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772A -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772A
KR20040051772A KR1020020079437A KR20020079437A KR20040051772A KR 20040051772 A KR20040051772 A KR 20040051772A KR 1020020079437 A KR1020020079437 A KR 1020020079437A KR 20020079437 A KR20020079437 A KR 20020079437A KR 20040051772 A KR20040051772 A KR 2004005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elt
stand
breakag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240B1 (ko
Inventor
이종인
박치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2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제철공장에서 원,연료등을 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벨트의 곡관부에 설치되어 벨트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롤의 파손감지 및 롤분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는, 벨트 컨베이어 (100)의 이송롤(120)이 안착되고, 회전 운동토록 상기 벨트(110) 하측에 설치되는 롤의 벨트 분리용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의 일측으로 롤파손시 상승되어 벨트(110)를 지지 이송시키도록 배치된 대응롤(30);과, 상기 스탠드(10)와 대응롤 (30)에 그 이동들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수단(50); 및, 상기 구동수단(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판넬(C)과 연결되고 상기 롤(120)의 파손에 따른 무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곡관부의 이송롤이 파손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여 대응롤이 벨트를 대체 이송토록 함으로서, 벨트의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율을 높이는 한편, 파손된 롤을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라인에서 분리시키어 파손롤과 벨트간의 마찰에 의한 벨트손상 및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AN APPARATUS FOR SENSING THE BREAKAGE OF A ROLL AND SEPARATING THE ROLL FROM A BELT IN A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로는 벨트의 곡관부에 설치되어 벨트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롤이 파손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여 대응롤이 벨트 곡관부를 대체 지지하여 벨트 지지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성을 높이는 한편, 동시에 파손된 롤을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라인에서 분리시키도록 하여 파손롤과 벨트간의 마찰에 의한 벨트손상 및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에서 원,연료 즉, 광석과 석탄을 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밸트(110)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벨트 이송롤(120)들은 사용중에 운송물의 하중에 의한 부하등으로 파손되기 쉬운데, 특히 벨트 컨베이어(100)의 벨브 곡관부(130)에 설치된 벨트 이송롤(120')은 가장 부하를 많이 받기 때문에, 특히 파손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즉, 운송물의 운송시 벨트컨베이어(100)의 벨트(110) 하부에 부착되면서 벨트(110)의 이송을 지지 이송시키는 이송롤(120)은 원,연료의 운송과정에서 적재된 운반물의 하중과 낙하시의 낙탄등에 의하여 롤표면이 부식되거나 구동부의 베어링부품이 파손되면서 이송롤(120')이 회전되지 않는 고착 현상이 발생하는데, 특히 곡관부(130)에 설치된 이송롤(120')은 수평하게 벨트(110)의 이송을 지지하는 다른 이송롤(120)에 비하여 운송물의 하중과 부하가 더 심하기 때문에, 베어링파손이 손쉽게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벨트 곡관부(130)에서의 파손된 이송롤(120')이 그대로 방지되는 경우에는, 이송롤(120)의 베어링부품이 완전하게 파손 또는 반파되면서 벨트(110)를 정상적으로 지지 이송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벨트(110)의 처짐현상으로 인한 벨트사행을 초래하고, 특히 파손된 롤부위와 벨트(110)가 지속적으로 마찰되면서 마찰부에서의 마찰열로 화재가 발생되는 대형 설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철공장의 원,연료 운송중에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곡관부에 설치된 이송롤이 분진등의 고착과 베어링부품의 파손으로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이송롤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승되는 대응롤로서 벨트를 원활하게 지지 이송시킴으로서, 이송롤 파손에도 불구하고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손된 이송롤을 자동적으로 벨트 이송라인에서 분리시킴으로서, 파손된 롤에 의한 벨트의 표면손상등을 방지하는 한편, 파손된 이송롤의 보수 및 유지작업도 용이하게 하고, 특히 파손된 롤과 벨트간의 마찰에 의한 화재등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벨트 컨베이어의 곡곽부 이송롤을 도시한 개략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에서 프레임구조를 도시한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0.... 스탠드
12.... 베이스14.... 핀
30.... 대응롤32... 롤축
34.... 가이드홈36,74....근접센서
50.... 구동수단52.... 구동실린더
54.... 이동아암56,58.... 연결아암
70.... 감지수단72.... 회전센서
76.... 시그널박스100.... 벨트 컨베이어
110.... 벨트120.... 이송롤
120'.... 파손된 이송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에서 진행 벨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롤의 파손을 감지하고 파손된 롤을 벨트에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이 안착되고, 회전 운동토록 상기 벨트 하측에 설치되는 롤의 벨트 분리용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일측으로 롤파손시 상승되어 벨트를 지지 이송시키도록 배치된 대응롤;과,
