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500B1 -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500B1
KR102550500B1 KR1020230036032A KR20230036032A KR102550500B1 KR 102550500 B1 KR102550500 B1 KR 102550500B1 KR 1020230036032 A KR1020230036032 A KR 1020230036032A KR 20230036032 A KR20230036032 A KR 20230036032A KR 102550500 B1 KR102550500 B1 KR 10255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eam
ground
transported
roll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래
Original Assignee
대경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지면상에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운반대상물의 양측 하단 가장자리부를 받쳐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롤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받침롤유닛은; 지지빔과, 지지빔에 지지되며 운반대상물을 받치는 다수의 롤러와, 지지빔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지지빔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부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는, 지면에 접하도록 세팅되므로, 운반대상물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어 그만큼 안전한 운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운반대상물의 사행(斜行)을 억제하여 이송 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며 특히 연장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현장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얼마든지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이송 중의 운반대상물을 정지시킴으로써 관성이동에 따른 운반대상물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Support roller device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의 확장이 가능하며 수평이 맞지 않은 지면상에도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중량물에 대한 안전한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구조물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운반 장비 중 롤러형 운반장치는,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구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다. 롤러는 양단부가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운반대상물의 하중을 감당한다. 운반대상물은 롤러에 올려진 상태로 외부로부터 가해진 이송력을 받아 지지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그런데 종래의 롤러형 운반장치는, 이송 중의 운반대상물이, 사행(斜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를테면, 중량물이 전진하면서 옆으로 밀려 정상 경로를 벗어나는 것이다. 사행이 심할 경우에는 운반대상물이 롤러로부터 벗어나 낙하할 수가 있다. 운반대상물이 대형이거나 고중량물 일 경우, 낙하에 따른 피해는 매우 크고, 또한 운반장치로 다시 올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운반대상물의 사행이 발생하더라도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받침롤러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중량물 이송과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382919호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이송장치는,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길이방향에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판으로 구축되는 가이드 이송지지수단과, 이송지지수단의 상부에서 안치되는 중량물의 폭에 대응하도록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활주 이동하는 다수의 활주롤러체로 구축되는 이송롤러수단과, 이송롤러수단의 최후방의 이동롤러를 전진 구동하여 이송롤러 수단을 전진시켜 그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을 이송하는 유, 공압실린더를 구비한 전진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은, 병열의 세팅공이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전, 후면에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교대로 형성된 가이드판이 연결돌기와 연결홈으로 연속 조립으로 연장되고, 이송롤러수단의 활주롤러체는 전, 후방 연결판과 좌, 우측의 롤러지지판으로 용접으로 결속된 몸체프레임, 롤러지지판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을 갖고 가공된 축공에 축결합된 다수의 롤러, 전, 후방 연결판에 가공된 볼트공에 나사 조립된 길이 연결볼트 및 좌, 우측의 롤러지지판의 전, 후방에 가공된 볼트공에 나사 조립된 한 쌍의 폭 연결볼트로 구성되며, 전진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의 가이드판에 가공된 세팅공에 결합되는 세팅돌기로 조립되는 구동력 지지판, 이 구동력 지지판의 후방에 용착되는 휨억제브라켓, 구동력 지지판의 전방에서 실린더몸체의 후방이 지지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이 후방 연결판에 밀착 지지되는 유, 공압실린더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운반대상물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며 사행(斜行)을 억제하여 이송 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며 특히 연장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브레이크 기능을 가져 이송 중의 운반대상물을 긴급 정지시킬 수 있는,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지면상에 같은 높이로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운반대상물의 양측 하단 가장자리부를 받쳐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롤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받침롤유닛은; 일정폭을 가지며 지면에 접하는 바닥부, 바닥부의 폭방향 일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가이드측벽부, 바닥부의 폭방향 타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가이드측벽부와 평행한 대응측벽부를 갖는 지지빔과,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측벽부 및 대응측벽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운반대상물을 받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지지빔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지지빔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부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측벽부는 운반대상물의 하부에 깔리고, 가이드측벽부는, 이송 중의 운반대상물이 사행(斜行)하여 롤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반대상물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단부의 