1
KR102077915B1 KR1020180058804A KR20180058804A KR102077915B1 KR 102077915 B1 KR102077915 B1 KR 102077915B1 KR 1020180058804 A KR1020180058804 A KR 1020180058804A KR 20180058804 A KR20180058804 A KR 20180058804A KR 102077915 B1 KR102077915 B1 KR 10207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unit
raw material
conveyo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872A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91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대차부;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접촉되고, 컨베이어 벨트의 가압력에 의해 대차부와 함께 이동되는 사행감지 롤러부;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원료를 모아주도록 대차부에 설치되는 원료 가이드부; 컨베이어 벨트를 상승시키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상 롤러부; 및 부상 롤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부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MATERIAL UNEVEN LOAD PREVENTING APPARATUS OF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원료의 편적과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해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컨베이어는 이송 롤러부가 회전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가 이송된다. 이송 롤러부는 중간 롤러와 사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중간 롤러는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부를 지지하고, 사이드 롤러는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을 상측으로 경사지게 지지한다. 중간 롤러와 사이드 롤러가 회전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가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3822호(2004. 04. 28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어 원료광석 편적 방지용 자동 유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에서 원료의 편적과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대차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접촉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대차부와 함께 이동되는 사행감지 롤러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원료를 모아주도록 상기 대차부에 설치되는 원료 가이드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상 롤러부; 및 상기 부상 롤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부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상 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부상 구동부는 상기 부상 롤러부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상 롤러부는 이송 롤러부 사이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차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대차 베이스; 상기 대차 베이스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세워지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행감지 롤러부는 상기 대차 베이스의 양측에 복수개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행감지 롤러부는 상기 대차 베이스의 하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료 가이드부는 상기 대차 베이스의 양측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패널부; 및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이드 패널부에 각각 연결되는 가이드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원료 유입측은 제1 힌지부에 의해 상기 대차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원료 배출측은 제2 힌지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 실린더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실린더부의 외측 단부는 제3 힌지부에 의해 상기 대차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 가이드부가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원료를 모아주도록 대차부에 설치되므로, 원료가 컨베이어 벨트에서 편중되게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가 부상 롤러부에 의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원료 가이드부가 원료를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부 측으로 밀어주므로, 컨베이어 벨트에 편중되게 적재된 원료가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부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모아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폭방향 일측으로 사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서 부상 롤러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서 원료 가이드부가 컨베이어 벨트에 편적된 원료를 중앙부 측으로 모아주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를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는 대차부(110), 사행감지 롤러부(120), 원료 가이드부(130), 부상 롤러부(140) 및 부상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0)는 컨베이어 벨트(20)와, 컨베이어 벨트(20)를 지지하는 이송 롤러부(30)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부(30)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중심부를 지지하는 중간 롤러(31)와, 컨베이어 벨트(20)의 양측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사이드 롤러(32)를 포함한다. 중간 롤러(31)가 사이드 롤러(32)보다 하측에 위치되므로, 컨베이어 벨트(20)는 중심부가 아래로 오목하게 처진 상태로 이송된다. 컨베이어 벨트(20)에는 철광석과 같은 원료(P)가 적재된다.
대차부(110)는 컨베이어 벨트(20)의 상측에 배치된다. 대차부(110)는 대차 베이스(111), 지지대(112) 및 차륜부(113)를 포함한다. 대차부(110)의 상측이나 둘레부에는 대차부(110)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이동 감지부(115)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 감지부(115)는 광센서, 압력센서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대차 베이스(111)는 컨베이어 벨트(20)의 상측에 설치된다. 대차 베이스(11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대차 베이스(111)의 길이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지지대(112)는 대차 베이스(111)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컨베이어 벨트(20)의 양측에 세워진다. 양측의 지지대(112)에는 사행감지 롤러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차륜부(113)는 지지대(11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컨베이어 벨트(20)의 일측이 사행감지 롤러부(120)를 가압하면, 차륜부(113)가 회전됨에 따라 대차부(110)가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차륜부(113)는 이동 안내부(미도시)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사행감지 롤러부(120)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양측에 접촉되고, 컨베이어 벨트(20)의 가압력에 의해 대차부(110)와 함께 이동된다. 사행감지 롤러부(120)가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가압력에 의해 대차부(110)와 함께 이동되므로, 컨베이어 벨트(20)가 폭방향 일측으로 사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사행감지 롤러부(120)는 대차 베이스(111)의 양측에 복수개씩 설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0)의 양측에 사행감지 롤러부(120)의 접촉 개소를 증가시키므로, 컨베이어 벨트(20)의 사행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사행감지 롤러부(120)는 대차 베이스(111)의 하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사행감지 롤러부(120)는 대차 베이스(11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행감지 롤러부(120)는 고정 브라켓(123)에 의해 지지대(112)에 고정된다.
