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295B1 -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 Google Patents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295B1
KR102326295B1 KR1020200107886A KR20200107886A KR102326295B1 KR 102326295 B1 KR102326295 B1 KR 102326295B1 KR 1020200107886 A KR1020200107886 A KR 1020200107886A KR 20200107886 A KR20200107886 A KR 20200107886A KR 102326295 B1 KR102326295 B1 KR 10232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rail
lifting
coil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윤
김윤석
장백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석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석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두 장변부 및 두 장변부의 양단 쪽을 각각 연결하는 두 단변부를 갖춘 장방형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양측 단변부 쪽에 각각 설치된 두 승강프레임; 두 승강프레임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두 승강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코일을 지지한 상태로 코일을 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코일하역부;를 포함하고, 승강구동부는 메인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두 승강프레임을 각각 승강시키는 두 크랭크축;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두 크랭크축의 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구동축;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구동축의 회전을 두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LIFTING DEVICE AND COIL TRANSPORT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을 싣거나 내리는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에 관한 것이다.
압연을 거쳐 생산된 스트립이나 선재는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제품화된다. 이처럼 권취된 코일형 제품(이하 “코일”이라 함)은 코일 이송차에 실려 보관을 위한 물류창고 또는 후속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코일을 운반하는 코일 이송차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코일의 적재를 위한 새들부가 마련된 차체와, 코일의 하역을 위해 코일을 지지한 상태로 승강하거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일 이송차에서 승강장치는 무거운 코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작동부품들이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코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두 장변부 및 두 장변부의 양단 쪽을 각각 연결하는 두 단변부를 갖춘 장방형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단변부 쪽에 각각 설치된 두 승강프레임; 상기 두 승강프레임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두 승강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코일을 지지한 상태로 코일을 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코일하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두 승강프레임을 각각 승강시키는 두 크랭크축;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두 크랭크축의 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두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승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 크랭크축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장변부에 각각 설치된 두 지지축; 상기 두 지지축과 평행한 상태로 편심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편심축; 및 상기 편심축의 양단과 상기 두 지지축을 각각 연결하는 두 연결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축의 양단 쪽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구동스프로킷; 상기 각 크랭크 축의 상기 두 지지축에 설치된 복수의 피동스프로킷; 및 상기 복수의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복수의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복수의 무한궤도형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180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승강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일하역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빔; 및 상기 편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빔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편심축의 결합을 위해 승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라이딩홈이 마련된 복수의 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빔은 상기 단변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횡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세로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 상호 이격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지지빔의 측면과 상기 복수의 축결합부 상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두 장변부 내면과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제1승강안내장치;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두 단면부 내면과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제2승강안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승강안내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변부 내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1승강레일; 상기 제1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승강롤러; 상기 제1승강롤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기 축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제1롤러지지부; 및 상기 제1롤러지지부를 이동시켜 상기 제1승강롤러와 상기 제1승강레일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축결합부에 설치된 제1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승강안내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면부 내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2승강레일; 상기 제2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승강롤러; 상기 제2승강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2승강롤러와 상기 제2승강레일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기 축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제2롤러지지부; 및 상기 제2롤러지지부의 결속을 위해 상기 축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하역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변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 하부가 상기 두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레일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간레일; 상기 중간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레일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코일적재부가 마련된 상부레일; 및 상기 중간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을 상기 지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코일하역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감지장치는 상기 지지레일의 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레일과 함께 승강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제1연장레일과 제2연장레일; 상기 제1연장레일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승위치 조절부재; 상기 제2연장레일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강위치 조절부재;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승위치 조절부재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위치 조절부재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양측에 마련된 두 승강프레임이 코일하역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동시에 승강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코일하역부에 적재된 코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승강감지장치가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여 사용자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승강높이의 조절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가 적용된 코일 이송차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로, 상측의 코일하역부를 제외한 상태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승강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승강프레임을 아래 쪽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승강프레임 장착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승강프레임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승강프레임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승강프레임이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승강감지장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일 이송차(10)는 상부에 코일(C)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스스로 코일(C)을 싣거나 내릴 수 있다. 코일 이송차(10)는 레일(20)을 따라 주행하는 차체(11), 차체(11)의 상부에 코일(C)을 적재를 위해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새들부(12), 코일(C)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을 위해 차체(11)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승강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장치(100)는 코일(C)이 적재된 새들부(12)의 하부에 위치한다. 승강장치(100)는 상승동작에 의해 새들부(12)에 놓인 코일(C)을 들어 올릴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C)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송하여 내려 놓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승강장치(100)는 메인프레임(110), 두 승강프레임(120), 승강구동부, 코일하역부(25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두 장변부(111)와, 두 장변부(11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두 장변부(111)의 양단 쪽을 각각 연결하는 두 단변부(112)를 구비한다. 두 장변부(111)와 두 단변부(112)는 강철소재에 의해 마련되고, 이들이 용접 또는 볼트체결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 구조물을 이룬다. 메인프레임(110)은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코일 이송차(10)의 차체(11) 위에 탑재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두 승강프레임(12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양측 단변부(112) 내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두 승강프레임(120)은 그 위에 장착되는 코일하역부(250)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단변부(1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승강구동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두 승강프레임(120)을 각각 승강시키는 두 크랭크축(160), 두 크랭크축(160) 사이의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며 두 크랭크축(160)과 평행하게 배치된 구동축(170), 구동축(17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80), 구동축(170)의 회전을 두 크랭크축(16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190)를 포함한다.