높이가, 롤러와 운반대상물이 접하는 접점을 포함하는 수평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다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지면상에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운반대상물의 양측 하단 가장자리부를 받쳐,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닥에 파킹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빔과; 지지빔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량물을 받치며, 중량물의 이동 시 구름운동 하는 다수의 롤러와; 지지빔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한 지지빔의 거리를 감지하는 다수의 지면센서와; 지지빔에 설치되고, 지지빔의 수평 여부를 판별하는 수평센서와; 지면센서 및 수평센서의 감지데이터를 전달받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지지빔에 설치된 상태로, 컨트롤러에 의해 지지빔 하부로 전개되어 지면을 가압함으로써 지지빔이 반작용력으로 상승하며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후단부가 지지핀을 통해 지지빔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를 통해 직선운동력을 출력하는 회전액추에이터, 링크핀을 통해 지지빔에 지지되고 일단부가 제1연결핀을 통해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며 회전액추에이터의 동작 시 지지빔을 회전축으로 하여 양방향 회전하는 승강유도링크, 승강유도링크의 타단부에 제2연결핀으로 연결되며 중력의 작용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유도링크의 회전 시 파킹홀을 통해 승강하는 승강다리, 승강다리의 하부에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하단부에 지지볼을 갖는 커넥터,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지지볼과 결합하며 승강다리의 하강 시 지면에 접하는 접지부를 갖는 수평유지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빔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직슬릿이 위치하며, 다수의 롤러 중 일부 롤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톱니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대상물의 이동에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의 회전을 정지시켜, 이동대상물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환형톱니홈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형톱니홈의 톱니에 치합하는 치합부, 치합부의 양단부에 이어지며 수평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브레이크바디와, 브레이크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액추에이터와, 승강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승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는 풋스위치를 갖는 브레이크가 더 포함된다.
또한, 지면상에 놓인 운반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지지빔의 롤러 위로 올리기 위한 힘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지지빔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빔의 상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제공하며, 경사면에는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케이스와, 받침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일부는 상기 장공을 통해 받침케이스의 상부로 노출된 다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쳐져 스프로킷을 감아도는 체인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일부 스프로킷을 회전시켜 체인이 스프로킷을 따라 순환운동 하게 하는 체인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는, 지면에 접하도록 세팅되므로, 운반대상물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어 그만큼 안전한 운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운반대상물의 사행(斜行)을 억제하여 이송 중의 경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며 특히 연장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현장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얼마든지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이송 중의 운반대상물을 정지시킴으로써 관성이동에 따른 운반대상물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롤러 장치가 중량물을 받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지지빔에 내장된 수평유지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수평유지기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롤러 장치에 적용 가능한 브레이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브레이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에 적용 가능한 리프터를 추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리프터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후술하는 제1,2실시예의 받침 롤러 장치(10)는, 다수의 받침롤유닛(11)을 기본 요소로 한다. 즉, 다수의 받침롤유닛(1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것을 지면에 11자로 깔아 마치 기차 레일처럼 설치한 것이 받침 롤러 장치(10)이다. 당연히, 받침롤유닛(11)의 연결 개수나 좌우 사이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테면, 운반대상물(100)의 좌우폭의 사이즈와 운반목적지까지의 거리에 따라 임기응변식으로 조립 및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받침 롤러 장치(10)는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며, 필요시에만 설치하여 사용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바로 철거할 수 있다. 물론, 받침 롤러 장치(10)를 계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면 철거하지 않고 설치된 상태로 계속 사용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중량물'은, 운반하기 위한 운반대상물(100)로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공기조화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운반대상물(100)은 위에서 언급한 공기조화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사람의 힘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제품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단순한 육면체 형태로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10)의 측면도이다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롤러 장치가 중량물을 받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10)는, 일직선상으로 직선 연결됨과 아울러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받침롤유닛(11)을 갖는다.
