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449B1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449B1
KR101526449B1 KR1020120126526A KR20120126526A KR101526449B1 KR 101526449 B1 KR101526449 B1 KR 101526449B1 KR 1020120126526 A KR1020120126526 A KR 1020120126526A KR 20120126526 A KR20120126526 A KR 20120126526A KR 101526449 B1 KR101526449 B1 KR 10152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guide roller
support
tens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396A (ko
Inventor
김경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2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4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99Safety measures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가 이송되는 벨트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부와 상기 가이드 롤러부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장치 {PRESSURE ROLLERS WITH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장치 가동 중에 벨트의 동작이 안정되게 수행되는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석, 석탄, 코크스 등과 같은 원료는 하역기를 통하여 하역된 후 이송장치를 통하여 제철공장의 야적장까지 장거리 운송되는데, 운송라인의 변경구간인 슈트를 통과할 때의 원료의 입도, 비중, 종류 등 원료의 조건에 따라, 또는 작동되는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슈트를 통하여 낙하 적재되는 하부 라인의 이송장치에서 백래시(BACKLASH) 현상이 손쉽게 발생 된다.
이송장치의 백래시 현상은 이송장치의 벨트와 하부 롤러, 풀리 등의 접촉이 불량하거나 하부 롤러, 풀리 등의 마모로 인해 헛도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하부 라인의 이송장치에 적재되는 원료를 상부에 위치한 원료 처리기 장소까지 이동시 키기 위해 이송장치의 일단을 수평 위치에서 소정의 각도(예 45도)로 상승시켜 고정하여 원료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원료는 수평 이동하다가 다시 상승이동을 한다. 원료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예 45도)로 상승시킨 부분에 위치하는 벨트와 벨트 하부에 위치한 하부 롤러 및 풀리와 간격이 발생하여 백래시 현상을 유발한다. 이는 이송장치 양 끝단에 위치하는 풀리들에도 영향을 주어 양 끝단에 벨트가 기어에 말리거나, 양끝단에 풀리와 벨트간의 마찰열로 인해 화재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에서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다.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여 벨트와 하부에 위치한 하부 롤러 또는 풀리 간에 간격이 발생한 위치의 벨트 상부에 설치되고, 벨트에 압력을 가하여 벨트가 하부에 위치한 하부 롤러 또는 풀리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원료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한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원료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벨트가 수평 부분과 상승 부분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굴절이 생기는 굴절 부분에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다. 종래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벨트와 접촉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벨트에 실려 이동되는 원료의 치우침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롤러와 벨트가 접촉하는 면이 원료가 치우치지 않은 쪽의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롤러와 벨트만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한다. 이로 인해 이송장치를 사용하면 할수록 초기 설치되었던 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재조정하지 않으면 상기 기술된 원인으로 다시 벨트와 하부 롤러 또는 풀리와 간격이 발생하여 백래시 현상이 다시 발생한다. 또한, 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벨트와 과도하게 밀착시키면 벨트와 가이드 롤러가 맞닿는 부분의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여 벨트가 절단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의 위치 조정이 없어도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며, 나아가 벨트의 절단, 백래쉬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999-015968
본 발명은 이송장치의 벨트의 슬립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벨트를 가압하는 가이드 롤러의 힘을 이송장치의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장치는 원료가 이송되는 벨트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부와 상기 가이드 롤러부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부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 가이드 롤러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가압부를 복수 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벨트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원료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부분, 상기 수평부분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원료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상승부분, 상기 수평 부분과 상기 상승 부분의 경계가 되는 굴절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굴절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회전 가능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에 대응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과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부가 실린더에 연결되는 제 1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벨트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스탠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탠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는 상기 벨트 단변 방향을 따라 상기 벨트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의 상측 면과 각각 접촉되도록 대향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는 고무 재질의 탄성력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벨트의 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재와 상기 롤러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기는 상기 장력의 변화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상측에 위치하며 하면이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바를 구비하는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2 지지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 3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와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재는 장력센서, 접촉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로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가압부가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로 볼팅, 리벳, 용접 중 어느 하나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의하면, 가이드 롤러의 동작이 이송장치의 이송과정을 방해하지 않으며 벨트의 슬립 현상을 억제한다.
또한, 이송장치의 벨트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장력 변화에 따라 벨트를 가압하는 가이드 롤러의 힘을 조절한다.
또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여 이송장치의 벨트가 절손 또는 마모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가이드 롤러의 힘들 자동으로 조정하여 이송장치가 원료를 이송 중에 원료가 벨트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단어를 명명한다.