원료 가이드부(130)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원료(P)를 모아주도록 대차부(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원료(P)가 컨베이어 벨트(20)에서 편중되게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료 가이드부(130)는 가이드 패널부(131)와 가이드 실린더부(133)를 포함한다.
가이드 패널부(131)는 대차 베이스(111)의 양측에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각각 배치된다. 가이드 패널부(131)는 컨베이어 벨트(20)와 대차 베이스(111)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 패널부(13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부(131)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므로, 이송되는 원료(P)가 가이드 패널부(131)에 가하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부(133)는 가이드 패널부(131)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가이드 패널부(131)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0)에서 원료(P)의 편적 위치와 정도에 따라 가이드 패널부(1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부(131)의 원료(P) 유입측은 제1 힌지부(135)에 의해 대차 베이스(111)에 고정되고, 가이드 패널부(131)의 원료(P) 배출측은 제2 힌지부(136)에 의해 가이드 실린더부(133)에 연결되며, 가이드 실린더부(133)의 외측 단부는 제3 힌지부(137)에 의해 대차 베이스(111)에 연결된다. 가이드 실린더부(133)가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 패널부(131)가 제1 힌지부(135)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가이드 패널부(131)가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 실린더부(133)가 제3 힌지부(137)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가이드 실린더부(133)가 다양한 각도에서 가이드 패널부(13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부상 롤러부(140)는 컨베이어 벨트(20)를 상승시키도록 컨베이어 벨트(20)의 하측에 설치된다. 부상 롤러부(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부상 롤러부(140)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부상 롤러부(140)는 대차부(110)와 함께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부상 롤러부(140)가 컨베이어 벨트(20)를 상승시키므로, 컨베이어 벨트(20)가 폭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진다. 컨베이어 벨트(20)가 부상 롤러부(140)에 의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원료 가이드부(130)가 원료(P)를 컨베이어 벨트(20)의 중심부 측으로 밀어주므로, 컨베이어 벨트(20)에 편중되게 적재된 원료(P)가 컨베이어 벨트(20)의 중심부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모아줄 수 있다.
부상 구동부(150)는 부상 롤러부(1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부상 구동부(150)는 부상 롤러부(140)의 양측에 연결되는 부상 실린더일 수 있다. 부상 구동부(150)는 바닥면에 설치된다.
부상 롤러부(140)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고, 부상 구동부(150)는 부상 롤러부(140)의 양측에 연결된다. 부상 구동부(150)가 부상 롤러부(140)의 양측에 연결되므로, 부상 롤러부(140)가 컨베이어 벨트(20)를 폭방향으로 평평하게 밀어 올릴 수 있다.
부상 롤러부(140)는 이송 롤러부(30) 사이에 복수 개 설치된다. 부상 롤러부(140)가 이송 롤러부(30) 사이에 복수 개 설치되므로, 부상 롤러부(140)가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20)의 일부 구간을 동시에 밀어 올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폭방향 일측으로 사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서 부상 롤러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에서 원료 가이드부가 컨베이어 벨트에 편적된 원료를 중앙부 측으로 모아주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20)에 원료(P)가 공급되고, 이송 롤러부(30)가 회전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20)가 이송된다. 원료(P)가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적재된 경우, 원료(P)의 하중이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중심부에 가장 크게 가해진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0)가 정상 궤도를 따라 이송된다.
한편, 원료(P)가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되게 적재된 경우, 원료(P)의 하중이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일측으로 쏠리게 되므로, 컨베이어 벨트(20)가 정상 궤도를 벗어나 타측으로 쏠린 상태로 운행되는 사행 현상이 발생된다.
