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03B1 -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203B1
KR101828203B1 KR1020170009025A KR20170009025A KR101828203B1 KR 101828203 B1 KR101828203 B1 KR 101828203B1 KR 1020170009025 A KR1020170009025 A KR 1020170009025A KR 20170009025 A KR20170009025 A KR 20170009025A KR 101828203 B1 KR101828203 B1 KR 101828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unit
width direc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혁
최일호
김재관
나동혁
나복남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는 프레임부와, 회전축부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서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조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축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스탠드와, 상기 롤러스탠드에 구비되는 캐리어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조정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구비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스탠드에 구비되는 회동부재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Push-type aligning apparatus of belt conveye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벨트의 사행(蛇行) 시 수동으로 조정하여 벨트의 이동 방향을 교정시키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조심 롤러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의 롤러부(5)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다.
자동조심 롤러(1)는 롤러스탠드(2)에 설치된다. 자동조심 롤러(1)의 폭 방향 외측에는 자동 조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롤러(3a)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조심 롤러(1)의 상부에는 벨트(7)가 위치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4는 이송물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롤러스탠드(2)의 하부에는 회전축(1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유동롤(11a)이 구비된다. 상기 유동롤(11a)은 상기 롤러스탠드(2)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롤러스탠드(2)는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7)의 사행으로 인하여 이송물(4)이 이탈되는 경우, 자동조심 롤러장치가 선회되어 벨트(7)의 사행을 막지 못하면 이송물(4)은 하부로 낙하되고, 결국 벨트(7)는 가이드 롤러(3a)를 타고 올라가게 된다.
자동으로 회전되는 종래의 자동조심 롤러장치는 벨트(7)가 가이드롤러(3a)를 가압하더라도 롤러스탠드(2)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송물이 낙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사용에 의하여 회전축(10) 부분에 이물질이 개입된 경우에는 롤러스탠드(2)의 회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7520호(2014.03.18)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벨트의 사행시 조심 조정장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벨트의 이동 방향을 교정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는 프레임부와, 회전축부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서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조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축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스탠드와, 상기 롤러스탠드에 구비되는 캐리어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조정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구비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스탠드에 구비되는 회동부재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프레임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폭 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제1 프레임과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구비된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축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회전축과,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핀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결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조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한 조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조정부재가 조정홈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폭 방향 내향 연장된 보조프레임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접하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롤러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롤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는 반복적으로 벨트의 사행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벨트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며, 이용 방법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조심 롤러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자동조심 롤러의 상부에서 이송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자동조심 롤러의 벨트의 사행으로 인하여 이송물이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의 롤러조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의 롤러조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벨트(7)의 연장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벨트(7)의 진행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의 롤러부(130)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는 프레임부(110)와, 롤러부(130)와, 가이드롤러부(150)와, 롤러조정부(17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롤러부(130)의 캐리어롤러(133)는 폭 방향으로 1개 이상 구비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3개의 캐리어롤러(133)로 이루어진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의 가장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지지프레임(111)와, 지지부재(113)와, 회전축부(115)와, 프레임(1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11)은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의 가장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1)에는 상기 롤러부(13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3)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1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13)는 회전축부(115)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13)는 상기 지지프레임(111)과 롤러부(13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13)는 롤러부(130)를 지지하며, 롤러부(13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113)는 고정지지대(1131)와 지지롤러(1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지지대(1131)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고정지지대(11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1133)는 상기 고정지지대(113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1133)는 상기 롤러부(130)의 회전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롤러(1133)는 그 회전축이 폭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부(115)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중심부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부(115)를 매개로 상기 롤러부(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부(115)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을 향한다. 