"수평부분"은 이송장치의 벨트의 일부분으로서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원료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상승부분"은 이송장치의 벨트의 일부분으로서 원료를 수평부분에서 상부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벨트의 일부분이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원료를 상승시키며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굴절부분"은 수평부분과 상승부분의 경계 부분이다.
다음은 종래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 공급기(100)의 설치 위치보다 원료 처리기(410)가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원료(200)를 원료 공급기(100)로부터 원료 처리기(410)까지 이송하기 위해서는 이송장치(300)의 일 영역은 수평부분이며 타영역은 상승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분과 상승부분의 경계부분인 굴절부분에 가이드 롤러(340)가 배치되어 벨트(360)에 가압을 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원료 공급기(100)는 내부에 적재된 원료(200)를 하부의 벨트(360)로 배출하며, 원료(200)가 벨트(360)의 상측에 안착하여 수평부분에서 일방향으로 수평이동하다가 굴절부분을 지나 상승부분에서 상승이동하여 상부에 위치한 원료 처리기(410)로 이송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송장치(300)는 원료(200)를 이송하는 벨트(360), 벨트(360) 내측과 접촉하고, 벨트(360) 내측 일단에 위치하며 회전하는 풀리(310), 회전운동하는 구동기(410), 벨트(360)의 내측 타 단에 위치하며 구동기(410)와 기어로 맞물려 연결되어 있어 구동기의 회전 운동에 따라 벨트(360)를 회전시키는 벨트 풀리(331), 굴절부분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 풀리(320), 벨트(360)의 내측에서 벨트(360)의 길이 연장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벨트(360)의 이송운동을 용이하게 시키는 복수 개의 하부 롤러(350), 벨트(360)의 굴절부분 상측에 위치하여 벨트(360)를 벨트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하부 롤러(35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며 회전운동하여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340)를 포함한다.
이송장치(300)가 원료(200)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구동기(410)가 회전하고, 구동기(410)와 기어로 맞물려있는 벨트 풀리(331)가 회전하여 이송장치(300)의 벨트(3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송장치(300)를 장시간 운용하면, 벨트(360)의 장력이 변화하여 상기 설명된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벨트(360)의 굴절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340)가 장력의 변화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들려진 벨트(360)를 가압해주지 못하면 벨트(360)가 상부방향으로 들려진 상태 즉, 벨트(360)가 늘어진 상태로 간격(ℓ)이 발생한 상태에서 풀리(310), 벨트 풀리(331), 고정 풀리(320)만 헛도는 현상 즉, 백래시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백래시 현상은 벨트(360)의 절단, 벨트(360)와 회전하는 벨트 풀리(331)의 마찰열로 인한 화재의 원인이 된다.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벨트(360)를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벨트(360)에 가압을 가하여 벨트(360)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350), 풀리(310) 및 벨트 풀리(331)와 밀착되도록 하여야한다. 하지만, 종래의 가이드 롤러(340)는 상하 위치를 자주 조정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벨트(360)의 장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없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500)는 원료가 이송되는 벨트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부, 가이드 롤러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가이드 롤러부와 연결되고,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가이드 롤러부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부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521: 521a, 521b), 제 1 지지대(520), 제 1 및 제 2 지지 롤러(522: 522a, 522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는 벨트(360)의 굴절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며, 벨트(360)에 가압을 가해 벨트(360)가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하부 롤러(미도시)에 맞닿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벨트(360)의 이송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예컨대, 상기 가압의 정도는 벨트(360)와 하부 롤러(미도시)가 맞닿을 수 있는 정도의 힘을 일정하게 하부 방향으로 가하며 회전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의 형상은 원통의 형상으로 재질은 탄력성이 있는 고무 재질, 벨트(360)와 동일한 재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를 종래의 가이드 롤러에 비해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하여 벨트(360)로 가하는 압력을 벨트(360)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벨트(360)에 가해지는 압력이 골고루 퍼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와 벨트(360) 간에 마찰로 인한 벨트(360)의 단절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521: 521a, 521b)은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와 제 1 지지대(52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은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지지대(520)의 내측 면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일단은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지지대(520)의 내측 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521: 521a, 521b)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지면과 수평을 이룬다.
제 1 지지대(520)의 내측 면은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521: 521a, 521b)과 연결되고, 상측이 하기에 설명될 가압부에 구비된 실린더 바(531)와 연결되어 실린더 바(531)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된다.
