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012A -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012A
KR20070016012A KR1020050070744A KR20050070744A KR20070016012A KR 20070016012 A KR20070016012 A KR 20070016012A KR 1020050070744 A KR1020050070744 A KR 1020050070744A KR 20050070744 A KR20050070744 A KR 20050070744A KR 20070016012 A KR20070016012 A KR 20070016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und bar
bar
belt conveyor
steel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6597B1 (ko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7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5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4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는, 풀리를 중심으로 상측에 캐리어벨트와 하측에 리턴벨트가 연결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벨트와 리턴벨트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배치되어 축을 이루는 환봉;과 상기 환봉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양 측부에 지지결합되는 플로마 블록;과 상기 환봉의 일측부에 부착되되 상기 캐리어벨트와 평행되며 낙광을 수용할수 있는 공간을 가진 구조로 형성된 낙광받이;와 상기 환봉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감지바; 및 상기 감지바의 전면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감지바가 접지되었다가 상기 환봉의 회동에 의해 이탈함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근접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벨트와 리턴벨트의 절손 및 스틸코드의 돌출을 즉각 감지하고, 감지함과 동시에 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벨트의 절손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막아 대형 설비사고를 방지하며, 별도의 인력이 불필요하므로 이로 인한 원가비용 손실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벨트컨베이어, 절손, 감지 장치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DAMAGING AND STEEL-CORD OF BELT CONVEYOR}
도 1은 종래의 벨트컨베이어 설비의 절손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벨트컨베이어 설비의 스틸코드 돌출시 발생되는 현상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와 벨트컨베이어 설비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캐리어벨트 20: 리턴벨트
30: 풀리 40: 스틸코드
110: 환봉 120: 플로마 블럭
130: 낙광받이 140: 스틸감지 역산형 걸림철망
150: 감지바 160: 근접센스
200: 웨이트 210: 스토퍼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의 원료 수송시 발생하는 벨트의 절손 및 스틸코드의 돌출을 감지하여 조기에 벨트를 정지시킬 수 있게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의 원료를 운송하는 벨트컨베이어는 수송 작업중 낙하하는 원료에 혼입된 철편이 낙하하는 무게와 속도에 의해 벨트컨베이어에 꽂히게 되어 절손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원료를 탑재한 상태에서 이송시키는 벨트의 특성상 작업자에 의해 벨트의 절손 여부 또는 절손부위(50)를 적시에 식별할 수 없게 된다.
벨트컨베이어에 철편이 꽂힐 경우 조기에 감지하여 벨트를 정지 시키지 못면 대략 2km 정도의 벨트가 일시에 전장 절손되는 대형사고가 발생되고, 다량의 수송물이 낙광되어 원료손실은 물론 환경오염 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물의 편적이나 벨트의 장력에 의하여 사행이 발생되어 벨트가 설비 프레임등과 마찰하여 스틸코드(40)가 돌출하거나 벨트를 받쳐주는 롤러의 파손 등에 의한 벨트의 편마모에 의하여 스틸코드(40)가 돌 출하게 되는데, 벨트의 내부에 삽입된 스틸코드가 돌출되어 풀리(30)나 프레임 등에 감길 경우에도 벨트의 전장이 절손되는 사고가 발생되어 이의 해결책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로 인해, 벨트의 구동중 이의 절손 여부 또는 절손부위를 확인 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자를 이송라인 곳곳에 배치하는 경우, 인건비용으로 인한 이송라인의 사후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벨트 구동중 절손되는 것을 적시에 발견하지 못해 벨트의 절손이 구동중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 원가비용 손실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중 벨트컨베이어의 절손 또는 벨트스틸의 돌출을 적시에 감지하여 이송라인 구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벨트의 절손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인력이 불필요하므로 이로 인한 원가비용 손실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켄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는, 풀리를 중심으로 상측에 캐리어벨트와 하측에 리턴벨트가 연결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벨트와 리턴벨트 사이 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배치되어 축을 이루는 환봉;과, 상기 환봉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양 측부에 지지결합되는 플로마 블록;과, 상기 환봉의 일측부에 부착되되 상기 캐리어벨트와 평행되며 낙광을 수용할수 있는 공간을 가진 구조로 형성된 낙광받이;와, 상기 환봉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감지바; 및 상기 감지바의 전면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감지바가 접지되었다가 상기 환봉의 회동에 의해 이탈함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와 벨트컨베이어 설비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30)를 중심으로 상측부로는 캐리어벨트(10)와 하측부로는 리턴벨트(20)가 연결구동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는 캐리어 벨트(10)와 리턴벨트(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환봉(110)은 캐리어벨트(10)와 리턴벨트(20)의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배치되되, 캐리어벨트(10)와 리턴벨트(20)의 진행방향과는 수직을 이루는 봉형상으로 길게 배치된다. 플로마 블럭(120)은 하 단면은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 또는 바닥에 고정되면서 환봉(110)의 양 측부에 환봉(110)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단, 환봉(110)이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며 고정되지는 않는다.