상기 스탠드와 대응롤에 그 이동들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판넬과 연결되고 상기 롤의 파손에 따른 무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벨트켄베이어의 곡관부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에서 프레임구조를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곡관부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는 크게 롤분리용 스탠드(10)와 대응롤(30)과 구동수단(50) 및 감지수단(70)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수단(10)(30)(50)(7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1)는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진행되는 벨트(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롤(120)의 파손시 즉시 벨트(110)와 분리시키고 파손된 이송롤 (120') 대신에, 벨트(110)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하는 새로운 대응롤(30)을 투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 2 및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곡관부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의 상기 롤의 벨트 분리용 스탠드(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탠드(10)는, 상기 이송롤(120)이 공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회전 운동토록 상기 벨트(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10)는 실질적으로 벨트(110)를지지이송시키는 이송롤(120)의 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벨트(110)의 하측으로 제공된 베이스(12)에 핀(14)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핀(14)을 축으로 상기 스탠드(10)는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핀(14)은 실제로는 볼트로서 상기 스탠드(10)에 형성된 개구 (10a)를 통하여 베이스(12)에 삽입된후, 너트(14a)로서 고정되어 상기 스탠드(10)는 상기 베이스(12)상에서 상기 핀(14)을 축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스탠드(10)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동수단(50)의 이동아암(54)과 연결되는 제 1 연결아암(56)이 연결되는 고정봉(56a)이 상기 핀(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탠드(10)는 정상적인 이송롤(120)의 지지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10)에는 상기 이송롤(120)의 롤축부(122)가 안착되는 고정홈(16)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탠드(10)는 벨트(110)의 저면이 밀착되는 상기 이송롤(120)을 공회전 시키면서 벨트(110)를 지지 이송시키게 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곡관부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의 상기 대응롤(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대응롤(30)은, 상기 스탠드(10)의 일측으로 롤파손시 상승되어 벨트(110)를 지지 이송시키도록 배치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응롤(30)은 그 축부(32)가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된 가이드홈(34)을 통과하여 상기 구동수단(50)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12)에는 상기 대응롤(30)의 상하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곡관부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의 상기 구동수단(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동수단(50)은 상기 스탠드(10)와 대응롤(30)들의 이동을 위하여 구비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베이스(12)의 후방으로 조작판넬(C)과 연결되어 설치된 구동실린더(52)와 연결되어 전후 이동하는 이동아암(54)과, 상기 스탠드(10)에 고정된 고정봉(56a)과 상기 이동아암(54)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아암(56) 및, 상기 대응롤(30)의 롤축부(32)와 상기 이동아암(54)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아암(58)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52)의 전진시 상기 대응롤(30)을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스탠드(10)는 핀(14)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탠드(10)상의 파손된 이송롤(120')은 벨트(110)의 저면에서 분리 이탈된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곡관부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의 상기 감지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감지수단(70)은, 상기 구동수단(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판넬(C)과 연결되고 상기 롤(120)의 파손시 롤의 무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70)은, 상기 벨트(110)의 표면에 밀착되어 그 이동시 회전하는 회전센서(72) 및, 상기 이송롤(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봉(74a)을 감지하도록 이송롤축에 인접하여 배치된 근접센서(7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센서(72)(74)는 시그널박스(76)를 통하여 구동실린더(54)와 연결된 조작판넬(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2)상에 설치된 근접센서(36a)(36b)들도 상기 조작판넬(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에서 원,연료등을 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벨트(110)의 곡관부(130)에 설치되어 벨트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롤(130')이 파손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여 대응롤이 벨트 곡관부를 대체 지지하여 벨트 지지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벨트 컨베이어(100)의 가동성을 높이는 한편, 동시에 파손된 롤을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라인에서 분리시키도록 하여 파손롤과 벨트간의 마찰에 의한 벨트손상 및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롤(120)의 파손을 감지하는 작동을 살펴보면,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파손되는 이송롤(120')이 발생되어 상기 이송롤(120)이 스탠드(10)상에서 회전 이송되지 않으면 즉, 이송롤이 파손되면, 상기 이송롤(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봉(74a)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 일측으로 벨트(110)의 상부 표면에 밀착되어 벨트의 진행상태를감지하는 회전센서(72)가 작동되어 신호가 발생되는데, 상기 이송롤(120)은 파손되어 회전되지 않으면, 근접센서(74)가 작동되지 않아 신호가 발생되지 않고, 결국 상기 센서(72)(76)들과 연결된 시그널박스(76)에서는 장치조작판넬(C)에 신호를 보낸다.