컨베이어 벨트(20)가 타측으로 쏠린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20)의 타측이 사행감지 롤러부(120)를 가압하게 된다. 사행감지 롤러부(120)가 컨베이어 벨트(2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사행감지 롤러부(120)와 대차부(110)가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 감지부(115)에서 대차부(110)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 감지부(115)에서는 이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60)에 송신한다. 제어부(160)에서 이동 감지부(115)의 신호를 감지하면, 컨베이어 벨트(20)가 사행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부상 구동부(150)를 구동시킴에 따라 부상 롤러부(14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부상 롤러부(140)가 상측으로 상승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20)가 폭방향으로 평평해진다.
또한, 제어부(160)는 원료 가이드부(130)의 가이드 실린더부(133)를 구동시킨다. 가이드 실린더부(133)가 구동되면, 가이드 패널부(131)의 원료(P) 배출측이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부상 롤러부(140)가 상승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20)가 폭방향으로 평평해지고, 원료 가이드부(130)가 편적된 원료(P)를 컨베이어 벨트(2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므로, 편적된 원료(P)가 컨베이어 벨트(20)의 중심부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20)의 원료(P)가 중심부 측으로 모이게 되면, 원료(P)의 하중이 컨베이어 벨트(20)의 중심부에 가장 크게 가해진다. 따라서, 원료(P)의 무게중심이 컨베이어 벨트(2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므로, 컨베이어 벨트(20)가 정상 궤도로 복귀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20)의 사행 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20)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20)가 1회 사행될 때마다 컨베이어 벨트(20)의 재가동 타임이 5분 정도 소요되는데, 이러한 재가동 운전의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조업률이 상승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20)가 중심부 측으로 다시 이동되는 경우(사행 현상 해소),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방향 일측이 사행감지 롤러부(120)를 일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사행감지 롤러부(120)와 대차부(11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컨베이어 20: 컨베이어 벨트
30: 이송 롤러부 31: 중간 롤러
32: 사이드 롤러 110: 대차부
111: 대차 베이스 112: 지지대
113: 차륜부 115: 이동 감지부
120: 사행감지 롤러부 123: 고정 브라켓
130: 원료 가이드부 131: 가이드 패널부
133: 가이드 실린더부 135: 제1 힌지부
136: 제2 힌지부 137: 제3 힌지부
140: 부상 롤러부 150: 부상 구동부
160: 제어부

Claims (8)

  1.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대차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접촉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대차부와 함께 이동되는 사행감지 롤러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원료를 모아주도록 상기 대차부에 설치되는 원료 가이드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상 롤러부; 및
    상기 부상 롤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부상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부에는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감지하면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부상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부상 구동부는 상기 부상 롤러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롤러부는 이송 롤러부 사이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대차 베이스;
    상기 대차 베이스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세워지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감지 롤러부는 상기 대차 베이스의 양측에 복수개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감지 롤러부는 상기 대차 베이스의 하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가이드부는,
    상기 대차 베이스의 양측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패널부; 및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이드 패널부에 각각 연결되는 가이드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원료 유입측은 제1 힌지부에 의해 상기 대차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원료 배출측은 제2 힌지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 실린더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실린더부의 외측 단부는 제3 힌지부에 의해 상기 대차 베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KR1020180058804A 2018-05-24 2018-05-24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KR10207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04A KR102077915B1 (ko) 2018-05-24 2018-05-24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04A KR102077915B1 (ko) 2018-05-24 2018-05-24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872A KR20190133872A (ko) 2019-12-04
KR102077915B1 true KR102077915B1 (ko) 2020-02-14

Family

ID=6900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804A KR102077915B1 (ko) 2018-05-24 2018-05-24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759A (ko) * 2021-12-20 2023-06-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351B2 (ja) * 1996-10-02 2003-10-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タッカ用地上コンベアの水切装置
KR20030048590A (ko) * 2001-12-12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KR20140042081A (ko) * 2012-09-27 2014-04-0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759A (ko) * 2021-12-20 2023-06-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2551512B1 (ko) 2021-12-20 2023-07-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872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915B1 (ko)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KR20120121547A (ko)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치
CN101171191A (zh) 用于运行带式输送机的传送带的装置
JP2000313518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27749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2198948B1 (ko) 이송 물품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
KR10213311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0445063Y1 (ko) 철판 반송장치
JPH038600A (ja) 多段プレス装置用ローダ・アンローダ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4289200B2 (ja) 搬送設備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200434316Y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광 방지장치
KR20010081358A (ko) 컨베이어 벨트의 파손 감지장치
KR10135554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95745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JP4703914B2 (ja) シート整列装置
KR101043083B1 (ko) 컨베이어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