낙광받이(130)는 환봉(110)의 일측부에 부착되되 캐리어벨트(10)에 절손이 발생하여 그 절손된 부분(50)으로 떨어지는 낙광을 수용할수 있도록 밑면과 옆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를 형성한 구조로 형성된다. 낙광받이(130)의 폭은 컨베이어벨트에서 떨어지는 낙광을 수용하기 위해 컨베이어벨트의 폭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200)는 캐리어벨트(10)에 절손이 발생하지 않아 낙광받이(130)에 낙광이 떨어지지 않았을 시, 낙광받이(130)의 자체 무게로 인해 환봉(110)이 회동하지 않도록 환봉(110)에 부착되되, 환봉(110)을 기준으로 낙광받이(130)의 반대측부에 부착된다. 그럼으로써 낙광받이(130)에 낙광이 떨어지지 않았을 시, 웨이트(200)의 무게로 인해 낙광받이(130)는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이루게 된다.
스토퍼(210)는 웨이트(200)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단부가 프레임 또는 바닥에 고정되어 부설된다. 스토퍼(210)는 환봉(110)을 기준으로 웨이트(200)의 무게만으로 낙광받이(130)와의 수평을 유지하기에는 불안정하며, 벨트컨베이어의 이송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약간의 충격만으로도 환봉(110)이 회동하여 캐리어벨트(10)의 절손을 감지하는데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이트(200)를 지지하도록 하부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감지바(150)는 환봉(110)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캐리어벨트(10)에 절손이 발생하지않아 정상작동 시에는 후술할 근접센스(160)에 접지되어있고, 캐리어벨트(10)에 절손이 발생하여 낙광받이(130)에 낙광이 발생하였을 시, 무게로 인하여 환봉(110)이 회동하게 되고, 환봉(110)에 부착된 감지바(150)도 같이 회동하게 됨으로써, 후술할 근접센스(160)로부터 떨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근접센스(160)는 하단부가 프레임 또는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캐리어벨트(10)에 절손이 발생하지 않아 환봉(110)이 회동하지 않았을 시에는 감지바(150)가 접지되어있고, 캐리어벨트(10)에 절손이 발생하여 환봉(110)이 회동하였을 시에는 감지바(150)가 상단부에서 벗어남으로 써 벨트의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스틸감지 역산형 걸림철망(140)은 일단부는 환봉(110)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측의 캐리어벨트(10) 또는 하측의 리턴벨트(20)에 닿을 수 있는 길이의 브러쉬형태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벨트(10) 및 리턴벨트(20)에 스틸코드(40)가 돌출되었을 시 브러시에 걸림으로써 스틸감지 역산형 걸림철망(140)이 부착된 환봉(110)이 캐리어벨트(10) 및 리턴벨트(20)의 진행방향으로 회동하게된다. 그럼으로써, 감지바(150)가 근접센스(160)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캐리어벨트(10) 및 리턴벨트(20)의 스틸코드(40)의 돌출을 감지하게된다. 스틸감지 역산형 걸림철망(140)은 스틸코드(40)의 돌출을 빠짐없이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환봉(110)에 부착되되, 스틸코드(40)가 잘 걸릴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는, 캐리어벨트와 리턴벨트의 절손 및 스틸코드의 돌출을 즉각 감지하고, 감지함과 동시에 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벨트의 절손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막아 대형 설비사고를 방지하며, 별도의 인력이 불필요하므로 이로 인한 원가비용 손실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풀리를 중심으로 상측에 캐리어벨트와 하측에 리턴벨트가 연결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벨트와 리턴벨트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배치되어 축을 이루는 환봉;
    상기 환봉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양 측부에 지지결합되는 플로마 블럭;
    상기 환봉의 일측부에 부착되되 상기 캐리어벨트와 평행되며 낙광을 수용할수 있는 공간을 가진 구조로 형성된 낙광받이;
    상기 환봉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감지바; 및