제 1 지지대(520)의 형상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몸체와 몸체 양끝단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몸체와 수직을 이루고, 서로 평행한 위치에 돌출부들이 형성되어있다. 각 돌출부 내측 면에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521: 521a, 521b)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몸체 상측에는 하기 설명될 실린더 바(531)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 롤러 (522: 522a, 522b)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521: 521a, 521b)과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대(520)의 외 측면과 연결되고, 타 단이 하기 설명될 제 1 및 제 2 스탠드(342: 342a, 342b)에 구비된 레일과 연결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의 좌우 유동을 억제한다.
가압부는 가이드 롤러부의 상측과 연결된 실린더 바(531)를 구비하여 가이드 롤러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550), 벨트(360)의 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재(560), 측정부재(560)에서 측정된 벨트(360)의 장력의 변화에 따라 실린더(55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구비하는 구동기(570), 실린더(550) 상측에 위치하며 하면이 상기 실린더(550)와 연결되고, 일면에 구동기(570)가 설치되며,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 형성된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2b)를 구비하는 제 2 지지대(530), 제 2 지지대(530) 상측에 위치하며, 제 2 지지대(530)와 연결되는 제 3 지지대(540), 제 3 지지대(540) 상측에 위치하며,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2b)와 제 1 및 제 2 고정부재(590: 590a, 590b)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580: 580a, 580b)를 포함한다.
실린더(55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고, 일부분은 빈 공간에 위치하며 나머지 부분은 외부에 노출되어있는 실린더 바(551)를 구비한다. 실린더 바(551)는 실린더(550)의 내부 빈공간과 외부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실린더(550)의 형상은 통상적인 형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정부재(560)는 벨트(360)의 장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구동기(570)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여기서 벨트(360)의 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장력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벨트(36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장력센서(미도시)는 벨트(360)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벨트(360)의 장력의 변화를 실시간 감지한다. 여기서 장력센서(미도시)의 형상에 대한 설명을 통상적인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둘째, 접촉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벨트(36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접촉센서(미도시)는 벨트(360)와 접촉을 유지하며, 벨트(360)의 장력의 변화에 의해 접촉되는 횟수에 변화를 실시간 감지한다. 즉, 정상 상태 장력을 유지하는 벨트(360)와 접촉센서(미도시)는 항상 접촉되어 있고, 벨트(360)의 장력에 변화가 생겨 벨트(360)가 늘어나는 경우 벨트(360)와 접촉센서(미도시)는 이송과정 중에 간헐적으로 접촉 상태를 벗어난다. 여기서 접촉센서(미도시)의 형상에 대한 설명을 통상적인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셋째, 압력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대(530)의 일면에 설치한다. 압력센서(미도시)는 실린더(550)의 구비된 실린더 바(551)의 상하 운동에 의해 실린더 바(551)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가 벨트(360)에 가하는 압력의 정도를 측정한다. 벨트(360)의 장력에 변화가 생겨 벨트(360)가 늘어나는 경우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는 순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압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벨트(360)의 장력에 변화가 있음을 측정한다.
상기 설명에서 가이드 롤러부가 벨트(360)에 가하는 압력의 정도는 벨트(360)가 회전하며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 방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으며, 벨트(360)를 하부에 위치한 하부 롤러(미도시)에 맞닿을 수 있는 압력 상태로 유지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종래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에서는 상기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기 힘든 구조였지만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500)는 벨트(360)의 장력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하는 압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부재(560)에서 감지된 장력의 변화에 따라 구동기(570)가 실린더(550)를 제어하여 가이드 롤러부를 하강운동을 시킨다.
구동기(570)는 측정부재(560)에서 감지된 벨트(360)의 장력 변화를 전달받는 제어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는 실린더(550)의 실린더 바(55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550)의 공급되는 동력을 조절한다.
구동기(570)의 형상은 통상적인 형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지지대(530)는 측정부재(560) 및 구동기(570)와 실린더(550)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지지대(530)의 몸체 하부 면은 실린더(550)의 상부 면과 연결되고, 상부 면에는 측정부재(560) 및 구동기(570)가 설치되며, 제 3 지지대와 연결을 위한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1b)가 몸체와 수직을 이루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있다.
