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53Y1 -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53Y1
KR940001653Y1 KR2019910022173U KR910022173U KR940001653Y1 KR 940001653 Y1 KR940001653 Y1 KR 940001653Y1 KR 2019910022173 U KR2019910022173 U KR 2019910022173U KR 910022173 U KR910022173 U KR 910022173U KR 940001653 Y1 KR940001653 Y1 KR 940001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power supply
transfer
uni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467U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 켈
Priority to KR2019910022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653Y1/ko
Publication of KR930017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85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PCB 자동 이송 및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상태 평면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작동상태 개략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11 : 고정 테이블
11a : 회전 테이블 13 : 실린더
13a : 로드 15 : 작동봉
18 : 스위치부 20 : 구동부
21 : 소형모우터 22 : 모우터축
23 : 제1풀리 30 : PCB이송부
31 : 레일 32 : 제2풀리
33 : 벨트 40 : 전원차단 센서부
50 : PCB고정부 51, 55a, 57 : 축
52 : 스토퍼 53 : PCB고정핀
54 : 탄지부 55 : 토링핀 실린더
본 고안은 PCB이송 및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PCB를 자동으로 신속용이하게 이송 및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PCB 이송장치는 이송실린더를 이용하여 PCB를 작업위치까지 이송하여 PCB에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CB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이송실린더에 가이드 및 각종 장착 부품이 많음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PCB 이송장치에 고장이 발생되면 수리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부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또, 실린더의 이송속도가 느림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PCB를 신속용이하게 이송 또는 전원을 공급시키는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PCB이송 및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구동부와, 그 구동부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풀리에 팽팽하게 감긴 벨트를 따라 PCB가 이송되는 PCB이송부와, 이송되는 PCB가 설정위치에 도달하면 센서로 감지하여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전원차단센서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술한 특징을 구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본 고안에 따른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는 전원공급부(10)와, 구동부(20)와, PCB이송부(30)와, 전원차단센서부(40)와, 통상의 PCB고정부(50)로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0)는 예를들어 고정 테이블(11)의 일측 상단에 실린더 고정부 (12)가 부착되며, 실린더 고정부(12)에는 안내공(12a)과 실린더(13)가 부착되고, 실린더(13)의 로드(13a)단부에 부착된 작동판(14)에는 그 작동판(14)의 일측 관통공 (14a)에 관통 삽입된 작동봉(15)과 작동판(14)의 일측사이에 코일스프링(16)이 탄지되어 있으며, 타측에 일체로 부착된 안내봉(17)은 고정부(12)의 안내공(12a)을 따라 작동되고, 작동봉(15)의 단부느 그와 상응되게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설치된 회전테이블 (11a)에 스위치부(18)가 설치된다.
구동부(20)는 예를들어 추후에 설명될 전후 또는 양측에 설치된 레일(31)의 일측에 소형 모우터(21)를 각각 설치하며, 소형 모우터(21)의 축(22)세는 제1풀리(23)가 부착된다.
PCB이송부(30)는 예를들어 테이블(11)상의 전후에 레일(31)을 설치하며, 레일(31)의 일측에 부착된 소형모우터축(22)에 부착된 제1풀리(23)와 상응된 반대위치의 레일(31)에 제2풀리(32)가 설치되며, 제1, 제2풀리(23, 32)에는 벨트(33)가 팽팽하게 감긴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1, 제2풀리(23, 32) 사이의 레일(31)에 2개의 안내 및 장력을 조절하는 보조롤(34)을 통상의 장치로 구비된다.
전원차단센서부(40)는 예를들어 테이블(11)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통상의 센서로 설치한다.
PCB고정부(50)는 통상의 방법으로 예를들어 레일(31)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축(51)이 설치되며, 축(51)에는 스토퍼(52)와 다수의 PCB고정핀(53)이 고정되고, 스토퍼(52)와 다수의 PCB고정핀(53)와 테이블(11) 사이에는 탄지부(54)가 탄지되며, 테이블(11)상에 설치된 토링핀 실린더(55)의 축(55a)에 고정되는 바아(56)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축(57)을 중심으로 각 회전 운동을 하면서 그 바아(56)의 단부가 스토퍼(52)의 상단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탄지부(54)는 코일스프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비한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를 제1도에 보인 바와 같이 2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예를들어 그 사이에 동일한 위치에 별도의 PCB이송부(30A)가 설치되는데, 이는 센터를 잡아주는 레일(31A)과 그 레일(31A)의 일측에 부착된 소형 모우터(21A)의 축(22A)에는 제3풀리(23A)가 설치되며, 레일(31A)의 타측에 제4풀리(32A)가 설치되고, 제3, 제4풀리(23A, 32A)에는 벨트(33A)가 팽팽하게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3, 4풀리(23A, 32A) 사이의 레일(31A)에 2개의 벨트 안내 및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조롤(34A)이 통상의 장치로 구비된다. 여기서 2개의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된 하나의 PCB이송부(30A)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를 그 이상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되는 수량에 따라 증가 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은 PCB, 6a는 PCB의 관통공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원공급장치(10)에 의하여 실린더(13)가 전진하면서 실린더 로드(13a)의 작동판(14)이 전진됨에 따라 작동판(14)의 작동봉(15)이 전진되면서 그 단부가 스위치부(18)에 접촉되는 한편, 테이블(11)상에 고정된 고정부(12)의 안내공(12a)을 따라 작동판(14)의 안내봉(17)이 안내되면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동부(20)가 전원을 공급 받으면, 소형모우터(21, 21A)의 회전에 따라 소형 모우터 축(22, 22A)에 연결된 풀리(23, 23A, 32, 32A)와 벨트(33, 33A)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벨트(33, 33A)상에 재치된 PCB(6)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톨링핀 실린더(55)의 축(55a)이 업(UP)되면서 제4도의 실선상태에서 가상선 상태로 되는데, 실린더축(55a)에 연결된 바아(56)가 별도로 설치된 축(57)을 중심으로 바아(56)의 단부가 하강하게 됨에 따라 스토퍼(52) 및 다수 PCB고정핀(53)의 뒷부분이 축(51)을 중심으로 각 회전하면서 눌러주게 되고, 이때 PCB고정핀(53)이 PCB(6)의 고정상태를 해체시키게 되는 한편, 스토퍼(52) 및 PCB고정핀(53)과 테이블(11) 사이에 탄지된 코일스프링(54)이 압축된다.
