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806B1 -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806B1
KR102383806B1 KR1020200046729A KR20200046729A KR102383806B1 KR 102383806 B1 KR102383806 B1 KR 102383806B1 KR 1020200046729 A KR1020200046729 A KR 1020200046729A KR 20200046729 A KR20200046729 A KR 20200046729A KR 102383806 B1 KR102383806 B1 KR 10238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pulley
belt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718A (ko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8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는 이송벨트의 내측면에 접해 회전되는 풀리부와, 이송벨트와 풀리부의 상대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와, 풀리부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풀리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사행조정부와, 사행조정부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사행조정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ERPENTINE MOVING OF BELT CONVEYE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이동에 따라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방식으로 운동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이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석탄, 코크스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벨트컨베이어는 벨트에 낙하되는 이송물의 편적등에 의해 벨트가 일방향으로 치우치는 사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57946호(2008.06.25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송벨트의 사행에 따른 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는 이송벨트의 내측면에 접해 회전되는 풀리부; 상기 이송벨트와 상기 풀리부의 상대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상기 풀리부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풀리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사행조정부; 및 상기 사행조정부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사행조정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행조정부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피봇부; 일측이 상기 피봇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풀리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프레임부; 및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작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봇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관통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부몸체; 및 상기 지지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사행조정부에 의해 이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함에 따라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이송벨트의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이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위치측정부에 의해 이송벨트의 사행을 측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오판단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사행조정부가 피봇부, 지지부에 의해 회전작동이 안내됨과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장비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사행 조정의 작동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이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작동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풀리부(100), 위치측정부(200), 사행조정부(300),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풀리부(100)는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는 이송벨트(1)의 내측면에 접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리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이 이송벨트(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풀리부(100)는 이송벨트(1)가 풀리부(100)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풀리부(100)는 이송벨트(1)의 내측면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송벨트(1)에 장력을 부가한다. 이에 따라, 풀리부(100)는 모터 등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송벨트(1)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 이송벨트(1)의 이동 시 이송벨트(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풀리 등 이송벨트(1)의 내측면에 접해 회전되는 풀리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위치측정부(200)는 이송벨트(1)와 풀리부(100)의 상대위치를 측정하여 이송벨트(1)가 풀리부(100)의 축방향으로 사행되는 것을 감지한다. 위치측정부(200)는 후술할 사행조정부(300) 또는 벨트컨베이어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프레임 등에 설치되어 풀리부(100)와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부(200)는 프레임부(310)의 연결프레임(311)에 설치되어 풀리부(100)의 일단부와 이송벨트(1)의 측면 일단부의 사이의 거리와 풀리부(100)의 타단부와 이송벨트(1)의 측면 타단부의 사이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이송벨트(1)의 쏠림을 측정한다. 이에 따라 위치측정부(200)는 적외선 센서 등 이송벨트(1)와 풀리부(100)의 상대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사행조정부(300)는 풀리부(100)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풀리부(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한다. 사행조정부(300)는 회전에 의해 풀리부(100)의 회전축을 지면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풀리부(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사행조정부(300)는 이송벨트(1)에 걸리는 장력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이송벨트(1)와 풀리부(100)간의 상대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행조정부(300)는 피봇부(310), 프레임부(320),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310)는 일측이 피봇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풀리부(100)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부(310)는 회전 작동에 의한 하중에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310)는 풀리부(100)의 양단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풀리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310)는 연결프레임(311), 지지프레임(312)을 포함한다.
연결프레임(311)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각각 풀리부(100)의 양단과 연결된다. 연결프레임(311)의 중앙부는 풀리부(100)의 상방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위치측정부(2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지지프레임(31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프레임(311)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풀리부(100)의 하방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배치된다. 지지프레임(312)은 연결프레임(311)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이송벨트(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312)은 피봇부(320)와 구동부(500)가 배치되는 위치를 이격시킬 수 있어 프레임부(310)의 회전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2)의 일측에는 피봇부(3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피봇부(3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310)에는 프레임부(310)의 회전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레일(4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400)은 프레임부(310)의 지지프레임(312)의 하측면에서 지지프레임(312)의 내부로 함몰형성된다. 가이드레일(400)이 함몰되는 깊이는 후술할 롤러부(322)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값을 가진다. 가이드레일(400)은 롤러부(332)가 프레임부(31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프레임부(310)가 피봇부(32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곡률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400)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부(310)의 회전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고, 지지프레임(31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피봇부(320)는 구동부(5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면에 고정되어 프레임부(310)를 지지함과 동시에 프레임부(310)가 회전되는 회전의 중심축을 마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부(320)는 고정부(321), 관통부(322), 마찰저감부(323)를 포함한다.