제 2 지지대(57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1b)는 상부에 제 3 지지대(580)에 구비된 관통구(미도시)를 통해 관통하고, 제 3 지지대(580)의 상부로 일부 영역이 각각 노출된다.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1b)의 각 노출 영역은 다시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580: 580a, 580b)의 내부를 각각 관통하고, 각 상단은 제 1 및 제 2 고정부재(590: 590a, 590b)에 의해 고정된다.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580: 580a, 580b)는 제 3 지지대(580)와 제 1 및 제 2 고정부재(590: 590a, 590b)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진동운동으로 흡수하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가 외부 충격으로 초기 설치 높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 2 고정부재(590: 590a, 590b)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510: 510a, 510b)의 설치 높이를 조정시 실린더(550)로 먼저 조정한 후 미세한 조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1b)의 상단부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볼트를 제 1 및 제 2 고정부재(590: 590a, 590b)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고정부재(590: 590a, 590b)로 볼팅, 리벳, 용접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지지대(530) 몸체의 형상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일면에 몸체와 수직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바(571: 571a, 571b)가 서로 수평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면적은 실린더(550), 측정부재(560) 및 구동기(570)가 설치될 수 있는 면적을 의미한다.
제 3 지지대(540)는 제 2 지지대(53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1b)를 통해 제 2 지지대(530)와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스탠드(342: 342a, 342b)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제 1 및 제 2 스탠드(342: 342a, 342b)의 각 일면에 연결된다.
제 3 지지대(540)의 몸체의 형상은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바형상으로 몸체에는 제 1 및 제 2 연결바(531: 531a, 531b)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구비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스탠드(342: 342a, 342b)는 벨트(360)를 중심으로 벨트(360)의 단변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스탠드(342: 342a, 342b)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스탠드(342: 342a, 342b)의 사이에는 제 3 지지대(580)가 연결되어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측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a) 정상동작 상태, (b) 벨트의 장력이 변화한 상태, (c) 장력 변화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500)의 가이드 롤러부는 벨트(360)의 굴절부분의 상부에 위치하여, 벨트(360)에 가압을 가하여 벨트(36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롤러(350)와 벨트(390)가 밀착되어 이송과정을 수행되도록 한다.
도 4의 (a) 정상동작 상태를 참조하면, 벨트(360)의 굴절 부분 상부에서 벨트(360)와 접촉하고, 벨트(360)와 벨트(360)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350)가 밀착하여 이송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b) 벨트의 장력이 변화한 상태를 참조하면, 벨트(360)의 장력이 변화하여 즉, 벨트(360)가 늘어져서 상기 자세히 설명된 벨트(360)가 벨트 풀리(미도시)에 말려들어가는 현상, 벨트(360)가 단절되는 현상, 벨트(360) 내측에 위치하는 각종 풀리(미도시)와 하부롤러(350)가 헛도는 현상이 발생한다.
(c) 장력 변화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장력의 변화를 가압부에 구비된 측정부재로 감지 및 측정하고, 측정된 장력의 변화 정도에 따라 가이드 롤러부를 하강시켜 벨트(360)와 벨트(360)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350)가 밀착되어 이송과정을 진행시킨다. 종래의 가이드 롤러는 벨트(360)의 장력의 변화가 있을 때 감지할 수 없었으며, 가이드 롤러의 위치도 문제 발생 후 변경되는 사후 대응이었지만,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위에 설명된 동작으로 벨트(360)의 장력에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서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부를 하나의 가압부로 제어하지만, 가이드 롤러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복수 개 가이드 롤러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가압부를 복수 개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이송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 롤러부를 벨트의 굴절 부분에 밀착 되도록 설치한다. 예컨대, 밀착되는 정도는 가이드 롤러부 벨트가 벨트 내측에 위치한 하부롤러와 밀착되며, 벨트가 이송과정을 진행하는 데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정도의 가압을 가하도록 가이드 롤러부를 벨트와 밀착시킨다.
그 후, 이송과정 진행 중에 벨트의 장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 및 측정한다. 예컨대, 상기 설명된 측정 부재를 구비하여 벨트와 맞닿게 설치하여 벨트의 장력의 변화를 감지한다.
그 후, 벨트의 장력의 변화가 감지되면, 측정 부재에서 벨트의 장력의 변화의 정도를 데이터를 생성하고, 구동부로 전달한다.
그 후, 구동부는 측정부재로부터 전달받은 벨트의 장력의 변화에 따라 실린더의 동력을 제어한다.