받침롤유닛(11)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지면(地面)(G)상에 같은 높이로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대상물(100)의 양측 하단 가장자리부를 받쳐 주행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단 가장자리부는 받침롤유닛(11)의 롤러(15)에 걸쳐진다. 상호 평행한 2열의 받침롤유닛(11) 연결체의 이격거리는 운반대상물 (100) 하단 가장자리의 폭(W)에 따라 달라진다. '받침롤유닛 연결체'는 다수의 받침롤유닛(11)을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한 구조체를 의미한다.
롤러(15)에 지지된 운반대상물(100)은 인력이나 별도의 견인수단을 통해 이송된다. 운반대상물(100)이 움직일 때 롤러(15)가 회전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롤유닛(11)은, 지지빔(12), 다수의 롤러(15), 단부결합부, 보강로드(17)를 갖는다.
지지빔(12)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형상을 갖는 직선형 부재로서, 바닥부(12c), 가이드측벽부(12a), 대응측벽부(12b)를 구비한다. 지지빔(12)은 일정두께를 갖는 철판을 압연 또는 프레싱 하여 제작 가능하다.
바닥부(12c)는 일정폭을 가지며 지면(G)에 접하는 부분이다. 지면(G)에 움푹한 부분이 있다면 그 분은 들뜰 것이지만 이러한 것은 논외로 한다.
가이드측벽부(12a)는, 바닥부(12c)의 폭방향 일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부분이다. 또한, 대응측벽부(12b)는, 바닥부의 폭방향 타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가이드측벽부(12a)와 평행한 부분이다. 가이드측벽부(12a)와 대응측벽부(12b)는 일정 간격을 이루며 그 사이에 롤러(15)를 갖는다.
특히, 가이드측벽부(12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대상물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단부의 높이가, 롤러와 운반대상물이 접하는 접점을 포함하는 수평면(Z)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이를테면 높이 H1만큼 높은 것이다. 이처럼 가이드측벽부(12a)의 높이를 높게 설계한 이유는, 이송 중의 운반대상물(100)이 사행(斜行)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쏠리더라도, 받침롤유닛(11)을 완전히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운반대상물(100)의 일측 하단 가장자리가 받침롤유닛(11)을 넘으면 반대편 가장자리는 롤러(15)로부터 벗어나 말하자면 탈선하게 된다. 결국 양측 받침롤유닛(11)의 가이드측벽부(12a)는 운반대상물(100)을 이송경로 내부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가이드측벽부(12a)가 운반대상물(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것에 비해 대응측벽부(12b)는 운반대상물(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대응측벽부(12b)의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한 수평면(Z)에 비해 높이 H2 만큼 낮아, 운반대상물(100)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롤러(15)는, 양단부가 가이드측벽부(12a) 및 대응측벽부(12b)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운반대상물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5a는 롤러축이다.
또한 보강로드(17)는 가이드측벽부(12a)와 대응측벽부(12b)를 연결하는 막대형 부재로서, 가이드측벽부(12a)와 대응측벽부(12b)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단부결합부는, 지지빔(12)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지지빔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연결플레이트(13)를 포함한다. 연결플레이트(13)는 가이드측벽부(12a) 및 대응측벽부(12b)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외측방향으로 직각 절곡된 부분으로서 볼트구멍(13a)을 갖는다.
연결할 지지빔(12)의 단부를 맞추면 연결플레이트(13)가 겹쳐지고 볼트구멍(13a)이 맞추어진다. 이 때 볼트구멍(13a)을 통해 볼트(16a)를 끼우고 반대편에서 너트(16b)를 결합함으로서 지지빔(12)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10)의 측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지지빔에 내장된 수평유지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수평유지기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 롤러 장치(10)는, 제1실시예에 비해, 수평유지기(20), 브레이크(40), 리프터(50)를 추가적으로 더 갖는다. 수평유지기(20)는, 지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받침롤유닛(11)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브레이크(40)는 움직이는 운반대상물(100)을 정지시키거나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고, 리프터(50)는 지면에 놓인 운반대상물(100)을 받침롤유닛(11) 위에 올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빔(12)에, 다수의 지면센서(31), 수평센서(33), 컨트롤러(35), 배터리(37)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면센서(31)는, 지지빔에 장착되며 지면(G)에 대한 지지빔의 거리(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가령, 경사진 지면에 받침 롤러 장치(10)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지면센서(31)를 통해, 지지빔의 바닥부(12c)에 대한 지면(G)의 간격을 감지하는 것이다. 지면센서(31)가 감지한 정보는 컨트롤러(35)로 전달되어 컨트롤러(35)로 하여금 수평유지기(20)를 동작시키게 한다. 지면센서(31)는 후술할 파킹홀(12e)의 측부에 근접 배치된다.