상기 롤러부(130)가 회전축부(115)를 회전 중심으로 지지프레임(117) 상에서 회전하면, 폭 방향 양측의 지지롤러(1133)가 롤러스탠드(131)의 하부를 지지하여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17)은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폭 방향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7)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7)은 상기 지지프레임(111)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7)은 제1 프레임(117-1)과 제2 프레임(11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일단에는 상기 제1 프레임(117-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1 프레임(117-1)과 제2 프레임(117-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7-1)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7-1)은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단부에서 상향 연장되고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7-1)의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연장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홀은 제2 프레임(117-2)이 구비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은 상기 제1 프레임(117-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은 상기 제1 프레임(117-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은 폭 방향 외향 연장되고 상향 절곡되어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돌기부(117-2a)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17-2a)는 상기 제1 프레임(117-1)에 형성된 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17-2a)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부(115)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의 상향 절곡된 연장부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의 홀에는 롤러조정부(170)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부(13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13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상향 오목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130)는 상기 회전축부(115)를 매개로 지지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130)는 롤러스탠드(131)와, 캐리어롤러(133)와, 연결브라켓(1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스탠드(131)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롤러스탠드(131)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으로부터 상향 이격 구비된다. 상기 롤러스탠드(131)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양단은 비스듬하게 상향 절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롤러스탠드(131)는 회전축부(115)를 배개로 지지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하부의 중심부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상기 회전축부(115)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롤러스탠드(131)는 상기 회전축부(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폭 방향 양측이 상향 절곡된 형태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경사진 부분의 상부로 캐리어롤러(133)가 구비되고, 지지프레임(111)과 평행한 중심부에 캐리어롤러(133)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폭 방향 양측이 상향 절곡된 형태인 경우,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경사진 하부에는 받침브라켓(1311)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브라켓(1311)은 롤러스탠드(131)의 양단으로부터 이격 구비된다. 상기 받침브라켓(1311)은 상기 지지부재(113)의 지지롤러(1133)가 이동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받침브라켓(1311)은 단면이 직각삼각형을 이루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받침브라켓(1311)은 빗면이 상기 롤러스탠드(131)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받침브라켓(131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부(13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롤러(133)는 상기 롤러스탠드(131)로부터 상향 이격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롤러(133)는 상기 롤러스탠드(13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롤러(133)는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35)은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35)은 상기 캐리어롤러(133)와 롤러스탠드(13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브라켓(135)에 캐리어롤러(133)의 롤러축 양단이 지지되어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롤러(133)는 양측으로 돌출된 롤러축이 연결브라켓(135)에 형성된 지지홈(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35)은 상기 롤러스탠드(131)와 캐리어롤러(13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롤러스탠드(131)에 캐리어롤러(133)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150)는 상기 롤러부(130)의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1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150)는 벨트(7)의 사행시 벨트(7)의 측면과 접촉되어 롤러부(13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벨트(7)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150)는 가이드지지대(151)와 가이드롤러(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지지대(151)는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대(151)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대(151)의 상부에 가이드롤러(15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대(151)는 롤러스탠드(131)로부터 캐리어롤러(133)의 롤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대(151)는 상기 캐리어롤러(133)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롤러(153)의 회전축은 상기 캐리어롤러(133)의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조정부(170)는 상기 롤러부(13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롤러조정부(170)는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형성된 홀은 롤러부(13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롤러조정부(170)는 상기 롤러부(130)의 회전을 수동으로 조정하여 사행 구동된 벨트(7)의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조정부(170)는 회동부재(172)와, 연결부재(171)와, 조정부재(173)와, 보조프레임(17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172)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172)는 상기 지지프레임(111)과 롤러스탠드(13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회동부재(172)는 회전축부(115)가 구비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172)는 길이 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172)는 상기 롤러스탠드(131)의 하부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172)로 상기 회전축부(115)의 회전축이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172)는 상기 회전축부(115)를 중심으로 롤러스탠드(13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일단은 상기 회동부재(1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프레임(117-2)으로부터 이격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타단은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일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홀(171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1711)에는 상기 연결홀(1711)과 회동부재(172)를 관통하는 회전핀(174)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핀(174)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부(115)의 회전축 및 돌기부(117-2a)의 회전축과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핀(174)으로 상기 연결부재(171)와 상기 회동부재(17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71)의 직선 운동은 롤러부(130)의 회전 운동으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타단의 외면에는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고정부(171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715)는 연결부재(17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타단이 고정부(1715)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부(1715)는 보조프레임(175)과 폭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타단에는 오목한 조정홈(1713)이 형성된다. 상기 조정홈(1713)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조정홈(1713)에는 조정부재(173)가 나사체결된다.
상기 조정부재(173)는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형성된 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조정부재(173)는 상기 연결부재(171)의 조정홈(1713)에 나사체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조정부재(173)는 회전바(1731)와 핸들(17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바(173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바(1731)는 상기 연결부재(171)의 조정홈(1713)에 나사체결된다.