그 후, 실린더는 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가이드 롤러부를 하강시키며 소정의 가압을 유지한다. 여기서 소정의 가압은 상기 설명된 이송과정에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정도의 가압을 의미하며, 벨트가 하부롤러와 맞닿을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
그 후, 이송과정 진행 중에 벨트의 장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 및 측정하는 과정을 다시 진행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변형 예, 실시 방법 및 변형 방법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 변형 예, 실시 방법 및 변형 방법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실시 예 및 변형 예들 간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원료 공급 장치 200: 원료
300: 이송장치 310: 풀리
320: 고정 풀리 331: 벨트 풀리
340: 가이드 롤러 341: 가이드 롤러 회전축
342: 스탠드 350: 하부 롤러
351: 하부 롤러 회전축 360: 벨트
400: 원료 처리 장치 410: 구동기
510: 가이드 롤러 520: 제 1 지지대
521: 가이드 롤러 회전축 522: 지지롤러
530: 제 2 지지대 531: 연결바
540: 제 3 지지대 550: 실린더
551: 실린더 바 560: 측정부재
570: 구동기 580: 탄성부재
590: 고정부재 610: 가이드 롤러
620: 제 1 지지대 621: 가이드 롤러 회전축
622: 지지롤러 630; 제 2 지지대
631: 연결바 640: 제 3 지지대
650: 실린더 651: 실린더 바
660: 측정부재 670: 구동기
680: 탄성부재 690: 고정부재

Claims (12)

  1. 원료가 이송되는 벨트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 롤러부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부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벨트의 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재;
    상기 가이드 롤러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장력의 변화에 따라 제어되며, 상기 실린더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회전 가능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에 대응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부가 실린더에 연결되는 제 1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스탠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탠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 가이드 롤러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가압부를 복수 개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원료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부분, 상기 수평부분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원료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상승부분, 상기 수평 부분과 상기 상승 부분의 경계가 되는 굴절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굴절부분에 배치되는 이송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는 상기 벨트 단변 방향을 따라 상기 벨트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의 상측 면과 각각 접촉되도록 대향 배치되는 이송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의 재질은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이송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상측에 위치하며 하면이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바를 구비하는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 3 지지대; 및
    상기 제 3 지지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와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는 장력센서, 접촉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로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가압부가 탄성력을 가지는 이송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로 볼팅, 리벳, 용접 중 어느 하나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바를 고정하는 이송장치.
KR1020120126526A 2012-11-09 2012-11-09 이송장치 KR10152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26A KR101526449B1 (ko) 2012-11-09 2012-11-09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26A KR101526449B1 (ko) 2012-11-09 2012-11-09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396A KR20140060396A (ko) 2014-05-20
KR101526449B1 true KR101526449B1 (ko) 2015-06-05

Family

ID=5088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526A KR101526449B1 (ko) 2012-11-09 2012-11-09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5657A (zh) * 2015-07-23 2015-11-11 湖南晟通天力汽车有限公司 车载输送机
KR102107512B1 (ko) * 2017-08-04 2020-05-08 송진의 인조 잔디 분리 장치
CN109230224A (zh) * 2018-09-06 2019-01-18 山西省阳泉荫营煤矿 一种软着陆气膜式低阻皮带缓冲床
CN109675663B (zh) * 2019-01-25 2024-02-13 昆山得士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纳米晶带材破碎加工装置
CN110386403A (zh) * 2019-07-24 2019-10-29 宝钢湛江钢铁有限公司 一种用于爬坡输送机凹弧段的防飘带装置
KR102359348B1 (ko) * 2020-08-18 2022-02-07 한국기계연구원 마운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35102B1 (ko) * 2021-08-04 2022-08-22 이호상 소형 컨베이어 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컨베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5510U (ja) * 1991-06-10 1992-12-16 日本鋼管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片寄り防止装置
KR19990039151U (ko) * 1998-04-06 1999-11-05 이구택 트리퍼용 벨트 교정장치
KR20110003121A (ko) * 2009-07-03 2011-01-11 김용길 벨트 장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5510U (ja) * 1991-06-10 1992-12-16 日本鋼管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片寄り防止装置
KR19990039151U (ko) * 1998-04-06 1999-11-05 이구택 트리퍼용 벨트 교정장치
KR20110003121A (ko) * 2009-07-03 2011-01-11 김용길 벨트 장력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396A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449B1 (ko) 이송장치
KR1016482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KR101629229B1 (ko) 평철 자동절단장치
KR10180263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및 편적 제어장치
JP2000313518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388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N205687012U (zh) 一种用于圆瓶的出料装置
KR101157624B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KR20130134041A (ko)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바아 터닝장치
KR102181785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0854021B1 (ko) 박판 소재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박판 소재 이송 방법
KR20160126758A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CN219238196U (zh) 传输装置及线路板检测设备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101376967B1 (ko) 포장재 자동 공급장치
KR20190133872A (ko)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CN203740526U (zh) 抽屉式皮带机用基座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