한편, 회전하는 벨트(33, 33A)상에 재치된 PCB(6)가 설정위치에 도달되면, 설정위치에 도착되었음을 전원차단센서부(40)에 의하여 톨링핀 실린더(55)의 축(55a)이 다운(Down)되면서 제4도의 가상선상태에서 실선상태로 되는데, 실린더축(55a)에 연결된 바아(56)가 별도로 설치된 축(57)을 중심으로 바아(56)의 단부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PCB고정핀(53)이 PCB(6)의 고정홀(6a)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PCB(6)는 완전히 고정되어 자동부품(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삽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공급장치(10)의 전원을 차단하여 소형모우터(21, 21A)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PCB(6)에 자동부품 삽입 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 자동부품 삽입작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전원공급장치(10)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부(20)를 작동시키면서 PCB고정부(50)에서 PCB(6)를 이탈시키게 된다. 그와 동시에 PCB(6)는 이송레일(31)과 벨트(33, 33A)를 따라 배출하게 되고, 이로써 처음과 같은 상태를 계속 반복하게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여러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PCB이송 및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구동부와, 그 구동부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풀리에 팽팽하게 감긴 벨트를 따라 PCB가 이송되는 PCB이송부와, 이송되는 PCB가 설정위치에 도달하면 센서로 감지하여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전원차단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고정 테이블 상에 설치된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로드에 부착되어 있는 작동봉이 회전테이블에 설치된 스위치부에 접촉, 분리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레일의 전후에 소형 구동모우터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CB이송부는 회전 테이블상의 전후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소형구동 모우터의 축에 부착된 풀리와 레일의 타측에 부착된 폴리 사이에 벨트가 팽팽하게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KR2019910022173U 1991-12-13 1991-12-13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KR940001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173U KR940001653Y1 (ko) 1991-12-13 1991-12-13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173U KR940001653Y1 (ko) 1991-12-13 1991-12-13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67U KR930017467U (ko) 1993-07-29
KR940001653Y1 true KR940001653Y1 (ko) 1994-03-21

Family

ID=1932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173U KR940001653Y1 (ko) 1991-12-13 1991-12-13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6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67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124B1 (ko) 부품장착장치
KR850000171A (ko) 프린트 배선판위의 칩형회로 요소의 자동설치 장치
JP3553724B2 (ja) 基板搬送装置
KR940001653Y1 (ko)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US4719810A (en) Drive mechanism for electrical component placement head
KR100276482B1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
KR0140643Y1 (ko) 회로기판 고정 및 이송장치
KR100355936B1 (ko) 차량용 시동전동기의 오알씨어셈블리 자동조립장치
KR100192039B1 (ko) Pcb 반전장치
KR100345902B1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KR100235402B1 (ko)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
KR20240012830A (ko) 커버테이프 회수장치
KR200198148Y1 (ko) 전자소자 조립기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KR920002217Y1 (ko) 건식 복사기의 카세트에 있어서 선반의 승강장치
KR200169598Y1 (ko)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KR100350154B1 (ko) 테이프 피더의 클램핑 장치
KR850001946Y1 (ko) 급지 로울러의 관성방지 장치
KR200262569Y1 (ko) 라미네이터용 자동절단기의 속도제어장치
KR200184066Y1 (ko) 소재공급장치의 팔레트 곡선이동 안내장치
CN209418321U (zh) 绝缘包带机
KR100300519B1 (ko)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200148663Y1 (ko) 칩마운터의 동기구동장치
KR0116973Y1 (ko) 와이어 본딩머신의 메가진 장착장치
KR0124805Y1 (ko) 부품 삽입기의 회로기판 위치결정장치
KR0137355Y1 (ko) 전자부품의 리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