또한, 수평센서(33)는, 지지빔(12)에 장착된 상태로 지지빔(12)의 수평 여부를 판별하는 감지수단이다. 수평센서(33)는 받침롤유닛(11)이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지지빔(12)의 수평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수평유지기(20)가 받침롤유닛(11)의 수평을 맞출 때 수평을 확인해주는 역할을 한다. 수평센서(33)의 감지 내용도 컨트롤러(35)로 전달된다.
컨트롤러(35)는, 지지빔(12)의 내측에 장착되며, 각 지면센서(31) 및 수평센서(33)의 감지데이터를 전달받고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는 받침롤유닛(11)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아울러 컨트롤러(35)는 사용자단말기(도 6의 39)와도 무선 접속된다. 사용자단말기(39)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작업자는 사용자단말기(39)을 통해 컨트롤러(35)에 작동 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가령, 수평이 맞추어진 받침롤유닛(11)의 지면에 대한 높이값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든 받침롤유닛(11)을 지면에 대해 10cm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받침롤유닛(11)의 승강은 후술하는 수평유지기(2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수평유지기(20)는, 컨트롤러(35)에 의해 지지빔(12)의 하부로 전개되어 지면을 가압함으로써 지지빔이 지면으로부터 반작용력을 받아 상승하며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면을 필요한 정도만큼 내리 눌러 지지빔(12)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수평유지기(20)에는, 회전액추에이터(21), 승강유도링크(23), 승강다리(25), 커넥터(26), 접지부(27)가 포함된다.
회전액추에이터(21)는 전기식 액추에이터로서 컨트롤러(35)에 의해 제어되어 피스톤로드(21a)를 직선 왕복운동 시킨다. 회전액추에이터(21)의 후단부는 지지핀(21e)을 통해 지지빔(12)에 장착된다. 경우에 따라 회전액추에이터(21)를 전기식이 아니라 유압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승강유도링크(23)는, 회전액추에이터(21)의 동력을 승강다리(2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로서 링크핀(23a)을 통해 지지빔(12)에 지지된다. 승강유도링크(23)는 링크핀(23a)을 중심으로 화살표 k방향과 m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승강유도링크(23)의 일단부는 제1연결핀(21f)를 통해 피스톤로드(21a)에 링크되고, 타단부는 제2연결핀(25b)을 통해 승강다리(25)의 상단에 연결된다. 피스톤로드(21a)가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할 때 승강유도링크(23)는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아울러, 승강유도링크(23)에는 제1만곡아암(23c)과 제2만곡아암(23d)이 마련되어 있다. 제1만곡아암(23c)은 링크핀(23a)과 제1연결핀(21f)을, 제1만곡아암(23c)는 링크핀(23a)과 제2연결핀(25b)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처럼 제1,2만곡아암을 적용함으로써 승강다리(25)의 승강운동이 보다 원활해 질 수 있다.
승강다리(25)는, 제2만곡아암(23d)의 단부에 제2연결핀으로 연결된 봉형 부재로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수직의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다리(25)에는 하부로 개방된 암나사구(25a)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다리(25)는 승강유도링크(23)의 회전 시 파킹홀(12e)을 통해 승강한다.