결국, 상기 장치조작판넬(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수단(50)의 구동실린더 (52)가 전진하게 되는데,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상기 구동실린더(52)의 유압유니트측 전자작동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실린더(52)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52)에 연결된 이동아암(54)이 실린더의 작동으로 전진하게 되면, 상기 이동아암(54)과 각각 연결되는 대응롤(30)의 롤축(32)은 베이스 가이드홈(34)을 따라 상승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이동아암(54)과 연결된 제 1 연결아암(56)이 연결되는 고정봉(56a)이 설치된 스탠드(10)는 일체로 핀(14)을 축으로 그 전방으로 밀려진다.
따라서, 스탠드(10)상의 이송롤(120)은 그 고정홈(16)에 단순히 롤축(122)이 안착된 스탠드(10)상의 파손된 이송롤(120')은 그 전방으로 스탠드(10)에서 부터 분리되고, 결국 이송롤(120)이 파손되면 벨트(110)의 저면에서 분리되면서 벨트와 파손된 롤(120')간의 지속적인 마찰을 방지시키어 벨트(110)의 손상 및 마찰에 의한 설비화재를 방지시키는 것이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52)의 전진시 제 2 연결아암(58)으로 축부(32)가 연결된 대응롤(30)은 베이스(12)의 가이드홈(34)을 따라 그 축부(32)가 상승하면서 스탠드(10)에서 이송롤(120)이 분리된 벨트(110)의 저면을 대신 지지 이송시키고, 결국 벨트 이송롤(120)이 파손되어 밸트 진행라인에서 분리되어도 새로운 대응롤(30)이 상승하여 벨트(110)의 이송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다음, 새로운 이송롤(120)이 스탠드(10)상에 안착되도록 구동실린더(52)가 장치조작판넬(C)의 신호를 받아 후진하면, 이에 연결된 이동아암(54)과 연결된 제 1,2 연결아암(56)(58)이 일체로 후진하면서, 상기 스탠드(10)의 투입된 새로운 이송롤(120)이 벨트(110)의 이송을 지지하면서 대응롤(30)은 베이스(12)를 따라 하강하여 다시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스탠드(10)에서 분리된 파손롤(120')의 보수작업도 용이하게 하여 신속하게 벨트 컨베이어(100)에 재 투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곡관부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장치(1)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100)의 곡관부(130)에서 이송롤(120)이 부하를 받아 그 회전이 중지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면서 파손된 이송롤(120')은 벨트(110)에서 부터 분리시키고, 새로운 이송롤(120)이 투입될 때 까지 대응롤 (30)로서 벨트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하여 벨트 컨베이어(100)의 가동율을 높이면서 벨트 손상 및 마찰에 의한 화재발생도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에 의하면, 제철공장의 원,연료 운송중에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곡관부에 설치된 이송롤이 분진등의 고착과 베어링부품의 파손으로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이송롤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승되는 대응롤로서 벨트를 원활하게 지지 이송시킴으로서, 이송롤 파손에도 불구하고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은 유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파손된 이송롤을 자동적으로 벨트 이송라인에서 분리시킴으로서, 파손될 롤에 의한 벨트의 표면손상등을 방지하는 한편, 파손된 이송롤의 보수 및 유지작업도 용이하게 하고, 특히 파손될 롤과 벨트간의 마찰에 의한 설비화재등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진행 벨트(110)을 이송시키는 이송롤(120)의 파손을 감지하고 파손된 롤(120')을 벨트(110)에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120)이 안착되고, 회전 운동토록 상기 벨트(110) 하측에 설치되는 롤의 벨트 분리용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의 일측으로 롤파손시 상승되어 벨트(110)를 지지 이송시키도록 배치된 대응롤(30);과,
    상기 스탠드(10)와 대응롤(30)에 그 이동들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수단 (50); 및,
    상기 구동수단(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판넬(C)과 연결되고 상기 롤(120)의 파손에 따른 무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0)는, 벨트 하측으로 제공된 베이스(12)에 핀(14)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탠드(10)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롤(120)의 롤축부(122)가 안착되는 고정홈(1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롤(30)은, 그 축부(32)가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된 가이드홈(34)을 통과하여 상기 구동수단(50)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12)에는 상기 대응롤(30)의 상하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36a)(36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베이스(12)의 후방으로 조작판넬(C)과 연결되어 설치된 구동실린더(52)와 연결되어 전후 이동하는 이동아암(54);과,
    상기 스탠드(10)에 고정된 고정봉(56a)과 상기 이동아암(54)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아암(56);및,
    상기 대응롤(30)의 롤축부(32)와 상기 이동아암(54)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아암(5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70)은,
    상기 벨트(110)의 표면에 밀착되어 그 이동시 회전하는 회전센서(72); 및,