양측의 두 크랭크축(1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 양측의 장변부(1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두 지지축(161)과, 두 지지축(161)과 평행한 상태로 두 지지축(161)으로부터 편심되게 설치된 편심축(162)과, 편심축(162)의 양단과 두 지지축(161)을 각각 연결하는 두 연결암(16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크랭크축(160)은 편심축(162)이 승강프레임(120)의 하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크랭크축(160)이 회전하면 승강프레임(120)이 승강할 수 있다.
동력전달장치(19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70)의 양단 쪽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구동스프로킷(191), 각 크랭크축(160)의 두 지지축(161)에 설치된 복수의 피동스프로킷(192), 복수의 구동스프로킷(191)과 복수의 피동스프로킷(192)을 연결하는 복수의 무한궤도형 체인(19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80)는 감속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축(17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구동부는 구동모터(180)의 동작에 의해 양측의 두 크랭크축(160)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양측의 두 승강프레임(120)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고, 두 승강프레임(120) 위에 설치된 코일하역부(25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양측의 각 승강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의 단변부(112)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코일하역부(25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빔(121), 편심축(162)의 결합을 위해 지지빔(121)의 하부에 마련된 복수의 축결합부(123)를 포함한다.
복수의 축결합부(123)는 편심축(16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빔(1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 편심축(162)의 결합을 위해 승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23a)을 구비한다. 이러한 축결합부들(123)은 길이가 긴 상판(123b)과 하판(123c), 상판(123b)과 하판(123c)의 양단을 연결하는 두 측판(123d,123e)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123a)에 결합되는 편심축(162) 외면에는 도 5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축(162)의 원활한 회전 및 슬라이딩을 위해 베어링(164)이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123a)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축(160)이 180범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승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크랭크축(160)은 구동모터(180)의 동작에 의해 180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프레임(120)을 승강시키므로, 슬라이딩홈(123a)의 길이는 대략 크랭크축(160)의 회전반경(연결암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일 수 있다. 축결합부(123)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슬라이딩홈(123a)의 길이를 이보다 길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빔(121)은 코일하역부(250) 및 코일하역부(250) 위에 적재되는 코일(C)의 무게를 감당할 정도의 강성이 요구된다. 즉 코일하역부(250)가 결합되는 위치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처짐이나 변형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강성이 요구된다.
도 6, 도 7, 도 8,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빔(121)은 상판(121a)과, 상판(121a)을 지지하도록 상판(121a)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보강판(121b)을 포함한다. 상판(121a)은 메인프레임(110)의 단변부(112)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횡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복수의 보강판(121b)은 상판(121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는 3개의 보강판(121b)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판(121a)의 하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빔(121)은 높은 굽힘강성을 가지도록 3개의 보강판(121b)이 상판(121a)의 하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부에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처짐이나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개의 보강판(121b)은 상단이 상판(121a)의 하면에 용접되고, 하단이 복수의 축결합부(123) 상면에 용접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120)은 지지빔(12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빔(121)의 측면과 복수의 축결합부(123) 상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빔(121)의 양쪽 측면을 보강리브(124)가 결합됨으로써 지지빔(121)이 측방으로 밀리거나 비틀리는 현상 없이 복수의 축결합부(123)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2를 참조하면, 승강장치(100)는 양측 두 승강프레임(120)의 안정된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1승강안내장치(130)와 복수의 제2승강안내장치(140)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1승강안내장치(130)는 메인프레임(110)의 두 장변부(111) 내면과 승강프레임(120)의 양단 사이에 마련되고, 복수의 제2승강안내장치(140)는 메인프레임(110)의 두 단면부(112) 내면과 승강프레임(120) 사이에 마련된다.