커넥터(26)는, 승강다리의 암나사구(25a)에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수나사봉(26a)과 지지볼(26b)을 갖는다. 지지볼(26b)은 수나사봉(26a)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球)형 부재로서 접지부(27)의 홀딩홈(27c)에 삽입된다. 승강다리(25)에 대한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제2연결핀(25b)에 대한 지지볼(26b)의 간격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접지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G)에 접하는 부재로서, 접지판(27a)과 볼홀더(27b)를 포함한다. 접지판(27a)은 디스크형 부재이며 지면에 면접한다. 실시예에 따라 접지판(27a)의 저면에 미끄럼방지용 고무패드(미도시)를 추가할 수 있다.
볼홀더(27b)는 접지판(27a)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마련된 부분으로서 홀딩홈(27c)을 제공한다. 홀딩홈(27c)은 지지볼(26b)을 수용 지지한다. 지지볼(26b)은 홀딩홈(27c)에 수용된 상태로 습동 가능하다.
결국, 회전액추에이터(21)에 의해 승강유도링크(23)가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지부(27)가 하강하여 지면(G)을 누르고 이 때 발생하는 반작용력에 의해 받침롤유닛(11)이 지면으로부터 부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유도링크(23)의 화살표 k방향 회전각도 조절을 통해, 지면에 대한 받침롤유닛(11)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40)는, 이동대상물을 받친 상태로 구름운동하는 롤러(15)의 회전을 정지시켜, 이동대상물(100)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롤러 장치에 적용 가능한 브레이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브레이크의 측면도이다.
브레이크(40)는 모든 롤러(15)에 적용할 수도 있고, 일부 롤러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 브레이크(40)를 적용하기 위하여 롤러(15)의 외주면에는 환형톱니홈(15c)이 형성된다. 환형톱니홈(15c)은 롤러(15)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바닥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톱니홈(15c)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15)의 양측에는 수직슬릿(12g)이 형성된다. 수직슬릿(12g)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으로서 가이드측벽부(12a)와 대응측벽부(12b) 모두에 형성된다.
브레이크(40)는, 브레이크바디(41), 승강액추에이터(43), 풋스위치(45)를 구비한다.
또한, 브레이크바디(41)는, 치합부(41b)와 연장부(41c)를 포함한다. 치합부(41b)는 원호형 부재로서 환형톱니홈(15c)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치합부(41b)의 내주면, 즉 환형톱니홈(15c)을 향하는 면에는 고정톱니(41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톱니(41a)는, 브레이크바디(41)가 상승했을 때 환형톱니홈(15c)의 톱니에 치합하며 롤러(15)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연장부(41c)는, 치합부(41b)의 양단에 이어지며 수평 연장된 부분으로서, 승강액추에이터(43)에 지지된다. 승강액추에이터(43)는 전기식 액추에이터로서 브레이크바디(4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승강액추에이터(43)는 전력선(43c)을 통해 컨트롤러와 접속된다.
아울러 양측 연장부(41c)에는 승강래치(42)가 결합한다. 승강래치(42)는 롤러축(15a)과 평행한 환봉으로서 양단부가 수직슬릿(12g)을 통과한다. 승강래치(42)는 브레이크바디(41)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브레이크바디(41)가 환형톱니홈(15c)의 톱니에 치합한 순간 브레이크바디(41)로 들어오는 힘에 의해, 브레이크바디가 변형되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령 화살표 t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롤러(15)를 정지시키면 브레이크바디(41)가 화살표 u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풋스위치(45)는 작업자가 발로 밟는 방식의 스위치로서, 신호케이블(46)을 통해 승강액추에이터(43)에 연결된다. 작업자가 풋스위치(45)를 밟으면 컨트롤러(35)가 승강액추에이터(43)에 전력을 공급하여 승강액추에이터(43)를 동작시킨다. 작업자는 운반대상물(100)의 운반 중 운반대상물을 긴급히 정지시켜야 한다거나 또는 이송 속도를 줄여야 할 경우, 풋스위치(45)를 밟아 롤러(15)를 정지시킨다.
