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40B1 -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40B1
KR102106740B1 KR1020190155089A KR20190155089A KR102106740B1 KR 102106740 B1 KR102106740 B1 KR 102106740B1 KR 1020190155089 A KR1020190155089 A KR 1020190155089A KR 20190155089 A KR20190155089 A KR 20190155089A KR 102106740 B1 KR102106740 B1 KR 10210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saw member
rail
roller
carri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진
Original Assignee
박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진 filed Critical 박세진
Priority to KR102019015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처리물이 장착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캐리어의 역주행을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기구적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역흐름 방지 기능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인식시켜 사전에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처리물이 탈장착되는 캐리어(carrier) 유닛이 연결된 롤러(Roller)가 주행하는 레일에서 역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로서, 레일에 장착되는 중심 브라켓 부재; 중앙부가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소 부재; 및 상기 시소 부재에 구성되어 롤러의 주행방향 흐름은 허용하고, 롤러의 주행 반대방향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역흐름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BACKWARD PREVENTING DEVICE OF CARRIER FOR I-TYPE RAIL}
본 발명은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처리물이 장착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캐리어의 역주행을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기구적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역흐름 방지 기능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인식시켜 사전에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주로 이송장치나 자동화 라인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수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부재의 양측에는 구동롤러가 구비되며, 구동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벨트부재의 하측에는 복수의 롤러부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중 트롤리컨베이어는 다양한 분야의 산업의 생산라인에서 각 공정간의 이송시 운반체를 매달아 이동시키는데 많이 사용되는데, 특히 도장공정 또는 조립공정에서 는 전체 공정을 트롤리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운반체를 매달아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종래 캐터필러체인으로 구동되는 트롤리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캐터필러체인으로 구동되는 트롤리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종래의 트롤리컨베이어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터필러체인(6)을 사용하여 구동축 스프라켓(12), 종동축 스프라켓(13) 등 2개의 스프라켓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기타 가이드롤러(10), 가이드레일(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트롤리컨베이어와 같은 컨베이어가 적용된 설비는 완충스프링, 슬라이딩롤러, 이중프레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상당하다.
최근 컨베이어 벨트 시설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하여 콘베어 벨트의 역흐름 안전장치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으며, 이러한 규제에 맞게 안전장치를 설치할 경우 상당히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6192(2004.11.1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03765(2014.01.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17819(2003.03.04.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공처리물이 장착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캐리어의 역주행을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어 역주행에 따른 공정 중단 사고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구적 구성을 통해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흐름 방지 기능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인식시켜 사전에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가공처리물이 탈장착되는 캐리어(carrier) 유닛이 연결된 롤러(Roller)가 주행하는 레일에서 역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로서, 레일에 장착되는 중심 브라켓 부재; 중앙부가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소 부재; 및 상기 시소 부재에 구성되어 롤러의 주행방향 흐름은 허용하고, 롤러의 주행 반대방향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역흐름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는 레일의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역 T자형이나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소 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두께와 폭 및 길이의 판형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는 평행하는 한 쌍의 평행 판형체와, 상기 한 쌍의 평행 판형체 간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 판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은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의 하면에 형성되되 롤러의 진행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면부, 및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이 타단부 측보다 무게가 크도록 형성되는 무게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는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의 단면에 형성되는 롤러 안착홈부; 및 상기 롤러 가이드면부에 구비되어 롤러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비되는 충격 완충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면부는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선형 가이드부, 및 상기 선형 가이드부의 후단에서 타단부 측으로 상향 경사 구배를 갖고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상향 경사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은 상기 시소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중 무게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중 무게추를 포함하는 상기 시소 부재의 타단부의 무게는 상기 무게추부보다 무게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이 하향 회동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이 하향 이동될 때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의 하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위치 안착-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여 청각적 및 시각적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하는 알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림 유닛은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의 회동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 상기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회동 여부를 판단하는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 상기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청각적 신호 및 시각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저-경광등 모듈; 및 상기 검출 센서와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 및 부저-경광등 모듈에 필요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은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의 회동 복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시소 부재의 작동 오류로 