    상기 감지바의 전면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감지바가 접지되었다가 상기 환봉의 회동에 의해 이탈함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근접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환봉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측의 캐리어벨트 또는 하측의 리텐벨트에 닿을 수 있는 길이의 브러쉬몸체를 갖는 한개 이상의 스틸감지 역산형 걸림철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감지 역산형 걸림철망은 방사형의 브러쉬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의 일측부에 부착되되, 상기 환봉을 기준으로 상기 낙광받이의 반대측에 부착되는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의 하단부에 부설되어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KR1020050070744A 2005-08-02 2005-08-02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KR10072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744A KR100726597B1 (ko) 2005-08-02 2005-08-02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744A KR100726597B1 (ko) 2005-08-02 2005-08-02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012A true KR20070016012A (ko) 2007-02-07
KR100726597B1 KR100726597B1 (ko) 2007-06-11

Family

ID=4365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744A KR100726597B1 (ko) 2005-08-02 2005-08-02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5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790B1 (ko) * 2002-12-05 2010-04-28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끼임에 의한 컨베이어벨트의 찢어짐 방지장치
CN109436724A (zh) * 2018-12-11 2019-03-0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皮带机防堵料装置及其使用方法
NL2030306B1 (en) * 2021-12-27 2023-07-03 Trivium Packaging Group Netherlands B V System for servicing a metal transfer bel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7408A (en) * 1981-01-07 1982-07-21 Morihide Matsumoto Detector for longitudinal tear of conveyor belt
JPH0272224U (ko) * 1988-11-24 1990-06-01
KR960022437U (ko) * 1994-12-29 1996-07-20 벨트 컨베이어 손상감지장치
JP2004026484A (ja) * 2002-06-28 2004-01-29 Jfe Steel Kk ベルトコンベアー装置におけるベルト裂損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790B1 (ko) * 2002-12-05 2010-04-28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끼임에 의한 컨베이어벨트의 찢어짐 방지장치
CN109436724A (zh) * 2018-12-11 2019-03-0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皮带机防堵料装置及其使用方法
NL2030306B1 (en) * 2021-12-27 2023-07-03 Trivium Packaging Group Netherlands B V System for servicing a metal transfer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597B1 (ko)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597B1 (ko) 벨트컨베이어의 스틸코드 및 절손감지 장치
KR10068208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 검출장치
KR100960998B1 (ko) 컨베이어 롤러 스탠드
JP4857990B2 (ja) 仕分け設備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1221144B1 (ko) 브랜딩라인의 컨베이어 벨트 표면 브러쉬 회전장치
KR102106740B1 (ko)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KR20120110316A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19990013550U (ko) 벨트 컨베이어 절손 감지장치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0494318B1 (ko)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
KR200221979Y1 (ko) 원료 불출설비의 가이드 벨트컨베이어
KR101077586B1 (ko) 회전감지형 컨베이어 롤러 장치
KR1012775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0991461B1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KR100778676B1 (ko) 웨이트 클리너장치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200208259Y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102427937B1 (ko)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KR100899685B1 (ko) 주행 중인 트리퍼의 컨베이어벨트 적재물 자동감지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JP2010095344A (ja) パイプコンベア
KR101364056B1 (ko) 오버 슈트 경보 장치
KR2003000816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