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121A - 벨트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121A
KR20110003121A KR1020090060732A KR20090060732A KR20110003121A KR 20110003121 A KR20110003121 A KR 20110003121A KR 1020090060732 A KR1020090060732 A KR 1020090060732A KR 20090060732 A KR20090060732 A KR 20090060732A KR 20110003121 A KR20110003121 A KR 2011000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ower frame
upper frame
belt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길
Original Assignee
김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길 filed Critical 김용길
Priority to KR102009006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121A/ko
Publication of KR2011000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7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의 장력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동력전달 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하부프레임(3); 상기 하부프레임(3)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복수의 체결볼트(5); 상기 체결볼트(5)가 통과되어질 수 있는 통공(1a)이 양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형상의 상부프레임(1); 상기 상부프레임(1) 및 하부프레임(3)에 각각 구비되어져 있는 지지로울러(2,4); 상기 체결볼트(5)의 일단측에 끼워져 구비되는 탄성스프링(6); 상기 탄성스프링(6)의 가압을 위해 체결볼트(5)의 단부에 나사결합 되어지는 체결너트(7);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 장력, 조절, 텐션, 볼트, 로울러

Description

벨트 장력 조절장치{AUTO TESION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벨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장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프레샤, 송풍기, 공조기, 냉각탑, 자동차 등 산업전반에 걸쳐 구동모터 등과 같은 구동축과 피동축 사이의 거리가 길 때 구동축의 동력을 피동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기구로서 벨트나 체인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동력전달용 벨트는 구동풀리와 피동풀리 사이에 연결되어져 있어 구동모터로 부터의 회동력을 구동풀리를 통해 피동풀리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벨트는 그 특성상 장시간 사용을 하면 전체 길이가 늘어나 헐거워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동력 전달 효율이 나빠지고 정확한 위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벨트의 일측 바깥면에 접속하는 볼베어링과, 상기 볼베어링을 지지하고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베 어링 지지판과, 상기 베어링 지지판의 슬릿에 위치되고 베어링 지지대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여 주는 고정볼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에 의해 벨트가 헐거워지면 고정볼트를 풀어준 후 베어링 지지판을 슬릿을 따라 벨트측으로 이동시켜 베어링에 의해 벨트가 압축되게 하고 벨트에 적당한 텐션이 가해졌을 때 고정볼트를 조여 베어링 지지판을 그 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벨트의 바깥 측에 설치되는 구조이어서 기계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설치 장소가 협소한 경우에는 벨트 장력 조절 장치의 설치가 어렵고 고정 볼트가 약간만 풀려도 벨트의 장력이 변화되므로 미세한 장력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벨트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계장치에 별도의 고정설치가 필요없게 되어 이용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는, 사각형상을 이루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복수의 체결볼트;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되어질 수 있는 통공이 양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형상의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져 있는 지지로울러; 상기 체결볼트의 일단측에 끼워져 구비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의 가압을 위해 체결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 되어지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력 조절장치는, 벨트의 장력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동력전달 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장력 조절장치는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시키지 않고 벨트에 직접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장착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벨트와 풀리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짐에 따른 동력전달효율이 향상되어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구조를 이룸으로 설치 및 교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스프링 방식 장력 조절장치의 구조를 도 3의 분해도를 통해 살펴보면, 사각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3)이 쌍을 이루어 구성되어져 있으며, 하부프레임(3)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2개의 체결볼트(5)가 양측에 결합 되어져 있고, 상부프레임(1)에는 체결볼트(5)가 관통 삽입되어지도록 통공(1a)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의 하부와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는 각각 벨트와 접촉되어지도록 지지로울러(2,4)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체결볼트(5)의 단부에는 체결너트(7)가 나사 체결되어지며, 체결너트(7)와 상부프레임(1) 사이에는 탄성스프링(6)이 끼워짐으로서 체결너트(7)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프레임(1)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장력 조절장치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장력 조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측의 구동풀리(11)와 동력을 전달받는 피동부재(20)측 피동풀리(21)에 연결 설치되어진 벨트(30)에 장착되어져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벨트(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3)을 위치시켜서 상부프레임(1)이 체결볼트(5)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6)과 체결너트(7)를 각각 순차적으로 체결볼트(5)에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체결너트(7)를 돌려서 탄성스프링(6)에 의한 상부프레임(1)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서 벨트(30)의 텐션이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후, 구동모터(1)를 구동시키면 구동풀리(11)와 피동풀리(21)에 연결 설치되어져 있는 벨트(30)가 도 2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유동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프레임(1)에 장착되어져 있는 지지로울러(2)와 하부프레임(3)에 장착되어져 있는 지지로울러(4)는 각각 벨트(30)의 유동력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는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지되어진 상태로 텐션조절 기능을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중 벨트(30)의 장력이 저하됨에 따라 체결너트(7)를 수시로 돌려서 탄성스프링(6)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서 벨트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지지링(8)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체결볼트(5)에는 체결너트(7)가 탄성스프링(6)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너트(7)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링(8)을 끼워서 구비함으로서, 체결너트(7)를 돌리는 과정에서 탄성스프링(6)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발생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특히, 지지링(8)은 체결너트(7)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되어질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벨트(30)가 동작되는 과정에서도 작업자가 체결볼트(5)를 돌려주게 되면 탄성스프링(6)에는 체결너트(7)와의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 보다 용이한 장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고무 방식 장력조절장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탄성스프링(6)은 탄성변형력이 크기 때문에 미세한 장력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탄성고무(6')로 대체하여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장력조절수단으로 탄성고무(6')가 구비되어지면, 체결너트(7)를 돌려주었을 때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작용 가압력이 탄성고무(6')를 통해 직접적 으로 상부프레임(1)에 전달되어짐으로서, 보다 정밀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장스프링 방식 장력조절장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이는 인장스프링(9)이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3) 사이에 연결 구비된 것으로서, 인장스프링(9)이 체결볼트(5)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3)에 연결되어 상호간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3) 상호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이 일정 탄성력으로 방지되어짐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벨트텐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탄성스프링이 상부프레임에 대한 가압력 조절에 따른 텐션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하부프레임에 대한 탄성력 조절을 통한 장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스프링 방식 장력조절장치의 벨트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력조절장치의 응용예에 따른 지지링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요부 측면도.
4b는 요부 단면도.
4c는 부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고무 방식 장력조절장치 설치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장스프링 방식 장력조절장치 설치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프레임 2,4 : 지지로울러
3 : 하부프레임 5 : 체결볼트
6 : 탄성스프링 6': 탄성고무
7 : 체결너트 8 : 지지링
9 : 인장스프링 10 : 구동모터
11 : 구동풀리 20 : 피동부재
21 : 피동풀리 30 : 벨트