판단하여 상기 부저-경광등 모듈을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가공처리물이 장착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캐리어의 역주행 또는 역흐름을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캐리어의 역주행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역주행에 따른 공정 중단 사고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역흐름 방지 기능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인식시켜 사전에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캐터필러체인으로 구동되는 트롤리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캐터필러체인으로 구동되는 트롤리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롤러의 역흐름 방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롤러의 역흐름 방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롤로가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회동시키면서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롤러의 역흐름 방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롤러의 역흐름 방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롤로가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를 회동시키면서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는, 가공처리물이 탈장착되는 캐리어(carrier) 유닛이 연결된 롤러(Roller)가 주행하는 레일에서 역주행(역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Rail) 상에 장착되는 중심 브라켓 부재(100); 중앙부가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소 부재(200); 및 상기 시소 부재(200)에 구성되어 롤러의 주행방향 흐름은 허용하고, 롤러의 주행 반대방향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역흐름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100)는 레일 상에 고정되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시소 부재(200)를 레일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나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100)는 예를 들면 레일의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역 T자형이나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100)는 역 T자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100)이 고정되고 캐리어 유닛이 결합된 롤러가 양측에서 주행하는 레일은 I자형 레일 또는 역 T자형 레일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롤러가 일측 또는 양측에서 구름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라면, 본 발명의 역흐름 방지 장치는 어떠한 레일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소 부재(200)는 중앙부(또는 중심부)가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100)에 베어링 등을 매개로 결합되어 그 중앙부(또는 중심부)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두께와 폭 및 길이의 판형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소 부재(200)는 소정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갖고 평행하는 한 쌍의 평행 판형체(210)와, 상기 한 쌍의 평행 판형체(2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그 한 쌍의 평행 판형체(210)를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 판형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은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즉, 롤러의 진행방향으로의 단부)의 하면에 형성되되 롤러의 진행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면부(310)와,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의 단면에 형성되는 롤러 안착홈부(320), 및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이 타단부 측에 비하여 무게가 더 나가도록 하는 무게추부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가이드면부(310)는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되되 롤러가 주행하는 레일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선형 가이드부(311), 및 상기 선형 가이드부(311)의 후단에서 타단부 측으로 소정의 상향 경사 구배를 갖고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상향 경사 가이드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은 상기 선형 가이드부(311) 및 상향 경사 가이드부(3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롤러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충격 완충패드(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완충패드(313)는 예를 들면 신축성 재질(예를 들면, 고무 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상기 안착홈부(320)는 롤러가 레일을 따라 주행할 때 역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롤러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도록 롤러의 외연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착홈부(320)는 라운드진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반원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안착홈부(320)는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의 역흐름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 수용되도록 안착홈부(32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인 선형 가이드부(311)와 상향 경사 가이드부(312)가 형성되는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이 항상(평상 시) 하향 이동되어 있고 타단부 측은 상향 이동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이 타단부 측보다 상대적으로 무게(중량)가 많이 나가도록 그 일단부 측 자체의 무게가 많이 나가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중량부재를 구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의 두께나 크기를 타단부 측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별개의 중량체를 더 구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은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에 롤러가 접촉하여 회동 시 그 시소 부재(200)의 타단부 측이 원활하게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시소 부재(200)의 타단부에 회전가중 무게추(3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게추(330)를 포함하는 시소 부재(200)의 타단부의 무게는 상기 무게추부보다 무게가 덜 나가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이 하향 회동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이 하향 이동될 때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의 하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위치 안착-가이드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안착-가이드 부재(400)는 레일 상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시소 부재(200)의 한 쌍의 평행 판형체(210)의 일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돌출 판형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는 상기 시소 부재(200)의 회전 여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의 하향 회동 여부를 감지하여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알림하는 알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유닛은 예를 들면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의 회동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예를 들면, 광 센서, 자석 센서 등), 상기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회동 여부를 판단하는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과, 상기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청각적 신호 및/또는 시각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저-경광등 모듈, 및 상기 검출 센서와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 및 부저-경광등 모듈에 필요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은 상기 시소 부재(200)의 일단부 측의 회동 복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벗어난 경우, 즉 회전축에 먼지나 불순물이 끼임에 따라 시소 부재(200)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시소 부재(200)의 작동 오류로 판단하여 상기 부저-경광등 모듈을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알람 신호를 인지하여 시소 부재(200)의 유지 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에 따르면, 가공처리물이 장착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캐리어의 역주행 또는 역흐름을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역주행(역흐름)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역주행에 따른 공정 중단 사고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역흐름 방지 기능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인식시켜 사전에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중심 브라켓 부재