고정부(321)는 프레임부(310)의 회전 시 지면과 상대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팅, 용접 등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관통부(322)는 고정부(321)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부(3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322)는 원통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32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관통부(322)는 프레임부(310)의 연결프레임(311)을 기준으로 지지프레임(312)의 어느 한쪽 단부(도 4 기준 우측)를 관통하여 지지프레임(3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관통부(322)가 프레임부(310)에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은 관통부(322)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직경이 변하는 경계에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부(322)는 이러한 단턱에 의해 프레임부(310)가 관통부(322)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후술할 마찰저감부(3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323)는 프레임부(310)와 관통부(322)의 사이에 구비되고, 프레임부(310)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감부(323)는 미끄럼 베어링의 한 종류인 부시(Bush)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부(310)의 내주면과 관통부(322)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된다. 마찰저감부(323)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 프레임부(310)의 상하로 삽입될 수 있다. 마찰저감부(323)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름베어링, 오일리스베어링 등 회전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피봇부(320)는 관통부(322)의 상단에 결합되어 마찰저감부(323)가 프레임부(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24)는 관통부(322)에 볼팅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고, 관통부(3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찰저감부(323)의 프레임부(310)로의 삽입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지지부(330)는 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부(320)의 타측을 지지하고, 프레임부(310)의 회전작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330)는 피봇부(310)가 설치된 위치의 반대쪽에서 프레임부(310)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부(310)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30)는 프레임부(310)와 구름접촉되거나 슬라이딩결합되어 프레임부(310)의 회전작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30)는 지지부몸체(331), 롤러부(332)를 포함한다.
지지부몸체(331)는 지면에 고정되고, 프레임부(310)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몸체(331)는 지면에 볼팅,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고, 지면으로부터 프레임부(31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몸체(331)의 단부는 사이가 비어있도록 형성되어 롤러부(332)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지지부몸체(331)가 연장되는 높이는 롤러부(332)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프레임부(310)에 가이드레일(400)이 구비되는 경우, 지지부몸체(331)는 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몸체(331)는 프레임부(310)의 회전 시 가이드레일(400)에 삽입된 롤러부(332)를 가이드레일(400)의 곡률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어 가이드레일(400)과 롤러부(332)의 상대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롤러부(332)는 지지부몸체(3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부(310)에 구름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322)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지지부몸체(3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부(310)에 가이드레일(400)이 형성되는 경우, 롤러부(322)는 가이드레일(400)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레일(4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동부(500)는 사행조정부(300)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사행조정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0)는 신축부(510), 연결부(520)를 포함한다.
신축부(510)는 프레임부(310)의 타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부(510)는 유압조절에 의해 실린더가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됨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축부(51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왕복되는 랙 기어 등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연결부(520)는 신축부(510)와 프레임부(310)를 연결시키고, 프레임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20)는 피봇부(320)가 설치된 위치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신축부(510)와 프레임부(310)를 연결시켜 신축부(510)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프레임부(310)로 전달한다. 연결부(520)는 프레임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부(510)의 직선운동에 따라 신축부(510)와 프레임부(310)간의 결합각도를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부(520)는 신축부(510)의 직선운동을 프레임부(31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위치측정부(2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구동부(5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위치측정부(200) 연결되어 위치측정부(200)로부터 풀리부(100)의 단부와 이송벨트(1)의 단부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제어부(600)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프로세스에 의해 구동부(500)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위치측정부(2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또는 구동부(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작동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이송물이 편적된 상태로 이송되거나 이송벨트(1)에 장력이 불균형하게 가해짐에 따라 이송벨트(1)가 풀리부(100)의 일측으로 쏠리는 사행이 일어나는 경우, 위치측정부(200)에 의해 이러한 사행이 감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측정부(200)는 풀리부(100)의 상단부(도 6 기준)와 이송벨트(1)의 상단부의 간격(L1)과 풀리부(100)의 하단부와 이송벨트(1)의 하단부의 간격(L2)을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이송벨트(1)의 사행을 감지한다.