복수의 제1승강안내장치(130)는 메인프레임(110)의 장변부(111) 내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1승강레일(131), 제1승강레일(1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승강롤러(132), 제1승강롤러(132)를 지지한 상태로 승강프레임(120)의 축결합부(1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제1롤러지지부(133), 제1롤러지지부(133)를 이동시켜 제1승강롤러(132)와 제1승강레일(131)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축결합부(123)에 설치된 제1조절나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승강안내장치(140)는 메인프레임(110)의 단면부(112) 내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2승강레일(141), 제2승강레일(141)을 따라 이동하는 제2승강롤러(142), 제2승강롤러(142)를 지지하며 제2승강롤러(142)와 제2승강레일(141)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프레임(120)의 축결합부(1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제2롤러지지부(143), 제2롤러지지부(143)의 결속을 위해 축결합부(123)에 체결되는 제2조절나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일하역부(250)는 두 승강프레임(120)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코일(C)을 지지할 수 있고, 코일(C)을 지지한 상태에서 코일(C)을 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일하역부(250)는 지지레일(251), 중간레일(252), 상부레일(253), 슬라이딩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지지레일(251)은 메인프레임(110)의 장변부(1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 하부가 두 승강프레임(120)의 지지빔(121) 상면 중앙에 고정된다. 중간레일(252)은 지지레일(2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레일(251)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지지레일(251)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레일(253)은 중간레일(2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간레일(252)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중간레일(252)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V자홈 형태의 코일적재부(253a)를 구비한다.
슬라이딩구동부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지지레일(251)과 중간레일(252) 사이, 중간레일(252)과 상부레일(25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구동부는 랙-피니언방식의 동력전달수단과 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구동부는 코일(C)의 이송을 위해 중간레일(252) 및 상부레일(253)을 지지레일(2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승강장치(100)의 한쪽 측방에는 코일하역부(250)의 승강 위치를 감지함과 동시에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감지장치(220)가 설치된다.
승강감지장치(220)는 제1연장레일(221), 제2연장레일(222), 상승위치 조절부재(223), 하강위치 조절부재(224), 제1센서(225), 제2센서(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레일(221)과 제2연장레일(222)은 상부가 코일하역부(250)의 지지레일(251) 단부에 고정되고, 메인프레임(110)의 단변부(112)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1연장레일(221)과 제2연장레일(222)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레일(251)과 함께 승강한다.
상승위치 조절부재(223)는 제1연장레일(22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위치 조절부재(224)는 제2연장레일(22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센서(225)는 상승위치 조절부재(223)를 감지하도록 메인프레임(110)의 단변부(112) 외측에 설치되고, 제2센서(226)는 하강위치 조절부재(224)를 감지하도록 메인프레임(110)의 단변부(112) 외측에 설치된다. 승강장치(100)는 제1센서(225)와 제2센서(226)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구동모터(18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코일하역부(250)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감지장치(220)는 코일하역부(250)가 상승할 때 함께 상승하는 상승위치 조절부재(223)가 제1센서(225)에 감지됨으로써 코일하역부(250)의 상승을 감지할 수 있다. 코일하역부(250)가 하강할 때는 함께 하강하는 하강위치 조절부재(224)가 제2센서(226)에 감지됨으로써 코일하역부(250)의 하강을 감지할 수 있다.
승강감지장치(220)는 제1연장레일(221)에 결합된 상승위치 조절부재(223)와 제2연장레일(222)에 장착된 하강위치 조절부재(224)를 올리거나 내려 장착하는 방식으로 코일하역부(250)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승위치 조절부재(223)의 높이 조절을 통해 최대 상승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하강위치 조절부재(224)의 높이 조절을 통해 최대 하강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감지장치(220)는 메인프레임(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사용자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승강높이의 조절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양측에 마련된 두 승강프레임(120)이 코일하역부(250)를 지지한 상태에서 동시에 승강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코일하역부(250)에 적재된 코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10: 코일 이송차, 100: 승강장치,
110: 메인프레임, 111: 장변부,
112: 단변부, 120: 승강프레임,
121: 지지빔, 123: 축결합부,
123a: 슬라이딩홈, 130: 제1승강안내장치,
140: 제2승강안내장치, 160: 크랭크축,
161: 지지축, 162: 편심축,
163: 연결암, 170: 구동축,
180: 구동모터, 190: 동력전달장치,
191: 구동스프로킷, 192: 피동스프로킷,
193: 체인, 220: 승강감지장치,
221: 제1연장레일, 222: 제2연장레일,
223: 상승위치 조절부재, 224: 하강위치 조절부재,
225: 제1센서, 226: 제2센서,
250: 코일하역부, 251: 지지레일,
252: 중간레일, 253: 상부레일.