상기 회전바(1731)의 일단은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형성된 홀에는 베어링(B)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1731)는 상기 베어링(B)을 매개로 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반대쪽으로 상기 회전바(1731) 일단에는 핸들(1733)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바(1731)의 타단인 연결부재(171)를 향하는 쪽의 외면에는 나사산(1731a)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바(1731)는 상기 조정홈(1713)에 나사 체결되며 삽입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은 상기 제2 프레임(117-2)의 폭 방향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은 복수의 막대 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은 폭 방향 내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이 막대 형태인 경우, 상기 보조프레임(175)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의 일단은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의 타단에는 중공체인 고정부재(175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751)에 상기 연결부재(171)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1)는 고정부재(1751)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체인 경우, 상기 연결부재(171)는 보조프레임(17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회전바(1731)의 단부는 상기 보조프레임(175) 내로 연장되어 연결부재(171)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의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117-2)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의 연결부재(171)를 향하는 단부인 타단은 반경 방향 내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의 타단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체인 고정부재(175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751)의 내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71)의 외면에는 고정부재(1751)의 내면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고정부재(1751)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751)의 내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171)의 외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71)가 고정부재(1751)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71)는 상기 보조프레임(175)에 폭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나, 연결부재(171)와 보조프레임(175) 사이에 상대 회전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1733)을 회전 시키면 회전바(1731)가 회전되고, 회전바(1731)와 나사 체결된 연결부재(171)는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75)에 상기 고정부재(1751)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171)와 보조프레임(175) 사이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바(1731)와 연결부재(171) 사이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롤러부(130)가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부재(171)가 피봇이나 핀과 같은 회전부재(171a)에 의하여 연결된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피봇 또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7-1)과 제2 프레임(117-2)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7)의 사행이 발생하거나 사향을 예상하여 핸들(1733)을 회전시킨다. 핸들(1733)의 회전에 따라 회전바(1731)가 회전되고, 회전바(1731)가 회전되며 회전바(1731)의 나사산(1731a)과 연결부재(171)의 고정홈(1713)의 나사산이 나사 체결된다. 상기 회전바(1731)와 연결부재(171)가 나사 체결되며 연결부재(171)의 고정부(1715)와 고정부재(1751)의 결합 위치가 미끄럼 이동되며 상기 연결부재(171)는 폭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171)와 회전바(1731)의 체결 위치가 이동되며 상기 연결부재(171)의 일단에 연결된 회동부재(172)의 회전이 일어난다. 상기 회동부재(172)의 회전은 상기 롤러부(130)에 전달되어 롤러부(1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벨트(7)의 위치가 교정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자동조심 롤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110 : 프레임부 111 : 지지프레임
113 : 지지부재 115 : 회전축부
117 : 프레임 130 : 롤러부
131 : 롤러스탠드 133 : 캐리어롤러
135 : 연결브라켓 150 : 가이드롤러
170 : 롤러조정부 171 : 연결부재
172 : 회동부재 173 : 조정부재
174 : 회전핀 175 : 보조프레임

Claims (5)

  1. 프레임부(110)와, 회전축부(115)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130)와, 상기 프레임부(110)에 대해서 상기 롤러부(130)를 회전시키는 롤러조정부(170)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부(130)는 상기 프레임부(110)에 대해 회전축부(11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스탠드(131)와, 상기 롤러스탠드(131)에 구비되는 캐리어롤러(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조정부(170)는 상기 회전축부(115)가 구비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스탠드(131)에 구비되는 회동부재(172)와,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부재(1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171)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71)의 타측 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에는 나사산(1731a)이 형성된 조정부재(173)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171)의 타측 단부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한 조정홈(1713)이 형성되어 상기 조정부재(173)가 조정홈(1713)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10)는 지지프레임(1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1)에 폭 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제1 프레임(117-1)과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프레임(117-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구비된 제2 프레임(117-2)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부(115)의 회전축과, 상기 제2 프레임(117-2)의 회전축과, 상기 회동부재(172)와 연결부재(17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핀(174)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3. 삭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10)에는 폭 방향 내향 연장된 보조프레임(175)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프레임(175)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71)의 외면에 접하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130)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가이드롤러(15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50)는 상기 롤러부(13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KR1020170009025A 2017-01-19 2017-01-19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KR101828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25A KR101828203B1 (ko) 2017-01-19 2017-01-19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25A KR101828203B1 (ko) 2017-01-19 2017-01-19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203B1 true KR101828203B1 (ko) 2018-02-09

Family

ID=6119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025A KR101828203B1 (ko) 2017-01-19 2017-01-19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18A (ko) * 2020-04-17 2021-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09A (ja) * 2002-04-09 2003-10-21 Naoe Tekko:Kk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ヤローラ装置
JP2008308252A (ja) * 2007-06-12 2008-12-25 Jrc:Kk 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方法および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09A (ja) * 2002-04-09 2003-10-21 Naoe Tekko:Kk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ヤローラ装置
JP2008308252A (ja) * 2007-06-12 2008-12-25 Jrc:Kk 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方法および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18A (ko) * 2020-04-17 2021-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KR102383806B1 (ko) * 2020-04-17 2022-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348B2 (en) Device for steering a conveyor belt
JP3345090B2 (ja) 湾曲ベルトコンベア
US6116410A (en) Device for steering a conveyor belt
US6776280B2 (en) Guidance unit for conveyor belt
JP6138483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調整装置
CN101495390A (zh) 用于运输带的引导单元
KR10182820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푸시형 조심 조정장치
JP5389569B2 (ja) コンベヤの蛇行調芯装置
US10280007B2 (en) Return idler trainer
JPH01220630A (ja) 中間ローラを介して駆動されるストレージローラコンベア
KR102136822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 장치
JP2003176009A (ja) ハンキングローラ用ベルトの蛇行調芯装置
FR2586235A1 (fr) Systeme electro-mecanique de centrage automatique des bandes de transporteurs a courroie
KR0125436Y1 (ko)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
KR101118300B1 (ko) 리버싱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20040077844A (ko) 상자 형성기기의 상자 원지 정렬장치
KR101733008B1 (ko) 사행조절기능을 갖는 가변형 지지롤
KR20180107411A (ko) 각도 변환 롤러 구조의 합류 컨베이어
KR20230099710A (ko) 사행 조정용 자동조심장치
JPS6026518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自動調心装置
KR102012091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787502B1 (ko) 가공머신의 밸런스유지장치
KR100966815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리턴롤러의 브래킷 장치
JP2017137180A (ja) リターンベルトの蛇行調整装置
US20100065402A1 (en) Belt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