이송벨트(1)가 풀리부(100)의 상측으로 쏠린 경우(L1<L2 인 경우), 이송감지부(20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600)로 전달되고, 제어부(600)는 이를 통해 이송벨트(1)가 풀리부(100)의 상측으로 쏠려 사행이 일어난 것을 판단한다. 제어부(600)는 이후 구동부(50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작동시켜 프레임부(310)를 반시계방향(도 6기준)으로 회전시킨다.
프레임부(3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풀리부(100)의 회전축이 기울어지게 되고, 이송벨트(1)에는 풀리부(100)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의 힘(T)이 작용하게 된다.
풀리부(100)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T)은 이송벨트(1)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Ta)와 이송벨트(1)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Tb)로 나누어지게 된다. 여기서 이송벨트(1)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Ta)은 이송벨트(1)를 길이방향으로 당겨주어 이송벨트(1)의 텐션을 유지시켜준다. 또한, 이송벨트(1)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Tb)은 이송벨트(1)를 풀리부(100)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이송벨트(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후 이송벨트(1)의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이송벨트(1)의 사행이 해소된 경우, 즉, 위치측정부(200)에 의해 측정된 이송벨트(1)의 양단부와 풀리부(100)의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동일해지는 경우(L1=L2 인 경우), 제어부(600)는 이를 전달받아 사행이 해소되었음을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구동부(500)를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도록 작동시켜 프레임부(310)를 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시켜 풀리부(100)의 회전축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한편, 이송벨트(1)의 사행이 풀리부(100)의 하측으로 발생되는 경우, 상술한 작동의 반대작동으로 이송벨트(1)의 사행이 조정된다.
상술한 구성과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사행조정부에 의해 이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함에 따라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이송벨트의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이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위치측정부에 의해 이송벨트의 사행을 측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오판단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사행조정부가 피봇부, 지지부에 의해 회전작동이 안내됨과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장비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사행 조정의 작동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이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이송벨트 100 : 풀리부
200 : 위치측정부 300 : 사행조정부
310 : 프레임부 311 : 연결프레임
312 : 지지프레임 320 : 피봇부
321 : 고정부 322 : 관통부
323 : 마찰저감부 324 : 커버부
330 : 지지부 331 : 지지부몸체
332 : 롤러부 400 : 가이드레일
500 : 구동부 510 : 신축부
520 : 연결부 600 : 제어부

Claims (7)

  1.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는 이송벨트의 내측면에 접해 회전되는 풀리부;
    상기 이송벨트와 상기 풀리부의 상대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상기 풀리부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풀리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사행조정부; 및
    상기 사행조정부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사행조정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조정부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피봇부;
    일측이 상기 피봇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풀리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프레임부; 및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작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관통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직경이 변하는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관통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마찰저감부가 상기 프레임부로 삽입되는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부는 상기 풀리부의 일단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측면 일단부의 사이의 거리와, 상기 풀리부의 타단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측면 타단부의 사이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송벨트의 쏠림을 측정하고,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측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상기 풀리부의 단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단부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위치측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부몸체; 및
    상기 지지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7. 삭제
KR1020200046729A 2020-04-17 2020-04-17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KR102383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29A KR102383806B1 (ko) 2020-04-17 2020-04-17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29A KR102383806B1 (ko) 2020-04-17 2020-04-17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18A KR20210128718A (ko) 2021-10-27
KR102383806B1 true KR102383806B1 (ko) 2022-04-05

Family

ID=7828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729A KR102383806B1 (ko) 2020-04-17 2020-04-17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0Y1 (ko) * 1999-12-03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628864B1 (ko) * 2014-06-20 2016-06-10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이송 장치
KR101828203B1 (ko) * 2017-01-19 2018-02-0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96B1 (ko) * 2002-10-31 2009-05-2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콘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자동조정 캐리어스탠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0Y1 (ko) * 1999-12-03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628864B1 (ko) * 2014-06-20 2016-06-10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이송 장치
KR101828203B1 (ko) * 2017-01-19 2018-02-0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18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KR101695566B1 (ko) 라미네이터용 히팅롤의 간극조절장치
KR10180263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및 편적 제어장치
AU2007254684B2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goods
KR102383806B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KR100678855B1 (ko)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US8403130B1 (en) Conveyor systems having intermediate rollers
CN101171191A (zh) 用于运行带式输送机的传送带的装置
KR101388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2181785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3880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099505B1 (ko) 벨트의 장력조절 및 쏠림방지장치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194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10153885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조정 장치
KR10167566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670125B1 (ko) 컨베이어 장치
KR2014006837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