    상기 이송롤(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봉(74a)을 감지하도록 이송롤축에 인접하여 배치된 근접센서(74);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72)(74)는 시그널박스(76)를 통하여 구동실린더(54)와 연결된 조작판넬(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켄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KR1020020079437A 2002-12-13 2002-12-13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KR10093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437A KR100931240B1 (ko) 2002-12-13 2002-12-13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437A KR100931240B1 (ko) 2002-12-13 2002-12-13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772A true KR20040051772A (ko) 2004-06-19
KR100931240B1 KR100931240B1 (ko) 2009-12-10

Family

ID=3734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437A KR100931240B1 (ko) 2002-12-13 2002-12-13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231B1 (ko) * 2009-01-28 2011-07-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어의 리턴 롤러 결함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2173581A (zh) * 2020-09-28 2021-01-05 辽宁工程技术大学 新型轨道式带式输送机
KR102217071B1 (ko) * 2019-12-31 2021-02-1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비함침 타입의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8820A1 (ja) * 2011-07-12 2013-01-17 新東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運転方法及びベルトコンベアの運転装置、並びに搬送装置の制御方法及び搬送装置
KR101291544B1 (ko) * 2011-11-29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895Y2 (ko) * 1981-03-11 1986-07-09
JPS5971215U (ja) * 1982-11-01 1984-05-15 日本磁力選鉱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キヤリアロ−ラ−支持台
JPS5971214U (ja) * 1982-11-01 1984-05-15 日本磁力選鉱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キヤリアロ−ラ−支持台
JP3743032B2 (ja) * 1995-09-29 2006-02-0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ベヤローラ交換装置
KR19980040397U (ko) * 1996-12-21 1998-09-15 김종진 리턴롤러 교환장치
KR20020037540A (ko) * 2000-11-14 2002-05-22 이구택 리턴 롤러의 파손 검출 및 자동 교체장치
KR20020046064A (ko) * 2000-12-12 2002-06-20 이구택 롤러스탠드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231B1 (ko) * 2009-01-28 2011-07-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어의 리턴 롤러 결함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7071B1 (ko) * 2019-12-31 2021-02-1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비함침 타입의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CN112173581A (zh) * 2020-09-28 2021-01-05 辽宁工程技术大学 新型轨道式带式输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240B1 (ko)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7367B (zh) 独立卸货分选输送机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KR10116716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0931240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JP201919411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防止装置
KR101253876B1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KR200352833Y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이송물 교정장치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JPS60153324A (ja) ベルトコンベヤの自動調芯方法および装置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22248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휠 감지장치
KR10075842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KR20120110316A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100991461B1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KR200179920Y1 (ko) 편적 형상에 따라 가변되는 슈트내 이송물 안내장치
KR102354611B1 (ko) 사행 방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KR102383806B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KR10238380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326248B1 (ko) 압연소재 가이드장치
KR100516463B1 (ko) 원료불출설비의 트리퍼부 더블컨베이어
KR200241714Y1 (ko) 롤러교체가 용이한 캐리어롤러 스탠드
KR0114439Y1 (ko) 다열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물 마찰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