200: 시소 부재
210: 평행 판형체
220: 고정 판형체
310: 롤러 가이드면부
311: 선형 가이드부
312: 상향 경사 가이드부
313: 완충 패드
320: 롤러 안착홈부
330: 회전가중 무게추
400: 위치 안착-가이드 부재

Claims (9)

  1. 가공처리물이 탈장착되는 캐리어(carrier) 유닛이 연결된 롤러(Roller)가 주행하는 레일에서 역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로서,
    레일에 장착되는 중심 브라켓 부재;
    중앙부가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소 부재; 및
    상기 시소 부재에 구성되어 롤러의 주행방향 흐름은 허용하고, 롤러의 주행 반대방향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역흐름 방지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는 레일의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역 T자형이나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소 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중심 브라켓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두께와 폭 및 길이의 판형체로 구성되고,
    상기 시소 부재는 평행하는 한 쌍의 평행 판형체와, 상기 한 쌍의 평행 판형체 간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 판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은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의 하면에 형성되되 롤러의 진행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면부, 및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이 타단부 측보다 무게가 크도록 형성되는 무게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는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의 단면에 형성되는 롤러 안착홈부; 및 상기 롤러 가이드면부에 구비되어 롤러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비되는 충격 완충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면부는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선형 가이드부, 및
    상기 선형 가이드부의 후단에서 타단부 측으로 상향 경사 구배를 갖고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상향 경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흐름 방지 수단은 상기 시소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중 무게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중 무게추를 포함하는 상기 시소 부재의 타단부의 무게는 상기 무게추부보다 무게가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이 하향 회동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이 하향 이동될 때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의 하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위치 안착-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여 청각적 및 시각적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하는 알림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유닛은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의 회동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
    상기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회동 여부를 판단하는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
    상기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청각적 신호 및 시각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저-경광등 모듈; 및
    상기 검출 센서와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 및 부저-경광등 모듈에 필요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검출판단 회로모듈은 상기 시소 부재의 일단부 측의 회동 복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시소 부재의 작동 오류로 판단하여 상기 부저-경광등 모듈을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KR1020190155089A 2019-11-28 2019-11-28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KR10210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89A KR102106740B1 (ko) 2019-11-28 2019-11-28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89A KR102106740B1 (ko) 2019-11-28 2019-11-28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740B1 true KR102106740B1 (ko) 2020-05-04

Family

ID=7073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089A KR102106740B1 (ko) 2019-11-28 2019-11-28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669A (ko) * 2021-12-20 2023-06-27 김경식 카운터웨이트 충진용 스킵호이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19A (ko) 2001-08-23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베이어 시스템용 안전장치
KR200366192Y1 (ko) 2004-08-03 2004-11-10 김종권 안전장치를 구비한 트롤리컨베이어 구동장치
KR20140003765A (ko) 2012-06-28 2014-01-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19A (ko) 2001-08-23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베이어 시스템용 안전장치
KR200366192Y1 (ko) 2004-08-03 2004-11-10 김종권 안전장치를 구비한 트롤리컨베이어 구동장치
KR20140003765A (ko) 2012-06-28 2014-01-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669A (ko) * 2021-12-20 2023-06-27 김경식 카운터웨이트 충진용 스킵호이스트
KR102653276B1 (ko) 2021-12-20 2024-03-29 김경식 카운터웨이트 충진용 스킵호이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2291B2 (ja) コンベヤベルトの摩耗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6280385B2 (ja) 自動車入庫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CN105416993A (zh) 轨道式带式输送机
US7748520B1 (en) Slip roller conveyor
US5038925A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articles along a curved path
KR102106740B1 (ko) 레일용 캐리어 역흐름 방지 장치
CN210557275U (zh) 流水线运输装置
JP2001080715A (ja) フリクション駆動式トロリーコンベヤ
US10358295B2 (en) Transport device
KR101328131B1 (ko) 천정타입 물품 운반용 유연 구동 시스템
JP5314748B2 (ja) 昇降装置
KR101757783B1 (ko) 오버헤드 컨베이어
KR101053931B1 (ko) 물품 이송용 플렉시블 드라이빙 장치
JP2016084239A (ja) カゴ台車の前詰め装置
US20170217686A1 (en) A flexible element for a conveyor system
KR2007000804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 검출장치
US6443293B2 (en) Transporting installation with conveyor having idling rollers supporting transport members
US3036691A (en) Article conveyor
JP4338598B2 (ja) 物品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システム
US3643781A (en) Deadplate construction for a conveyor system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CN205150931U (zh) 轨道式带式输送机
JPH0672539A (ja) 荷搬送装置
KR20110060004A (ko) 벨트컨베이어의 슬립 방지장치
US3343499A (en) Conveyo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