Claims (4)

  1. 사각형상을 이루는 하부프레임(3);
    상기 하부프레임(3)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복수의 체결볼트(5);
    상기 체결볼트(5)가 통과되어질 수 있는 통공(1a)이 양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형상의 상부프레임(1);
    상기 상부프레임(1) 및 하부프레임(3)에 각각 구비되어져 있는 지지로울러(2,4);
    상기 체결볼트(5)의 일단측에 끼워져 구비되는 탄성스프링(6);
    상기 탄성스프링(6)의 가압을 위해 체결볼트(5)의 단부에 나사결합 되어지는 체결너트(7);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절장치.
  2. 사각형상을 이루는 하부프레임(3);
    상기 하부프레임(3)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복수의 체결볼트(5);
    상기 체결볼트(5)가 통과되어질 수 있는 통공(1a)이 양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형상의 상부프레임(1);
    상기 상부프레임(1) 및 하부프레임(3)에 각각 구비되어져 있는 지지로울 러(2,4);
    상기 체결볼트(5)의 일단측에 끼워져 구비되는 탄성고무(6');
    상기 탄성고무(6')의 가압을 위해 체결볼트(5)의 단부에 나사결합 되어지는 체결너트(7);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절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5)에는 체결너트(7)가 탄성스프링(6) 또는 탄성고무(6')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너트(7)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링(8)이 끼워져 구비되되, 상기 지지링(8)은 체결너트(7)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되어질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절장치.
  4. 사각형상을 이루는 하부프레임(3);
    상기 하부프레임(3)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복수의 체결볼트(5);
    상기 체결볼트(5)가 통과되어질 수 있는 통공(1a)이 양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형상의 상부프레임(1);
    상기 상부프레임(1) 및 하부프레임(3)에 각각 구비되어져 있는 지지로울러(2,4);
    상기 체결볼트(5)에 끼워지되,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3)에 양단이 연결 구성되는 인장스프링(9);
    상기 상부프레임(1)의 가압을 위해 체결볼트(5)의 단부에 나사결합 되어지는 체결너트(7);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20090060732A 2009-07-03 2009-07-03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110003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32A KR20110003121A (ko) 2009-07-03 2009-07-03 벨트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32A KR20110003121A (ko) 2009-07-03 2009-07-03 벨트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21A true KR20110003121A (ko) 2011-01-11

Family

ID=4361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732A KR20110003121A (ko) 2009-07-03 2009-07-03 벨트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1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449B1 (ko) * 2012-11-09 2015-06-05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장치
CN108930765A (zh) * 2018-07-10 2018-12-04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尺寸和张紧力的带传动张紧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449B1 (ko) * 2012-11-09 2015-06-05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장치
CN108930765A (zh) * 2018-07-10 2018-12-04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尺寸和张紧力的带传动张紧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6583B2 (en) Quick release automatic tensioning motor base and spring compression retention mechanism
US9803726B2 (en) Quick release automatic tensioning motor base and wear indicator
US20070026986A1 (en) Tensioning device
US6117034A (en) Floating flexible drive element tensioner
JP2017159974A (ja) マンコンベア装置
US20180051781A1 (en) Traction Means Tensioner, Vibration Welding Device Having a Traction Means Tensioner as well as Production Method for a Traction Means Tensioner
US6743131B1 (en) Single strap floating belt tensioner
KR101511013B1 (ko) 3롤 타입 롤 밴딩장치
KR20110003121A (ko) 벨트 장력 조절장치
CN108100577B (zh) 一种传送带自动张紧装置及传送设备
KR101128375B1 (ko)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US5785620A (en) Drive assembly
JP5501723B2 (ja) 乗客コンベアの駆動機取付台
KR200407683Y1 (ko) 자동 슬라이딩 모터 베이스
CN105065592B (zh) 一种皮带自动调节张紧装置
KR200220721Y1 (ko) 체인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KR101000638B1 (ko) 체인 및 벨트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CN210794664U (zh) 一种无损提升机张紧机壳
JP3894750B2 (ja) コンベア装置
KR200332316Y1 (ko) 벨트구동기구의벨트장력조절장치
CN220744315U (zh) 一种皮带转向张紧装置和皮带传动设备
CN217328314U (zh) 链条张紧机构
US20080236310A1 (en) Motor mount which allows movement of the motor only in a belt tensioning direction
CN215317772U (zh) 一种面板研磨装置
CN213770187U (zh) 一种工业用方便拆装的柔性带张紧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