승강액추에이터(43)는 작업자가 풋스위치를 밟고 있는 동안 브레이크바디(41)를 상승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풋스위치에서 발을 떼면 브레이크바디(41)를 하강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에 적용 가능한 리프터(50)를 추가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리프터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리프터(50)는, 지면(G)상에 놓인 운반대상물(100)을 지지빔(12)의 롤러 위로 올리기 위한 힘을 출력하는 것이다. 즉, 받침롤러장치(10)를 이용해 운반대상물(100)을 운반하기 위하여, 운반대상물(100)을 지지빔(12) 위에 올리는 것이다.
운반대상물(100)의 종류에 따라, 또는 받침롤러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의 환경에 따라, 별도의 인양용 장비를 불러와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리프터(50)를 사용할 수 있다.
리프터(50)는, 받침케이스(51), 다수의 스프로킷(53), 체인(57), 체인구동부를 포함한다.
받침케이스(51)는, 지지빔(12)의 일단부에 고정된 중공형 하우징으로서 경사면(51b)을 제공한다. 경사면(51b)은, 지면으로부터 지지빔의 상부를 향해 경사진 부분이다. 또한 경사면(51b)에는 노출장공(51a)이 형성되어 있다. 노출장공(51a)은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통로이며, 일부 스프로킷(53)과 체인(57)을 상부로 노출시킨다.
스프로킷(53)는 체인(57)을 순환운동 시키는 요소로서 세 개가 설치된다. 각 스프로킷(53)의 회전중심에는 스프로킷축(54)이 고정된다. 스프로킷축(54)은 수평으로 연장된 후 받침케이스(51)의 측벽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체인(57)은, 세 개의 스프로킷(53)에 걸쳐져 스프로킷을 감아 도는 요소이다. 체인의 일부는 노출장공(51a)을 통해 경사면(51b)의 상부로 돌출되므로, 경사면(51b)에 걸쳐진 운반대상물(100)은 체인에 얹힌 상태로 지지빔(12) 상부로 견인될 수 있다.
특히 세 개의 스프로킷축(54) 중 일부 스프로킷축(54)의 단부에는 토션리시버(55)가 고정된다. 토션리시버(55)에는 공구삽입홈(55a)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삽입홈(55a)은 체인구동부로서의 동력공구(60)의 구동축(61)이 삽입되는 홈이다.
동력공구(6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축(61)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일반적인 장비이다. 작업자가 구동축(61)을 공구삽입홈(55a)에 끼운 상태에서 동력공구(60)를 구동하면 스프로킷(53)이 회전하며 체인(57)이 순환운동 하며, 체인에 얹혀있는 운반대상물(100)을 지지빔(12) 상부로 견인해서 올린다.
실시예에 따라, 동력공구(60)를 대신하여, 받침케이스(51) 내에 스프로킷 구동용 모터(미도시)를 내장 운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받침롤러장치 11:받침롤유닛 12:지지빔
12a:가이드측벽부 12b:대응측벽부 12c:바닥부
12e:파킹홀 12g:수직슬릿 13:연결플레이트
13a:볼트구멍 15:롤러 15a:롤러축
15c:환형톱니홈 17:보강로드 16a:볼트
16b:너트 20:수평유지기 21:회전액추에이터
21a:피스톤로드 21e:지지핀 21f:제1연결핀
23:승강유도링크 23a:링크핀 23c:제1만곡아암
23d:제2만곡아암 25:승강다리 25a:암나사구
25b:제2연결핀 26:커넥터 26a:수나사봉
26b:지지볼 27:접지부 27a:접지판
27b:볼홀더 27c:홀딩홈 31:지면센서
33:수평센서 35:컨트롤러 37:배터리
39:사용자단말기 40:브레이크 41:브레이크바디
41a:고정톱니 41b:치합부 41c:연장부
42:승강래치 43:승강액추에이터 43c:전력선
45:풋스위치 46:신호케이블 50:리프터
51:받침케이스 51a:노출장공 51b:경사면
53:스프로킷 54:스프로킷축 55:토션리시버
55a:공구삽입홈 57:체인 60:동력공구
61:구동축 100:운반대상물

Claims (4)

  1. 삭제
  2.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지면상에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운반대상물의 양측 하단 가장자리부를 받쳐,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닥에 파킹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빔과;
    지지빔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량물을 받치며, 중량물의 이동 시 구름운동 하는 다수의 롤러와;
    지지빔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한 지지빔의 거리를 감지하는 다수의 지면센서와;
    지지빔에 설치되고, 지지빔의 수평 여부를 판별하는 수평센서와;
    지면센서 및 수평센서의 감지데이터를 전달받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지지빔에 설치된 상태로, 컨트롤러에 의해 지지빔 하부로 전개되어 지면을 가압함으로써 지지빔이 반작용력으로 상승하며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후단부가 지지핀을 통해 지지빔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를 통해 직선운동력을 출력하는 회전액추에이터, 링크핀을 통해 지지빔에 지지되고 일단부가 제1연결핀을 통해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며 회전액추에이터의 동작 시 지지빔을 회전축으로 하여 양방향 회전하는 승강유도링크, 승강유도링크의 타단부에 제2연결핀으로 연결되며 중력의 작용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유도링크의 회전 시 파킹홀을 통해 승강하는 승강다리, 승강다리의 하부에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하단부에 지지볼을 갖는 커넥터,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지지볼과 결합하며 승강다리의 하강 시 지면에 접하는 접지부를 갖는 수평유지기를 포함하는,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직슬릿이 위치하며,
