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598Y1 -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598Y1
KR200169598Y1 KR2019940038464U KR19940038464U KR200169598Y1 KR 200169598 Y1 KR200169598 Y1 KR 200169598Y1 KR 2019940038464 U KR2019940038464 U KR 2019940038464U KR 19940038464 U KR19940038464 U KR 19940038464U KR 200169598 Y1 KR200169598 Y1 KR 200169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lead screw
plate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435U (ko
Inventor
이병오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40038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598Y1/ko
Publication of KR960022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 장치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한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안은 리드스크류(3)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이동되며 각 모서리에 삽입공(5a)이 형성된 이동블럭(5)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가이드(7)가 결합되며 일측에는 센서(9)가 부착된 지지블럭(6)과, 상기 이동 블럭과 지지블럭을 탄력설치하기 위해 가이드(7)에 삽입된 탄성부재(8)와, 상기 이동 블럭의 일측에 고정되며 차단판(11)이 일체 형성된 플레이트(1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제1도는 종래 이송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리트 스크류 5 : 이동블럭
6 : 지지 블럭 7 : 가이드
8 : 탄성부재 9 : 센서
10 : 플레이트 11 : 차단판
본 고안은 메가진(Magzine)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장비에 과부하가 발생되므로인해 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에 모터(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2a)에는 리드 스크류(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스크류는 본체에 결합된 지지부재(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에는 모터(2)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리드 스크류(3)회전시 좌우이동 가능하게 이동블럭(5)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블럭의 상부에는 적재판(12)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판(12)의 상부에 메거진(13)을 올려놓고 모터(2)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리드 스크류(3)로 전달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블럭에 고정된 적재판(12)이 이동되므로 상기 적재판에 올려진 메거진(13)이 이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적재판(12)과 적재판의 상부에 올려진 메거진(13)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모터(2)는 계속 구동하게 되므로 상기 메거진이 적재판에서 이탈되거나, 모터(2)에 과부하가 작용되고 이에따라 이송불량은 물론 모터(2)에 과부하가 작용되고, 이에따라 모터가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적재판 및 메거진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모터의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리드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 이동되며 각 모서리에 삽입공이 형성된 이동블럭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가이드가 결합되며 일측에는 센서가 부착된 지지블럭과 상기 이동 블럭과 지지블럭을 탄력설치하기 위해 가이드에 삽입된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블럭의 일측에 고정되며 차단판이 일체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의 종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일측으로 결합된 모터(2)의 회전측(2a)에 리드 스크류(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리드스크류는 본체에 형성된 지지부재(4)에 공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스크류에는 리드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각 모서리에 삽입공(5a)이 형성된 이동블럭(5)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에는 지지블럭(6)에 결합된 가이드(7)가 삽입되어 있고 이동 블럭과 지지블럭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8)가 가이드(7)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럭의 일측에는 센서(9)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동블럭의 일측에는 플레이트(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센서(9)내로 삽입되는 차단판(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판의 일측에는 센서에서 발산되는 빛이 통과되는 통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적재판(12)의 상부에 메거진(13)을 올려놓고 모터(2)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은 리드스크류(3)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블럭(5)이 이동되므로 지지블럭(6)과 메거진(13)이 함께 이동된다. 이때 메거진(13) 또는 적재판(12)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지지블럭(6)은 이동되지 못하고 이동블럭(5)만 이동되므로 가이드(7)에 삽입된 탄성부재(8)는 압축되면서 차단판(11)에 형성된 통공(11a)은 제4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센서(9)에서 이탈된다.
상기 센서에서 발산되는 빛이 차단판(11)에 의해서 차단되어 수광부에서 수광하지 못하게 되면 별도의 수단에 의해서 모터(2)를 정지 시키게 되므로 이동부재(5)는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외력에 의한 이동불량을 센서가 감지하여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과부하에 의한 메거진의 이탈은 물론 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 할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리드스크류(3)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 이동되며 각 모서리에 삽입공(5a)이 형성된 이동블럭(5)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가이드(7)가 결합되며 일측에는 센서(9)가 부착된 지지블럭(6)과, 상기 이동 블럭과 지지블럭을 탄력설치하기 위해 가이드(7)에 삽입된 탄성부재(8)와, 상기 이동 블럭의 일측에 고정되며 차단판(11)이 일체 형성된 플레이트(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장치
KR2019940038464U 1994-12-30 1994-12-30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KR200169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464U KR200169598Y1 (ko) 1994-12-30 1994-12-30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464U KR200169598Y1 (ko) 1994-12-30 1994-12-30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35U KR960022435U (ko) 1996-07-20
KR200169598Y1 true KR200169598Y1 (ko) 2000-03-02

Family

ID=1940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464U KR200169598Y1 (ko) 1994-12-30 1994-12-30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5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311A (ko) * 2014-11-27 2016-06-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지지격자 용접치구 장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311A (ko) * 2014-11-27 2016-06-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지지격자 용접치구 장입장치
KR101647019B1 (ko) * 2014-11-27 2016-08-11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지지격자 용접치구 장입장치
CN105983790A (zh) * 2014-11-27 2016-10-05 韩电原子力燃料株式会社 定位格架的焊接夹具的装入装置
US9649724B2 (en) 2014-11-27 2017-05-16 Kepco Nuclear Fuel Co., Ltd. Charging device of a welding fixture of spacer gr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35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5641B2 (ja) アクチュエータ
EP0428382A3 (en) Disc chucking mechanism
KR200169598Y1 (ko) 메가진 이송장비의 과부하 감지 장치
ES2052056T3 (es) Retencion de cojinete para motor dinamoelectrico.
FI102203B1 (fi) Laite juoksupyörän asentamiseksi käyttöakselille
ES2047037T3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para ser utilizado en una maquina tragaperras.
ATE277438T1 (de) Bearbeitungseinrichtung
JP2972669B2 (ja) ねじ整列機構
KR900015848A (ko)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및 이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
KR0143749B1 (ko) 모터의 과부하 방지 장치
KR910004922Y1 (ko) 체인 전동기구의 과부하 검출 장치
KR940001653Y1 (ko)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KR100244357B1 (ko) 카세트 장착 장치
KR0153232B1 (ko)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US7283155B1 (en) Camera actuator system
KR930000127Y1 (ko)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KR100300519B1 (ko)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93000866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로딩레버
KR860000219Y1 (ko) 전동용 스크류우축의 프리텐션 장치
KR960008809Y1 (ko) 분말이송장치
DK1209446T3 (da) Roterende impulsgiver
KR950000147Y1 (ko) 용지절단 장치
KR0116596Y1 (ko) 테이프 로딩장치의 동력전달기구 고정구조
KR910006703Y1 (ko) 가축급이용 사료운반 콘베이어의 동력전달장치
KR200248564Y1 (ko) 로봇 베이스내의 케이블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