Claims (14)

  1. 두 장변부 및 두 장변부의 양단 쪽을 각각 연결하는 두 단변부를 갖춘 장방형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단변부 쪽에 각각 설치된 두 승강프레임;
    상기 두 승강프레임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두 승강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코일을 지지한 상태로 코일을 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코일하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두 승강프레임을 각각 승강시키는 두 크랭크축;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두 크랭크축의 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두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 크랭크축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장변부에 각각 설치된 두 지지축과,
    상기 두 지지축과 평행한 상태로 편심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의 양단과 상기 두 지지축을 각각 연결하는 두 연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각 승강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일하역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빔과,
    상기 편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빔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편심축의 결합을 위해 승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라이딩홈이 마련된 복수의 축결합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축의 양단 쪽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구동스프로킷;
    상기 각 크랭크 축의 상기 두 지지축에 설치된 복수의 피동스프로킷; 및
    상기 복수의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복수의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복수의 무한궤도형 체인을 포함하는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180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은,
    상기 단변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횡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세로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 상호 이격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판;을 포함하는 승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지지빔의 측면과 상기 복수의 축결합부 상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두 장변부 내면과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제1승강안내장치;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두 단면부 내면과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제2승강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승강안내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변부 내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1승강레일;
    상기 제1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승강롤러;
    상기 제1승강롤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기 축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제1롤러지지부; 및
    상기 제1롤러지지부를 이동시켜 상기 제1승강롤러와 상기 제1승강레일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축결합부에 설치된 제1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승강안내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면부 내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2승강레일;
    상기 제2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승강롤러;
    상기 제2승강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2승강롤러와 상기 제2승강레일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기 축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제2롤러지지부; 및
    상기 제2롤러지지부의 결속을 위해 상기 축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하역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변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 하부가 상기 두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레일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간레일;
    상기 중간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레일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코일적재부가 마련된 상부레일; 및
    상기 중간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을 상기 지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하역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감지장치는,
    상기 지지레일의 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레일과 함께 승강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제1연장레일과 제2연장레일;
    상기 제1연장레일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승위치 조절부재;
    상기 제2연장레일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강위치 조절부재;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승위치 조절부재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변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위치 조절부재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14.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KR1020200107886A 2020-08-26 2020-08-26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KR10232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86A KR102326295B1 (ko) 2020-08-26 2020-08-26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86A KR102326295B1 (ko) 2020-08-26 2020-08-26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295B1 true KR102326295B1 (ko) 2021-11-15

Family

ID=7850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886A KR102326295B1 (ko) 2020-08-26 2020-08-26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2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476A (ja) * 1994-10-19 1996-05-07 Kansai Seisakusho:Kk 寝台フレームの昇降機構
KR20100053653A (ko) * 2007-08-13 2010-05-20 콘메디시스, 인크. 환자 이송 장치를 위한 테이블 및 슬라이드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476A (ja) * 1994-10-19 1996-05-07 Kansai Seisakusho:Kk 寝台フレームの昇降機構
KR20100053653A (ko) * 2007-08-13 2010-05-20 콘메디시스, 인크. 환자 이송 장치를 위한 테이블 및 슬라이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62720A1 (zh) 物流码垛系统
US9731949B2 (en) Elevating apparatus
CN101648643B (zh) 移动式伸缩升降输送车
US9725288B2 (en) Stacker crane
KR101700969B1 (ko) 스태커 크레인
KR101748445B1 (ko) 스태커 크레인
JP6328704B2 (ja) 昇降装置
KR20010040011A (ko) 크레인 등의 다리용 유니버설 트래버스 어셈블리
CN1708442A (zh) 承载架
KR102326295B1 (ko)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이송차
WO2024114055A1 (zh) 一种驱动轮装置及叉车
JP6530674B2 (ja) 機械式駐車装置
US4999902A (en) Process for aligning a reciprocable frame between parallel vertically extending shifts of a mast of a fork lift
JP7045193B2 (ja) 昇降搬送装置
CN219078270U (zh) 一种升降输送装置
CN213230201U (zh) 一种快捷式e型连续提升机
JP2008189399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113382939B (zh) 包含可以递增方式调整的提升框架的输送机系统
CN218434703U (zh) 一种倾斜升降机以及钢卷运输系统
CN218561019U (zh) 叉车
JP2985644B2 (ja) コンベヤ装置
CN214607784U (zh) 一种agv物料运输车
JP2006264966A (ja) リフト装置
CN215556559U (zh) 一种滚子链输送机
CN217676602U (zh) 单柱式垂直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