    다수의 롤러 중 일부 롤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톱니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운반대상물의 이동에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의 회전을 정지시켜, 그 운반대상물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환형톱니홈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형톱니홈의 톱니에 치합하는 치합부, 치합부의 양단부에 이어지며 수평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브레이크바디와,
    브레이크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액추에이터와,
    승강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승강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는 풋스위치를 갖는 브레이크가 더 포함된,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면상에 놓인 운반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지지빔의 롤러 위로 올리기 위한 힘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지지빔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빔의 상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제공하며, 경사면에는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케이스와,
    받침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일부는 상기 장공을 통해 받침케이스의 상부로 노출된 다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쳐져 스프로킷을 감아도는 체인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일부 스프로킷을 회전시켜 체인이 스프로킷을 따라 순환운동 하게 하는 체인구동부를 포함하는,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KR1020230036032A 2023-03-20 2023-03-20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KR10255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032A KR102550500B1 (ko) 2023-03-20 2023-03-20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032A KR102550500B1 (ko) 2023-03-20 2023-03-20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500B1 true KR102550500B1 (ko) 2023-07-03

Family

ID=8715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032A KR102550500B1 (ko) 2023-03-20 2023-03-20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5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575U (ko) * 2014-06-16 2015-12-24 순 욱 황 가이드 플라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575U (ko) * 2014-06-16 2015-12-24 순 욱 황 가이드 플라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54760B (zh) 自动化仓库系统、控制方法、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017038B (zh) 运送圆柱形物体的托架
KR100692150B1 (ko) 드롭 리프트 장치
KR100702220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2550500B1 (ko) 공조기 중량물 운반용 받침 롤러 장치
KR101812519B1 (ko) 계란 적층용 승강기
JP7222183B2 (ja) 搬送装置
JP3015351B1 (ja) 重量物搬送装置
CN114258383A (zh) 输送装置
KR100467540B1 (ko) 환봉 자동공급장치
KR102128086B1 (ko) 차량을 적재하여 주차 및 출차를 실행하는 지능형 차량이송로봇
KR100710070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CN209889765U (zh) 一种升降移载装置
JP2903983B2 (ja) コンベヤ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JP2549491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建物ユニットの支持具
KR102326295B1 (ko)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CN211971213U (zh) 一种板材自动输送装置
KR200303891Y1 (ko) 환봉 자동공급장치
KR20090008685A (ko) 프리캐스트부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부재설치방법
JP3786346B2 (ja) スリーウェイスタッカクレーンを備えた自動倉庫
KR101774156B1 (ko)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KR200179923Y1 (ko) 강판 이송 장치
JPH01203105A (ja) コンテナ移送装置
JP5333826B2 (ja) 物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